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9532B1 -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 Google Patents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532B1
KR100439532B1 KR10-2001-0039493A KR20010039493A KR100439532B1 KR 100439532 B1 KR100439532 B1 KR 100439532B1 KR 20010039493 A KR20010039493 A KR 20010039493A KR 100439532 B1 KR100439532 B1 KR 10043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hylococcus aureus
aph
antibiotic resistance
methicillin
p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576A (ko
Inventor
윤병수
김승한
이동건
최정현
신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메드
Priority to KR10-2001-003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5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 균종에 감염된 시료로부터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Ia)를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PCR 기법(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method), 이를 위한 PCR 프라이머 및 이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검사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 멀티플렉스 PCR{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rapidly detecting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lococcus strains}
본 발명은 포도상구균 균종에 의해 감염된 시료로부터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Ia)를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PCR 기법, 이를 위한 PCR 프라이머 및 이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검사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17.2%)은 수술부위감염(28.3%), 폐렴(23.5%), 균혈증(15.5%) 등을 유발시키므로, 이를 치료하기 위한 많은 항생제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균주가 증가하고 있어 감염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경우에는 병원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중 메티실린 내성균의 비율이 1975년 2.4%에서 1996년에 35%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60년대까지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의 보고가 없었으나, 1977년 박 등의 보고에서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이 약 5%를 차지한다고 보고되었고, 1980년 이후 그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최근에는 70~80%를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참고문헌 1).
또한, 황색 포도상구균과 마찬가지로 대다수의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도 메티실린 내성을 보여 invasive monitoring, 혈관내 카테터(intravascular catheters), 인공심판막(prosthetic heart valves) 또는 관절(joint)과 관련된 원내 균혈증(bacteremia)에 중요한 원인균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따라서, 내성균들에 대해서도 감수성을 갖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그 결과,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균종에 대한 항생제로서 반코마이신 (vancomycin)과 같은 글리코펩티드계 항생제가 개발되어 선택약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에 의한 심내막염과 같은 심부 감염에서는 반코마이신을 단독 사용할 경우에는 치료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다. 따라서, 반코마이신과 병합사용할 때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내성 포도상구균에높은 감수성을 갖는 리팜핀(Rifampin)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는데, 이들 연구에 대한 결과는 매우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참고문헌 9~15).
한편, 30S 리보솜의 서브유닛(Ribosomal subunit)에 결합하여 감염균내의 단백질 생합성을 억제하여 항생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가 유럽 등에서 중증 포도상구균증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19~21). 특히,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중에서 젠타마이신 (Gentamycin)과 토브라마이신(Tobramycin)은 포도상구균증에 대한 가장 강력한 항생제로서, 감염균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β-락탐계 항생제(예를 들면,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모노백텀(monobactam), 카르바페넴(carbapenem)) 또는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더욱이,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는 주로 초기 6시간이내에 살균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후기효과가 주를 이루는 β-락탐계 항생제 또는 글리코펩타이드 항생제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균의 재성장을 억제하는데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22~23).
따라서, 환자가 포도상구균 균종에 감염되었을 경우 β-락탐계 항생제 또는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와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를 병용하여 치료에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대해서도 내성을 갖는 세균이 존재하여 치료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감염된 균이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균인지를 확인하여 적합한 항생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결국, 환자가 포도상구균 균종에 감염되었을 경우, 이들이 β-락탐계 항생제또는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인지 또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인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정하여야만 감염환자들의 치료시 적합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시료에서 균을 분리하여 배양하고, 동정한 다음, 다시 생화학적 검사에 의해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료로부터 균을 분리하고 배양하는데 하루 이상이 소요되고, 또한 감수성 검사에도 하루 이상이 소요되므로(참고문헌 29), 빠르고, 신속하게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이하 ˝PCR˝이라 함)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포도상구균에 메티실린 내성을 부여하는mecA유전자를 PCR로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참고문헌 30~33).
그러나, 이 방법은 β-락탐계 항생제인 메티실린에 대한 내성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별도로 판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감염환자가 지닌 포도상구균 균종이 메티실린 및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지를 동시에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의 활성을 나타내는 아미노글리코시드의 구조를 변형시켜 내성을 유발하는 효소들로서, 아세틸트랜스퍼라제 (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aac,o-뉴클레티딜트랜스퍼라제(o-nucletidyl-transferases)를 코딩하는anto-포스포트랜스퍼라제(o-phosphotransferases)를 코딩하는aph를 PCR로 검출하는 방법을 착안하였다.
이러한 유전자로는aac(6´)-Ⅰe+aph(2˝), aph(3´)-Ⅲa, ant(4´)-Ia등이 있는데,aac(6´)-Ⅰe+aph(2˝)은 2관능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로서, 포도상구균과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에 젠타마이신(gentamicin), 토브라마이신 (tobramycin) 및 카나마이신(Kanamycin)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며, 플라즈미드인 pSK1, pSK41군 내에 Tn4001의 의한 트랜스포존(transposon) 형태로 존재하고, 다양한 플라즈미드 및 염색체 DNA에서 발견되는 유전자이다.ant(4´)-Ⅰa은 네오마이신(Neomycin) 카나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및 아미카신(amikacin)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고, 초기에는 작은 플라즈미드에서 pSK41과 같은 큰 플라즈미드로 삽입된 후 추측컨데 IS-257 재조합의 결과로 연속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의 염색체상의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인 mecA 부근으로 삽입되어지는 유전자이다(참고문헌 25~27). 또한,aph(3´)-Ⅲa는 포도상구균에서 네오마이신과 카나마이신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며, Tn5405에 의한 트랜스포존 형태로 존재하고, 염색체와 플라스미드 모두에 존재하는 유전자이다(참고문헌 28).
따라서, 감염환자가 지닌 포도상구균 균종의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aac(6´)-Ⅰe+aph(2˝), aph(3´)-Ⅲaant(4´)-Ⅰa유전자도 mecA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PCR 방법으로 검출하고자 하였으나, 이 또한 각각의 유전자들에 대한 검출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4종의 유전자에 대한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공통의 반응조건을 갖는 프라이머를 개발하고자 하였고,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Ⅰa유전자 각각의 PCR용 프라이머를 합성하였으며, 4쌍의 프라이머 모두를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하여 1회의 PCR 수행으로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Ⅰa각각에 대한 PCR용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4종의 유전자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Ⅰa각각에 대한 PCR용 프라이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4쌍의 프라이머를 동시에 이용하여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PCR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4쌍의 검출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검사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12 균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멀티플렉스 PCR 기법을 수행한 결과 및 감수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괄호는 젠타마이신과 옥사실린의 최소억제농도 (㎍/㎖)이다).
레인 M ... 표지 DNA
레인 1 ... 유전자aph(3´)-Ⅲaaac(6´)-Ⅰe+aph(2˝)를 가지고 있는 엔테로콕쿠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BM6217 균주
레인 2 ... 유전자mecA를 갖고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 USS1504
레인 3 ... 유전자ant(4´)-Ⅰa를 가지고 있는 황색 포도상구균 BM 3002/ pIP524
레인 4 ... 4종의 유전자형을 모두 포함한 성모병원 분리주 SM 16
레인 5 ...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 포도상구균
(젠타마이신(GM) > 128 ㎍/㎖, 옥사실린(Ox): 0.25 ㎍/㎖)
레인 6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GM: 0.25 ㎍/㎖, Ox > 256 ㎍/㎖)
레인 7 ...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GM: 64 ㎍/㎖, Ox: 16 ㎍/㎖)
레인 8 ...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 포도상구균
(GM: 32 ㎍/㎖, Ox: 0.25 ㎍/㎖)
레인 9 ...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GM < 0.125 ㎍/㎖, Ox < 0.125 ㎍/㎖)
레인 10... 메티실린 내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GM > 256 ㎍/㎖, Ox > 256 ㎍/㎖)
레인 11...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GM < 0.125 ㎍/㎖, Ox < 0.125 ㎍/㎖)
레인 12...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GM < 0.125 ㎍/㎖, Ox: 2 ㎍/㎖)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Ⅰa각각의 PCR용 프라이머는 NCBI Genebank에서 찾은 각각의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기초하여 합성한 것이다.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기법은 한쌍의 프라이머 - Forward 프라이머와 Reverse 프라이머 -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들 프라이머의 설계시, 프라이머의 A, G, C, T 함량비, 프라이머의 복합체(dimer) 형성 방지, 같은 염기서열의 3회 이상 반복금지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며, 그외에 단독 PCR 반응조건에 있어서 주형(template) DNA의 양, 프라이머의 농도, dNTP의 농도, Mg2+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의 조건이 적정해야 한다.
또, 본 발명에서와 같이 4종의 유전자에 대한 PCR 프라이머를 혼합하여 동시에 한번의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한 항생제 내성 부여 유전자를 한번에 확인하는 멀티플렉스 PCR 반응에서는, 프라이머의 설계시 단독 PCR의 경우와 같은 조건이 더욱 엄격하게 요구되며, 또한 반응완료 후 겔상에서 증폭된 유전자 산물의 구별을 위해서는 유전자 산물의 크기가 각각 구별이 되어야 하는 크기의 제약까지 따른다. 반응조건의 설정에 있어서도 4쌍의 프라이머 모두에 대한 공통의 반응조건이 설정되어야 하므로 단독 PCR에 비해서 매우 어려운 조건 설정 과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4종의 유전자에 대한 4쌍의 프라이머들은 이러한 멀티플렉스 PCR 기법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어 1회의 PCR 수행으로 4종의 유전자를 동시에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에 대한 PCR용 프라이머들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항생제 내성 부여 유전자 5´→ 3´ 염기서열 증폭산물의 크기
mecA F: CCTAGTAAAGCTCCGGAA(서열번호 1)R: CTAGTCCATTCGGTCCA(서열번호 2) 314bp
aac(6´)-Ⅰe+aph(2˝) F: GAAGTACGCAGAAGAGA(서열번호 3)R: ACATGGCAAGCTCTAGGA(서열번호 4) 491bp
aph(3´)-Ⅲa F: AAATACCGCTGCGTA(서열번호 5)R: CATACTCTTCCGAGCAA(서열번호 6) 242bp
ant(4´)-Ⅰa F: AATCGGTAGAAGCCCAA(서열번호 7)R: GCACCTGCCATTGCTA(서열 번호 8) 135bp
본 발명의 4종의 유전자에 대한 각쌍의 프라이머들은 공통의 PCR 조건을 갖고 있어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들의 PCR 조건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반응 혼합물
10×완충액 2.5 ㎕
10 mM의 dNTP 0.5 ㎕
프라이머 (100 pmols/㎕) 각 0.5 ㎕
주형 DNA 50~100 ng
Taq 폴리머라제 0.5 unit
총 25 ㎕
PCR 반응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우선 주형이 되는 DNA를 1본쇄로 변성시키기 위하여 95℃에서 5분간 열처리를 한 후, 95℃에서 2분간 DNA를 변성하는 단계 (denaturation); 58℃에서 30초간의 어닐링(annealing)단계; 72℃에서 30초간 DNA합성단계(extension)를 총 30회 반복하여 PCR 증폭을 실시하며, 마지막 DNA 합성단계는 72℃에서 7분간 실시한다. 반응이 끝난 PCR 증폭 산물을 브로모에티듐 2.5 ㎍/㎖를 가한 0.5×TAE를 전기영동 완충액으로 하여 2.5%의 한천겔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다음,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transilluminator)하에서 관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포도상구균 균종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황색 포도상구균,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메티실린 황색 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렉스 PCR 기법은 단 한번의 PCR을 수행함으로써 포도상구균 균종에 메티실린 내성과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렉스 PCR 기법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포도상구균 균종에 감염된 환자에게 적합한 항생제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포도상구균 감염환자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멀티플렉스 PCR 기법의 표준균주 적용시험:
4종의 균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멀티플렉스 PCR 기법을 수행하였다. 균주 엔테로콕쿠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BM6217(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Dr. P. Courvalin로부터 입수)는 유전자aph(3´)-Ⅲaaac(6´)-Ⅰe+aph(2˝)갖고 있는 균주이고,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USS1504(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Dr. P. Courvalin로부터 입수)는 유전자mecA를 갖고 있는 균주이며, 황색 포도상구균 BM 3002/pIP524(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의 Dr. P. Courvalin로부터 입수)는 유전자ant(4´)-Ⅰa를 갖고 있는 균주이다. 또한, 카톨릭대학 카톨릭중앙의료원에서 분리한 SM 16 균주(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는 상기한 4가지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는 균주이다. 이들 균주로부터 주형이 되는 유전자를 추출하여 상기한 PCR 조건으로 PCR 증폭을 실시하였다. 반응 종료후 브로모에티듐을 0.5 ㎍/㎖를 가한 0.5×TAE를 전기영동 완충액으로 하여 2.5%의 한천겔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다음,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transilluminator)하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의 레인 1~4에 나타내었다.
유전자aph(3´)-Ⅲa밴드는 242bp에서,aac(6´)-Ⅰe+aph(2˝)는 491bp에서, mecA는 314bp에서, ant(4´)-Ⅰa는 135bp에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1) 가검물로부터 균주 분리 및 균종의 동정
카톨릭대학교 카톨릭중앙의료원 각과에서 임상병리과에 의뢰된 상처부위, 혈액, 소변, 가래(sputum)등에서 채취한 균주를 MicroScan Pos Combo Panel Type 6(Baxter Diagnostics,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동정하였다.
그 다음, 옥사실린이 함유된 디스크를 이용하여 디스크확산법으로 메티실린 내성을 갖는 균주를 동정하였다.
동정된 균주를 20% 글리세롤이 포함된 BHI(Brain-heart infusion, Difco, USA) 액체배지에 풀어서 -70℃로 보관하면서, 이중 무작위로 8개의 균주(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2종,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 포도상구균 2종, 메티실린 내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1종 및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3종)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2)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은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의 지침에 따라 한천 희석법으로 시행하였다(참고문헌 34). 상기 (1)에서 동정된 균주들을 계대배양하고, 18∼24시간 후에 성장한 균집락을 0.5의 McFarland 혼탁도를 갖는 균 부유액으로 만들었다. 항생제로서 메티실린과 옥사실린을 0.125 ㎍/㎖에서 512 ㎍/㎖까지의 농도로 Mueller-Hinton 한천 배지(BactoR Muller-Hinton Agar, Difco, USA)에 첨가하여 준비하고, 0.5 McFarland의 균 부유액을 10배 희석한 후 2 ㎕를 취하여 성장 대조군부터 시작하여 저농도, 고농도의 배지 순으로 접종하였다. 이것을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투명 조명하에서 균 성장의 증거가 있는지 관찰하였다. 상기 과정을 1회 반복하여 최소억제농도를 확인하였다. 한편, 여기서 메티실린 대신에 옥사실린을 사용한 것은 메티실린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메티실린 감수성 세균을 내성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황색 포도상구균 중, 젠타마이신(이하, ´GM´이라함) > 128 ㎍/㎖이고, 옥사실린(이하, ´Ox´이라함)이 0.25 ㎍/㎖인 균주, GM이 0.25 ㎍/㎖이고, Ox > 256 ㎍/㎖인 균주, GM이 64 ㎍/㎖이고, Ox가 16 ㎍/㎖인 균주 및 GM이 32 ㎍/㎖이고, Ox가 0.25 ㎍/㎖인 균주와,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중, GM < 0.125 ㎍/㎖이고, Ox < 0.125 ㎍/㎖인 균주, GM > 256 ㎍/㎖이고, Ox > 256 ㎍/㎖인 균주, GM < 0.125 ㎍/㎖이고, Ox < 0.125 ㎍/㎖인 균주 및 GM > 0.128 ㎍/㎖이고, Ox > 2 ㎍/㎖인 균주를 하기의 시험에 사용하였다.
(3) DNA의 분리
상기 (2)의 황색 포도상구균 및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들을 brain heart infusion agar에서 36~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그 중 한 집락을 마이크로루프를 이용하여 채취한 후, BHI(Brain-heart infusion, Difco, USA) 액체배지 1 ㎖에 접종하여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주들로부터 QIAamp DNA mini kit(QIAGEN # 51306)를 사용하여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방법을 간략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균주를 1 ㎖의 액상 BHI배지에 접종한 후, 37℃에서 1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며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후 7,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의 펠렛을 얻었다. 그 다음, 상층액을 제거한 후, 20 ㎕의 리소자임(20 ㎎/㎖)이 함유된 인산완충용액 PBS 200 ㎕로 균의 펠렛을 잘 혼합하고,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20 ㎕의 단백질분해효소 K와 200 ㎕의 Lysis buffer를 각각 첨가한 후, 잘 섞어 56℃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여기에 200 ㎕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잘 섞은 후 용해질(lysate)을 QIAamp spin column에 중층한 후, 6,000×g(8,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kit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세척 및 DNA를 분리하였다.
(4) 멀티플렉스 PCR법
멀티플렉스 PCR을 수행하여 상기에서 분리한 DNA의 유전형을 결정하였다. 즉, 10×반응 완충액 2.5 ㎕, dNTP(2.5 μM) 0.5 ㎕, 서열번호 1~8의 각각의 프라이머(100 pM) 0.5 ㎕, Taq polymerase(GIBCO-BRL, USA) 0.5 ㎕씩, 완충액인 소혈청알부민을 농도가 0.05%되게 하여 50~100 ng의 각 분리된 주형 DNA에 첨가한 후, 최종적으로 25 ㎕가 되게 멸균된 증류수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반응액을 GeneCycler (BioRad, USA)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반응조건은 95℃에서 5분간 열처리를 한 후, 95℃에서 2분간의 DNA 변성단계(denaturation); 58℃에서 30초간의 어닐링(annealing)단계; 72℃에서 30초간 DNA 합성단계(extension)를 총 30회 반복하여 PCR 증폭을 실시하며, 마지막 DNA 합성단계는 72℃에서 7분간 실시하였다. PCR 증폭 산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결과물중 10 ㎕를 취하여 0.5 ㎍/㎖의 농도로 브로모에티듐을 가한 0.5×TAE를 전기영동 완충액으로 하여 2.5%의 한천겔에서 100 V로 1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실시한 다음,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 하에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5) 멀티플렉스 PCR결과와 항생제 감수성 시험결과의 연관성 분석 상기
상기 (2)의 메티실린(GM)과 옥사실린(Ox)의 최소억제농도 결과와, 상기 (4)의 멀티플렉스 PCR에 의해 결정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표현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구균인 레인 8의 경우 젠타마이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가 32 ㎍/㎖에서aac(6´)-Ⅰe+aph(2˝)가 관찰되지만, 옥사실린에는 낮은 최소억제농도(0.25 ㎍/㎖)를 보이므로mecA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메티실린 내성 포도구균인 레인 6의 경우 낮은 젠타마이신 최소억제농도(0.25 ㎍/㎖)와 높은 옥사실린 최소억제농도(256 ㎍/㎖)를 보이므로mecA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젠타마이신 내성을 부여하는aac(6´)-Ⅰe+aph(2˝),메티실린 내성을 부여하는mecA의 유전형과 각각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의 결과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알 수 있다.
또한, 레인 7의 경우에는ant(4´)-Iaaac(6´)-Ⅰe+aph(2˝)mecA와 함께 관찰되었는데, 이는ant(4´)-Ia 염색체 상에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인 mecA 부근에 함께 존재하는 이유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있다.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인 레인 11의 경우에는 최소억제농도가 모두 0.125 ㎍/㎖이하이므로, 관련된 내성 유전자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aph(3´)-Ⅲa유전형의 경우 젠타마이신과 같이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있으며 유전자상에서aac(6´)- Ⅰe+aph(2˝)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 유전형이 보통의 경우aac(6´)-Ⅰe+aph(2˝)에 의해 가리워질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감수성 결과시 정확히 옥사실린이나 젠타마이신에서 보인 것과 같은 유형을 보이지 않고 산발적으로 발견된다.
따라서, 항생제 내성 검사를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한천 희석법)와 본 발명의 멀티플렉스 PCR 결과에서 확인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는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도상구균 균종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더구나, mecA는 감수성 결과 옥사실린 4 ㎍/㎖ 이상이면 황색포도구균 또는 코아귤라제 음성포도구균 상관없이 PCR결과물에 mecA유전형을 보이며 마찬가지로aac(6´)-Ⅰe+aph(2˝)는 젠타마이신 감수성결과가 32 ㎍/㎖ 이상이면 유전형을 보이는데, 레인 12의 경우 옥사실린 감수성결과가 2 ㎍/㎖이고, 분류도 메티실린 감수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으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메티실린 내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으로 판명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기존 항생제 감수성 결과에 비해 보다 민감하며 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도상구균 균종에 항생제 내성을 부여하는 4종의 유전자에 대한 각쌍의 프라이머들은 공통의 PCR 조건을 갖고 있어 한번의 PCR 반응에 동시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케하며, 이들 4쌍의 프라이머 모두를 동시에 이용하는 본 발명의 멀티플렉스 PCR 기법은 단 한번의 PCR을 수행함으로써 감염환자로부터 분리된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신속,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신속, 정확하게 감염환자를 맞는 항생제를 선정하여 치료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개정판 항생제의 길잡이 대한 감염학회 광문출판사 2000년 5월
2)Saravolatz LD, Pohlod DJ, Arking LM: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a new source for nosocomial outbreaks.Ann Intern Med 97:325-329, 1982
3) Storch GA, Radcliff JL, Meyer PL, Hinrichs JH: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nursing home.Infect Control 8:24-29, 1987
4) Moreno F, Criso C, Jorgensen JH, Patterson J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s a community organism.Clin Infect Dis 21:1308-1312, 1995
5) Gopal V, Bisno AL, Silverblatt FJ:Failure of vancomycin treatment of 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J Am Med Assoc 236:1604-1606, 1976
6) Geraci JE, Wilson WR:Vancomycin therapy for infective endocarditis.Rev Infect Dis 3(Suppl):S250-258, 1981
7) Reymann MT, Holey HP, Cobbs CG:Persistent bacteremia in staphylococcal endocarditis.Am J Med 65: 729-737, 1978
8) Small PM, Chambers HF:Vancomycin for 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 in intravenous drug users.Antimicrob Agents Chemother 34:1227-1231, 1990
9) Levine DP, Fromm BS, Reddy BR:Slow response to vancomycin or vancomycin plus rifampin in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Ann Intern Med 115:674-680, 1991
10) Tuazon CU, Lin MYC, Sheagren JN:In vitro activity of rifampi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nafcillin and vancomycin against pathogenic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Antimicrob Agents Chemother 13:759-761, 1978
11) Watanakunakorn C., Guerriero J.C:Interaction between vancomycin and rifampi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1089-1091, 1981
12) Zinner SH, Lagast H, Klastersky J:Antistaphylococcal activity of rifampin with other antibiotics.J Infect Dis 144:365-371, 1981
13) Watanakunakorn C, Tisone JC:Treatment of Infections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Ann Intern Med 97:376-378, 1982
14) Faville RJ, Zaske DE, Kaplan EL, Crossley K, Sabath LD, Quie PG:Staphylococcus aureus endocarditis:Combined therapy with vancomycin and rifampin.J Am Med Assoc 240:1963-1965, 1978
15) Tofte RW, Solliday J, Rotschafer J, Crossley KB: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of dialysis shunt: absence of synergy with vancomycin and rifampin.South Med J 74:612-615, 1981
16) Watanakunakorn C, Glotzbecker C:Enhancement of the Effects of Anti-staphylococcal antibiotics by aminoglycoside.Antimicrob Agents Chemother 6:802-806, 1974
17) Watanakunakorn C, Tisone JC:Synergism between vancomycin and gentamicin or tobramycin for methicillin-susceptible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Antimicrob Agents Chemother 22:903-905, 1982
18) Mulazimoglu L, Drenning SD, Muder RR:Vancomycin-gentamicin synergism revisited:effect of gentamicin susceptibility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Antimicrob Agents Chemother 40:1534-1535, 1996
19) Dornbusch, K., Miller, G. H., Hare, R. S. & Shaw, K. J. (1990). Resistance to aminoglycoside antibiotics in Gram-negative bacilli and staphylococci isolated from blood. Report from a European collaborative study. The ESGAR study group (European Study Group on Antibiotic Resistance).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26, 131 44.
20) European Study Group on Antibiotic Resistance. (1987). In-vitro susceptibility to twenty-nine European laboratories.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6, 378~85.
21) Wildemauwe, C., Godard, C., Vanhoof, R., Bossuyt, E. V. & Hannecart- Pokorni, E. (1996). Changes in major populations of methicillin-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in Belgium.Journal of Hospital Infection34 , 197~203.
22) Schmitz, F.-J. & Jones, M. E. (1997). Antibiotics for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MRSA and elimination of MRSA carriage. What are the cho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9 , 1~19.
23) Paulsen, I. T., Firth, N. & Skurray, R. A. (1997). Resistance to antimicrobial agents other than β-lactams. InThe Staphylococci in Human Disease(Crossley, K. B. & Archer, G. L., Eds), pp. 175~212. Churchill Livingstone, New York.
24) Stewart, P. R., Dubin, D. T., Chikramane, S. G., Inglis, B., Matthews, P. R. & Poston, S. M. (1994). IS257and small plasmid insertions in themecregion of the chromosome ofStaphylococcus aureus.Plasmid31, 12~20.
25) Archer, G. L. & Niemeyer, D. M. (1994). Origin and evolution of DNA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methicillin in staphylococci.Trends in Microbiology2 , 34~37.
26) Byrne, M. E., Gillespie, M. T. & Skurray, R. A. (1991). 4´ ,4´´ -adenyltransferase activity on conjugative plasmids isolated fromStaphylococcus aureusis encoded on an integrated copy of pUB110.Plasmid25 , 70~5.
27) Derbise, A., Dyke, K. G. H. & el Solh, N. (1996). Characterization of aStaphylococcus aureustransposonTn5405,located withinTn5404carrying the aminoglycoside resistance genes,aphA-3andaadE. Plasmid35, 74~88.
28) Bergeron, M. & Ouellette, M. (1998). Preventing antibiotic resistance through rapid genotypic identification of bacteria and of their antibiotic resistance genes in the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Journal ofClinical Microbiology36, 2169~72.
29) Geha, D. L., Uhl, J. R., Gustaferro, C. A. & Persing, D. H. (1994). Multiplex PCR for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in the clinical laboratory.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32, 1768~72.
30) Salisbury, S., Sabatini, L. & Spiegel, C. (1997).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107, 368~73.
31) Barski, P., Piechowicz, L., Galinski, J. & Kur, J. (1996). Rapid assay for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using multiplex PCR.Molecular and Cellular Probes10, 471~5.
32) Unal, S., Hoskins, J., Flokowitsch, J., Wu, C., Preston, D. & Skatrud, P. (1992).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30, 1685~91.
33)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Methods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In:Approved standard M7-A3. 3rd ed.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Villanova, Pa, 1993.
<110> KOMED CO., LTD. <120>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rapidly detecting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lococcus strains <130> P <160> 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mecA gene(forward primer) <400> 1 cctagtaaag ctccggaa 18 <210> 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mecA gene(reverse primer) <400> 2 ctagtccatt cggtcca 17 <210> 3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ac(6')-Ie+aph(2") gene(forward primer) <400> 3 gaagtacgca gaagaga 17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ac(6')-Ie+aph(2") gene(reverse primer) <400> 4 acatggcaag ctctagga 18 <210> 5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ph(3')-IIIa gene(forward primer) <400> 5 aaataccgct gcgta 15 <210> 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ph(3')-IIIa gene(reverse primer) <400> 6 catactcttc cgagcaa 17 <210> 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nt(4')-Ia gene(forward primer) <400> 7 aatcggtaga agcccaa 17 <210> 8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liplex PCR primer for PCR amplification of ant(4')-Ia gene(reverse primer) <400> 8 gcacctgcca ttgcta 16

Claims (8)

  1.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을 검출하는데 있어서,mecA, aac(6´)-Ⅰe+aph(2˝), aph(3´)-Ⅲaant(4´)-Ⅰa의 4종 유전자를 증폭하는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갖는 프라이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PCR기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상구균 균종은 황색 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 또는 메티실린 내성 코아귤라제 음성 포도상구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플렉스 PCR 기법.
  4. 제 1항에 기재된 멀티플렉스 PCR 기법에 사용되는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mecA를 검출하기 위한 서열 번호 1 내지 2의 PCR용 프라이머.
  5. 제 1항에 기재된 멀티플렉스 PCR 기법에 사용되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내성 유전자aac(6´)-Ⅰe+aph(2˝)를 검출하기 위한 서열 번호 3 내지 4의 PCR용 프라이머.
  6. 제 1항에 기재된 멀티플렉스 PCR 기법에 사용되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내성 유전자aph(3´)-Ⅲa를 검출하기 위한 서열 번호 5 내지 6의 PCR용 프라이머.
  7. 제 1항에 기재된 멀티플렉스 PCR 기법에 사용되는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 내성 유전자ant(4´)-Ⅰa를 검출하기 위한 서열 번호 7 내지 8의 PCR용 프라이머.
  8. 서열번호 1 내지 8의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을 검출하기 위한 키트.
KR10-2001-0039493A 2001-07-03 2001-07-03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KR10043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493A KR100439532B1 (ko) 2001-07-03 2001-07-03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493A KR100439532B1 (ko) 2001-07-03 2001-07-03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576A KR20030003576A (ko) 2003-01-10
KR100439532B1 true KR100439532B1 (ko) 2004-07-09

Family

ID=2771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493A KR100439532B1 (ko) 2001-07-03 2001-07-03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8042A1 (en) 2001-06-04 2002-12-04 Ann Huletsky Sequences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S11834720B2 (en) 2005-10-11 2023-12-05 Geneohm Sciences, Inc. Sequences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of MREJ types xi to xx
US7617231B2 (en) 2005-12-07 2009-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hashing metho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similarity-based hashing algorithm
KR102318149B1 (ko) * 2018-12-28 2021-10-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티실린 내성 또는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 클론타입 판별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KR102126429B1 (ko) * 2019-04-11 2020-07-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티실린 내성의 황색포도알균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검출 방법
KR102238514B1 (ko) * 2019-10-28 2021-04-08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내성 균주 검출용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2260992B1 (ko) * 2019-10-28 2021-06-04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내성 균주 검출용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2250629B1 (ko) * 2020-12-15 2021-05-11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내성 균주 검출용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2551052B1 (ko) 2020-12-28 2023-07-04 주식회사 어큐노스 항생제 감수성 검사방법 및 장비
KR20240170691A (ko) 2023-05-26 2024-12-04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반코마이신, 메티실린, 에리스로마이신 및 테트라싸이클린 내성 균주 확인을 위한 다중진단 pcr 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000A (ja) * 1991-08-13 1993-12-14 Eli Lilly & Co メシチリン耐性スタフィロコッカスを迅速に検出する方法
JPH08252099A (ja) * 1995-01-19 1996-10-01 Wakunaga Pharmaceut Co Ltd メチシリン耐性黄色ブドウ球菌の検出法及びキット
KR19990007967A (ko) * 1996-02-23 1999-01-25 히라마쯔게이치 검출 방법
US6001564A (en) * 1994-09-12 1999-12-14 Infectio Diagnostic, Inc. Species specific and universal DNA probes and amplification primers to rapidly detect and identify common bacterial pathogens and associated antibiotic resistance genes from clinical specimens for routine diagnosis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000A (ja) * 1991-08-13 1993-12-14 Eli Lilly & Co メシチリン耐性スタフィロコッカスを迅速に検出する方法
US6001564A (en) * 1994-09-12 1999-12-14 Infectio Diagnostic, Inc. Species specific and universal DNA probes and amplification primers to rapidly detect and identify common bacterial pathogens and associated antibiotic resistance genes from clinical specimens for routine diagnosis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JPH08252099A (ja) * 1995-01-19 1996-10-01 Wakunaga Pharmaceut Co Ltd メチシリン耐性黄色ブドウ球菌の検出法及びキット
KR19990007967A (ko) * 1996-02-23 1999-01-25 히라마쯔게이치 검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J Clin Microbiol. 1992 Jul;30(7):1685-91 *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Am J Clin Pathol. 1997 Mar;107(3):368-73 *
J. Med. Microbiol., vol. 41, no. 4, pp. 282-290 (1994. 10. *
Multiplex PCR for identific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in the clinical laboratory. J Clin Microbiol. 1994 Jul;32(7):1768-72 *
Rapid assay for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sing multiplex PCR. Mol Cell Probes. 1996 Dec;10(6):47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576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lem-Bekhit et al.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multidrug-resistant enterococc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Zheng et al. Characteristics of and virulence factors associated with biofilm formation in clinical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s in China
Martins et al. Methicill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an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epidemiological and molecular aspects
Yadegar et al. Prevalence of the genes encoding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s and methicillin resistance among clinical isol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in Tehran, Iran
CN100427610C (zh) 革兰氏阳性细菌种属鉴定与耐药基因检测方法及其专用试剂盒
CN112592993B (zh) 含有特异性分子靶标的金黄色葡萄球菌标准菌株及其检测和应用
KR100439532B1 (ko) 포도상구균 균종의 항생제 내성의 신속 검출을 위한멀티플렉스 pcr
Hamady et al. Expression of norA, norB and norC efflux pump genes mediating fluoroquinolones resistance in MRSA isolates
EP1581651A1 (en) Method of detecting antibiotic resistance in microorganisms
US8247170B2 (en) Detection of penicillin tolerance in Group B Streptococc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penicillin binding protein 4
Alam et al. Epidemiology and antibiogram of clinical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Tertiary Care Hospitals in Dhaka, Bangladesh
Jafari-Sales et al. Evalu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and mecA gene frequency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collec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 Marand hospital and treatment centers, Iran
FEYZABADI et al. Increase in prevalence of vancomycin resistant isolates of Enterococcous faecium at Labbafinejad hospital
Gergova et al. Molecular-genetic method for fast direct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ce in blood cultures and punctures
Omran et al. Molecular investigation of mecgene among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isolated from different cases
Moulin et al. Surveillance of intestinal colonization and of infection b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l-Amara Comparison between phenotype and molecular resistance characteristic in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s from wound infections in Al-Basrah province, Iraq
Mahmoud et al. Detection of mecA and class1 integron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Egyptian hospitals
Helmi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enterococci
Abd Al Zwaid et al. Molecular detection of mexXY-oprM, mexPQ-opmE Efflux pumps in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s in patients referred to teaching hospitals in Babylon province, Iraq
Lee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and characterization of carbapenem-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urine at a teaching hospital in Taiwan. Microorganisms 2021; 9: 271
Altun et al. Growing OXA-23 type strains among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nd tigecycline as an alternate combination therapy
Al-Mousawi et al. Investigate the inducible clindamycin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haemolyticus isolated from surgical wounds infections by using D-test and molecular techniques in Al-Basrah, Iraq
Mahdi Al-Buhilal et al. MOLECULAR DETECTION OF ermA, ermB AND ermC GENES AMONG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OCULAR INFECTIONS.
Hosseini et al. The Glycopeptide-Susceptibility of Multidrug-Resistant/Extensively 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Skin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