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7258B1 -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258B1
KR100447258B1 KR1019970030311A KR19970030311A KR100447258B1 KR 100447258 B1 KR100447258 B1 KR 100447258B1 KR 1019970030311 A KR1019970030311 A KR 1019970030311A KR 19970030311 A KR19970030311 A KR 19970030311A KR 100447258 B1 KR100447258 B1 KR 10044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capacitor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089A (ko
Inventor
박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7003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2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0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25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41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042Manufacture or treatment of 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using deposition processes to form electrode extens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정된 삼차원적 구조의 하부전하저장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하저장전극 구조중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을 크게 형성하여 후속공정인 유전체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반도체소자의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형 저장전극 측벽 ( fence ) 의 뾰족한 부분과 같이 전계가 집중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을 증가시켜 전계의 집중현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가 고집적화되어 셀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저장전극의 표면적에비례하는 정전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단위셀이 하나의 모스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디램 소자는 칩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크게하면서, 면적을 줄이는 것이 디램 소자의 고집적화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래서, ( εo × εr × A) / T ( 단, 상기 εo 는 진공유전율, 상기 εr 은 유전막의 유전율, 상기 A 는 캐패시터의 면적 그리고 상기 T 는 유전막의 두께 ) 로 표시되는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C 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전상수가 높은 물질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거나, 유전체막을 얇게 형성하거나 또는 저장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각각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실린더형 하부전하저장전극 형성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반도체가판(미도시) 상부에 하부절연층(1)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절연층(1)은 소자분리절연막(미도시), 게이트산화막(미도시), 게이트전극(미도시) 또는 비트라인(미도시)이 형성하고, 비.피.에스.지. ( BPSG : Boro Phospho Silicate Glass, 이하에서 BPSG 라 함 ) 와 같이 플로우가 잘되는 절연물질로 형성한다. 그 다음에, 콘택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반도체기판의 예정된 부분, 즉 불순물 확산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2)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택홀(2)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의 예정된 부분에 접속되는 제1 다결정실리콘막(3)을 소정두께 형성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 희생산화막(미도시)을소정두께 형성한다.
그 다음에, 저장전극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희생산화막과 제1 다결정실리콘막(3)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때, 상기 식각공정은 하부절연층(1)을 식각장벽으로 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전체표면상부에 제2 다결정실리콘막(6)을 소정두께 형성하고 이를 이방성식각하여 상기 희생산화막과 제1 다결정실리콘막(3)의 측벽에 제2 도전층 스페이서(6)를 형성한다.
이때, 제2 도전층 스페이서(6)는, ⓐ 부분과 같은 뾰족한 부분과, ⓑ 부분과 같은 각진 부분처럼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은, 전하들이 집중되어 부분적으로 전기장이 강해져 후속공정으로 형성된 유전체막이 강한 응력 ( stress ) 이나 열전자에 의하여 손상되기 쉽고, 단차피복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상기 ⓐ 부분과 같이 뾰족한 부분은 후속공정시 부러지기 쉬워 소자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며, 파티클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은, 저장전극의 구조중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에 전계가 집중되어 유발되는 유전체막의 손상과 단차피복성의 악화로 인하여 반도체소자의 수율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을 크게 함으로써 후속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반도체소자의 수율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절연층 2 : 콘택홀
3 : 제1 다결정실리콘막 4 : 희생산화막
5 : 감광막 6 : 제2 다결정실리콘막 스페이서
8 : 산화막 9 : 제2 다결정실리콘막의 잔유물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의 소정 영역에 접속되는 제1 도전층과 희생절연막의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도전층과 희생절연막 측벽에 제2 도전층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희생절연막을 일정두께 부분식각하여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산화된 부분과 희생절연막을 제거하되, 상기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스페이서 및 희생 절연막의 교차부분에 상기 희생절연막을 남기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미도시) 상부에 하부절연층(1)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절연층(1)은 소자분리절연막, 게이트산화막, 게이트전극 또는 비트라인이 형성되고, 비.피.에스.지. ( BPSG : Boro Phospho Silicate Glass, 이하에서 BPSG 라 함 ) 와 같이 플로우가 잘되는 절연물질로 평탄화된 것이다.
그 다음에, 콘택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상기 반도체기판의 예정된 부분, 즉 불순물 확산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홀(2)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택홀(2)을 매립하는 제1 도전층(3)을 다결정실리콘으로 증착하고, 그 상부에 희생산화막(4)과 감광막(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저장전극마스크(미도시)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감광막(5)을 패터닝하여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희생산화막(4)과 제1 도전층(3)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때, 상기 식각공정은 하부절연층(1)을 식각장벽으로 하여 실시한다. 그 다음에,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체표면상부에 제2 도전층(미도시)을 다결정실리콘으로 형성하고, 이를 이방성식각하여 제2 도전층 스페이서(6)를 형성한다.
그리고, 희생산화막(4)을 일정두께 상부로부터 부분식각하여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뾰족한 부분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반도체기판의 외부로 노출된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표면을 얇게 산화시켜 산화막(8)을 형성한다. 이때, "9" 는 제2 도전층 스페이서(6) 형성공정시 남은 것으로 방치시 후속공정에서 브릿지(bridge)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표면 산화시 산화막으로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뾰족한 부분의 산화속도가 뾰족하지 않은 부분의 산화속도보다 빠르므로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뾰족한 부분은 산화 속도가 빠르게 되어 산화막(8) 하부의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뾰족한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산화막(8,9)과 희생산화막(4)을 식각하되, 구석진 부분 예를 들어 제1 다결정실리콘막(3), 제2 도전층 스페이서(6) 및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교차부분에 형성되는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에 희생산화막(4)을 일정부분 남긴다.
그 다음, 전체표면상부에 유전체막(10)을 증착한다.
이때, 희생산화막(4)이 남아있는 부분 ⓓ 는, 유전체막(10)의 곡률반경을 크게 하여 전계의 집중현상을 완화시키고, 희생산화막(4)의 단차피복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2 도전층 스페이서(6)의 뾰족한 부분, 즉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1의 ⓐ 부분을 ⓒ 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곡률반경을 크게 하여 전계의 집중현상을 완화시킨다.
후속공정으로, 상부전하저장전극인 플레이트전극(미도시)을 형성하여 신뢰성 높은 삼차원적 저장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에 충분한 정전용량을 갖는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린더형 뿐만아니라 다른 형태의 삼차원적 구조를 갖는 캐패시터의 형성방법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은, 삼차원적 구조를 갖는 하부전하저장전극에서 곡률반경이 작은 부분을 크게 하여 전계의 집중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후속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반도체기판의 소정 영역에 접속되는 제1 도전층과 희생절연막의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도전층과 희생절연막 측벽에 제2 도전층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희생절연막을 일정두께 부분식각하여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 도전층 스페이서의 산화된 부분과 희생절연막을 제거하되, 상기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스페이서 및 희생 절연막의 교차부분에 상기 희생절연막을 남기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19970030311A 1997-06-30 1997-06-30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311A KR10044725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311A KR10044725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089A KR19990006089A (ko) 1999-01-25
KR100447258B1 true KR100447258B1 (ko) 2004-11-03

Family

ID=373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3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258B1 (ko) 1997-06-30 1997-06-30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2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024A (ja) * 1987-05-19 1988-11-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40012630A (ko) * 1992-11-04 1994-06-24 기다오까 다까시 커패시터를 가지는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024A (ja) * 1987-05-19 1988-11-2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40012630A (ko) * 1992-11-04 1994-06-24 기다오까 다까시 커패시터를 가지는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089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30245A (ja)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形成方法
US5502336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780156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0183764B1 (ko) 랜딩 패드 형성방법
KR100447258B1 (ko)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JP3185747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104666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3376B1 (ko) 반도체 디바이스
KR0122752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709439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419748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431819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JPH09331043A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0166030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05401B1 (ko)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형성방법
KR20040008419A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015578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매몰접촉창 형성방법
KR016649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195837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콘택 형성방법
KR10033881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950013385B1 (ko) 고집적 소자용 콘택형성방법
KR100612554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6467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970010773B1 (ko) 디램(dram) 제조 방법
KR100190304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8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8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