[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2490B1 -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 Google Patents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90B1
KR100452490B1 KR10-2001-0029687A KR20010029687A KR100452490B1 KR 100452490 B1 KR100452490 B1 KR 100452490B1 KR 20010029687 A KR20010029687 A KR 20010029687A KR 100452490 B1 KR100452490 B1 KR 10045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ter
adsl
line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457A (ko
Inventor
강원철
이용구
이영탁
하종영
김석호
김명환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02006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플리터를 DSLAM 장비로부터 분리시켜 배선구조를 개선하고 고밀도화를 통해 구축비용을 극소화 한 ADSL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의 전송실에는 ADSL전송장비인 DSLAM(1)이 설치되고, 하부의 시험실에는 주배선반(2)이 설치되며, 데이터 신호와 음성신호가 혼합된 DSL 라인에서 전송된 ADSL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ADSL용 스플리터 장치에 있어서, 전화국내의 주배선반실에 설치되어 선번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과 교환기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 및 DSLAM측으로부터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스플리터 베이스와; 스플리터 베이스 위에 장착되며 하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다수의 모듈화된 IDC형 스플리터 단자블럭과; 단자블록 내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신호는 DSLAM측으로 신호를 분리/연결시키는 잭 형태의 단위회선용 분리형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SPLITTER DEVICE AND WIRING METHOD FOR ADSL APPLICATION}
본 발명은 전화국내나 가입자빌딩 내 주배선반(MDF:Main Distribution Frames)에 설치되어 가입자측 케이블에서 전송 되어온 음성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곧바로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 신호는 DSLAM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비로 신호를 분리 및 접속시켜주는 역할과 구간별 시험점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플리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플리터를 DSLAM 장비로부터 분리시켜 배선구조를 개선하고 고밀도화를 통해 구축비용을 극소화 한 ADSL 스플리터 단자반에 관한 것이다.
DSL(Digital Subscriber Line)은 전송대역 및 전송기술에 따라 SDSL (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 Digital Subscriber Line)등 여러 종류의 전송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 가운데 ADSL(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기술은 현용의 동케이블 가입자선로를 재활용하여 회선 당 전화서비스와 함께 수 Mbps급의 초고속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게 하여주는 기술이며, 현용 동선을 활용하여 디지털선로를 구축할 수 있는 DSL기술의 일종이다.
저주파(4KHz대) 음성신호와 고주파(1MHz대) 데이터신호를 기존의 전화선에 같이 싣고, 스플리터(Splitter)라는 장치로 두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교환기(또는전화기)와 데이터 교환기 (또는 댁내 컴퓨터)로 우회시켜 신호를 종단시키는 기술이다.
ADSL은 소위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회선"으로 기존의 전화선(구리선)으로 0-4KHz까지를 음성용으로, 4KHz-2.2MHz을 데이터용으로 대역을 나누어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 시 데이터 흐름은 서버로부터 받는 데이터양(하향)이 대부분인데 반해 사용자가 발생하는 데이터(상향)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흐름을 반영하여 하향/상향을 채널화하고 각각 다른 대역을 할당하여 회선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하향 속도는 1.5 ~ 8Mbps이고 상향 속도는 16 ~ 640Kbps인데 인터넷 사용 시 서버로부터의 하향 데이터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높은 하향 속도로 서비스하는 것이다.
ADSL은 현재 국내에 대규모로 서비스가 진행중이며 따라서 이를 위한 대규모의 시설투자가 전화국내와 아파트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ADSL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화국내의 전송장비인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itiplexer)장비를 설치하고 장비 내 스플리터(Splitter)셀프에서 ADSL Line(Voice+Data신호)을 Data신호와 Voice(전화신호)로 분리하여 전송처리 해야 한다.
한편, 현재 음성, 데이터 전송, 교환의 중심장소인 전화국은 여러 장비들과 다양한 케이블배선들로 상면의 절대적인 부족현상을 겪고 있으며 대량의 ADSL서비스로 인해 초래되는 케이블배선비용과 관로공사 비용은 천문학적 액수로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ADSL 서비스제공을 위한 전화국 내의 DSLAM(1)과 MDF(2)간의 배선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는 전송실내에 설치된 ADSL전송장비인 DSLAM(1) 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부는 시험실내의 MDF(2)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서비스를 위한 케이블 배선구조는 다음과 같다. 가입자측 케이블(피더케이블)들은 하부의 선번측 단자반(3)에 모두 종단되어 낙뢰 및 과전류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는 피뢰기를 거쳐, 교환기와 일대일 대응되어 국내케이블(4)로 연결된 128회선용 기계측 단자반(5)에 점퍼선(6)으로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ADSL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케이블배선은 별도의 기계측 단자반 예를 들면 교환측 ADSL 단자반(7)과 선로측 ADSL 단자반(8) 2개를 구성하여 ADSL 라인(9)을 케이블단위로 스플리터 셀프(10)와 단자반(7) 사이에 연결시키고, 스플리터 셀프(10)에서 분리된 음성급 라인(11)을 케이블 단위로 스플리터 셀프(10)와 단자반(8)을 거쳐 일반전화 가입자회선(12)이 수용된 단자반에 점퍼선(18)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된 ADSL 라인(9)은 스플리터 셀프(10)를 거쳐 음성신호를 분리시킨 후 데이터라인(13)으로 변환되어 ADSL전송셀프(14)로 연결되고 그 후에는 광점퍼코드로 NAS (Network Access System)등을 통해 상위 데이터백본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플리터 셀프(10)는 DSLAM(1)이 설치되는 전송실(2,3층 위치)에 위치해야하므로 ADSL 라인(9)인 선로 측 케이블이 1층에 위치한 시험실에서 이중배선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접속부를 이중으로 구성해야 하는 점과 실제 전화국내의 시험과 관리측면에서 통합적인 시험,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송실에 별도의 피뢰기를 각각 선로측 및 전화국측 라인에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플리터를 전송 유니트별로 실장하기 위해 수십 회선용 스플리터 보드로 셀프를 구성하여 장착하므로 부품이상 시 수리 및 교체가 불가능하고, 상면이 매우 비좁은 전송실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큰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국내나 가입자빌딩 내 주배선반(MDF:Main Distribution Frames) 또는 연결배선반(IDF:Interconnect Distribution Frames)에 설치되어 가입자측 케이블에서 전송 되어온 음성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곧바로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 신호는 DSLAM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비로 신호를 분리 및 접속시켜주는 역할과 구간별 시험점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플리터를 DSLAM 장비로부터 분리시켜 배선구조를 개선하고 고밀도화를 통해 구축비용을 극소화 한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의 전송실에는 ADSL전송장비인 DSLAM(1)이 설치되고, 하부의 시험실에는 주배선반 또는 연결배선반이 설치되며, 데이터 신호와 음성신호가 혼합된 DSL 라인에서 전송된 ADSL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ADSL용 스플리터 장치에 있어서, 전화국내의 주배선반실에 설치되어 선번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과 교환기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 및 DSLAM측으로부터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스플리터 베이스와; 스플리터 베이스 위에 장착되며 하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다수의 모듈화된 IDC형 스플리터 단자블럭과; 단자블록 내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신호는 DSLAM측으로 신호를 분리/연결시키는 잭 형태의 단위회선용 분리형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실의 상부는 ADSL전송장비인 DSLAM이 설치되고, 하부는 주배선반 또는 연결배선반이 설치되며, 데이터 신호와 음성신호가 혼합된 DSL 라인에서 전송된 ADSL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ADSL용 스플리터 장치의 배선방법에 있어서, ADSL신호(음성신호+데이타신호)가 선번측 단자반에서 점퍼선으로 ADSL 스플리터 단자반 내의 단자블럭에 연결되고,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의 하부에 위치한 분리형 스플리터를 거치게 되면서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가 2개의 접속점으로 분리되며, 데이터신호는 DSLAM 내의 ADSL 전송셀프 간의 케이블로 연결되며, 음성신호는 기계측 단자반에 연결된 교환기측 국내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ADSL 서비스제공을 위한 전화국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DSL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블럭 및 분리형 스플리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블럭 및 분리형 스플리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블럭 및 분리형 스플리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블럭 및 분리형 스플리터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스플리터의 내부구조 및 인터페이스부 형성 구조를 도시한 투시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스플리터의 내부구조 및 인터페이스부 형성 구조를 도시한 투시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반에 적용 가능한 시험용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반의 디지털 단자반으로의 활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DSL DSLAM 장치 2:주배선반
3:선번측 단자반 4:교환기측 국내케이블
5:기계측 단자반 6:ADSL 점퍼선
7:선로측 ADSL 단자반 8:교환측 ADSL 단자반
9:ADSL 라인 10:스플리터 셀프
11:음성급 라인 12:일반전화 가입자회선
13:데이터 라인 14:ADSL 전송셀프
15:ADSL 스플리터 단자반 16:스플리터 단자블럭
17:분리형 스플리터 18:음성급 점퍼선
19:회선 가이드 구멍 20:인터페이스부
21:IDC 단자핀 22,23,24,29:접촉점
25:소형 PCB 26:전극처리부
27:손잡이 28:시험용 플러그
29:스플리터 단자블럭 베이스 30:캐퍼시터
31:변압기 32:본체(분리형 스플리터의)
33,34,35:시험점(시험용 플러그의) 36:이상전압전류 차단모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DSL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DSL스플리터 단자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은 크게 분리형 스플리터, 분리형 스플리터가 장착되는 단자블럭 및 단자블럭이 수용되는 스플리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스플리터란 ADSL 시스템이 기존의 동선 전화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며, 이때 음성을 분리하기 위한 낮은 주파수대역의 LPF(Low Pass Filter)기능을 갖고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를 분리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은 전화국내의 주배선반실(혹은 시험실) 이들 양측 사이의 가입자 선로의 연결배선반실에 설치되어 선번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과 교환기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 및 DSLAM측으로부터의 케이블을 수용하여, 단자블록 내에 삽입되어지는 잭형태의 단위회선용(1~8회선) 분리형 스플리터를 통해서 음성+데이터신호(선번측 케이블 내 전송됨)를 곧바로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신호는 DSLAM측으로 신호를 분리/연결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전송실내에 설치된 ADSL전송장비인 DSLAM(1)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부는 시험실내의 주배선반(2)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DSL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케이블배선은 종래의 배선 구조와 비교할 때 케이블단위의 음성급 라인 배선과 추가적인 기계측 단자반이 제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송실내 DSLAM(1)의 추가적인 설치공간이 확보된다. ADSL신호(음성신호+데이타신호)가 선번측 단자반(3)에서 점퍼선(6)으로 ADSL 스플리터 단자반(15) 내의 단자블럭(16)에 연결되고 ADSL 스플리터 단자반(15)의 하부에 위치한 분리형 스플리터(17)를 거치게되면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가 2개의 접속점으로 분리되며, 이때 데이터신호는 DSLAM(1) 내의 ADSL 전송셀프(13) 간의 케이블로, 음성신호는 기계측 단자반(5)에 연결된 교환기측 국내케이블(4)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ADSL 스플리터 단자반(15)의 스플리터 베이스(29)는 현재 사용중인 기계측 단자반(5)과 같은 수용회선수인 128회선이나 64회선 단위로 구성되며, 같은 크기로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다.
주배선반(2)에 장착되는 스플리터 베이스(29)의 장착부(30) 상하에는 선번측 단자반(3) 및 기계측 단자반(5) , DSLAM 전송셀프(13) 간의 점퍼선/케이블 연결 시 선번의 구분과 혼동방지를 위한 다수의 회선 가이드 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다수의 모듈화된 IDC형 단자블럭(16)이 결합된다. 단자블럭(16)의 하부에는 삽입구가 구성되어 분리형 스플리터(17)가 삽입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블럭 및 분리형 스플리터의 제 1,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스플리터 단자블럭(16)은 상부에서 선번측 단자반(3) 및 기계측 단자반(5) 간의 점퍼선 접속 도면부호(6, 18)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잭 형태의 분리형 스플리터(17)는 스플리터 단자블럭(16)의 하부에 삽입되어 스플리터 단자블럭(16) 내의 단자핀과의 접속점을 형성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는 DSLAM(1)으로 연결되는 데이터라인(13)이 상부에서 접속되는 구조이며, 도 5에 도시된 제 2실시예는 데이터라인(13)이 하부에서 접속되는 구조이다.
데이터라인(13)이 상부에서 접속할 경우는 하부에서 접속시의 작업불편 등을 피할 수 있고,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인터페이스부(20)가 작아지는 반면, 상부에서 회선 당 3개의 선이 연결되어 혼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라인(13)의 접속위치에 따라 스플리터 단자블럭(16)과 분리형 스플리터(17)의 구조가 일부 달라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데이터라인(13) 접속위치에 따라 분리형 스플리터(17)를 삽입할 경우 내부 IDC핀(21)과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인터페이스부(20)와의 접속점 형성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스플리터 베이스(29)의 상부에서 데이터라인(13)이 접속될 경우 하부에서 삽입된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인터페이스부(20) 끝단부에서 3종의 음성라인(18), ADSL라인(6), 데이터라인(13) 등에 의한 접촉점(22)(각 회선 당 2라인으로 총6개)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은 스플리터 베이스(29)의 하부에서 데이터라인(13)이 접속될 경우 하부에서 삽입된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인터페이스(20) 끝단부에서 음성라인(18), ADSL 라인(6) 등에 의한 총2종의 접촉점(23)(각 회선 당 2라인으로 총4개)을 형성하게 되고 분리형 스플리터(17)의 본체에 가까운 하부에서 데이터라인(13)에 의한 1종의 접촉점(24)(총2개)을 형성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스플리터의 내부구조 및 인터페이스부 형성 구조를 도시한 제 1,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적인 스플리터는 회선당 2단의 LPF로 구성되어 있으며 큰 PCB(PrintedCircuit Board) 위에 삽입된 회선 당 3 내지 4개의 캐퍼시터(Capacitor)와 변압기(Transformer)들과 낙뢰보호기능을 위한 과전류 흡수(Surge Absorber)소자들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형 스플리터(17)를 DSLAM(1) 장비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므로 장비보호를 위해 있는 과전류 흡수소자는 DSLAM(1) 장비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된 분리형 스플리터(17)에는 소형PCB(Printed Circuit Board:25) 위에 삽입된 3~4개의 캐퍼시터(30)와 변압기(31)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부(20)에는 외부 핀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전극처리부(26)가 되어 있으며, 본체(32) 상부에 삽입 및 이탈을 위한 손잡이(2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32) 내부에는 선로측으로부터 인입될 수 있는 이상전압전류로부터 전송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이상전압전류 차단모듈(36)을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ADSL 스플리터 단자반에 적용 가능한 시험용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ADSL같은 데이터서비스 회선에 대한 시험을 현재의 주배선반(2)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시험용 플러그(Test Plug:28)를 구성한 것이며, 삽입방향에 따라 선로측, DSLAM측, 교환측의 선로 및 전송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점(33,34,35)을 제공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리터 단자반의 디지털 단자반으로의 활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IDC핀(21)의 복원성을 극대화하여 설계하면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이탈 시나 시험 시에도 항상 유지가 필수적인 전화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지틀 단자반이라는 것은 현재 음성급(아날로그신호) 단자반으로 사용되는 것과 비교해서 앞으로는 음성급을 포함한 데이타급 디지틀신호까지 포함하여 전송하게되어 이때 사용되는 접속 절체용 단자반이라는 상대적인 의미이다.
즉, 분리형 스플리터(17)의 이탈시 IDC핀(21)의 강한 스프링 복원성으로 접촉점(29)을 형성하여 전화신호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적용에 따라 스플리터 단자반은 향후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 전송해야 하는 차세대전화국의 업무에 적합한 디지털 EN(electronic number) 단자반으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형 스플리터와 스플리터 단자반의 적용으로 고가의 층간 케이블배선 비용과 관로공사 비용 등이 절감되고, 특히 상면확보가 시급한 전송실의 상면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음성과 데이터에 대한 주배선반에서의 통합시험과 통합관리가 가능해져 대폭적인 유지관리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선로측으로부터 인입될 수 있는 이상전압전류로부터 DSLAM 등의 전송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12)

  1. 전송실의 상부는 ADSL전송장비인 DSLAM(1)이 설치되고, 하부는 주배선반 또는 연결배선반이 설치되며, 데이터 신호와 음성신호가 혼합된 DSL 라인에서 전송된 ADSL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ADSL용 스플리터 장치에 있어서,
    전화국내 또는 가입자 빌딩의 주배선반실 또는 이들 양측 사이의 가입자 선로의 연결배선반실에 설치되어 선번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과 교환기측 단자반으로부터의 점퍼선 및 DSLAM측으로부터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스플리터 베이스와;
    상기 스플리터 베이스 위에 장착되며 하부에 삽입구가 형성된 다수의 모듈화된 IDC형 스플리터 단자블럭과;
    상기 단자블록 내에 삽입되어 음성신호는 교환기측으로 데이터신호는 DSLAM측으로 신호를 분리/연결시키는 잭 형태의 단위회선용 분리형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베이스는 기계측 단자반과 같은 수용회선수인 128회선 또는 64회선 단위로 구성되며, 같은 크기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베이스의 장착부 상하에 선번의 구분과 혼동방지를 위한 다수의 회선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단자블럭 상부에서 선번측 단자반 및 기계측 단자반 간의 점퍼선 접속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스플리터는 소형 PCB 위에 설치된 다수의 캐퍼시터 및 변압기를 내장하는 본체와; 외부 핀과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전극처리부가 구비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본체 상부에 삽입 및 이탈을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이상전압전류를 차단하는 이상전압전류 차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베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데이터라인이 접속될 경우 하부에서삽입된 상기 분리형 스플리터의 인터페이스부 끝단부에서 3종의 음성라인, ADSL라인 및 데이터라인 접촉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데이터라인이 접속될 경우 하부에서 삽입된 상기 분리형 스플리터의 인터페이스 끝단부에서 음성라인, ADSL 라인 접촉점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형 스플리터의 본체에 가까운 하부에서 데이터라인 접촉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전극처리부에 내마모 및 내부식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선반 또는 연결배선반에서 데이터서비스 회선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삽입방향에 따라 선로측, DSLAM측, 교환측의 선로 및 전송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점을 제공하는 시험용 플러그를 ADSL 스플리터 단자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스플리터의 이탈 시나 시험 시에도 항상 전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플리터 단자블럭에 설치된 IDC핀이 강한 스프링 복원성으로 접촉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장치.
  12. 전송실의 상부는 ADSL전송장비인 DSLAM이 설치되고, 하부는 주배선반 또는 연결배선반이 설치되며, 데이터 신호와 음성신호가 혼합된 DSL 라인에서 전송된 ADSL신호(음성 신호+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와 데이터 신호로 각각 분리하기 위한 ADSL용 스플리터 장치의 배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ADSL신호(음성신호+데이타신호)가 선번측 단자반에서 점퍼선으로 ADSL 스플리터 단자반 내의 단자블럭에 연결되고,
    상기 ADSL 스플리터 단자반의 하부에 위치한 분리형 스플리터를 거치게 되면서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가 2개의 접속점으로 분리되며,
    상기 데이터신호는 DSLAM 내의 ADSL 전송셀프 간의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신호는 기계측 단자반에 연결된 교환기측 국내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DSL용 스플리터 배선방법.
KR10-2001-0029687A 2001-01-16 2001-05-29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52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344 2001-01-16
KR20010002344 2001-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457A KR20020061457A (ko) 2002-07-24
KR100452490B1 true KR100452490B1 (ko) 2004-10-12

Family

ID=1970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687A Expired - Lifetime KR100452490B1 (ko) 2001-01-16 2001-05-29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06321B2 (ko)
KR (1) KR100452490B1 (ko)
CN (1) CN11826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587B1 (ko) * 2002-04-26 2004-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주형 오앤유 시스템에서의 스플리터 내장형 단자반
KR100563209B1 (ko) * 2002-09-27 2006-03-21 주식회사 케이티 일체형 서지보호기 및 스플리터 장치와 일체형 단자블럭및 이를 이용한 통신배선 시스템
CN100361470C (zh) * 2004-12-30 2008-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用户线路接入中采用从框实现组播的方法
ATE555610T1 (de) 2005-12-29 2012-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elekommunikationsmodul und telekommunikations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telekommunikationsmodul
CN200983585Y (zh) * 2006-08-05 2007-11-28 广东天乐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xDSL分离器配线模块
CN100584050C (zh) * 2007-09-21 2010-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网络、配线架、通信方法以及配线架安装方法
DE102018102176A1 (de) * 2018-01-31 2019-08-01 Cobinet Fernmelde- Und Datennetzkomponenten Gmbh Splitter, Verbindungsmodul mit Splitter sowie Kabelverzweiger und Verwendung eines Splitt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32A (ko) * 1999-05-19 2000-12-15 김영환 피오티에스 스플리터 내장 에이디에스엘 모뎀
JP2001145185A (ja) * 1999-11-15 2001-05-25 Ntt Comware Corp xDSL適用光アクセスシステム
KR20010055545A (ko) * 1999-12-10 2001-07-04 송문섭 광대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에이디에스엘 시스템을이용한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 장치
KR20020038127A (ko) * 2000-11-16 2002-05-23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32A (ko) * 1999-05-19 2000-12-15 김영환 피오티에스 스플리터 내장 에이디에스엘 모뎀
JP2001145185A (ja) * 1999-11-15 2001-05-25 Ntt Comware Corp xDSL適用光アクセスシステム
KR20010055545A (ko) * 1999-12-10 2001-07-04 송문섭 광대역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에이디에스엘 시스템을이용한 데이터 및 음성 서비스 장치
KR20020038127A (ko) * 2000-11-16 2002-05-23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2695C (zh) 2004-12-29
CN1366409A (zh) 2002-08-28
JP3706321B2 (ja) 2005-10-12
KR20020061457A (ko) 2002-07-24
JP2002232922A (ja) 200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2484B1 (en)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US6371780B1 (en) RJ jack with switch
US6358093B1 (en) Normal through jack and method
US6298037B1 (en) Network data filtering
WO2007092111A2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WO2010098957A1 (en) Communications patching devices that include integrated electronic static discharge circuits and related methods
RU2325785C2 (ru) Системы фильтров для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аппаратуры
MX2010006414A (es) Interfase de demarcacion xdsl universal con capacidad multi-funcional y mejora en desempeño de señal.
KR100452490B1 (ko)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CA2256924A1 (en) Xdsl splitter line module for network interface device
US6738474B1 (en) System for providing pots splitters externally with respect to digital subscriber loop access multiplexers and remote terminal and central office equipment racks
JP4184978B2 (ja) 測定装置および電気通信アセンブリ
US7830669B2 (en) Contact bank
US6831930B1 (en) Access panel for network end linesharing ADSL/POTS splitter applications
US5991140A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re-arranging circuitry to realize a communications service
KR100455660B1 (ko) xDSL용 삽입형 스플리터
CN101065978B (zh) 电信模块,电信模块和至少一个分离器电路的组合,以及至少两个电信模块的组件
RU2444858C2 (ru)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м узле в области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и сборочные узлы, а также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934877B (zh) 电信领域中的模块配置
JP4488602B2 (ja) Dslスプリッターユニット
US707605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bridge tap moderator
CN2653823Y (zh) 一种宽窄带内线接线排模块
US8159958B1 (en) Krone block dongle
KR200331159Y1 (ko) 더미 스플리터를 갖는 아이디씨 단자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1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