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1495B1 -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495B1
KR100451495B1 KR10-1998-0054613A KR19980054613A KR100451495B1 KR 100451495 B1 KR100451495 B1 KR 100451495B1 KR 19980054613 A KR19980054613 A KR 19980054613A KR 100451495 B1 KR100451495 B1 KR 10045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voltage
switching element
voltage
semiconductor integ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305A (ko
Inventor
전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5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4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4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 1 전원전압 단자와 제 2 전원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된 신호출력단과, 제 1 동작전압단자와 제 1 전원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제 1 활성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2 동작전압 단자와 제 2 전원전압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활성화 신호와 반대의 위상을 갖는 제 2 활성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스위칭 소자와, 제 1 스위칭 소자가 활성화될 때 제 1 동작전압과 제 4 동작전압 중 하나를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제 2 스위칭 소자가 활성화될 때 제 2 동작전압과 제 4 동작전압 중 하나는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회로가 대기 상태일 때는 서브 드레숄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가 활성화 상태일 때는 빠른 동작 속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본 발명은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standby) 상태에서의 전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고속 동작이 가능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의 동작 속도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 즉, 동작 전압으로부터 문턱전압을 뺀 값에 의해 결정되며, 이 값이 클수록 동작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회로 설계 시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낮게 설계하여 빠른 동작속도를 얻어낸다.
그러나,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낮추면, 모스 트랜지스터의 서브드레숄드 (subthreshold) 특성에 의해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회로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의 소비 전력은 이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에 의해 결정되며, 누설 전류의 증가는 반도체 소자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도 1은 서브드레숄드 전류를 감소시켜 저전력 소비를 실현하기 위한 종래의 반도체 집적회로이다.
도 1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부호 30은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누설전류가 흐르는 임의의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엔모스 트랜지스터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시모스 인버터가 다수 개 병렬 연결된 인버터 체인을 이루고 있다. 피모스 트랜지스터 10은 전원전압 VCC와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전원전압단 VCC-L 사이에 연결되며 액티브 바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은 접지전압 VSS와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접지전압단 VSS-L 사이에 연결되며 액티브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된다.
저항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 10과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은 전원전압 VCC, VSS에 대하여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전원전압단 VCC-L, VSS-L의 전압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모스 트랜지스터 10과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은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을구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 보다 높은 문턱전압을 갖도록 설계된 것이다.
도 1의 구성에 따른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액티브 신호 ACT가 하이 레벨이고 액티브 바 신호 /ACT가 로우 레벨일 때, 피모스 트랜지스터 10은 게이트를 통해 로우 레벨의 액티브 바 신호 /ACT를 입력받아 턴온 된다. 그리고,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은 게이트를 통해 하이 레벨의 액티브 신호 ACT를 입력받아 턴온된다. 따라서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전원전압단 VCC-L, VSS-L은 전원전압 VCC, VSS와 각각 동일한 전압 레벨을 갖게 되며, 회로가 활성화 상태가 되어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액티브 신호 ACT가 로우 레벨이고, 액티브 바 신호 /ACT가 하이 레벨이면, 피모스 트랜지스터 10과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이 모두 턴 오프 되어, 회로가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써,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전원전압단 VCC-L, VSS-L이 전원전압 VCC, VSS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을 통해 흐르는 서브드레숄드 누설전류가 억제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반도체 집적회로는 대기상태에서의 서브드레숄드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높은 문턱전압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10과 20을 각각 VCC와 VCC-L 및 VSS와 VSS-L 사이에 연결하였다. 그러나, 회로가 활성화 상태가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 10, 20의 높은 문턱전압 때문에 동작속도가 감소한다.
즉, 회로가 대기 상태가 되면 VCC-L 및 VSS-L의 전압 레벨 변동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며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논리값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다.그러나 대기 상태와 활성화 상태 사이에서 전환이 이루어질 때와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논리 값이 변화할 때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10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 20의 높은 문턱전압 때문에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의 동작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저 소비전력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로의 전류 구동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빠른 동작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액티브 신호 및 액티브 바 신호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MP1~MP4 : 피모스 트랜지스터
20, 200 : 엔모스 트랜지스터
30, 300 : 시모스 인버터 체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는 복수개의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신호출력 수단; 상기 반도체 직접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제 3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칭 소자; 상기 제 1 제어신호의 반전 신호인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 2 전원전압과 제 4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칭 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전원전압과 제 5 전원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1 제어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4 전원전압과 제 6 전원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신호출력 수단은 동일한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반도체 회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300은 도 1의 도면부호 30과 동일한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엔모스 트랜지스터가 직렬 연결된 시모스 인버터가 다수 개 병렬 연결되어 인버터 체인을 이루고 있다.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의 전원전압단 VCC-L과 전원전압 VCC 사이에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을 구성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게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이 연결되고, 액티브 바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의 접지전압단 VSS-L과 접지전압 VSS 사이에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을 구성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게 낮은 문턱전압을 갖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이 연결되고, 액티브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의 기판단자에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의 기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110이 연결된다. 제어수단 110은 두 개의 피모스 트랜지스터 MP1과 MP2로 구성되며, 이 두 트랜지스터의 각 드레인이 공통으로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의 기판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피모스 트랜지스터 MP1은 소스를 통해 전원전압 VCC와 연결되고 게이트를 통해 액티브 바 신호 /ACT의 제어를 받는다. 피모스 트랜지스터 MP2는 소스를 통해 승압전압 VPP와 연결되고 액티브 신호 ACT의 제어를 받는다.
승압전압 VPP는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손실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VPP = VCC + Vt를 만족한다. 예를들어, 16M급 트랜지스터의 경우 문턱전압 Vt는 0.5±0.2V(최대 0.7V) 정도이므로 외부전원전압 VCC가 5V일 때, 승압전압 VPP는 최대 5.7V 정도가 된다. 즉, 승압전압 VPP는 외부전원전압 VCC보다 높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의 기판단자에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의 기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210이 연결된다. 제어수단 210은 두 개의 피모스 트랜지스터 MP3와 MP4로 구성되며, 이 두 트랜지스터의 각 소스가 공통으로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의 기판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피모스 트랜지스터 MP3는 드레인을 통해 접지전압 VSS와 연결되고 게이트를 통해 액티브 바 신호 /ACT의 제어를 받는다. 피모스 트랜지스터 MP4는 드레인을 통해 기판전압 VBB와 연결되고 액티브 신호 ACT의 제어를 받는다. 기판전압 VBB는 접지전압 VSS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대기전류 감소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액티브 신호 ACT가 하이 레벨이고, 액티브 바 신호 /ACT가 로우 레벨일 때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과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이 모두 턴온되어 회로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액티브 바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MP1과MP3는 턴온되고, 액티브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MP2와 MP4는 턴오프 된다. 따라서, 스위칭 트랜지스터 100과 200의 기판 단자는 각각 전원전압 VCC 및 접지전압 VSS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100과 200의 유효 문턱전압이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과 동일하게 낮은 값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빠른 동작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액티브 신호 ACT가 로우 레벨이 되고, 액티브 바 신호 /ACT가 하이 레벨일 때 피모스 트랜지스터 100과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이 모두 턴오프되어 회로가 대기상태로 된다. 그리고, 액티브 바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MP1과 MP3는 턴오프되고, 액티브 신호 ACT에 의해 제어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MP2와 MP4는 턴온된다. 따라서, 스위칭 트랜지스터 100과 200의 기판 단자는 각각 승압전압 VPP 및 기판전압 VBB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100과 200의 유효 문턱전압이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의 문턱전압보다 높게 유지되고, 이로써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 300을 통해 흐르는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엔모스 트랜지스터 200의 기판전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피모스 트랜지스터 MP3, MP4로 구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액티브 신호 ACT 및 액티브 바 신호 /ACT의 전압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 신호 ACT와 액티브 바 신호 /ACT는기판전압 VBB 레벨에서 승압전압 VPP 레벨까지 천이 하는 신호이어야 하며, 이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100과 200의 각 기판단자에 승압전압 VPP 및 기판전압 VBB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기판 단자가 승압전압 및 기판전압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서브드레숄드 누설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가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때 및 활성화 상태일 때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의 문턱전압과 동일하게 낮은 값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모스 트랜지스터 회로의 전류 구동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빠른 동작 속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복수개의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신호출력 수단;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제 3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칭 소자;
    상기 제 1 제어신호의 반전 신호인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 2 전원전압과 제 4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칭 소자;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3 전원전압과 제 5 전원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1 제어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 4 전원전압과 제 6 전원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로 공급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신호출력 수단은 동일한 문턱전압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2.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 3 전원전압과 상기 제 1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1 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하며 상기 제 5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2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 3 전원전압을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에 공급하고,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가 비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 5 전원전압을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3. 상기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상기 제 5 전원전압보다 전압 레벨이 낮은 것이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4.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상기 제 4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3 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상기 제 6 전원전압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 4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 4 전원전압을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에 공급하고,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가 비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 6 전원전압을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기판단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5. 상기 1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전원전압은 상기 제 6 전원전압보다 전압 레벨이 높은 것이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6.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화 신호와 상기 제 2 활성화 신호는 각각 상기 제 5 전원전압 레벨과 상기 제 6 전원전압 레벨 사이의 범위를 갖는 것이 특징인 대기전류 감소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1998-0054613A 1998-12-12 1998-12-12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13A KR100451495B1 (ko) 1998-12-12 1998-12-12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13A KR100451495B1 (ko) 1998-12-12 1998-12-12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305A KR20000039305A (ko) 2000-07-05
KR100451495B1 true KR100451495B1 (ko) 2004-12-31

Family

ID=1956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6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1495B1 (ko) 1998-12-12 1998-12-12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4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601A (en) * 1991-11-08 1993-12-28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 stand-by current reducing circuit
KR960043149A (ko) * 1995-05-19 1996-12-23 김주용 대기상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장치
JPH09321259A (ja) * 1996-05-30 1997-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0190444A (ja) * 1996-12-27 1998-07-21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5821769A (en) * 1995-04-21 1998-10-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Low voltage CMOS logic circuit with threshold voltage contro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4601A (en) * 1991-11-08 1993-12-28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 stand-by current reducing circuit
US5821769A (en) * 1995-04-21 1998-10-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Low voltage CMOS logic circuit with threshold voltage control
KR960043149A (ko) * 1995-05-19 1996-12-23 김주용 대기상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장치
JPH09321259A (ja) * 1996-05-30 1997-1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0190444A (ja) * 1996-12-27 1998-07-21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305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3744B2 (en) Low-leakage integrated circuits and dynamic logic circuits
KR100228951B1 (ko) 보디전압 제어형 반도체 집적회로
JP318426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940001251B1 (ko) 전압 제어회로
US7042245B2 (en) Low power consumption MIS semiconductor device
US683375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20070121358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GB2297182A (en) Voltage driving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a semiconductor circuit
JP5211889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6259299B1 (en) CMOS level shift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s
KR100421610B1 (ko) 저전압 동적로직의 전력소모 억제회로
WO2004044916A2 (en) Low standby power sram
US5786723A (en) Voltage switching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476641B2 (en) Low power consuming circuit
KR100451495B1 (ko) 대기전류감소회로를갖는반도체집적회로
US6774665B2 (en) Cascode SSTL output buffer using source followers
KR19990081305A (ko) 기준 전압 발생회로
JP4062405B2 (ja) 電源電圧レベル検出器
KR100587087B1 (ko) 반도체 장치용 내부전압 발생기
KR100282437B1 (ko) 내부전압 발생장치
GB2334391A (en) CMOS standby current reduction
JP2006295322A (ja) レベルシフタ回路
JP2000194432A (ja) Cmosロジック用電源回路
JP3602216B2 (ja) 半導体装置
KR930008658B1 (ko) 전압레벨 검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9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