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6917B1 - 자동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917B1
KR100436917B1 KR10-2001-0034130A KR20010034130A KR100436917B1 KR 100436917 B1 KR100436917 B1 KR 100436917B1 KR 20010034130 A KR20010034130 A KR 20010034130A KR 100436917 B1 KR100436917 B1 KR 10043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hoe
predetermined
cargo
up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087A (ko
Inventor
김승구
Original Assignee
한국로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로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9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20)와 연결된 구동체인(22)의 각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과 연결되도록 양측 끝단 내측에 부싱(bushing)(32)이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18)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된 이송부(2)와 ; 대략 단면 형상이 " T "형상이며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38)에서 하부 중간대(42)의 양측에 소정의 이송바 끼움홈(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42)의 하단에는 소정의 축봉(44)과 캠베어링(26)이 설치되어 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이송바(18)에서 두 개의 이송바(18) 사이에 한 개씩 끼워져 설치되는 슈(shoe)(8)와; 이송부(2)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송부(2)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52)쪽으로 형성된 편상의 상부가이드부(4)와; 일측에 축봉(34)이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소정의 편체로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선단에 설치되는 가이드핀(24)과; 상기 상부가이드부(4)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부(6)와; 상기 이송부(2)의 후단에 설치되는 직진벨트콘베이어(50)와 일측으로 휘어져 화물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측면벨트콘베이어(52)와; 상기 이송부(2)의 전단 및 후단에 연계되는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과 벨트콘베이어(50)(5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즉 데드존(dead zone)을 커버하기위해 다수로 설치되는 봉상의 프리롤러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슈(shoe)의 형상을 소정의 길이를갖는 판상으로 형성시켜 슈(shoe)의 상면에 화물을 실은 채 이송되도록 하여 종래 슈(shoe)와 화물간의 충돌로 인한 슈(shoe)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물을 일측으로 분류시 소수의 슈(shoe)만 작동하게 하므로 화물의 이송간격을 좁힐 수 있어 작업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슈(shoe)가 고장시 개별 자동분류시스템의 이송부만 구동시킨 후 수동으로 화물이 실린 슈(shoe)를 일측으로 밀게하여 수작업으로 화물분류작업을 할 수 있어 별도의 수동콘베이어벨트를 배제시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시스템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분류시스템 { auto sorting system }
본 발명은 자동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업체에서 화물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각 거점 및 최종 소비자들에게 배송하기 위한 물품이송 과정중에서 각 물품별로의 분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자동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분류시스템은 인건비를 절감하고 빠르고 정확한 작업으로 물류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들을 각 목적지별로 분류하기 위해 물류업체 등에서주로 설치 사용되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한 종래 자동분류시스템(1')은 화물의 분류방식의 차이에 의해 여러가지로 분류되는 데 그 중의 하나로써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다수의 슈(shoe)(8')가 설치되는 자동분류 이송부(2')와 그 양측에 다수 설치되는 소정의 분기구(70')로 구성되는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이 있다.
상기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 이송부(2')는 일측에 소정의 슈(shoe)(8')가 끼워져 설치된 다수의 이송바(bar)(18')와, 상기 이송바(18')의 양측 끝단에 연결되는 구동체인 및 스프라켓과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화물분류용 분기구(70')와, 상기 이송부(2')의 각 분기 구역마다 설치되는 센서 및 작동회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이송부(2')를 타고 이송중인 화물(60')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후 미리 설정된 일정한 기준치와 일치되면 상기 작동회로에서 슈(8')의 작동신호를 주게 되면 슈(shoe)(8')가 작동하게 되어 화물(60')을 일측의 분기구(70')에 밀쳐냄으로써 화물(60')의 분류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슈(shoe)(8')의 작동에 의한 화물(60')의 분류동작을 살펴보면, 지나가는 화물(60')의 바코드를 상기 센서에서 리딩(reading)하여 분류기준치와 일치되면, 상기 슈(shoe)(8')에 작동신호가 전달되고, 일측에 정렬되어 있던 슈(shoe)(8')들중에서 화물(60')의 전방에 있는 슈(shoe)(8')부터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타측으로 횡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기 슈(shoe)(8')의 움직임에 의해 화물(60')이 횡으로 밀려나게 되어 일측에 형성된 소정의 분기구(70')로 떨어져 화물의 분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1')은 화물을 분류시키기 위해 다수의 슈(shoe)가 시간차를 두고 횡으로 슬라이딩되어야 화물이 이동되므로 앞쪽의 화물과 뒷쪽의 화물이 엉키지 않기 위해서 화물간의 간격이 넓어져야 하므로 이송부가 길어지게 되어 작업공간이 커져야 하므로 설치비가 과도하게 소요되고, 전체 이송부가 단일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 모터의 고장시에는 시스템 전체가 정지되어 작업이 불가하게 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자동시스템의 고장시 수작업으로 화물의 분류작업을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동콘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중으로 설치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상기 슈(shoe)의 작동속도가 매우 빨라 중량이 있는 화물을 밀쳐낼 때 슈(shoe)에 부담이 가해져 슈(shoe)가 파손되므로 잦은 고장과 수리가 요구되며, 슈(shoe)와 이송바의 구조상 화물의 포장이 연질인 것들, 즉 곡물자루와 같은 것들은 슈(shoe)와 이송바 사이에 끼이게 되어 분류작업이 불가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소정 길이를 갖는 이송부와 구동모터, 체인, 센서, 분기구로 구성되는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을 개선하여, 이송부의 길이를 줄여 소형의 유니트로 제작하고, 슈(shoe)의 형상을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시켜 슈(shoe)의 상면에 화물을 실은 채 이송되도록 하여 종래 슈(shoe)와 화물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화물을 일측으로 분류시 소수의 슈(shoe)만 작동하게 하여 화물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작업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슈(shoe)가 고장시 개별 시스템 유니트 자체를 이송부만 가동하여 수작업으로 분류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수동콘베이어 벨트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시스템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분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체인의 각 체인편체의 끼움축과 연결되도록 양측 끝단 내측에 부싱(bushing)이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된 이송부와 ; 대략 중간부의 단면 형상이 " T "형상이며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에서 하부 중간대의 양측에 소정의 이송바 끼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의 하단에는 소정의 축봉과 캠베어링이 설치되어 된 것으로 상기 이송바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슈(shoe)와; 이송부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송부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측으로 형성된 편상의 상부가이드부와; 소정의 편체의 일측에 축봉이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선단에 설치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상부가이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이송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직진벨트콘베이어와 일측으로 휘어져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측면벨트콘베이어와; 상기 이송부의 전단 및 후단에 연계되는 각종 벨트콘베이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즉 데드존을 커버하기위해 다수로 설치되는 프리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분류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A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B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6은 C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7은 슈(Shoe)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슈(Shoe)에 대한 사시도
도 9a 및 도 9b, 9c는 본 발명에 따른 슈(Shoe)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11은 종래 슈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 슈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에서 슈(Shoe)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이송부 4 : 상부가이드
6 : 하부가이드 8 : 슈
10 : 전단스프라켓 12 : 후단스프라켓
14 : 프리롤러 16 : 체인편체
18 : 이송바 22 : 구동체인
24 : 구동벨트 20 : 구동모터
26 : 캠베어링 28 : 스프링
30 : 결합핀 32 : 부싱
34 : 축봉 36 : 이송바 끼움홈
38 : 판체 40 : 부싱
42 : 중간대 44 : 축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류시스템(1)은 구동모터(20)와 연결된 구동체인(22)의 각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과 연결되도록 양측 끝단 내측에 부싱(bushing)(32)이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18)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된 이송부(2)와 ; 대략 단면이 " T "형상이며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38)에서 하부 중간대(42)의 양측에 소정의 이송바 끼움홈(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42)의 하단에는 소정의 축봉(44)과 캠베어링(26)이 설치되어 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이송바(18)에서 두 개의 이송바(18) 사이에 한 개씩 끼워져 설치되는 슈(shoe)(8)와; 이송부(2)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이송부(2)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52)쪽으로 형성된 편상의 상부가이드부(4)와; 일측에 축봉(34)이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소정의 편체로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선단에 설치되는 가이드핀(24)과; 상기 상부가이드부(4)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부(6)와; 상기 이송부(2)의 후단에 설치되는 직진벨트콘베이어(50)와 일측으로 휘어져 화물(60)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측면벨트콘베이어(52)와; 상기 이송부(2)의 전단 및 후단에 연계되는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과 벨트콘베이어(50)(5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즉 데드존(dead zone)을 커버하기위해 다수로 설치되는 봉상의 프리롤러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A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B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6은 C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도, 도 7은 슈(shoe)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슈(Shoe)에 대한 사시도, 도 9a 및 도 9b, 9c는 본 발명에 따른 슈(Shoe)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도 11은 종래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에서 슈(Shoe)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부(2)는 구동모터(20)와 연결된 구동체인(22)의 각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과 연결되도록 양측 끝단 내측에 부싱(bushing)(32)이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18)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이송부(2)의 상부 일측에 센서(sensor)와 동작회로가 설치되어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에 스프링(28)을 설치하여 이송바(18)가 탄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싱(32)의 파손시 이송바(18)를 일측으로 밀어낸 후 분해할 수 있게 하여 부싱(32)의 교체와 같은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상기 슈(shoe)(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대략 " T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38)와 그 하부측 중앙부에 설치된 중간대(42)와, 이 중간대(42)와 판체(38)의 연결부위 양측에 소정의 이송바 끼움홈(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42)의 하단에 형성된 소정의 축봉(44)에 캠베어링(26)이 설치되어 된 것으로 상기 다수의 이송바(18)에서 한 쌍의 이송바(18) 사이에 한 개씩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한 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바 끼움홈(36)에는 합성수지재의 부싱(32)을 설치하여 이송바(18)와의 마찰력을 절감시켜 슈(shoe)(8)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부(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이송부(2)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52)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가이드판(54)과, 상부가이드부(4)가 수동조작으로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상기 가이드판(54)의 양끝단과 중간부에 다수로 설치되는 고정부재(56)가 형성되어 된 편체이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부(4)는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고장으로 인해 슈(shoe)(8)가 자동으로 측방으로 이동되지 못할 경우 상기 고정부재(56)를 수동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상부가이드부(4) 자체가 소정 간격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슈(shoe)(8)가 지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수동으로 슈(shoe)(8)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핀(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축봉(44)이 설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선단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편체로, 센서 및 작동회로(도시하지 않음)에서 동작신호를 받아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슈(shoe)(8)의 캠베어링(26)을 일측으로 밀어 슈(shoe)(8)의 이송방향의 전환을 유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 이송부(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되는 화물(60)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bar-code)를 리딩(reading)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가이드부(6)는 도 5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하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판(54)으로, 센서의 동작신호를 받아 이송방향이 일측으로 빠져 진행되는 다수의 슈(shoe)(8)들이 하부가이드부(6)를 타고 진행하면서 다시 원상태로 정렬되어 최초 출발지점으로 원위치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 직진벨트콘베이어(50)와 측면벨트콘베이어(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의 후단에 설치되어 직진으로 진행되거나 일측방으로 분류되어 진행되는 화물(60)을 연계시켜 이송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2)의 전단에는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이 설치되거나 화물이송용 벨트콘베이어(50)(52)가 설치되는 것인데, 상기 이송부(2)의 전단 및 후단에 연계되는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과 벨트콘베이어(50)(5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즉 데드존(dead-zone)에는 봉상의 프리롤러부(14)를 다수 설치함으로써, 화물(60)이 이송중 끼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모터(20)가 구동되면 구동체인(22)이 일방향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이와 연결된 이송바(18)로 구성된 이송부(2)의 구동이 시작된다.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바(18)에 끼워져 설치되는 다수의 슈(shoe)(8)들의 판체(38) 상면에 화물(60)이 얹혀진 채 이송되다가 센서(sensor)에서 바코드를 리딩(reading)하여 분류될 화물(60)인지를 판단하고, 분류될 화물(60)이면 상기 가이드핀(24)에 동작신호를 주어 가이드핀(24)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슈(shoe)(8)의 하부에 설치된 캠베어링(26)이 상기 가이드핀(24)의 유도에 의해 일측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 상기 상부가이드부(4)를 따라 진행됨으로써 화물(60)이 실린 다수의 슈(shoe)(8)가 일측으로 빠져 진행되다가 상기 측면벨트콘베이어(52)에 화물(60)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sensor)는 화물(60)의 최초 진입시부터 감지하여 상기 가이드핀(24)이 회동되게 제어하다가 화물(60)이 센서(sensor)를 완전히 지나가면 가이드핀(24)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하여 다른 슈(shoe)(8)들은 계속 직진하도록 함으로써, 화물(60)의 분류에 필요한 최소의 슈(shoe)(8)만 방향전환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sensor)의 고장등의 원인으로 슈(shoe)(8)의 자동 작동이 불가할 경우, 상기 가이드핀(24)과 상부가이드부(4)를 하방으로 소정 간격만큼 하강시켜 슈(shoe)(8)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수동으로 상기 슈(shoe)(8)를 한쪽으로 밀칠 수 있게 하여 수작업에 의한 화물(60)의 분류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화물(60)의 분류를 위해 일측으로 빠져서 진행되던 슈(shoe)(8)들은 이송부(2)의 후단에서 화물(60)이 측면벨트콘베이어(52)로 전달된 후 상기 후단 스프라켓(12)을 타고 하부로 회전하다가 상기 하부가이드부(6)를 타고 진행되면서 다시 진행방향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최초 출발지점, 즉 상기 이송부(2)의 전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슈(shoe)(8)와 이송바(18)와 센서(sensor), 상하부가이드부(4)(6)로 구성되는 자동분류시스템(1)의 구동은 무한 반복되도록 하여 다량의 화물(60)의 분류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자동분류시스템(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자동분류시스템(1)에 연속적으로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을 연계시킬 수 있어 적절한 길이로 설치할 수 있는 용이성이 있는 것이다.
상기 자동분류시스템(1)은 수작업에 의한 화물(60)의 분류도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수작업을 위한 별도의 콘베이어벨트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슈(shoe)의 상면에 화물을 실어 분류하는 방식이므로 종래 화물과의 충격에 의한 슈(shoe)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각 구동체인편과 이송바, 슈(shoe)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보수 및 유지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류시스템은 종래 소정 길이를 갖는 이송부와 구동모터, 체인, 센서, 분기구로 구성되는 슈(shoe)타입의 자동분류시스템을 개선하여, 이송부의 길이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하여 자동분류시스템을 적절한 길이로 설치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가지며, 슈(shoe)의 형상을 소정의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시켜 슈(shoe)의 상면에 화물을 실은 채 이송되도록 하여 종래 슈(shoe)와 화물간의 충돌로 인한 슈(shoe)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물을 일측으로 분류시 소수의 슈(shoe)만 작동하게 하므로 화물의 이송간격을 좁힐 수 있어 작업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슈(shoe)가 고장시 개별 자동분류시스템의 이송부만 구동시킨 후 수동으로 화물이 실린 슈(shoe)를 일측으로 밀게하여 수작업으로 화물분류작업을 할 수 있어 별도의 수동콘베이어벨트를 배제시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시스템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여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구동모터(20)와 연결된 구동체인(22)의 각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과 연결되도록 양측 끝단 내측에 부싱(bushing)(32)이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18)가 등간격으로 반복 설치되어 된 이송부(2)와 ; 단면이 " T "형상이며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38)에서 하부 중간대(42)의 양측에 소정의 이송바 끼움홈(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42)의 하단에는 소정의 축봉(44)과 캠베어링(26)이 설치되어 된 것으로 상기 이송바(18)에서 두 개의 이송바(18) 사이에 한 개씩 끼워져 설치되는 슈(shoe)(8)와; 이송부(2)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어 이송부(2)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52)쪽으로 형성된 편상의 상부가이드부(4)와; 일측에 축봉(34)이 설치되어 정해진 각도로 회동되도록 한 소정의 편체로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선단에 설치되는 가이드핀(24)과; 상기 상부가이드부(4)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가이드부(6)와; 상기 이송부(2)의 후단에 설치되는 직진벨트콘베이어(50)와 일측으로 휘어져 화물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측면벨트콘베이어(52)와; 상기 이송부(2)의 전단 및 후단에 연계되는 다른 자동분류시스템(1)과 벨트콘베이어(50)(5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즉 데드존(dead zone)을 커버하기위해 설치되는 봉상의 프리롤러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모터(20)와 연결된 구동체인(22)의 각 체인편체(16)의 끼움축(30)과 연결되는 부싱(bushing)(32)이 양측 끝단 내측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의 이송바(18)가 등간격으로 반복 설치 된 이송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단면이 " T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판체(38)와 그 하부측 중앙부에 설치된 중간대(42)와, 상기 중간대(42)와 판체(38)의 연결부위 양측에는 내주연에 부싱(32)이 설치된 이송바 끼움홈(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대(42)의 하단에 형성된 소정의 축봉(44)에 캠베어링(26)이 설치되어 된 슈(shoe)(8)가 상기 이송바(18)에서 한 쌍의 이송바(18) 사이에 한 개씩 끼워져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의 전단 중앙부로부터 이송부(2)의 후단의 측면벨트콘베이어(52)쪽으로 정해진 각도로 절곡된 가이드판(54)과, 상부가이드부(4)가 수동조작으로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상기 가이드판(54)의 양끝단과 중간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56)가 형성되어 된 상부가이드부(4)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하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판(54)으로 되는 상기 하부가이드부(6)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축봉(44)이 설치되어 정해진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4)의 선단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편체로 된 가이드핀(24)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류시스템.
KR10-2001-0034130A 2001-06-16 2001-06-16 자동분류시스템 KR100436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30A KR100436917B1 (ko) 2001-06-16 2001-06-16 자동분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30A KR100436917B1 (ko) 2001-06-16 2001-06-16 자동분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87A KR20020096087A (ko) 2002-12-31
KR100436917B1 true KR100436917B1 (ko) 2004-07-27

Family

ID=2770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30A KR100436917B1 (ko) 2001-06-16 2001-06-16 자동분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9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018A (ja) * 1988-07-22 1990-02-02 Akiyuretsukusu:Kk ライン自動振り分け装置
JPH0497722A (ja) * 1990-08-14 1992-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5217103A (en) * 1991-01-15 1993-06-08 Norbert Umlauf Convey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018A (ja) * 1988-07-22 1990-02-02 Akiyuretsukusu:Kk ライン自動振り分け装置
JPH0497722A (ja) * 1990-08-14 1992-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5217103A (en) * 1991-01-15 1993-06-08 Norbert Umlauf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87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5039A (en) High speed tilted belt sorter
EP1012084B1 (en) High speed automated cog sorter
JP4035530B2 (ja) 仕分け機および仕分け方法
US3512638A (en) High speed conveyor sorting device
US20100006393A1 (en) Diverter Assembly
JP2008273744A (ja) コンベヤ
US11365056B2 (en) Conveying device
US4508206A (en) Conveyor and sorting switch
KR100436917B1 (ko) 자동분류시스템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KR200247390Y1 (ko) 자동분류시스템에 장착되는 슈
JP4984833B2 (ja) 搬送設備
JPH0761570A (ja) リニアモータを用いた貨物仕分け装置
KR102330956B1 (ko) 포켓 소팅 시스템
KR20220052722A (ko) 물류 자동 선별 이송 장치
KR840003208A (ko) 제로 압력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
KR102588540B1 (ko) 제품 우회용 테이블이 설치되는 컨베이어장치
JP4849813B2 (ja) スライドシュー式物品仕分けコンベヤ
KR102447321B1 (ko) 슬라이드슈 타입 분류장치
CN115108211A (zh) 出仓装置、出库设备以及带式仓储系统
JPH07206147A (ja) コンベア用ダイバータ
US20050121292A1 (en) Suspension-type conveying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conveyable-article carriers
JP4463617B2 (ja) 搬送路切換装置
JPH08231035A (ja) 仕分け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体ユニット
US20240327133A1 (en) Deflecting device for an elongat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0041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4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2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404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