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0289B1 - 브이형 내연 기관 - Google Patents

브이형 내연 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289B1
KR100450289B1 KR10-2001-0081626A KR20010081626A KR100450289B1 KR 100450289 B1 KR100450289 B1 KR 100450289B1 KR 20010081626 A KR20010081626 A KR 20010081626A KR 100450289 B1 KR100450289 B1 KR 10045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ank
crank
oil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176A (ko
Inventor
아베노리오
다카하시가츠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2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2Number of cylinders f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실린더 블록을 대형화하지 않고, 충분히 큰 유로(流路) 면적을 갖는 브리저(breather)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V형 내연 기관을 제공한다.
5기통 V형 내연 기관은 브리저 장치와, 3개의 크랭크 핀을 갖는 크랭크 축과, 3기통의 전부 뱅크(4F) 및 2기통의 후부 뱅크(4R)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1)을 구비한다.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크랭크 핀에는 각각 전·후 뱅크(4F, 4R)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에 끼워지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2개의 커넥팅 로드가 함께 연결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크랭크 핀에는 전부 뱅크(4F)의 중앙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B3)에 끼워지는 피스톤에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만이 연결되고, 후부 뱅크(4R)에서 상기 중앙의 실린더 보어(B3)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2개의 실린더 보어 사이의 스페이스부(60)에 브리저 장치의 브리저 통로(67)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브이형 내연 기관{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원 발명은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를 구비한 V형 내연 기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브리저 장치를구성하는 브리저 통로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를 구비한 V형 내연 기관으로서, 실공소 64-7209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브리저 장치는 V 뱅크 저벽부에 설치되는 브리저실과, 크랭크실과 브리저실을 연통시키는 구멍과,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벽에 형성되어 브리저실과 흡기 매니폴드에 연통하는 동작밸브실을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는 브리저실, 연통로 및 동작밸브실을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환류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브리저 장치에 있어서,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통하는 브리저 통로이기도 한 연통로는 V 뱅크 내측의 실린더벽에 형성되므로, 상기 연통로의 유로(流路) 면적은 한정된 것이 되어, 충분한 유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연통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연통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해야 하여, 연통로가 형성되는 실린더벽을 V 뱅크의 내측을 향해 크게 팽출시킬 필요가 생기므로, 연통로가 형성되는 뱅크의 실린더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이 커져, 실린더 블록이 대형화함과 동시에, V 뱅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흡기 장치의 배치가 제약을 받아, 내연 기관이 대형화하는 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린더 블록을 대형화하지 않고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V형 내연 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V형 내연 기관의 우측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 Ⅱ-Ⅱ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린더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실린더 블록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서의 실린더 블록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서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Ⅷ화살표 방향에서의 하부 크랭크 케이스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Ⅹ-Ⅹ선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실린더 블록의 하면도,
도 12는 도 3의 ?-?선에서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ⅩⅢ방향에서의 실린더 블록의 후부 뱅크의 단면도,
도 14는 후부 실린더 헤드의 하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록 2F, 2R … 실린더 헤드
3F, 3R … 헤드 커버 4F, 4R … 뱅크
5 … 상부 크랭크 케이스 6 … 하부 크랭크 케이스
6b … 하단면 6c … 전부 벽
6c1 … 곡벽부 6c1a … 하단부
6c2 … 평벽부 6c3 … 접촉부
7 … 크랭크 축 8 … 크랭크실
9 … 미션실 10 … 오일 팬
11 … 주 축받이 12 … 흡기 포트
13 … 배기 포트 14 … 흡기 밸브
15 … 배기 밸브 16 … 흡기 캠 축
17 … 배기 캠 축 18 … 구동 기어
19 … 중간 기어 20, 21 … 타이밍 기어열
22 … 커버 23 … 기어실
24 … 교류 발전기 25, 26 … 기어
27 … 메인 축 28 … 카운터 축
29 … 시프트 드럼 30 … 지지 축
31a … 펌프 구동 기어 31b … 중간 기어
32 … 펌프 기어 33 … 구동 축
34 … 오일 스트레이너 35 … 오일관
36 … 피드 펌프 37 ∼ 39 … 소기 펌프
40 … 토출 포트 41 ∼ 43 … 흡입구
44 … 오일 필터 45 … 부착부
45a … 부착면 46 … 나사구멍
47 … 발전기 커버 48, 49 … 볼트
50 … 캡 51 … 노즐
52F, 52R … 동작밸브실 53 … 장착부
54 … 노즐 55 ∼ 57 … 복귀 오일로
58 … 복귀 오일관 59 … 개구부
60 … 스페이스부 61 … 칸막이벽
62 … 공동(空洞) 63 … 개구부
64, 65, 66 … 통로 67 … 브리저 통로
68 … 복귀 오일로 69 … 원통부
70 … 스페이스부 71 … 브리저 통로
72 … 복귀 오일로 73 … 칸막이벽
74 … 브리저실 E … 내연 기관
L … 회전축선 M … 기어 변속기
A1, A2 … 격벽 D1 ∼ D4 … 축받이부
C1 ∼ C5 … 기통 B1 ∼ B5 … 실린더 보어
P1 ∼ P5 … 피스톤 R1 ∼ R5 … 커넥팅 로드
N1 ∼ N5 … 중심선 J1 ∼ J4 … 저널
K1 ∼ K3 … 크랭크 핀 S1 ∼ S5 … 피스톤 핀
T … 점화전 Y … 공동
U … 오일 펌프 유닛 G1 ∼ G7, G9 ∼ G27 … 오일로
G8 … 메인 갤러리 H … 가상 평면
VF, VR … 동작밸브 장치
본원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와, 회전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제2, 제3 크랭크 핀을 포함하여 3 이상의 크랭크 핀을 갖는 크랭크 축과, V자를 형성하는 제1, 제2 뱅크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구비한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뱅크에 형성된 제1, 제3 실린더 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3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3 커넥팅 로드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제3 크랭크 핀 사이에 있는 상기 제2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2 뱅크에 형성된 제2 실린더 보어에 끼워지는 제2 피스톤에 연결되는 제2 커넥팅 로드만이 연결되고, 상기 브리저 장치는 상기 제1 뱅크에서 상기 제1, 제3 실린더 보어 사이의 스페이스부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를 갖는 V형 내연 기관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와, 회전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제2 크랭크 핀을 포함하여 복수의 크랭크 핀을 갖는 크랭크 축과, V자를 형성하는 홀수의 기통을 갖는 제1 뱅크 및 짝수의 기통을 갖는 제2 뱅크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구비한 홀수 기통의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실린더 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2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커넥팅 로드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제2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중의 기통 수가 많은 뱅크에 형성된 제3 실린더 보어에 끼워지는 제3 피스톤에 연결되는 제3 커넥팅 로드만이 연결되고, 상기 브리저 장치는 상기 제1, 제2 뱅크중의 기통 수가 적은 뱅크에서 상기 제1 실린더 보어 또는 상기 제2 실린더 보어에 대해, 상기 제1 크랭크 핀에 대해 상기 제2 크랭크 핀이 인접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인접하는 스페이스부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를 갖는 V형 내연 기관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은 상기 제2 크랭크 핀에 대해 상기 제1 크랭크 핀이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제3 크랭크 핀을 갖고, 상기 제3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에 각각 형성된 제4, 제5 실린더 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4, 제5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제5 커넥팅 로드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스페이스부는 상기 제1, 제4 실린더 보어 사이 또는 상기 제2, 제5 실린더 보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부에는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路)가 형성되고, 상기 브리저 통로와 상기 복귀 오일로 사이에, 양자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병렬이 되도록 구분하는 칸막이벽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V형 내연 기관(E)은 DOHC형으로 수냉식의 V형 5기통 4사이클 내연 기관이며, 그 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전동 (??動)장치와 함께 자동 이륜차에 탑재되는 동력 장치를 구성한다. 내연 기관(E)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거의 75°각도의 V자형의 V 뱅크를 형성하는 전부 뱅크(4F) 및 후부 뱅크(4R)를 갖는 실린더 블록(1)과, 각 뱅크(4F, 4R)에서 실린더 블록(1)의 상단면(4Fa, 4Ra)에 체결되는 전부 실린더 헤드(2F) 및 후부 실린더 헤드(2R)와, 양 실린더 헤드(2F, 2R)에 각각 체결되는 전부 헤드 커버(3F) 및 후부 헤드 커버(3R)를 구비한다. 또한, 실린더 블록(1)은 그 하부가 상부 크랭크 케이스(5)를, 그 상부가 양 뱅크(4F, 4R)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 크랭크 케이스(5)의 하단면(5a)에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상단면(6a)이 맞춰져, 실린더 블록(1)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가 체결된다. 그리고, 차체의 좌우 방향을 지향하도록 가로로 놓여 배치되는 크랭크 축(7)은 상부 크랭크 케이스(5)의 하단면(5a)과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상단면(6a)의 맞춤면 상에 그 회전축선(L)이 위치한 상태로, 상부 크랭크 케이스(5)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전후좌우」는 차체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전후좌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크랭크 케이스(5)의 전부와 하부 크랭크케이스(6)의 전부에 의해 크랭크 축(7)을 수용하는 크랭크실(8)이 형성되고, 상부 크랭크 케이스(5)의 후부와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후부에 의해 전동 장치를 구성하는 습식 다판 마찰 클러치(도시 생략)와 상시 맞물림식의 기어 변속기(M)를 수용하는 미션실(9)이 형성된다.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하단면(6b)에는 오일 팬(10)의 상단면(10a)이 유밀(油密)하게 맞춰져 오일 팬(10)이 체결된다.
그리고, 크랭크실(8)과 미션실(9)은 실린더 블록(1)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양 측벽인 좌측벽을 구성하는 축받이부(D1) 및 우측벽을 구성하는 축받이부(D4)(도 2 참조), 실린더 블록(1)에 형성된 상부 격벽(A1)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에 형성된 하부 격벽(A2)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호 독립된 방이 되어, 이에 의해 크랭크실(8)은 밀폐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전부 뱅크(4F)는 크랭크축(7)의 회전축선(L)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일체로 결합된 3개의 기통(C1, C3, C5)을 갖고, 각 기통(C1, C3, C5)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B1, B3, B5)의 중심선(N1, N3, N5)은 회전축선(L)으로부터 전방 비스듬한 상방을 지향하여 각 기통(C1, C3, C5)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 후부 뱅크(4R)는 회전축선(L)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일체로 결합된 2개의 기통(C2, C4)을 갖고, 각 기통(C2, C4)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B2, B4)의 중심선(N2, N4)은 회전축선(L)으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상방을 지향하여 각 기통(C2, C4)이 뒤로 기울어져 있다. 각 기통(C1 ∼ C5)의 실린더 보어(B1 ∼ B5)에는 피스톤(P1 ∼ P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각 피스톤(P1 ∼ P5)과 실린더 헤드(2F, 2R)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의 연소 압력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피스톤(P1 ∼ P5)이 각 피스톤(P1 ∼ P5)와 크랭크축(7)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R1 ∼ R5)를 통해 크랭크 축(7)을 회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크랭크 축(7)은 실린더 블록(1)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에 각각 회전축선(L)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4개의 축받이부(D1 ∼ D4)에 의해, 그 저널(J1 ∼ J4)로 주 축받이(11)를 통해 지지된다. 그리고, 크랭크실(8)은 2개의 축받이부(D1, D4)를 양단으로 하여 그 중간에 위치하는 2개의 축받이부(D2, D3)에 의해 회전축선(L) 방향으로 3개의 방으로 구분된다.
크랭크 축(7)에서 축받이부(D1)와 축받이부(D2) 사이의 크랭크 핀(K1)에는 2개의 피스톤(P1, P2)의 피스톤 핀(S1, S2)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R1, R2)가 함께 연결되고, 축받이부(D2)와 축받이부(D3) 사이에 있으며 크랭크 핀(K1)에 인접하는 크랭크 핀(K2)에는 피스톤(P3)의 피스톤 핀(S3)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R3)만이 연결되고, 축받이부(D3)와 축받이부(D4) 사이에 있으며 크랭크 핀(K2)에 인접하는 크랭크 핀(K3)에는 2개의 피스톤(P4, P5)의 제4, 제5 피스톤 핀(S4, S5)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R4, R5)가 함께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실린더 헤드(2F, 2R)에는 연소실마다 연소실에 개구하는 1쌍의 흡기구를 갖는 흡기 포트(12) 및 1쌍의 배기구를 갖는 배기 포트(13)가 형성되고, 또한 1쌍의 흡기구를 각각 개폐하는 1쌍의 흡기 밸브(14)와, 1쌍의 배기구를 개폐하는 1쌍의 배기 밸브(15)가 설치되고, 또 각 연소실 내에 면하는 점화전(栓)(T)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부 실린더 헤드(2F)에 있어서 흡기 캠 축(16) 및 배기 캠 축(17)이 회전축선(L)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캠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부 실린더 헤드(2R)에서 흡기 캠 축(16) 및 배기 캠 축(17)이 회전축선(L)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캠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2쌍의 양 캠 축(16, 17)은 각각 크랭크 축(7)의 우단부에 설치된 구동 기어(18)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19)로부터 전부측 타이밍 기어열(20) 및 후부측 타이밍 기어열(21)을 통해 전달되는 크랭크 축(7)의 동력에 의해 크랭크 축(7)의 1/2의 회전 수로 회전 구동되어, 소정의 타이밍으로 각 흡기 밸브(14) 및 각 배기 밸브(15)를 구동한다.
또한, 각 흡기 포트(12)에 접속되는 흡기 장치는 V 뱅크의 내측에 배치되고, 전부 뱅크(F)의 기통(C1, C3, C5)의 배기 포트(13)에 접속되는 배기관은 오일 팬(10)의 좌벽의 하부에 우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을 통과해 후방으로 이어진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 및 양 실린더 헤드(2F, 2R)의 우측에 위치하는 구동 기어(18) 및 중간 기어(19)는 상부 크랭크 케이스(5) 및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우측벽에 부착되는 커버(22)에 의해 덮히고, 양 타이밍 기어열(20, 21)은 실린더 블록(1)의 양 뱅크(4F, 4R)와 양 실린더 헤드(2F, 2R)의 우단부에 형성된 공동(空洞)(Y) 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구동 기어(18), 중간 기어(19) 및 양 타이밍 기어열(20, 21)은 우측벽과 커버(22)로 형성되는 공간 및 상기 공동(Y)으로 구성되는 기어실(23)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기어실(23)은 그 하부에 형성된 하부 크랭크 케이스(6)에 형성된 공동(도시 생략)을 통해 오일 팬(1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크랭크 축(7)의 좌단부에는 교류 발전기(24)가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랭크 축(7)의 동력은 1차 구동 기어(25)와 1차 피동 기어(26)로 이루어지는 1차 감속 기구를 통해 상기 다판 마찰 클러치에 전달되고, 또한 기어 변속기(M)에 전달된다. 기어 변속기(M)의 메인 축(27) 및 카운터 축(28)에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 기어군 및 카운터 기어군이 각각 설치되고, 변속 조작 기구에 의해 시프트 드럼(29)이 회전되면 시프트 드럼(29)의 캠 홈에 결합된 시프트 포크가지지 축(3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하여, 변속 조작에 대응한 메인 기어군의 기어와 카운터 기어군의 기어가 적절하게 맞물려, 크랭크 축(7)의 동력이 변속되어 메인 축(27)으로부터 카운터 축(28)으로 전달되어, 카운터 축(28)의 동력이 체인을 갖는 2차 감속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후륜에 전달된다.
또한, 크랭크 축(7)의 동력은 메인 축(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1차 피동 기어(26)와 일체로 회전하는 펌프 동작 기어(31a)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31b)를 통해 오일 펌프 유닛(U)의 구동 축(33)에 설치된 펌프 기어(32)에 전달되어, 오일 펌프 유닛(U)이 구동된다. 또한, 구동 축(33)의 좌단에는 도시 생략한 냉각수 펌프의 임펠러가 설치된 회전축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장치의 윤활계에 대해 설명한다. 오일 팬(10) 내에는 오일 스트레이너(34)가 배치되고, 오일 스트레이너(34)로부터 상측으로 이어지는 오일관(35)이 오일 펌프 유닛(U)의 피드 펌프(36)의 제4 흡입 포트에 접속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오일 펌프 유닛(U)은 구동 축(33)의 축 방향으로 오른쪽부터 차례로 배열된 제1 소기 펌프(37), 피드 펌프(36), 제2 소기 펌프(38) 및 제3 소기 펌프(39)를 구비하고, 이들 펌프(36 ∼ 39)는 트로코이드 펌프로 구성된다. 오일 펌프 유닛(U)에는 제1 소기 펌프(37)의 제1 흡입 포트(37a), 제2 소기 펌프(38)의 제2 흡입 포트(38a), 제3 소기 펌프(39)의 제3 흡입 포트(39a) 및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의 각 토출 포트(도시 생략)에 연통하는 단일 제1 토출 포트(40)가 설치되고, 또한 피드 펌프(36)의 제4 흡입 포트(36a), 릴리프 밸브가 설치된 릴리프 포트(36b) 및 제2 토출 포트(36a)가 설치된다. 제1 토출 포트(40)는 구동 축(33)의 축 방향에서 제2 소기 펌프(38)의 근방에 설치되어, 기어 변속기(M)의 메인 축(27)을 거의 지향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크랭크 케이스(6)에는 오일 팬(20)이 결합되는 하단면(6b)의 전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상측으로 이어짐과 동시에,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의 후술하는 평벽부(6c2)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경사 격벽(A2a)이 설치되고, 오일 펌프 유닛(U)은 하부 격벽(A2)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 경사 격벽(A2a)의 오일 팬(10)측에 형성된 부착면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면에 오일 펌프 유닛(U)이 부착된 상태로 경사 격벽(A2a)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흡입 포트(37a, 38a, 39a)에 각각 접속하는 제1, 제2, 제3 흡입구(41, 42, 43)가 설치된다. 그리고, 크랭크실(8) 내에 공급되어, 필요로 하는 윤할 부분의 윤활을 끝내고 크랭크실(8)의 바닥부로 흘러내린 윤활유가 제1 ∼ 제3 흡입구(41 ∼ 43)로부터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에 각각 흡인되어, 제1 토출 포트(40)로부터 미션실(9) 내로 방출된다.
또한, 경사 격벽(A2a)에서, 하단면(6b)의 약간 상측 위치에는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토출 포트(36c)의 단면이 접합함으로써 제2 토출 포트(36a)에 접속하는 오일로(G1)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로(G1)는 필터 엘레먼트(44a)에 의해 윤활유중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윤활유를 청정하게 하는 오일 필터(44)에 윤활유를 인도하는 후술하는 도입 오일로(G4)를 구성하는 오일로(G2)에 접속한다. 도 5, 도 8을 참조하면 원통형상의 오일 필터(44)는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에 형성된 부착부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부 벽(6c)은 크랭크 축(7)의 직경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선(L)을 중심선으로 하는 거의 원통의 둘레벽의 둘레방향의 일부분인 부분 원통형상의 곡벽부(6c1)와, 상기 곡벽부(6c1)의 회전축선(L)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단부(6c1a)에 연결되어, 연직 하방으로 이어져 하단면(6b)에 이르는 거의 평판형상의 평벽부(6c2)를 갖는다. 하단면(6b)의 평벽부(6c2)에 대응하는 부분은 오일 팬(10)의 평판형상의 전부 벽(10b) 부분에서 상단면(10a)과 맞춰진다.
부착부(45)는 곡벽부(6c1)와 평벽부(6c2)로 형성되는 공간에 곡벽부(6c1) 및 평벽부(6c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형태가 되어 있으며, 오일 필터(44)가 부착되는 부착면(45a)은 하단면(6b)보다도 상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단면(6b)의 최전부와 곡벽부(6c1)의 전면에 접하는 가상 평면(H)이 접촉하는 상기 전면의 접촉부(6c3)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가상 평면(H)보다도 약간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가상 평면(H)을 거의 따라 형성된다.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부착부(45)의 내부에는 부착면(45a)에 개구하는 원환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오일로(G3)와, 평벽부(6c2)의 하단면(6b) 근처의 위치로서, 일단이 오일로(G1)에 접속하고, 타단이 오일로(G3)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오일로(G3)의 하부에 접속하는 오일로(G2)가 형성되고, 이들 오일로(G2)와 오일로(G3)로 도입 오일로(G4)가 구성되어, 피드 펌프(36)로부터 토출된 윤활유가 이 도입 오일로(G4)를 거쳐 오일 필터(44)에 유입된다.
그리고, 원환상의 오일로(G3)의 원환의 중심부에는 숫 나사가 잘려진 나사구멍(46)이 부착면(45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46)에 오일 필터(44)의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오일로를 형성하는 나사부(44b)가 끼워진다. 또한, 나사구멍(46)의 저부 근방의 둘레벽에 개구하고, 회전축선(L)을 따라 곡벽부(6c1)의 하단부(6c1a)에 거의 평행으로 또한 하단부(6c1a)의 근방을 나사구멍(46)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이어지는 도출 오일로(G5)가 형성된다.
도 4, 도 10을 참조하면 도출 오일로(G5)는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우단부에서, 전부 벽(6c)에 형성되고 상단면(6a)에 개구하는 오일로(G6)에 접속하고, 상기 오일로(G6)는 상단면(6a)에서 실린더 블록(1)의 우단부에 형성된 오일로(G7)의 일단에 접속하고, 오일로(G7)의 타단은 실린더 블록(1)의 V 뱅크의 저벽부(1a)에 형성된 메인 갤러리(G8)에 접속한다. 메인 갤러리(G8)는 저벽부(1a)의 우단부로부터 회전축선(L)과 거의 평행으로 이어져 실린더 블록(1)의 좌단면에서 개구하고(도 3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 축(7)의 좌단면에 체결되는 발전기 커버(47)에 형성된 오일로(G9)에 접속하고, 상기 오일로(G9)는 교류 발전기(24)의 로터를 크랭크 축(7)에 고정하는 볼트(48)의 내부에 형성된 오일로(G10)를 통해,크랭크 축(7)의 상기 볼트(48)가 끼워지는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형성된 오일로(G11)에 접속한다. 그리고, 오일로(G11)에는 크랭크 축(7)의 내부에 형성된 축 내 오일로(G12)의 일단이 접속하고, 상기 축 내 오일로(G12)의 타단은 크랭크 축(7)의 우단부에서 구동 기어(18)의 회전축선(L)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링을 고정하는 볼트(49)가 끼워지는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형성된 오일로(G13)에 접속하고, 오일로(G13)는 볼트(49)의 내부에 형성된 오일로(G14) 및 커버(22)에 장착되는 갭(50)에 형성된 오일로(G15)를 통해, 커버(22)에 설치된 오일로(G16)에 접속한다. 상기 오일로(G16)를 통과한 윤활유는 오일로(G16)의 타단에 설치된 노즐(51)로부터 중간 기어(19)를 향해 분사되어, 중간 기어(19), 구동 기어(18) 및 양 타이밍 기어열(20, 21)을 윤활한다.
또한, 제1 ∼ 제3 크랭크 핀(K1 ∼ K3)에는 각 크랭크 핀(K1 ∼ K3)에서의 각 커넥팅 로드(R1 ∼ R5)와의 연결부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축 내 오일로(G12)에 접속하는 오일로(G17)가 직경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저널(J2, J3)에는 축받이부(D2, D3)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축 내 오일로(G12)에 접속하는 오일로(G18)가 직경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저널(J1, J4)에는 2개의 축받이부(D1, D4)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오일로(G11) 및 오일로(G13)에 각각 접속하는 오일로(G19)가 직경방향으로 형성된다.
또,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갤러리(G8)에서 오일로(G7)가 접속하는 부분에서, 상기 접속 부분으로부터 각 뱅크(4R, 4F)를 실린더 헤드(2F, 2R)를 향해 이어지는 헤드 오일로(G20, G21)가 실린더 블록(1)에 형성되고, 이들 각 헤드 오일로(G20, G21)를 통해, 전부 실린더 헤드(2F) 및 전부 헤드 커버(3F)에 의해 형성되는 전부 동작밸브실(52F) 내에 배치되는 양 캠 축(16, 17)이나 리프터 등으로 구성되는 전부 동작밸브 장치(VF), 및 후부 실린더 헤드(2R) 및 후부 헤드 커버(3R)에 의해 형성되는 후부 동작밸브실(52R) 내에 배치되는 양 캠 축(16, 17)이나 리프터 등으로 구성되는 후부 동작밸브 장치(VR)(모두 도 1 참조)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즉, 각 헤드 오일로(G20, G21)는 상단면(4Fa, 4Ra)에서 각 실린더 헤드(2F, 2R)에 고정된 우단에 위치하는 캠 홀더에 형성된 오일로에 접속하고, 상기 캠 홀더로부터 양 캠 축(16, 17)의 중공부에 공급되어, 양 캠 축(16, 17)의 필요한 부분에 설치된 오일구멍으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에 의해 각 동작밸브 장치(VF, VR)가 윤활된다.
또한, 도 4,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갤러리(G8)에서 후부 뱅크(4R)의 기통(C2)의 우측에 인접하여, 실린더 블록(1)(하부 크랭크 케이스(5))의 하단면(5a)에 개방하는 오일로(G22)가 분기하여 형성되고, 실린더 블록(1)의 하단면(5a)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일로(G23),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상단면(6a)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오일로(G24)를 거쳐, 하부 크랭크 케이스(6)에 형성된 오일로(G25) 및 오일로(G26)를 통과하여, 기어 변속기(M)의 메인 축(27) 및 지지 축(30)의 슬라이드부 등으로 윤활유가 공급된다.
또, 도 5,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갤러리(G8)를 따라 실린더 블록(1)의 저벽부(1a)의 내면에는 각 실린더 보어(B1 ∼ B5)의 중심선(N1 ∼ N5)을 포함해 회전축선(L)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과 교차하는 부분에, 각 실린더 보어(B1 ∼ B5)에 대응하여 노즐(54)(도 5 참조)이 장착되는 5개의 장착부(53)가 설치되고, 각장착부(53)에 설치되어 메인 갤러리(G8)에 접속하는 오일로(G27)를 통과한 윤활유가 상기 노즐(54)로부터 분사됨으로써, 각 피스톤 핀(S1 ∼ S5)과 각 커넥팅 로드(R1 ∼ R5)의 연결부나 각 기통(C1 ∼ C5)과 각 피스톤(P1 ∼ P5)의 슬라이드부 등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다음으로,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 및 브리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부 뱅크(4F)에 대해서는 도 3, 도 11을 참조하면, 전부 실린더 헤드(2F)의 전부 벽에는 기통(C1)의 좌측부, 즉 전부 뱅크(4F)의 좌단부와, 2개의 기통(C1, C3) 간과, 2개의 기통(C3, C5) 간에서, 실린더 블록(1)의 상단면(4Fa)에 각각 개구부(55a, 56a, 57a)를 갖는 윤활유의 제1, 제2, 제3 복귀 오일로(55, 56, 57)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개구부(55a, 56a, 57a)에 접속하는 오일로가 전부 동작밸브실(52F) 내에 개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전부 동작밸브 장치(VF)의 윤활을 끝낸 윤활유가 실린더 블록(1)의 전부 벽에 형성된 제1 ∼ 제3 복귀 오일로(55 ∼ 57)를 거쳐 실린더 블록(1)의 하부에서 집합되고, 실린더 블록(1)의 하단면(5a)에서 접속되는 복귀 오일관(58)(도 1 참조)을 통과해,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의 평벽부(6c2)의 하부에 설치된 개구부(59a)(도 8 참조)를 갖는 복귀 오일로(59)(도 7 참조)를 거쳐 오일 팬(10)으로 돌아온다.
한편,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 후부 뱅크(4R)에는 거의 전후 방향, 즉 회전축선(L)을 포함하여 V 뱅크를 이분하는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부 뱅크(4F)의 실린더 보어(B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실린더 보어(B2)와 실린더 보어(B4) 사이에, 실린더 보어(B3)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이며,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저널(J2)의 중앙점 및 저널(13)의 중앙점 사이의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간격과 거의 동등한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폭을 갖는 스페이스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 스페이스부(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 뱅크(4F)에 대해 회전축선(L)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스페이스부(60)에는 회전축선(L) 방향으로 대략 평행으로 이어져 기통(C2)의 외주벽(C2a) 및 기통(C4)의 외주벽(C4a)에 연결되는 칸막이벽(61)을 갖는 공동(62)이 형성된다. 상기 공동(62)은 상부 격벽(A1)의 일부이며 저벽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하측으로 이어져 후부 뱅크(4R)의 하부의 후단에 이르는 경사 격벽(A1a)과 후부 뱅크(4R)의 상단면(4Ra) 사이로서, 기통(C2)의 외주벽(C2a)과 기통(C4)의 외주벽(C4a) 사이에서, 또한 후부 뱅크(4R)의 V 뱅크의 내측벽(4Rb)과 후방 비스드한 하측으로 이어져 미션실(9)의 상벽(5C)으로 연결되는 V 뱅크의 외측벽(4Rc)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 격벽(A1a)의 미션실(9)측의 단부로부터 하단면(5a)을 향해 거의 연직 방향으로 이어져 상부 격벽(A1)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직 격벽(A1b)과 V 뱅크의 외측벽(4Rc) 사이에, 공동(62)과 미션실(9)을 연통하는 개구부(63)가 형성된다. 또, 공동(62)의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폭은 축받이부(D2) 및 축받이부(D3)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고, 회전축선(L)과 중심선(N2) 또는 중심선(N4)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직교 방향」이라 한다)에서의 폭은 기통(C2, C4) 부분에서의 상기 직교 방향에서의 후부 뱅크(4R)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공동(62)의 상부는 중심선(N2) 또는 중심선(N4) 방향에서 상단면(4Ra)과 경사 격벽(Ala)의 거의 중앙까지 이어지는 칸막이벽(61)을 사이에 끼고, V 뱅크의 내측쪽으로 상단면(4Ra)에 개구부(64a)를 갖는 통로(64)가 형성되고, V 뱅크의 외측쪽으로 상단면(4Ra)에 개구부(65a)를 갖고, 후방이 개구부(63)로 되어 있는 통로(65)가 형성되고, 이들 통로(64, 65)는 칸막이벽(61)에 의해 회전축선(L)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다. 또, 칸막이벽(61)의 하방에서 공동(62)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로(66)에 의해, 통로(64)와 개구부(63)가 연통한다. 그리고, 개구부(63), 통로(66) 및 통로(64)에 의해 실린더 블록(1)에서 브리저 통로(67)가 구성되고, 통로(65) 및 개구부(63)에 의해 실린더 블록(1)에서의 후부 동작밸브실(52R)로부터의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68)가 구성된다.
또, 칸막이벽(61)의 내부에는 기통(C2)의 냉각수 자켓과 기통(C4)의 냉각수 자켓을 연통하는 수로(61a)가 설치되고, 또한 칸막이벽(61)의 상부에는 V 뱅크의 외측을 향해 이어지는 차양부(61b)와, 상기 차양부(61b)의 선단부로서, 통로(65)의 개구부(65a)와 칸막이벽(61)측의 가장자리부가 회전축선(L) 방향에 걸쳐 하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 가장자리부(61c)가 형성된다. 그리고, 브리저 통로(67)의 유입구임과 동시에 복귀 오일로(68)의 유출구이기도 한 개구부(63)는 칸막이벽(61)의 하측에서, 또한 칸막이벽(61)의 복귀 오일로(68)측의 측면(61d)보다도 V 뱅크의 외측벽(4Rc)쪽에 있어, 개구부(63)로부터 유입된 블로우 바이 가스의 일부가 상기 측면(61d)에 부딪혀 상기 측면(61d)을 따라 상승하는 흐름이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후부 실린더 헤드(2R)에는 도 12,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스부(60)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페이스부(70)가 형성되고, 통로(64) 및 통로(65)의 개구부(64a, 65a)에 각각 정확하게 정합되는 크기의 개구부(71a, 72a)를 가짐과 동시에 후부 동작밸브실(52) 내에 연통하는 브리저 통로(71) 및 윤활유의 복귀 통로(72)가 형성된다. 또한, 칸막이벽(61)의 상단면에 맞춰지는 하단면을 갖는 칸막이벽(73)이 형성되고, 이 칸막이벽(73)의 내부에는 후부 실린더 헤드(2R)에서의 기통(C2)의 연소실과 점화전(T) 및 점화 코일이 수용되는 원통부(69)(도 2 참조)의 하부를 둘러싸 형성되는 냉각수 자켓과, 기통(C4)의 연소실과 점화전(T) 및 점화 코일이 수용되는 범프의 하부를 둘러싸 형성되는 냉각수 자켓을 연통하는 수로(73a)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부 헤드 커버(3R)의 상부에서, 브리저 통로(67, 71)의 상측에 후부 동작밸브실(52R) 내로 개방하는 입구(74a)를 갖는 브리저실(74)이 설치되고, 브리저실(74)에 접속된 접속관(75)에 접속되는 환류관(도시 생략)이 내연 기관(E)의 흡기계인 흡기 통로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에 의해 윤활유와 함께 흡입되어 미션실(9) 내로 방출된 크랭크실(8) 내의 블로우 바이 가스가 미션실(9)로부터 브리저 통로(67, 71)를 통과해 브리저실(74)로 유입하고, 브리저실(74)로부터 환류관을 거쳐 흡기 통로로 환류되어 연소실로 공급된다. 그 때문에, 제1 ∼ 제3 흡입구(41 ∼ 43),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 미션실(9), 브리저 통로(67, 71), 후부 동작밸브실(52R), 브리저실(74), 접속관(75) 및 환류관에 의해 크랭크실(8) 내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로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내연 기관(E)이 운전되어 오일 펌프 유닛(U)이 작동하면 오일 팬(10)으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34)를 통과해 피드 펌프(36)에 흡인된 윤활유는 제2 토출 포트(36c)로부터 토출되어, 오일로(G1) 및 도입 오일로(G4)를 거쳐 오일 필터(44)로 유입하고, 또한 오일 필터(44)에서 이물질 등이 제거되어 도출 오일로(G5), 오일로(G6) 및 오일로(G7)를 통해 메인 갤러리(G8)로 공급된다.
메인 갤러리(G8)로부터 오일로(G9, G10, G11)를 거쳐 축 내 오일로(G12)에 유입한 윤활유는 저널(J1 ∼ J4)이나 크랭크 핀(K1 ∼ K3)에 공급되어, 그들 슬라이드부를 윤활하고, 또 노즐(51)로부터 분사되어 구동 기어(18)나 중간 기어(19)나 양 타이밍 기어열(20, 21)의 맞물림부나 슬라이드부를 윤활하고, 또한 노즐(54)로부터 분사되어 각 피스톤 핀(S1 ∼ S5)의 슬라이드부나 각 피스톤(P1 ∼ P5)과 각 기통(C1 ∼ C5)의 슬라이드부를 윤활한다. 한편, 메인 갤러리(G8)로부터 헤드 오일로(G20, G21)에 유입한 윤활유는 각 동작밸브실(52F, 52R) 내의 동작밸브 장치(VF, VR)의 슬라이드부를 윤활한다.
그리고, 크랭크실(8) 내로 공급되어 상술한 슬라이드부 등의 윤활 부분의 윤활을 끝낸 윤활유는 전부 벽(6c)과 경사 격벽(A2a) 사이에 형성되는 크랭크실(8)의 바닥부에 흘러내려, 제1 ∼ 제3 흡입구(41 ∼ 43)로부터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로 흡인되고, 그들 소기 펌프(37 ∼ 39)로부터 토출된 윤활유가 제1 토출 포트(40)로부터 미션실(9) 내로 방출되어, 상기 다판 마찰 클러치 및 기어 변속기(M)등의 슬라이드부 등의 윤활 부분을 윤활하고, 그 후 오일 팬(10)으로 돌아온다. 한편, 구동 기어(18)나, 중간 기어(19) 및 양 타이밍 기어열(20, 21)을 윤활한 오일은 오일 팬(10)으로 개방하는 기어실(23)의 하부로부터 오일 팬(10)으로 돌아가, 전부 동작밸브실(52F) 내에 공급된 윤활유는 복귀 오일로(55 ∼57) 및 복귀 오일관(58)을 거쳐 오일 팬(10)으로 돌아가고, 후부 동작밸브실(52R) 내에 공급된 윤활유는 복귀 오일로(72, 68)를 거쳐 미션실(9)을 통해 오일 팬(10)으로 돌아간다. 이렇게 클러치실(8) 내에 공급된 윤활유는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에 의해 흡인되므로, 크랭크축(7)이 윤활유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한 동력 손실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실(8) 내의 블로우 바이 가스는 윤활유와 함께 제1 ∼ 제3 소기 펌프(37 ∼ 39)에 흡인되어 미션실(9) 내로 방출되고, 미션실(9)로부터 스페이스부(60)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67), 스페이스부(70)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71), 후부 동작밸브실(52R), 브리저실(74) 및 환류관을 거쳐 흡기 통로로 환류하여, 연소실에 공급되어 연소한다.
여기서, 후부 뱅크(4R)에서 전부 뱅크(4F)의 실린더 보어(B3)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실린더 보어(B2)와 실린더 보어(B4)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부(60)는 전부 뱅크(4F)에 대해 회전축선(L)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저라도 실린더 보어(B3)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회전축선(L) 방향의 폭을 가지므로, 전부 뱅크(4F)에 비해 기통 수가 적은 후부 뱅크(4R)의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폭, 및 상기 직교 방향에서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실린더 블록(1)의 회전축선(L)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그리고 2개의 크랭크 핀(K1, K3)에 각각 2개의 커넥팅 로드(R1, R2) 및 2개의 커넥팅 로드(R4, R5)가 결합됨으로써 회전축선(L) 방향의 폭이 작아져 소형화된 실린더 블록(1)의 이점을 저해하지 않고, 게다가 실린더 블록(1)이 경량화되고, 또한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67)가 얻어진다. 또, 브리저 통로(67)의 유로 면적이 커짐으로써, 브리저 통로(67)를 유통하는 블로우 바이 가스의 유속이 낮게 억제되므로, 블로우 바이 가스중에 혼입되어 있는 윤활유 미스트의 분리 효과가 촉진된다.
스페이스부(60)는 전부 뱅크(4F)에 대해 회전축선(L)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린더 보어(B3)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회전축선(L) 방향에서의 폭을 가지므로, 실린더 블록(1)이 대형이 되지 않고, 충분한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67) 외에도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68)를 형성할 수 있어, 후부 동작밸브실(52R)로부터의 윤활유의 복귀가 원활해지며, 또한 2개의 통로(64, 65)를 회전축선(L) 방향으로 병렬이 되도록 구분하는 칸막이벽(61)에 의해 블로우 바이 가스와 윤활유의 혼합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블로우 바이 가스중에 혼입되어 있는 윤활유 미스트의 양이 감소한다.
크랭크실(8)과 미션실(9)은 상부 격벽(A1) 및 하부 격벽(A2)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개구부(63), 통로(66) 및 통로(64)에 의해 구성되는 브리저 통로(67)도 크랭크실(8)로부터 분리되므로, 브리저 통로(67)에 크랭크 축(7)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윤활유가 브리저 통로(67)에 직접 침입하지 않아, 블로우 바이 가스로의 윤활유 미스트의 혼입이 방지된다.
칸막이벽(61) 및 칸막이벽(73)에는 냉각수의 수로(61a, 7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연 기관(E)의 난기(暖機)시에는 실린더 블록(1) 및 후부 실린더 헤드(2R)의 냉각수 자켓의 냉각수 외에, 칸막이벽(61, 73)의 수로(61a, 73a)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도 브리저 통로(61, 71)가 데워져, 브리저 통로(61, 71) 또한 브리저실(74)에서의 수증기의 결로(結露)가 방지되므로, 분리된 윤활유에 물이 섞이는 것이 방지되어, 물의 혼입에 의한 윤활유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벽(61)의 상부에는 V 뱅크의 외측을 향해 이어지는 차양부(61b)와, 차양부(61b)의 선단부인 돌출 가장자리부(61c)로 되어 있으므로, 개구부(63)로부터 유입한 블로우 바이 가스의 일부는 복귀 오일로(68, 72)를 통해 후부 동작밸브실(52R)에 달하지만, 그 일부는 칸막이벽(61)의 복귀 오일로(68)측의 측면(61d)에 부딪혀, 상기 측면(61d)을 따라 상승하는 흐름이 발생해도, 상승하는 블로우 바이 가스가 차양부(61b)의 하면에 부딪혀 그 상승이 저지되고, 또한 돌출 가장자리부(61c)에 의해 하측으로 편향되므로, 복귀 오일로(68)를 통과하는 윤활유의 흐름이 상승하는 블로우 바이 가스에 의해 방해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되어, 윤활유가 원활하게 복귀 오일로(68)를 흘러 내리게 된다.
또,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에 형성된 부착부(45)의 오일 필터(44)가 부착되는 부착면(45a)은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오일 팬(10)이 결합되는 하단면(6b)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오일 팬(10)에 부착되는 경우나 하부 크랭크 케이스(6) 및 오일 팬(10)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으며, 또한 가상 평면(H)보다도 전방에서 거의 가상 평면(H)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으로 팽출하는 곡벽부(6c1)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방으로부터의 부착면(45a)의 확인이 용이하므로, 부착면(45a)을 확인하면서 오일 필터(44)의 착탈이 용이해져, 오일 필터(44)의 메인터넌스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게다가, 부착면(45a)이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의 전방으로 팽출하는 곡벽부(6c1)의 전면의 가상 평면(H)과의 접촉부(6c3)보다도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오일 필터(44)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억제되므로, 내연 기관(E)을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포트(13)에 접속되어 전부 뱅크(4F)의 전방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어지고, 하방에서 좌방으로 굴국하여, 오일 팬(10)의 좌측 벽의 하부가 좌우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을 후방으로 이어지는 배기관의 배치의 자유도가 커진다.
또, 부착부(45)는 곡벽부(6c1)의 전면 및 평벽부(6c2)의 전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고, 게다가 그 내부에 도입 오일로(G4) 및 도출 오일로(G5)가 형성되므로, 그들 오일로(G4, G5)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크랭크 케이스(6)의 전부 벽(6c)이 크랭크실(8) 내로 돌출하지 않아, 크랭크실(8)의 내부 구조가 간소화되어 크랭크 케이스를 소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내연 기관(E)을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비스듬한 하방을 향한 부착면(45a)으로부터 상기 부착면(45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입 오일로(G4)보다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도출 통로(G5)는, 곡벽부(6c1)와 평벽부(6c2)로 형성되는 각부인 하단부(6c1a)의 근방에 형성되므로, 부착부(45)의 내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부착부(45)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작아져, 따라서 오일 필터(44)의 전방으로의 돌출량도 작아져 내연 기관(E)을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의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에 대해, 변경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연 기관(E)은 밀폐된 크랭크실(8)을 갖는 것이었으나, 크랭크실이 밀폐되지 않고 브리저 장치가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통로를 통해 브리저 통로(67)에 연통하는 것이면 되고, 그 경우에는 크랭크실에 통로를 통해 연통하는 전부 동작밸브실에 흡기계의 에어 크리너 하류의 공기가 도입된다. 또, 브리저실 또는 출구관에 PCV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V형 내연 기관(E)은 5기통이었으나, 홀수 기통의 V형 내연 기관이면 되고, 예를 들면 3기통, 7기통 등의 내연 기관이어도 된다. 그리고, 3기통 V형 내연 기관의 경우는, 실린더 블록의 스페이스부는 1기통으로 이루어지는 홀수 기통의 뱅크의 실린더 보어에 인접하는 위치로서, 기통 수가 많은 뱅크인 2기통으로 이루어지는 짝수 기통의 뱅크에 대해, 크랭크축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회전축선 방향에서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3 크랭크 핀(K1, K3)에는 각각 2개의 커넥팅 로드(R1, R2) 및 2개의 커넥팅 로드(R4, R5)가 결합되었으나, 각 크랭크 핀에 1개의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형식의 V형 내연 기관이어도 되고, 또한 2개의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크랭크 핀과, 1개의 커넥팅 로드가 연결되는 크랭크 핀이 크랭크축의 회전축선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혼재하는 형식의 V형 내연 기관이어도 된다.
또, 양 스페이스부(60, 70)에는 양 칸막이벽(61, 73)에 의해 각각 나누어진 2개의 통로(64, 65)와, 브리저 통로(71) 및 복귀 오일로(72)가 형성되었으나, 양칸막이벽(61, 70)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양 통로(64, 65)의 개구부(64a, 65a)의 면적을 합친 면적 이상의 면적의 개구부를 갖는 단일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통로에 브리저 통로와 복귀 오일로를 겸용시켜도 된다. 또, 칸막이벽(73)을 설치하지 않고, 칸막이벽(61)만에 의해 브리저 통로와 복귀 오일로를 형성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뱅크에서 제2 뱅크의 제2 실린더 보어에 대향하는 위치인 제1, 제3 실린더 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부는 최저라도 제2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을 폭을 가지므로, 제1 뱅크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 및 상기 회전축선과 제1 실린더 보어 또는 제3 실린더 보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실린더 블록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상기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는 브리저 통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즉, 브리저 통로는 제1 뱅크에서 최저라도 제2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갖는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므로, 제1 뱅크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 및 상기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형이 되지 않고, 나아가서는 실린더 블록이 대형이 되지 않고, 게다가 실린더 블록이 경량화되고, 또한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가 얻어진다. 또, 브리저 통로의 유로 면적이 커짐으로써, 브리저 통로를 유통하는 블로우 바이 가스의 유속이 낮게 억제되므로, 블로우 바이 가스중에 혼입되어 있는 윤활유 미스트의 분리 효과가 촉진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홀수 기통의 V형 내연 기관의 기통 수가 적은 뱅크에서, 기통 수가 많은 뱅크의 제3 실린더 보어에 대향하는 위치인 제1 실린더 보어 또는 제2 실린더 보어에 인접하는 스페이스부는 기통 수가 많은 뱅크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3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갖는 것으로 하고, 기통 수가 적은 뱅크의 상기 회전축선과 제1 실린더 보어 또는 제2 실린더 보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제1 크랭크 핀에 2개의 커넥팅 로드가 결함됨으로써 회전축선 방향의 폭이 작아진 실린더 블록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상기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는 브리저 통로의 유로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즉, 브리저 통로는 기통 수가 적은 뱅크에 서, 기통 수가 많은 뱅크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서의 폭의 범위 내에서 제3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갖는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므로, 기통 수가 적은 뱅크가 상기 회전축선과 실린더 보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대형이 되지 않고, 나아가서는 제1 크랭크 핀에 2개의 커넥팅 로드가 결합됨으로써 소형화된 실린더 블록의 이점을 저해하지 않고,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가 얻어진다. 또, 브리저 통로의 유로 면적이 커짐으로써, 브리저 통로를 유통하는 블로우 바이 가스의 유속이 낮게 억제되므로, 블로우 바이 가스중에 혼입되어 있는 윤활유 미스트의 분리 효과가 촉진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통 수가 적은 뱅크에 있어서 제1, 제4 실린더 보어 사이 또는 제2, 제5 실린더 보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부는 기통 수가 많은 뱅크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서의 폭의 범위 내에서, 최저라도 제3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가지므로, 기통 수가 적은 뱅크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서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제1, 제3 크랭크 핀에 2개의 커넥팅 로드가 결합됨으로써 회전축선 방향의 폭이 작아진 실린더 블록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크게 하지 않고, 상기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는 브리지 통로의 유로 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즉, 기통 수가 적은 뱅크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에서 대형이 되지 않고, 나아가서는 제1, 제3 크랭크 핀에 2개의 커넥팅 로드가 결합됨으로써 소형화된 실린더 블록의 이점을 저해하지 않고, 게다가 실린더 블록이 경량화되고, 또한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가 얻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스부는 최저라도 또는 기통 수가 많은 뱅크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갖는 것으로 하고, 실린더 블록이 대형이 되지 않고, 충분한 유로 면적을 갖는 브리저 통로 외에도, 충분히 큰 유로 면적을 갖는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를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회전축선 방향에 병렬이 되도록 구분하는 칸막이벽에 의해 블로우 바이 가스와 윤활유의 혼합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용된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즉, 브리저 통로 및 복귀 오일로가 최저라도 또는 기통 수가 많은 뱅크에 대해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린더 보어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의 상기 회전축선 방향의 폭을 갖는 스페이스부에 형성되므로, 실린더 블록이 대형이 되지 않고, 브리저 통로와 함께 충분한 유로 면적을 갖는 복귀 오일로가 얻어져 윤활유의 복귀가 원활해지며, 또한 칸막이벽에 의해 블로우 바이 가스와 윤활유의 혼합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블로우 바이 가스중에 혼입되어 있는 윤활유 미스트의 양이 감소한다.

Claims (4)

  1.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와, 회전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제2, 제3 크랭크 핀을 포함하여 3 이상의 크랭크 핀을 갖는 크랭크 축과, V자를 형성하는 제1, 제2 뱅크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구비한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뱅크에 형성된 제1, 제3 실린더 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3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3 커넥팅 로드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제3 크랭크 핀 사이에 있는 상기 제2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2 뱅크에 형성된 제2 실린더 보어에 끼워지는 제2 피스톤에 연결되는 제2 커넥팅 로드만이 연결되고, 상기 브리저 장치는 상기 제1 뱅크에서 상기 제1, 제3 실린더 보어 사이의 스페이스부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내연 기관.
  2. 크랭크실로부터의 블로우 바이 가스를 흡기계에 환류하는 브리저 장치와, 회전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제2 크랭크 핀을 포함하여 복수의 크랭크 핀을 갖는 크랭크 축과, V자를 형성하는 홀수의 기통을 갖는 제1 뱅크 및 짝수의 기통을 갖는 제2 뱅크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을 구비한 홀수 기통의 V형 내연 기관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실린더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1, 제2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커넥팅 로드가 함께연결되고, 상기 제2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중의 기통 수가 많은 뱅크에 형성된 제3 실린더 보어에 끼워지는 제3 피스톤에 연결되는 제3 커넥팅 로드만이 연결되고, 상기 브리저 장치는 상기 제1, 제2 뱅크중의 기통 수가 적은 뱅크에서 상기 제1 실린더 보어 또는 상기 제2 실린더 보어에 대해, 상기 제1 크랭크 핀에 대해 상기 제2 크랭크 핀이 인접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인접하는 스페이스부에 형성된 브리저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내연 기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은 상기 제2 크랭크 핀에 대해 상기 제1 크랭크 핀이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제3 크랭크 핀을 갖고, 상기 제3 크랭크 핀에는 상기 제1, 제2 뱅크에 각각 형성된 제4, 제5 실린더 보어에 각각 끼워지는 제4, 제5 피스톤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제5 커넥팅 로드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스페이스부는 상기 제1, 제4 실린더 보어 사이 또는 상기 제2, 제5 실린더 보어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내연 기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부에는 윤활유의 복귀 오일로(路)가 형성되고, 상기 브리저 통로와 상기 복귀 오일로 사이에, 양자가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병렬이 되도록 구분하는 칸막이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내연 기관.
KR10-2001-0081626A 2000-12-20 2001-12-20 브이형 내연 기관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7707 2000-12-20
JP2000387707A JP3867837B2 (ja) 2000-12-20 2000-12-20 内燃機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176A KR20020050176A (ko) 2002-06-26
KR100450289B1 true KR100450289B1 (ko) 2004-09-24

Family

ID=1885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6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289B1 (ko) 2000-12-20 2001-12-20 브이형 내연 기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66183B2 (ko)
EP (1) EP1217182B1 (ko)
JP (1) JP3867837B2 (ko)
KR (1) KR100450289B1 (ko)
CN (1) CN1196851C (ko)
DE (1) DE60124206T2 (ko)
TW (1) TW542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7837B2 (ja) * 2000-12-20 2007-0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2004084646A (ja) * 2002-08-29 2004-03-18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
US6978756B2 (en) 2002-09-16 2005-12-27 Brp-Rotax Gmbh & Co. Kg Lubrication system for a power plant
JP4563824B2 (ja) * 2005-01-18 2010-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
JP4593393B2 (ja) * 2005-07-19 2010-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ブリーザ室の配置構造
JP4912740B2 (ja) * 2006-05-17 2012-04-11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2サイクルエンジン
JP4430658B2 (ja) 2006-12-22 2010-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エンジン
WO2008120239A1 (en) * 2007-03-30 2008-10-09 Tata Motors Limited A novel inline two cylinder multi point fuel injection four-stroke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spark ignition engine
JP4738398B2 (ja) * 2007-11-14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構造
US8763570B2 (en) * 2011-09-14 2014-07-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including multiple bore center pitch dimensions
US8925501B2 (en) * 2012-02-08 2015-0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rankshaf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317545A (zh) * 2014-07-13 2016-02-10 徐建宁 双连杆液压发动机
US10655536B1 (en) 2017-05-24 2020-05-19 Indian Motorcycle International, LLC Engine
US10589621B1 (en) 2017-05-24 2020-03-17 Indian Motorcycle International, LLC Two-wheeled vehicle
US10371249B1 (en) * 2017-05-24 2019-08-06 Indian Motorcycle International, LLC Engi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600A (en) * 1982-05-24 1984-1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ct odd cylinder V-type engine
US4656991A (en) * 1984-12-04 1987-04-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reath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95712A (ja) * 1988-09-30 1990-04-06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回収装置
JPH05272325A (ja) * 1992-03-25 1993-10-19 Suzuki Motor Corp V型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9990036886A (ko) * 1997-10-08 1999-05-25 나까무라히로까즈 V형 엔진
EP1217182A1 (en) * 2000-12-20 2002-06-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399A (en) * 1983-03-03 1985-09-17 Mazda Motor Corporation Breather arran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194018A (ja) * 1983-04-18 1984-11-02 Mazda Motor Corp V型エンジン
US4603673A (en) * 1984-03-03 1986-08-05 Mazda Motor Corporation Breather devic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285110A (ja) * 1985-10-11 1987-04-18 Yamaha Motor Co Ltd V形エンジンのブロ−バイガス回収装置
US4771745A (en) * 1986-03-22 1988-09-20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i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47209A (en) 1987-06-30 1989-01-11 Fujitsu Ltd Testing load for direct current output stabilized power source
JP2678294B2 (ja) * 1988-09-13 1997-11-17 マツダ株式会社 V型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H0723531Y2 (ja) * 1988-10-18 1995-05-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FR2664654B1 (fr) * 1990-07-11 1992-11-06 Peugeot Carter cylindres de moteur avec circuit d'evacuation des gaz du carter et de recyclage d'huile.
JP4119023B2 (ja) * 1998-11-25 2008-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におけるブリーザ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600A (en) * 1982-05-24 1984-1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act odd cylinder V-type engine
US4656991A (en) * 1984-12-04 1987-04-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reath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95712A (ja) * 1988-09-30 1990-04-06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回収装置
JPH05272325A (ja) * 1992-03-25 1993-10-19 Suzuki Motor Corp V型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9990036886A (ko) * 1997-10-08 1999-05-25 나까무라히로까즈 V형 엔진
EP1217182A1 (en) * 2000-12-20 2002-06-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188424A (ja) * 2000-12-20 2002-07-05 Honda Motor Co Ltd V型内燃機関
US6666183B2 (en) * 2000-12-20 2003-12-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4206D1 (de) 2006-12-14
EP1217182A1 (en) 2002-06-26
CN1196851C (zh) 2005-04-13
JP2002188424A (ja) 2002-07-05
TW542871B (en) 2003-07-21
JP3867837B2 (ja) 2007-01-17
US6666183B2 (en) 2003-12-23
US20020073980A1 (en) 2002-06-20
DE60124206T2 (de) 2007-03-01
CN1360138A (zh) 2002-07-24
EP1217182B1 (en) 2006-11-02
KR20020050176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289B1 (ko) 브이형 내연 기관
US20080178829A1 (en) Cylinder head for an overhead-cam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 incorporating same, and vehicle incorporating the engine
EP2034141B1 (en) A lubricating device, engine equipped therewith and lubricating method
JP4960901B2 (ja)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00339509B1 (ko) 크랭크 케이스 부재들 사이에 블로우바이 가스 통로를갖춘 엔진 크랭크 케이스 환기 시스템
US20110061627A1 (en)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942693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US7156060B2 (en) Cam drive gear and valve operating system drive gear for engine
JP4493870B2 (ja) 多気筒4サイクル内燃機関
JP2010500500A (ja) 内燃エンジン用クランクケース
JP4219087B2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ス
CA2413643C (en) Ohv engine
KR100413544B1 (ko) 버티컬 엔진
JP4175816B2 (ja) 4ストローク内燃機関のブリーザ装置
JP4405377B2 (ja) V型エンジンのテンショナリフタ取付け構造
JP4593393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ブリーザ室の配置構造
JP4467916B2 (ja) 内燃機関のブリーザ装置
JP4270950B2 (ja) エンジンのピストン冷却構造
JP4549871B2 (ja) ドライサンプ式潤滑装置を備える内燃機関
EP1207277B1 (en) Oil pump mounting structure for engine
JP3892948B2 (ja) 船外機用dohc型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2213221A (ja) エンジンにおけるオイルポンプ取付け構造
CA2360045C (en) Four-cycle engine
JPH11182221A (ja) エンジンの潤滑油戻し構造
JPH1162537A (ja) 船外機用エンジンの潤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9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9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