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7449B1 -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449B1
KR100437449B1 KR10-2001-0039585A KR20010039585A KR100437449B1 KR 100437449 B1 KR100437449 B1 KR 100437449B1 KR 20010039585 A KR20010039585 A KR 20010039585A KR 100437449 B1 KR100437449 B1 KR 10043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agulation
flap
coagulation band
disposable dia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980A (ko
Inventor
조민석
이갑주
정대붕
임두상
정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3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4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4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가밴드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샘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킨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6)와 배면시트(4) 사이에 취부되는 흡수체(5) 및 체결수단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5)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가랑이부(2) 좌우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응가밴드를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엎드린 자세에서는 물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Disposable diaper having double barrier cuff}
본 발명은 샘 방지 효과가 우수한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응가밴드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샘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킨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람이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제품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일회용 흡수제품 중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은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top sheet)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back sheet)와,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와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absorbent core) 및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들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요소 중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로는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성부직포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이 사용된다. 합성부직포는 흡수체에 체액이 빨리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소수성섬유에 친수성처리를 하여 사용한다.
또한, 흡수체는 통상적으로 솜털펄프(fluff pulp),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와 이를 포장하는 티슈(tissue) 등으로 이루어지며,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를 통과하는 체액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일단 흡수된 체액이 다시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액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는 일회용 기저귀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밑으로 샘이 발생하여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를 접착하여 소재의 촉감에 있어서 부드러운 감촉을 보다 향상시키기도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착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재접착 체결수단 및 앞면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이 더 포함된다.
이들 소재들은 고온 용융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융착 또는 다른 기타 다른 상용화된 접착방법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일회용 기저귀, 실금자용 성인용 기저귀 및 여성용 생리대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기술 수준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양의 관점에서 기본성능은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율 또는 흡수량 등의 기본성능 충족에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기술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흡수체를 보다 얇게 만들어 초박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나타나게 되었다.
초박형 일회용 기저귀를 만들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의 하나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솜털펄프를 적게 사용하고, 고흡수성 수지를 많이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초박형 일회용 기저귀에서 솜털펄프와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 함량의 비율은 흡수체의 강도를 약하게 하며, 착용자의 활동이나 움직임에 의해 흡수체 폭은 감소되고, 일그러져서 뭉치거나, 갈라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초기 착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보다 밑으로 처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변형된 흡수체는 흡수면적이 감소되어 흡수기능이 미흡하게 되며, 아울러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는 친수성으로 처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배뇨 등에 의해 친수성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하고, 따라서 배뇨시 흡수체로의 체액의 전달이 지연되므로써 흡수체 및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동성 체액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일회용 기저귀의 처짐발생은 기저귀와 착용자 피부와의 밀착성을 감소시켜 다리부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유동성 체액에 의하여 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특히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배뇨할 경우에는 샘 발생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샘 발생에 대한 방지수단으로 흡수체 측면 외측에 응가밴드(barrier cuff) 및 다리탄성체를 형성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다리탄성체는 응가밴드 외측에 가랑이부를 지나 허리부에 걸쳐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탄성체는 응가밴드 외측의 플랩에 탄성체를 형성시킨 것으로, 착용시 착용자의 허벅지부분에 일회용 기저귀를 밀착시키는 기능을 하나, 다리탄성체 플랩의 탄성력으로 착용기간 중 발생되는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 변형과 처짐으로 인한 샘 발생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며, 따라서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 부분의 조임기능을 강화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샘 발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높낮이가 서로 상이한 2개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켜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 부분의 조임성을 강화시켜 샘 방지 기능을 높인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허리부 2 : 가랑이부
3 : 뒷허리부 4 : 배면시트
5 : 흡수체 6 : 상부시트
7 : 내측 응가밴드 8 : 제2 부직포
9 : 티슈 10 : 허리밴드
11 : 솜털펄프 12 : 고흡수성 수지
13 : 응가밴드 말단부 14 : 앞면 체결수단
15 : 뒷면 체결수단 16 : 응가밴드 탄성체
17 :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18 : 체결수단 고정부
19 : 응가밴드 말단접착부 20 : 내측 응가밴드플랩
21 : 측면플랩 22 : 내측 측면플랩
23 : 외측 측면플랩 24 : 응가밴드 측면플랩
25 : 외측 응가밴드 26 :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27 : 외측 응가밴드플랩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은,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취부되는 흡수체 및 체결수단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가랑이부 좌우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은,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6)와 배면시트(4) 사이에 취부되는 흡수체(5) 및 체결수단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5)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가랑이부(2) 좌우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일회용 기저귀(D)는 앞허리부(1), 가랑이부(2) 그리고 뒷허리부(3)로 구분된 모래시계 형태의 외양을 갖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D)의 외형은 꼭 좌우와 전후가 대칭구조로 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와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사이에 흡수체(5)를 삽입시켜 고온 용융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본 발명에서 흡수체(5)의 두께가 얇아 착용자의 피부에 쿠션기능을 제공하고, 착용자가 배뇨시 신속한 흡수력을 유지하도록 액체투과성의 제2 부직포(8)를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사용할 수 있다.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및 액체투과성의 제2 부직포(8)는 뇨를 확산시키며, 흡수체(5)에 흡수된 뇨가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수체(5)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흡수체(5)는 솜털펄프(11), 고흡수성 수지(12)와 이를 포장하는 티슈(9)로구성되며, 흡수체(5)의 성능은 솜털펄프(11) 및 고흡수성 수지(12)의 함량에 의해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 흡수체(5)의 외형은 T-자 형상 뿐만 아니라 모래시계형 및 일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성형될 수 있다.
흡수체(5) 외측의 좌우측에 샘 방지 수단으로 내측 응가밴드(7) 및 외측 응가밴드(25)를 형성하여 흡수체(5)로부터 이탈되는 체액을 가두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또한 외측 응가밴드(25)는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 부분을 조여주는 기능과 내측 응가밴드(7)로부터 이탈된 체액을 가두는 포켓을 형성한다.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는 흡수체(5)와 일회용 기저귀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며, 흡수체(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내측 응가밴드(7), 일회용 기저귀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외측 응가밴드(25)를 형성한다.
또는 흡수체(5) 위에 내측 응가밴드(7)를 형성하고, 흡수체(5) 외측으로 내측 응가밴드(7)와 일회용 기저귀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외측 응가밴드(25)를 형성한다.
또한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가 하나로 연결된 플랩접착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와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26)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 응가밴드(7)는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 응가밴드 말단부(13),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 응가밴드 탄성체(16), 내측 응가밴드플랩(20), 응가밴드 측면플랩(24)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측 응가밴드(25)는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26), 응가밴드 말단부(13),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 응가밴드 탄성체(16), 외측 응가밴드플랩(27), 응가밴드 측면플랩(24)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의 구성요건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내측 응가밴드플랩(20)과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은 적어도 가랑이부(2)에서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 이외의 부분이 응가밴드 탄성체(16)에 의해 흡수체(5) 외측에서 흡수포켓을 형성한다.
내측 응가밴드(7) 및 외측 응가밴드(25)의 재질로는 소수성의 부직포 또는 방수성의 부직포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소수성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수성의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두겹으로 내측 응가밴드플랩(20)과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을 형성하며, 응가밴드플랩 사이를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내측 응가밴드(7)는 응가밴드 말단부(13)가 착용자의 피부에 잘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와 응가밴드 말단부(13) 사이의 내측 응가밴드플랩(20)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형성하며, 응가밴드 탄성체(16)의 탄성력율은 100 내지 300%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00%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응가밴드 탄성체(16)의 탄성율은 응가밴드 말단부(13)에 가까울수록 또는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에 가까울수록 탄성체의 탄성율을 더 크게 하여 탄성구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응가밴드 탄성체(16)는 주로 탄성실이 사용되며, 탄성실에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 또는 천연고무를 사용한다.
상기 내측 응가밴드(7)에서와 유사하게, 외측 응가밴드(25)는 응가밴드 말단부(13)가 착용자의 피부에 잘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26)와 응가밴드 말단부(13) 사이의 외측 응가밴드플랩(27)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응가밴드 말단부(13)는 내측 응가밴드플랩(20)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는 내측 응가밴드플랩(20)이 일회용 기저귀 흡수체(5) 외측의 내측 측면플랩(22)에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부분이다.
내측 응가밴드(7) 외측의 측면플랩(21)은 흡수체(5) 외측 측면의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부에 부직포층과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가 접착된 유연한 시트(sheet)로 구성되거나 또는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층으로만 형성되거나 또는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와 응가밴드 측면플랩(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가밴드 측면플랩(24)은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를 포함한 외측으로 연장된 플랩을 지칭한다. 일회용 기저귀의 적어도 가랑이부(2)에서 측면플랩(21)은 내측 응가밴드(7)의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가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방향 접착지점을 따라 내측 측면플랩(22)과 외측 측면플랩(23)으로 구분하며, 외측 측면플랩(23)의 폭은 20 내지 50㎜로 한정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로 한정한다. 흡수체(5) 외측의 측면플랩(21)의 폭은 10㎜ 미만과 50㎜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 이미지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는 내측 응가밴드플랩(20)이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와 응가밴드 탄성체(16)에 의해 흡수체(5) 외측에서 흡수포켓을 형성하도록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방향 양측단부 모서리의 앞허리부(1) 및 뒷허리부(3)에서내측 응가밴드플랩(20)을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7) 및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26)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분을 칭한다.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는 부분적으로 흡수체(5) 위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흡수체(5) 외측의 측면플랩(21) 부분에 비접착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의 길이는 일회용 기저귀의 앞허리부(1) 및 뒷허리부(3)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50 내지 100㎜가 되도록 형성한다.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접착부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외에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통상의 체결수단과 허리밴드(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주로 일회용 기저귀의 뒷허리부(3)의 측면플랩(21) 모서리에 고정되는 재접착 체결수단의 체결수단 고정부(18)와 고정되지 않은 자유로운 말단부로 구성되는 재접착이 가능한 뒷면 체결수단(15)과 앞허리부(1)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뒷면 체결수단(15)이 접착 및 탈착될 수 있는 타겟(target) 영역을 제공하는 앞면 체결수단(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허리밴드(10)는 일회용 기저귀의 앞허리부(1) 및 뒷허리부(3)에 탄성체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허리밴드(10)로 사용되는 탄성체로는 주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탄성체(Polyurethane non-woven fabric elastomer) 및 탄성실이 사용되며, 탄성실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 고무(natural rubber)가 사용된다. 허리밴드(10)의 허리 탄성체는 일회용 기저귀의 길이방향 단부와 흡수체(5) 외측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일회용 기저귀 제품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6)와 배면시트(4) 사이에 흡수체(5)가 삽입, 고정되고, 통상의 허리밴드(10)와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응가밴드는 적어도 가랑이부(2)에 형성하되, 흡수체(5)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2개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켰다. 2개의 응가밴드를 흡수체(5)에 인접한 내측 응가밴드(7)와 일회용 기저귀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외측 응가밴드(25)로 구분하고, 내측 응가밴드(7) 및 외측 응가밴드(25)는 응가밴드 플랩,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응가밴드 탄성체(16), 응가밴드 말단부(13) 및 앞허리부(1)와 뒷허리부(3)에서 응가밴드 말단부(13)가 접착되어 형성되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로 구성하였다. 내측 응가밴드플랩(20) 및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은 한겹으로 내측 응가밴드플랩(20)과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이 하나로 연결된 동일 소재로 구성시켰고, 응가밴드 탄성체(16)는 2가닥으로 210%의 탄성율을 갖는 탄성실로 형성시켰으며,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는 내측 응가밴드(7)가 35㎜, 외측 응가밴드(25)가 10㎜가 되도록 형성시켰으며, 내측 응가밴드(7)는 응가밴드말단접착부(19)를 흡수체(5) 위에 접착시켰으나, 외측 응가밴드(25)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가 형성되지 않은 비접착의 상태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20㎜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6)와 배면시트(4) 사이에 흡수체(5)가 삽입, 고정되고, 통상의 허리밴드(10)와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응가밴드는 적어도 가랑이부(2)에 형성하되, 흡수체(5)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2개의 응가밴드를 형성시켰다. 2개의 응가밴드를 흡수체(5)에 인접한 내측 응가밴드(7)와 일회용 기저귀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한 외측 응가밴드(25)로 구분하고, 내측 응가밴드(7) 및 외측 응가밴드(25)는 응가밴드 플랩,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응가밴드 탄성체(16), 응가밴드 말단부(13) 및 앞허리부(1)와 뒷허리부(3)에서 응가밴드 말단부(13)가 접착되어 형성되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로 구성하였다. 내측 응가밴드플랩(20) 및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은 한겹으로 내측 응가밴드플랩(20)과 외측 응가밴드플랩(27)이 하나로 연결된 동일 소재로 구성시켰고, 응가밴드 탄성체(16)는 2가닥으로 210%의 탄성율을 갖는 탄성실로 형성시켰으며,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는 내측 응가밴드(7)가 15㎜, 외측 응가밴드(25)가 35㎜가 되도록 형성시켰으며, 내측 응가밴드(7)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를 흡수체(5) 위에 접착시켰으나, 외측 응가밴드(25)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19)가 형성되지 않은 비접착의 상태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0㎜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5㎜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20㎜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0㎜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내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5㎜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내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20㎜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내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를 두겹으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0㎜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를 두겹으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15㎜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측 응가밴드(7)와 외측 응가밴드(25)를 두겹으로 하고,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20㎜로 하고,외측 응가밴드(25)의 말단을 외측으로 접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외측 응가밴드(25)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에서부터 응가밴드 말단부(13)까지의 높이를 5㎜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6),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6)와 배면시트(4) 사이에 흡수체(5)가 삽입, 고정되고, 통상의 허리밴드(10)와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하나의 응가밴드 및 다리탄성체를 형성시켜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들의 샘 발생에 대하여 아기모형의 마네킨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샘 발생 평가는 아기모형의 마네킨으로서 테포 테스터(TEFO tester(대형); MTS사의 제품)를 이용하여 7㎖/sec.로 배뇨시켰으며, 샘 발생 시점에서 흡수된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의 샘 발생에 대한 소비자 검증을 실시하기 위하여 아기 몸무게 6 내지 15㎏에 해당되는 1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품평 조사를 실시하여 아기 어머니로부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킨 동안에 샘 발생에 대하여 제품별 차이를 하기의 판정기준으로 판정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역시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일회용 기저귀 사용 동안 샘 발생 없었음
±; 일회용 기저귀 사용 동안 샘 발생 소량 있었음
- ; 일회용 기저귀 사용 동안 샘 발생 있었음
아주 우수 ; + 가 90% 이상인 경우
우수 ; + 가 70 내지 90%인 경우
보통 ; + 가 70% 미만인 경우
구 분 샘 발생시까지의 흡수량(g) 소비자 조사 판정 결과 (N=10)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 ± - 판정
실시예 1 180 223 78 12 10 보통
실시예 2 189 224 81 9 10 우수
실시예 3 194 221 89 9 2 우수
실시예 4 178 219 81 12 7 우수
실시예 5 187 225 87 11 2 우수
실시예 6 197 229 91 7 2 아주 우수
실시예 7 178 226 83 9 8 우수
실시예 8 184 227 85 10 5 우수
실시예 9 197 228 91 7 2 아주 우수
실시예 10 198 223 88 9 3 우수
실시예 11 214 225 90 6 4 아주 우수
실시예 12 220 235 92 7 1 아주 우수
비교예 1 145 190 55 31 14 보통
비교예 2 148 195 58 30 12 보통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제품과 그렇지 않은 비교예들의 제품에 있어서, 실시예들의 제품이 비교예들의 제품에 비해 엎드린 자세에서는 물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비자의 사용에 따른 품질평가에서도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응가밴드를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엎드린 자세에서는 물론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액체투과성의 상부시트, 액체불투과성의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취부되는 흡수체 및 체결수단을 갖고, 상기 흡수체 외측과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가랑이부 좌우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응가밴드를 형성한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응가밴드들이,
    내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응가밴드 말단부, 응가밴드 말단접착부, 응가밴드 탄성체, 내측 응가밴드플랩, 응가밴드 측면플랩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응가밴드와;
    외측 응가밴드 플랩접착부, 응가밴드 말단부, 응가밴드 말단접착부, 응가밴드 탄성체, 외측 응가밴드플랩, 응가밴드 측면플랩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응가밴드로 구분되고;
    상기 각 응가밴드들의 응가밴드 탄성체가 100 내지 300%의 탄성율을 가지며, 상기 내측 응가밴드플랩의 높이가 10 내지 30㎜, 상기 외측 응가밴드플랩의 높이가 10 내지 20㎜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응가밴드들의 내측 응가밴드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를 형성하고, 외측 응가밴드는 응가밴드 말단접착부를 형성하지 않는 비접착된 상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8. 삭제
KR10-2001-0039585A 2001-07-03 2001-07-03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85A KR100437449B1 (ko) 2001-07-03 2001-07-03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85A KR100437449B1 (ko) 2001-07-03 2001-07-03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80A KR20030002980A (ko) 2003-01-09
KR100437449B1 true KR100437449B1 (ko) 2004-06-25

Family

ID=2771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449B1 (ko) 2001-07-03 2001-07-03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4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223U (ko) * 1990-12-18 1992-07-24 유니-참 가부시기가이샤 1회용 착용물품
JPH0548922U (ja) * 1991-12-09 1993-06-29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すておむつ
JPH0551326U (ja) * 1991-12-18 1993-07-09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すておむつ
JP2000079141A (ja) * 1999-06-14 2000-03-21 Kao Corp つかいす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223U (ko) * 1990-12-18 1992-07-24 유니-참 가부시기가이샤 1회용 착용물품
JPH0548922U (ja) * 1991-12-09 1993-06-29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すておむつ
JPH0551326U (ja) * 1991-12-18 1993-07-09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すておむつ
JP2000079141A (ja) * 1999-06-14 2000-03-21 Kao Corp つかいす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980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19336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0487921B1 (en) Disposable diaper
HK1001668B (en) Disposable diaper
KR100893802B1 (ko) 개선된 피트를 갖는 흡수제품
JPH11276523A (ja) パンツ型使いすて着用物品
CA2298962C (en) Disposable undergarment
JP4010676B2 (ja) 女性用ショーツ型吸収性物品
KR20010064584A (ko) 일회용 기저귀
AU742303B2 (en) Non-unitary absorbent articles
KR100437449B1 (ko)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43864B1 (ko) 흡수확산층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380026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20020091283A (ko) 일회용 흡수 언더팬츠
KR100526101B1 (ko)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KR100416417B1 (ko) 허리밴드를 확장시킨 체결구조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388798B1 (ko) 부드러움성 및 흡수속도가 향상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를지닌 일회용 흡수제품
JP2019187884A (ja)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100258021B1 (ko) 휨 탄성 부재를 삽입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713009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19208698A (ja)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100691829B1 (ko) 열접합으로 날개 부분을 접합한 일회용 기저귀
KR200217671Y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190812B1 (ko) 일회용기저귀
KR20030004887A (ko) 강화된 뒤허리밴드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57393B1 (ko) 두 개의 벨트로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허리 탄성벨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