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3709B1 -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 Google Patents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709B1
KR100443709B1 KR10-2002-0011539A KR20020011539A KR100443709B1 KR 100443709 B1 KR100443709 B1 KR 100443709B1 KR 20020011539 A KR20020011539 A KR 20020011539A KR 100443709 B1 KR100443709 B1 KR 10044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lastic
bar
support plate
sepa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23A (ko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규 filed Critical 최창규
Priority to KR10-2002-001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7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7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 상에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의 상부봉(50)과, 상기 상부봉(50)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30)을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상기 상부봉(50)과 상기 받침판(30)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60)을 상하로 연결하며, 상기 받침판(30)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봉(40)의 걸림부(46) 저면과 상기 상부봉(50)의 걸림막대(52) 상측면 사이에 완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보조 탄성수단을 삽입 설치하여, 외부 충격에 대해 유연하게 잘 휘어지고, 원상회복력이 뛰어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Flexible bar for division of median line}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측의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을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상기 상부봉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을 상하로 연결하며, 상기 받침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완충공간을 두고 그사이에 보조 탄성수단을 삽입 설치하여, 외부 충격에 대해 유연하게 잘 휘어지고 신속한 원상회복이 가능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증하는 차량으로 인해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차량간에 접촉사고를 비롯한 중앙선 침범 등으로 인하여 인명을 앗아가는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 교통시설물이 안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안전 교통시설물 중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급커브 구간이나 고속도로, 국도, 산업도로 등 많은 장소에서 도로의 중앙선상에 길이방향으로 적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주행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중앙선 침범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며, 야간운행시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선형을 인지토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부 고무봉(2)과, 상기 상부 고부봉(2)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 고무봉(3)과, 상기 하부 고무봉(3)의 하측에 결합되는 표지병(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고무봉(2) 및 하부 고부봉(3)은 복원성 및 완충성을 위하여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며, 외면에는 다수개의 고휘도 반사 테이프(5)를 부착하여 야간운행 시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고휘도 반사 테이프(5)는 일정크기, 간격으로 부착하며, 상기 상부 고무봉(2)의 하단에는 주름부(2a)를 형성하여 충격완화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 고무봉(2)에 삽입식으로 고정되는 하부 고무봉(3)의 하단에는 스프링(6)을 고정 결합시켜 외부충격으로부터 원형복귀가 극히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6)은 표지병(4)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6)의 나선에 부합되는 암나사(7)를 표지병(4)에 형성하여, 상기 표지병(4)과 하부 고무봉(3)이 분해 및 조립 가능토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지병(4)에는 4면에 반사경(8)을 고정하여 차량 충돌로 인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파손시 교체 및 복구될 때까지 도로의 중앙선 분리대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지병(4)에 형성된 암나사(7)의 하측으로는 우천시 물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공(10)이 형성되며, 표지병(4)의 하단에는 이를 도로에 매설 고정할 수 있도록 매설돌편(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에 드릴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표지병(4) 하단에 형성된 매설돌편(9)이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매설공을 형성한 후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채우고 상기 표지병(4)을 삽입 고정하면,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므로, 차량이 상기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복원성과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고무봉(2) 및 하부 고무봉(3)이 1차로 완충을 행하게 되며, 또한 스프링(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재차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구조에 의하면, 고무재질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이 뜨거운 날씨와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 그리고 추운 날씨의 변화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접촉 시, 외부충격을 받은 후 복원되는 시간이 느리고, 상기 탄력봉이 일체형일 경우에는 쉽게 꺽이거나 부러지는 단점이 있고, 분리형인 경우에는 봉의 연결부가 쉽게 파손되어 상하가 이탈되며, 파손된 파편이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중인 차량에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의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을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상기 상부봉과 받침판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을 상하로 연결하며, 상기 받침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완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보조 탄성수단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완충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 인한 꺽임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와 하부봉의 걸림부에 의해 하부봉에 대해 상부봉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탄성줄에 의해 외부 충격 시 유연하게 잘 휘어지고 신속한 원상회복이 가능한 분리용 탄력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탄성줄과 받침판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 조립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받침판 31: 볼트구멍
33: 돌출테 40: 하부봉
44: 삽입부 46: 걸림부
48: 삽입홈 50: 상부봉
52: 걸림막대 53: 안착홈
56: 고정돌기 57: 걸림공
60: 탄성줄 70: 스프링
80: 통공 82: 이음공
84: 이음돌기 86: 상부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 분리용으로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구로 노면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원형으로 만곡면을 가지면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테를 갖는 받침판과;
상기 돌출테의 내부 중앙에 몸체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 외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삽입부를 갖도록 다수개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봉의 삽입부를 통해 끼워지도록 하부 내부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막대가 형성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상하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봉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과;
상기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하여 상기 상부봉이 복원될 때, 보조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 조립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탄성줄과 받침판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측의 상부봉(50)과, 상기 상부봉(50)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30)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만곡면을 가지면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테(33)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봉(50)이 상기 돌출테(33)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봉(50)은 복원성 및 완충성을 위하여 탄성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제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부면상에는 야간운행 시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고휘도 반사테이프(65)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봉(50)의 외부면상에 야광을 위한 발광페인트 등이 도색될 수도 있으며, 상부봉(50) 자체에 야광표시를 위한 형광물질이 함유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3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볼트(25) 등의 체결구로 노면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구멍(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3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테(33)의 내부 중앙에는 원통 형상의 하부봉(4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봉(40)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몸체(42)의 상측 외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림부(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부(46) 사이에는 삽입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각 걸림부(46)의 저면에는 후술할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4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42) 외부에는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봉(40)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봉(50)은 하측이 개방된 중공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봉(40)의 삽입부(44)를 통해 끼워지도록 하부 내부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막대(5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막대(52)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5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봉(50)이 하부봉(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봉(50)의 내부면상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막대(52)는 하부봉(40)의 삽입부(44)를 통과한 다음 일정각도 회전되어 몸체(42)의 외부면상에 접촉되어 놓이게 되는데, 상기 걸림막대(52)의 상측면에 형성된 안착홈(53)과 상기 하부봉의 걸림부(46)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 (48)사이에 스프링(70)이 각각 삽입 설치된다.
상기 걸림막대(52)는 상기 몸체(42)의 외부면상에 접촉되어 놓인 상태에서 몸체(42)의 상측 외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부(46)와의 사이에 충분한 완충공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상부봉(50)의 걸림막대(52)와 하부봉(40)의 걸림부(46)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봉(50)은 상기 하부봉(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받침판(3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테(33)의 내부에 놓이게 되는데, 상기 상부봉(50)의 외경은 상기 돌출테(33)의 내경에 비해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테(33)의 내측면은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테(33)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봉(50)이 충분히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봉(50)과 받침판(30) 사이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줄(60)이 상하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줄(60)의 연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상부봉(50)의 상부 내부면상에 걸림공(57)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돌기(56)가 형성되고, 상기 각 걸림공(57)을 통해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줄(60)이 각 고정돌기(56)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탄성줄(60)은 일측이 상기 걸림공(57)을 통해 고정돌기(56)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상기 받침판(30)에 고정되어 상하로 연결되는데,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30)의 저면 중앙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요홈부(35)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35)의 중앙은 천공되어 상기 하부봉(4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6)의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요홈부(35)내에서 상기 관통공(36)의 외부에 걸릴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고정공(39)을 갖는 고정부재(38)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56)로부터 이어지는 탄성줄(60)이 하부봉(40)의 중앙 내부를 지나, 상기 관통공(36)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부재(38)에 형성된 고정공(39)에 어느 정도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줄(60)이 상부봉(50)과 받침판(30) 사이에 상하로 연결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줄(60)이 상하로 연결되는 또 다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분해 조립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봉(50)의 상부 끝단은 천공되어 상기 상부봉(5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8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80)을 폐쇄할 수 있는 상부덮개(86)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덮개(86)의 저면에는 이음공(82)을 갖는 이음돌기(84)가 형성되어, 상기 이음공(82)을 통해 탄성줄(60)의 일측이 상기 이음돌기(84)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판(30) 저면의 고정부재(38)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줄(60)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하로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측의 상부봉(50)과, 상기 상부봉(50)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봉(50)과 상기 받침판(30)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60)이 상하로 연결되며, 상기 받침판(30)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봉(40)의 걸림부(46) 저면과 상기 상부봉(50)의 걸림막대(52)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에 스프링(7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부봉(50)과 받침판(30)이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외부충격에 대한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봉(50)이 하부봉(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봉(50)의내부면상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막대(52)는 하부봉(40)의 삽입부(44)를 통과한 다음 일정각도 회전되어 몸체(42)의 외부면상에 접촉되어 놓이게 되는데, 상기 하부봉(40)에는 걸림턱(47)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막대(52)가 상기 걸림턱(47)에 걸림으로써 상부봉(50)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봉(40)의 상측 외부를 따라 형성된 걸림부(46)에 의해 상기 상부봉(5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상기 받침판(30)에 형성된 볼트구멍(31)을 통해 볼트(25) 등의 체결구로 도로의 중앙선 노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의 운전부주의 등으로 인해 상기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이 차량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50)이 돌출테(33) 내에서 좌우 유동하여 휘어졌다가, 고정돌기(56)에 형성된 걸림공(57)과 받침판(30) 사이에 상하로 연결된 탄성줄(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봉(50) 걸림막대(52)와 상기 하부봉(40)의 걸림부(46)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70)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봉(50)의 꺽임이 방지되고, 더 나아가 상기 스프링(70)이 보조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부봉(50)이 보다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봉(50)과 받침판(30) 사이에 탄성줄(60)이 상하로 연결되는 구조는, 상부에서 각 고정돌기(56) 고정된 탄성줄(60)이 각각 이어져 내려오다가 결합핀(58)을 기준으로 하부에서는 1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30)에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연결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봉(50)의 상부 내부면상에 형성되는 고정돌기(56)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고정돌기(56)에 각각 고정 연결된 다수개의 탄성줄(60)이 각각 별도로 하부까지 이어져 내려와(상, 하부에서 일자로 연결) 상기 받침판(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86)의 이음돌기(84)와 받침판(30) 사이에 탄성줄(60)이 일자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봉(50)의 상부에서는 탄성줄(60)이 1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내려오다가 하부에서는 다수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3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줄(60)이 상부봉(50)의 상, 하부에서 모두 다수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봉(50)과 받침판(30)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60)이 어떠한 구조로 연결되든지 본 발명의 효과는 동일하게 얻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탄성줄(60)의 어느 한 연결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봉(40)의 걸림부(46) 저면과 상기 상부봉(50)의 걸림막대(52) 상측면 사이에 스프링(70) 대신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지닌 다른 탄성수단이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의하면, 상측의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의 하측에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받침판을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상기 상부봉과 받침판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을 상하로 연결하며, 상기 받침판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완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보조 탄성수단을 삽입 설치하여, 상기 완충공간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 인한 꺽임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와 하부봉의 걸림부에 의해 하부봉에 대하여 상부봉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하로 연결되는 상기 탄성줄에 의해 외부 충격 시 유연하게 잘 휘어지고 신속한 원상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도로의 중앙선 분리용으로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구로 노면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원형으로 만곡면을 가지면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테를 갖는 받침판과;
    상기 돌출테의 내부 중앙에 몸체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 외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다수의 삽입부를 갖도록 걸림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하부봉과;
    상기 하부봉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하부봉의 삽입부를 통해 끼워지도록 하부 내부면상에 다수개의 걸림막대가 형성되는 상부봉과;
    상기 상부봉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상하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봉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줄과;
    상기 하부봉의 걸림부 저면과 상기 상부봉의 걸림막대 상측면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에 대하여 상기 상부봉이 복원될 때, 보조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봉 몸체의 외부에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봉의 외부면상에 야광표시를 위한 형광물질을 함유하는 다수개의 고휘도 반사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탄성수단은 상기 걸림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걸림막대의 상측면에 형성된 안착홈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은 그 일측이 상기 상부봉의 상부 내부면상에 구비된 걸림공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판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부에서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상하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은 그 일측이 상기 상부봉의 상부 끝단에 구비된 상부덮개에 형성된 이음공을 갖는 이음돌기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판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부에서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상하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2002-0011539A 2002-03-05 2002-03-05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Expired - Lifetime KR10044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39A KR100443709B1 (ko) 2002-03-05 2002-03-05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539A KR100443709B1 (ko) 2002-03-05 2002-03-05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922U Division KR200249096Y1 (ko) 2001-06-23 2001-06-23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23A KR20030001223A (ko) 2003-01-06
KR100443709B1 true KR100443709B1 (ko) 2004-08-11

Family

ID=2772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539A Expired - Lifetime KR100443709B1 (ko) 2002-03-05 2002-03-05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7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186A (zh) * 2014-10-10 2016-04-13 无锡梓昱安全用品科技有限公司 防护栏的支撑座
CN105568901A (zh) * 2014-10-10 2016-05-11 无锡梓昱安全用品科技有限公司 安防用的强化板
CN109914303A (zh) * 2019-04-09 2019-06-21 翟玉峰 一种路桥防撞护栏
KR20230126076A (ko) 2022-02-22 2023-08-29 배수호 차량진입 예방 및 보행자의 안전보호기능을 드높인 도로용 차단봉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한 차단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92B1 (ko) * 2006-10-30 2007-11-08 (주)이레이앤엘 다리의 난간연결장치
KR100858113B1 (ko) * 2007-01-10 2008-09-16 주식회사 진영알앤에스 도로 중앙분리대용 완충장치
KR100756544B1 (ko) * 2007-03-09 2007-09-06 김형기 차선 규제봉
KR100804094B1 (ko) * 2007-10-12 2008-02-18 주은스틸아트 (주) 탄력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186A (zh) * 2014-10-10 2016-04-13 无锡梓昱安全用品科技有限公司 防护栏的支撑座
CN105568901A (zh) * 2014-10-10 2016-05-11 无锡梓昱安全用品科技有限公司 安防用的强化板
CN109914303A (zh) * 2019-04-09 2019-06-21 翟玉峰 一种路桥防撞护栏
KR20230126076A (ko) 2022-02-22 2023-08-29 배수호 차량진입 예방 및 보행자의 안전보호기능을 드높인 도로용 차단봉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한 차단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23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3452A1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KR100443709B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US20190257044A1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JP3162007B2 (ja) 道路標識柱
KR200249096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284962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1086071B1 (ko) 시선 유도봉
KR10054513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167934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1751256B1 (ko) 시선유도 표지병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1414511B1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52836Y1 (ko) 안전표시봉
KR20060099890A (ko) 차선 규제봉
KR200252796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03551Y1 (ko) 자동차 진입 금지봉
KR200211955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101281500B1 (ko) 충격흡수 안전 표지병
KR200227504Y1 (ko) 교통안전 표시봉
KR100541747B1 (ko) 실린더형 충격복원 차선 규제봉
KR200277414Y1 (ko) 도로표지병
KR101766424B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20305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2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