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0817B1 -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 Google Patents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817B1
KR100450817B1 KR10-2002-0012158A KR20020012158A KR100450817B1 KR 100450817 B1 KR100450817 B1 KR 100450817B1 KR 20020012158 A KR20020012158 A KR 20020012158A KR 100450817 B1 KR100450817 B1 KR 10045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quality control
spot
dna chip
fluores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883A (ko
Inventor
조준형
허남
심저영
김경희
박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817B1/ko
Priority to US10/262,401 priority patent/US20030170672A1/en
Priority to EP02023726A priority patent/EP1356860A3/en
Priority to CNB021471991A priority patent/CN1222624C/zh
Priority to JP2003047159A priority patent/JP3872762B2/ja
Publication of KR2003007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8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을 형광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후 스팟팅함으로써 DNA칩을 제조하여 그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을 포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DNA 마이크어레이의 품질관리방법에 따르면 DNA칩의 DNA 스팟에서 DNA 프로브와 함께 DNA칩 고체기판에 공유결합으로 부착시킨 형광물질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DNA칩의 마이크로에레이의 품질관리를 하므로, 기존의 DNA 스팟을 염색하는 방법에 의한 품질관리방법에 비하여 염색 및 탈색의 조작을 거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Quality control method of DNA microarray spots}
본 발명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을 형광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후 스팟팅함으로써 DNA칩을 제조하고, 그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을 포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NA 마이크로어레이란 실리콘, 표면개질유리,폴리프로필렌, 활성화 폴리아크릴아미드와 같은 고체 표면에 염기서열이 알려진 작게는 수 개, 크게는 수백 개의 염기 크기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로브(probe)를 수백 내지 수십만 개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시켜 미세집적(microarray)시킨 것을 통칭한다. 이러한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해 DNA칩에 분석하고자 하는 표적 DNA(target DNA)를 결합시키면, DNA칩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브들과 표적 DNA 단편상의 염기서열의 상보적인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혼성화 결합(hybridization)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광학적인 방법 또는 방사능 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 해석함으로써 표적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sequencing by hybridization; SBH).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DNA칩은 DNA 분석 시스템의 소형화를 이루어 극미량의 시료만으로도 유전자 분석이 가능하며 표적 DNA 상의 여러 군데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규명할 수 있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DNA칩은 방대한양의 유전 정보를 단시간 내에 동시에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자간의 상호 연관성까지 규정할 수 있게 되어 앞으로는 유전병 및 암의 진단, 돌연변이의 탐색, 병원균의 검출, 유전자 발현 분석 및 신약 개발 등 폭넓은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으리라고 예상된다. 또한, 미생물이나 환경오염의 감지기로 이용하여, 해독물질에 대한 유전자를 찾아내어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해독물질을 대량 생산하거나 의약용 농작물, 저지방 함유 육류의 생산에도 응용할 수 있는 등 거의 대부분의 생물관련 산업에 이용되어 혁명적인 발전을 가져다 줄 수 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사용된 프로브의 종류에 따라 올리고칩(oligo chip)과 cDNA 칩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제작된 방법에 따라 포토리쏘그래피 칩과 핀 방식의 스폿팅 칩(spotting chip), 잉크젯 방식의 스폿팅 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마이크로어레이의 제작 방법은 고정화되는 프로브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고 복잡한 화학적인 과정을 거친다. 유리표면의 작은 면적에 극소량의 DNA probe가 고정화 되기 때문에 부착된 프로브간의 정량적 변동(spot to spot variation)과 칩간의 변동(chip to chip variation)에 의해 상당한 오차가 발생되어 혼성화를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가 일관성이 없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성화 결합(hybridization)에 들어가기 전에 DNA chip을 품질관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스탠포드 대학의 Brown 등은 유리표면에 스팟팅 되는 DNA 프로브와 함께 존재하는 염에 의해 광선이 산란되는 것을 레이저 스캐너에 의하여 포착하여 DNA 프로브 스팟팅의 균일성과 유리 표면의 손상의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스팟팅 직후에만 간단하게 DNA 스팟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반면에 다음 작업인 고정화와 세척 이후에는 DNA 스팟에 존재하는 염이 제거되므로 DNA 칩 제작이 끝난 후의 DNA 스팟의 질(quality)을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DNA 프로브에 결합할 수 있는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유리 표면 위의 DNA 스팟을 염색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Battaglia C, Salani G, Consolandi C, Rossi Bernardi L, De Bellis G. Analysis of DNA Microarrays by Non-Destructive Fluorescent Staining Using SYBR Green II, Biotechniques. 2000 Jul; 29:78-81). 이것은 단일가닥 DNA(ssDNA)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는 형광물질인 SYBR Green II를 DNA 칩에 처리하여 유리 표면에 부착된 DNA 프로브를 레이저 스캐너에 의하여 감지하는 방법이다. DNA probe에 결합된 형광물질은 세척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상기한 Brown 등이 개발한 방법에 비하여 DNA칩의 제작이 끝난 후에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검사를 위하여 염색과 탈색의 조작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여러차례 세척하는 작업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세척 후에도 유리표면에 남을 수 있는 형광물질이 혼성화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을 형광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후 스팟팅함으로써 DNA칩을 제조하여 그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을 포착함으로써 품질관리를 하는 경우, 염색 및 탈색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DNA 스팟의 질(quality)과 크기를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염색 및 탈색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DNA 스팟의 질(quality)과 크기를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검사할 수 있는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스팟팅 용액을 제조 시 부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핵산 프로브의 DNA칩 고체기판에 결합 시 동시에 부착되는 형광물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는 실시예 1에서 스팟팅 용액을 제조 시 부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핵산 프로브의 DNA칩 고체기판에 결합 시 동시에 부착되는 형광물질로서 사용한 4'-(아미노메틸)플루오레세인의 구조식이다.
도 2b은 실시예 2에서 스팟팅 용액을 제조 시 부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핵산 프로브의 DNA칩 고체기판에 결합 시 동시에 부착되는 형광물질로서 사용한 FITC의 구조식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부착시킨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이 표적핵산과 혼성화하기 전의 스캐닝 결과(품질관리 과정, QC Test) 및 표적핵산에 의한 혼성화 후의 스캐닝 결과(Use Test)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 cDNA를 부착시킨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이 표적핵산과 혼성화하기 전의 스캐닝 결과(품질관리 과정, QC Test) 및 표적핵산에 의한 혼성화 후의 스캐닝 결과(Use Test)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을 제조 시 형광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후 스팟팅함으로써 DNA칩을 제조하여 그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을 포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NA칩 기판에 DNA를 스팟팅 한 이후에 형광물질을 부착시켜 DNA칩의 품질을 관리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의 제조 시 형광물질을 함께 부가하여 제조함으로써 DNA 프로브가 DNA칩 기판에 부착할 때 형광물질을 함께 기판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고정화시켜서, DNA칩을 제조한 뒤 스팟에서 발생하는 형광을 스캐닝 하여 DNA 스팟의 균일여부를 비파괴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의 균일 정도는 스팟의 직경 또는 형광의 강도(intensity), 스팟의 모양 등으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형광물질은 형광신호를 내는 형광그룹(dye group)과고체 기판과 공유결합을 만드는 관능기(functional group)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스팟팅 용액의 제조시 부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핵산 프로브가 DNA칩 고체기판에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부착되는 형광물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형광신호를 내는 형광그룹은 DNA칩 제조 후의 혼성화에 이용되는 표적 DNA의 라벨링에 쓰이는 형광물질군과 형광 파장에서 서로 간섭이 없는 것으로 FITC, 플루오레세인, Cy3, Cy5, 또는 텍사스레드 등의 형광 그룹이 이용된다.
고체 기판과 공유결합을 하는 관능기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유형에 따라서 아민, 알데하이드, 폴리-라이신과 같은 고체 기판표면의 관능기와 공유결합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아민, 아이소사이오사이네이트(isothiocyanate), 활성화 에스테르(activated ester)등의 관능기가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DNA칩의 DNA 스팟을 품질관리 하는 방법은 형광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컨대 형광그룹이 FITC 또는 플루오레세인인 경우 아르곤 이온 레이저에 의해 488nm 파장에서 여기시키고 520nm 파장의 필터를 이용하여 얻는 방출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DNA 칩 제조 시 DNA 프로브와 함께 부착한 형광물질이, 이후에 DNA 칩을 형광표지의 표적물질과 혼성화 한 이후에 생성되는 형광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지 여부가 문제가 된다. 그리하여 하기의 실시예 1, 2 각각의 경우에 DNA 칩 제조 시 DNA 프로브와 함께 부착한 형광물질이 차후 혼성화 한 이후의 형광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거의 영향을 미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품질관리방법은 DNA 마이크로어레이뿐만 아니라 RNA 마이크로어레이 및 단백질칩과 같은 다른 유형의 마이크로어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부착시킨 DNA칩과 cDNA를 부착시킨 DNA칩 각각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스팟의 품질관리방법에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품질관리방법이 유용한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시예 1〕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부착시킨 DNA칩의 스팟 품질관리
A. 겔 매트릭스를 이용한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칩의 제작
두 가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PM(perfect match) : 5'-TGTAGACACGCACCTCCGTG-3', MM(mismatch) : 5'-TGTAGACACCCACCTCCGTG-3')와 형광물질인 4'-(아미노메틸)플루오레세인을, 겔 매트릭스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37℃에서 14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매트릭스-DNA 콘쥬게이트를 제조한 다음, 이를 스폿팅 용액으로 사용하였다(참조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53687호). 상기 스폿팅 용액을 아민기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유리 표면 위에스폿팅한 후 4시간 동안 37℃의 습식 챔버(wet chamber)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배경 노이즈의 제어(background control)에 필요한 공정, 즉 표적핵산이 유리표면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폿팅 되지 않는 위치의 유리표면의 아민기가 음전하를 띄도록 반응을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5g의 석시닉안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를 315ml 1-methyl-2-pyrrolidinone(NMP)에 녹인 다음 35ml Sodium borate를 첨가하고 교반된 용액을 15분동안 유리에 처리한 뒤에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사용한 형광물질인 4'-(아미노메틸)플루오레세인의 구조식은 도 2a와 같다.
B. Cy3의 형광에 의한 혼성의 민감도 측정
상기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혼성화된 형광표지 표적물질에 의해 방사된 형광 시그널을 스켄어레이 스캐너(ScanArray Scanner)를 사용하여 레졸루션 10㎛ 픽셀(pixel)로 검출하였고(GSI Lunonics), 프로브 어레이 세포 강도, 뉴클레오티드 염기-콜(base-call), 서열 측정 및 리포트를 진 픽스 칩 소프트웨어(GenePix software)상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에 의해 생성시켰다(엑손).
상기의 방법으로 수행한 겔 매트릭스를 이용한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표적핵산과 혼성화하기 전의 DNA칩 제조 후의 스캐닝 결과(품질관리 과정, QC Test) 및 표적핵산에 의한 혼성화 후의 스캐닝 결과(Use Test)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DNA 스팟의 QC Test의 스캐닝은 아르곤-이온 레이저에 의하여488nm 파장에서 여기시키고 520nm 파장의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신호를 얻은 것이고 Use test의 스캐닝은 550nm 파장에서 여기시키고 570nm 파장의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신호를 얻은 것이다. Use test에서 사용된 표적 핵산은 HNF-1α유전자 엑손 4구간의 codon263에 해당하는 뉴클레오티드 C(cytosine) 베이스를 중앙에 위치하고 5' 말단에 Cy3가 붙은 20 뉴클레오티드 시퀀스이다(5'-Cy3-CACGGAGGTGCGTGTCTACA-3').
도 3에서 보여진 DNA 스팟은 완전 매치(perfect match)에 해당하는 probe와 미스 매치(mismatch)에 해당하는 probe를 각각 아홉 스팟씩 스폿팅하였고 스폿 크기(spot size)는 170±15㎛ 이고, 스폿간의 간격은 375 ㎛로 조절하였다.
C. 결과
표 1에서 보듯이,Use test에서 4'-(아미노메틸)플루오레세인과 함께 고정화된 스팟의 강도(intensity)는 dye가 없는 spots의 강도와 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4'-아미노메틸 플루오레세인의 dye가 표적 핵산에 의한 혼성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겔 매트릭스를 이용한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QC 테스트와 use 테스트에서의 스팟 직경 및 강도
4'-(아미노메틸)플루오레세인 QC Test Use Test
PM MM PM MM
0μM 538 458 36034 18438
1μM 770 699 35153 17545
2μM 1306 1178 34765 18661
〔실시예 2〕
cDNA칩의 스팟 품질관리
A.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한 probe로 사용할 유전자 증폭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GAPDH)를 생산하는 재조합 유전자를 DNA 핵산추출 키트(QAIGEN)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재조합 유전자를 이용하여 다량의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GAPDH) 유전자만을 증폭하기 위해서, 모든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다음과 같이 100㎕로 수행하였다.
순수한 재조합 GAPDH DNA 50ng, 열안정성 DNA 폴리머라제;2.5U, 200μM dNTP:(dATP, dTTP, dGTP, dCTP), 50mM Tris-HCl, 40mM KCl, 1.5mM MgCl2, 100pmol의 센스 프라이머(5'-CTGGTAAGTTTAGTCTTTTTGTC-3')와 100pmol의 안티센스 프라이머(5'-CAGTGCCAAGCTTGCATGCCT-3')를 이용하였다. 모든 PCR조건은 94℃ 변성(denaturation)을 30초; 55℃ 어닐링(annealing)을 60초; 72℃에서의 신장(extension)을 90초로 하는 것을 1주기로 하여 35회 반복 시행하였고, 예비변성(Pre-denaturation)과 최종 신장(Last-extension)은 각각 94℃에서 5분, 72℃에서 5분간 수행하였다. 이때 합성된 앰플리콘은 DNA 핵산 추출 키트(QAIGEN)을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였으며, 글래스 기판 위에 찍을 프로브로 사용하였다.
B. 증폭된 GAPDH 유전자의 스팟팅 : cDNA 마이크로어레이의 제작
두개의 튜브 각각에서 상기 증폭된 유전자의 최종 농도가 0.25mg/ml이 되도록 50% DMSO에 섞어주며, 한 튜브에는 FITC dye를 섞어 최종농도가 8μM이 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튜브를 볼텍싱하여 상기에서 증폭된 유전자와 DMSO, 및 FITC dye가 골고루 잘 섞이도록 하였다. 이후 잘 섞어진 시약을 384 웰 플레이트로 옮겨 담아 스팟팅을 준비하였다. 상기 스팟팅 용액을 아민기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유리 표면 위에 20x4의 배열로 스팟팅한 후, 4시간 동안 80 ℃에서 열을 가하였다. 배경 노이즈의 제어(background control)에 필요한 공정, 즉 표적 핵산이 유리 표면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팟팅되지 않은 위치의 유리 표면 아민기가 음전하를 띄도록 반응을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5g의 석시닉안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를 315ml 1-메틸-2-피롤리디논(NMP)에 녹인 다음 35ml Sodium borate를 첨가하고 교반된 용액을 15분 동안 유리에 처리한 뒤에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기에 보관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사용한 형광물질인 FITC의 구조식은 도 2b와 같다.
C.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한 형광 표지 표적물질의 제조
형광 표지 표적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서 DNA 핵산추출키트를 이용하여 분리한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GAPDH) 생산 재조합 유전자를 이용하였으며, 분리된 재조합 유전자를 이용하여 다량의 글리세르알데히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GAPDH) 유전자만을 증폭하기 위해서 모든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다음과 같이 50㎕로 수행하였다.
순수한 재조합 GAPDH DNA 50ng, 열안정성 DNA 폴리머라제;2.5U, 200μM dNTP:(dATP, dGTP, dCTP), 65μM dTTP, 130μM Cy3-dUTP, 50mM Tris-HCl, pH8.3의40mM KCl, 1.5mM MgCl2, 100pmol의 센스 프라이머(5'-CTGGTAAGTTTAGTCTTTTTGTC-3')와 100pmol의 안티센스 프라이머(5'-CAGTGCCAAGCTTGCATGCCT-3')를 이용하였다. 모든 PCR조건은 상기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합성된 앰플리콘은 겔 익스트랙션 추출 키트(QAIGEN)을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하였다. 정제된 GAPDH DNA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고, 혼성실험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농도를 50ng/㎕로 일정하게 조절하였다. 형광 표지의 표적DNA는 GAPDH 유전자를 상기 PCR 반응동안 Cy3-dUTP를 첨가하여 Cy3-라벨링된 것으로서 600 bp로 구성되어 있다.
D. cDNA 마이크로어레이와 형광표지 표적물질의 혼성화
혼성화 반응을 위해 상기에서 제조한 cDNA칩을 4XSSC, 0.1% SDS, 10mg/ml BSA 용액을 이용하여 50℃에서 45분간 미리 혼성화 시키며, 이소프라판올과 순수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상기 DNA 칩을 원심 분리기에 넣고 5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에서 제조한 형광표지 표적 DNA 1㎍을 이용하여 95℃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3분간 얼음에 방치한 다음 3XSSC, 0.1% SDS, 0.5mg/ml 이스트 tRNA, 30㎍/ml 헤링스펌(herring sperm) DNA와 혼합하여 상기 칩에 떨어뜨렸다.  이후 커버 글래스를 덮어 용액이 잘 퍼지도록 한 후 50℃에서 하룻밤 혼성화 시켰다. 슬라이드는  0.1XSSC(1.5mM sodium citrate, 15mM NaCl, pH 7.0), 0.1% SDS용액으로 5분간 1회,0.1XSSC으로 5분간 25℃에서 2회 세척하였다.위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물기를제거하였다.
E. Cy3의 형광에 의한 혼성의 민감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혼성의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행한 c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표적핵산과 혼성화하기 전의 DNA칩 제조 후의 스캐닝 결과(품질관리 과정, QC Test) 및 표적핵산에 의한 혼성화 후의 스캐닝 결과(Use Test)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QC Test의 스캐닝은 아르곤-이온 레이저에 의하여 488nm 파장에서 여기시키고 520nm 파장의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신호를 얻은 것이고 Use test의 스캐닝은 550nm 파장에서 여기시키고 570nm 파장의 필터를 이용하여 방출신호를 얻은 것이다.
도 4에서 보여진 DNA 스팟은 80 스팟씩 스팟팅한 것이며 스팟의 크기(spot size)는 170±15 μM 으로 하였고, 스팟 간의 간격은 375 μM로 조절하였다.
F. 실험결과
상기 도 4의 실험결과를 정리하여 하기의 표 2에 형광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형광물질로서 FITC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형광강도를 나타내었다.
표 2에서 보듯이,Use test에서 FITC와 함께 고정화된 스팟의 강도는 dye가 없는 스팟의 강도와 크게 값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FITC dye가 표적 핵산에 의한 혼성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GAPDH의 PCR 산물을 이용한 c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QC test와 use test의 형광강도 결과
QC Test Use Test
스팟직경 강도 스팟직경 강도
DNA 프로브 - - 148 9359
DNA 프로브+ FITC 165 18905 150 985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NA 마이크어레이의 품질관리방법에 따르면 DNA칩의 DNA 스팟에서 DNA 프로브와 함께 DNA칩 고체기판에 공유결합으로 부착시킨 형광물질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DNA칩의 마이크로에레이의 품질관리를 하므로, 기존의 염색하는 방법에 의한 품질관리방법에 비하여 염색 및 탈색의 조작을 거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의 실험결과로도 알 수 있듯이 DNA 프로브와 함께 DNA칩 고체기판에 공유결합시킨 형광물질이 이후 DNA칩의 형광표시 표적물질과의 혼성화 후에 측정하는 형광광도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음으로써 형광물질이 혼성화에 영향을 끼칠 위험이 있는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므로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된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어떠한 염색의 단계 없이 정확하게 품질관리를 할 수 있으며, 그렇게 제조된 DNA칩은 이후의 혼성화 등의 사용에 있어 안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품질관리방법과는 달리 형광물질이 DNA 프로브와 함께 유리표면의 반응기와 공유결합을 하므로 DNA 프로브의 시퀀스와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의 형광신호가 나오므로 정확한 DNA 스팟의 상대적인 비교분석이 가능하다.

Claims (5)

  1. DNA칩 기판에 부착시킬 DNA 스팟팅 용액에,혼성화후 검출(detection)에 사용되는 형광물질의 여기/방출 파장과는 상호 간섭(spectral interference)이 없는 특정 파장에서 여기/방출(excitation/emission)되는 형광물질을 부가한 다음,기판에 스팟팅함으로써 DNA칩을 제조하여,그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을 포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의 균일 정도로부터 DNA칩의 품질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으로부터 발생되는 형광 시그널의 균일 정도는 스팟의 직경, 모양 또는 형광의 강도로부터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NA칩의 품질관리방법.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물질은 FITC, 플루오레세인, Cy3, Cy5,텍사스레드 또는 탐라(Tam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품질관리방법.
KR10-2002-0012158A 2002-03-07 2002-03-07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58A KR100450817B1 (ko) 2002-03-07 2002-03-07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US10/262,401 US20030170672A1 (en) 2002-03-07 2002-09-30 Quality control method of DNA microarray
EP02023726A EP1356860A3 (en) 2002-03-07 2002-10-23 Quality control method of DNA microarray
CNB021471991A CN1222624C (zh) 2002-03-07 2002-10-25 Dna芯片的质量控制方法
JP2003047159A JP3872762B2 (ja) 2002-03-07 2003-02-25 Dnaチップの品質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58A KR100450817B1 (ko) 2002-03-07 2002-03-07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883A KR20030072883A (ko) 2003-09-19
KR100450817B1 true KR100450817B1 (ko) 2004-10-01

Family

ID=2778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817B1 (ko) 2002-03-07 2002-03-07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70672A1 (ko)
EP (1) EP1356860A3 (ko)
JP (1) JP3872762B2 (ko)
KR (1) KR100450817B1 (ko)
CN (1) CN122262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5894A (zh) * 2013-11-07 2014-02-12 南京祥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生物芯片的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082B1 (en) * 2002-12-12 2008-05-06 Tung-Lian Huang Formulation of spotting solution to achieve uniform spot size and morphology and for nondestructive quality control of assay articles
AU2003289617A1 (en) * 2003-03-13 2004-09-30 Chengdu Kuachang Medical Industrial Limited A chip matrix, a chip comprising the matrix and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DE10361137A1 (de) * 2003-12-23 2005-07-28 Alopex Gmbh Mikroarray, Kit und Verfahren zum Validieren und/oder Kalibrieren eines Systems von Hybridisierungsexperimenten
EP1721001A4 (en) * 2004-02-04 2007-08-29 Park Hee Kyung QUALITY CONTROL CONNECTORS COMPRISING MICROARRA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4789518B2 (ja) * 2005-06-30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製造条件付きプローブ固定担体を用いた標的物質の検出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装置、キット及びシステム
JP4538746B2 (ja) * 2005-09-21 2010-09-08 横河電機株式会社 バイオチップおよび分析装置
JP4955244B2 (ja) * 2005-09-27 2012-06-20 横河電機株式会社 バイオチップ読み取り装置およびバイオチップ読み取り方法
US8014958B2 (en) * 2005-10-28 2011-09-06 Mitsubishi Rayon Co., Ltd. Method for confirming positions on which probes are immobilized in nucleic acid array
DE102006027517A1 (de) * 2006-06-09 2007-12-13 Euroimmun Medizinische Labordiagnostika Ag Verfahren zur Erzeugung perfekter Macro- und Microarrays durch Kombinieren vorselektierter beschichteter Festphasen-Fragmente
KR100832742B1 (ko) * 2007-02-28 2008-05-27 한국화학연구원 형광 링커를 포함하는 pna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pna 마이크로어레이의 제조방법 및 품질관리방법
KR20100086827A (ko) 2009-01-23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브 핵산의 서열을 분석하는 방법, 그를 위한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및 프로브 핵산의 합성 효율을 결정하는 방법
CN103543274B (zh) * 2013-11-07 2015-09-09 南京祥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的生物芯片
CN103983793A (zh) * 2014-05-29 2014-08-13 上海理工大学 一种含丽春红的蛋白质芯片点样缓冲液及其制备方法
CN104561292A (zh) * 2014-12-30 2015-04-29 东南大学 一种基于温度差异性探针基因芯片检测方法
CN104561290A (zh) * 2014-12-30 2015-04-29 东南大学 一种基于混合探针基因芯片检测方法
GB2594813A (en) * 2019-01-09 2021-11-10 Hitachi High Tech Corp Substrate for nucleic acid analysis, flow cell for nucleic acid analysis, and image analysis method
CN111458494B (zh) * 2020-03-31 2024-07-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免疫芯片的质量检测方法
WO2024138666A1 (zh) * 2022-12-30 2024-07-04 深圳华大生命科学研究院 时空组定位芯片的质量检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862B1 (en) * 1995-09-18 2001-05-29 Affymetrix, Inc. Methods for testing oligonucleotide arrays
KR20030011152A (ko) * 2001-06-28 2003-02-07 (주)바이오니아 생화학 물질 미세 배열 칩의 품질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197A (en) * 1994-11-14 1997-10-14 Hewlett-Packard Company Biochemical assay pl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812272A (en) * 1997-01-30 1998-09-2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with tiled light source array for integrated assay sensing
US6101946A (en) * 1997-11-21 2000-08-15 Telechem International Inc. Microarray printing device including printing pins with flat tips and exterior chan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0014197A1 (fr) * 1998-09-09 2000-03-16 Hitachi Software Engineering Co., Ltd. Biopuce et procede d'utilisation de la biopuce
DE19842164B4 (de) * 1998-09-15 2004-06-03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Stiftung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zur Qualitätskontrolle beim Aufbau von Oligomerrastern
US6245518B1 (en) * 1998-12-11 2001-06-12 Hyseq, Inc. Polynucleotide array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1021558A (ja) * 1999-04-30 2001-01-26 Agilent Technol Inc ポリヌクレオチドアレイの製作法
US6558623B1 (en) * 2000-07-06 2003-05-06 Robodesign International, Inc. Microarray dispensing with real-time verification and inspection
JP3913978B2 (ja) * 2000-12-13 2007-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解析方法および装置
DE60113643D1 (de) * 2001-02-27 2005-11-03 Deutsches Krebsforsch Verfahren zur Bindung von Nukleinsäuren an einen Trä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862B1 (en) * 1995-09-18 2001-05-29 Affymetrix, Inc. Methods for testing oligonucleotide arrays
KR20030011152A (ko) * 2001-06-28 2003-02-07 (주)바이오니아 생화학 물질 미세 배열 칩의 품질 검사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cleic Acids Res. 2001 Aug 1;29(15):E75-5, Wang X *
Pac Symp Biocomput. 2001;:348-59, Sengupta R *
Proc Natl Acad Sci U S A. 2001 Jul 31;98(16):8944-9, Brown C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5894A (zh) * 2013-11-07 2014-02-12 南京祥中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生物芯片的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70672A1 (en) 2003-09-11
JP3872762B2 (ja) 2007-01-24
CN1222624C (zh) 2005-10-12
JP2003279576A (ja) 2003-10-02
EP1356860A2 (en) 2003-10-29
EP1356860A3 (en) 2004-05-06
CN1443854A (zh) 2003-09-24
KR20030072883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817B1 (ko) Dna 마이크로어레이 스팟의 품질관리방법
US6284465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 for locating nucleic acids bound to surfaces
US20050202433A1 (en) Novel high density arrays and methods for analyte analysis
EA004271B1 (ru) Способы амплификации и секвенирования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JP2002521064A (ja) アレイ生体分子およびシークエンシングにおけるその使用
IL136862A (en) High-throughput test system
US6255048B1 (en) Highly sensitive fluoroassay
US9657338B2 (en) Method for immobilizing nucleic acids on a support
US20050153290A1 (en) Normalisation of microarray data based on hybridisation with an internal reference
JP2001511360A (ja) アレイエレメント内での複数機能性およびその使用
Vo-Dinh et al. Development of a multiarray biosensor for DNA diagnostics
JP2000228999A (ja) 個体の集団の多重遺伝子型
US20050074781A1 (en) Nucleic acid braided J-probes
AU2002226448B2 (en) A method and test kit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variations in polynucleotide amounts in cell or tissue samples
CN1610757A (zh) 检测核酸中杂化作用的方法
KR100712633B1 (ko) 마이코박테리아 균주 감별을 위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JP3888613B2 (ja) 核酸の固定方法およびマイクロアレイ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遺伝子解析法
KR20050106759A (ko) 단일가닥핵산의 이중기능을 이용한 특정물질의 동정 및분석방법
US20210395804A1 (en) Sensitive and multiplexed detection of nucleic acids and proteins for large scale serological testing
US20060147905A1 (en) Method for the specific identification of orthopoxvirus with the aid of a miniature biological chip
JP5258755B2 (ja) 捕捉プローブを含み、pcr槽を開けることなしに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によるpcr産物の検出を可能にするリアルタイムpcr用反応チェンバ
JP2005031066A (ja) 固定化核酸プローブの処理方法、核酸の検出方法、核酸濃度分析方法、および核酸検出用キット
CN115404157A (zh) 交叉污染控制
US20060003360A1 (en) Method for analyzing variation of nucleic acid and method for analyzing gene expression
JP2001525678A (ja) Dnaの中の突然変異を制限酵素により検出するための方法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