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6120B1 -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120B1
KR100436120B1 KR10-2001-0076629A KR20010076629A KR100436120B1 KR 100436120 B1 KR100436120 B1 KR 100436120B1 KR 20010076629 A KR20010076629 A KR 20010076629A KR 100436120 B1 KR100436120 B1 KR 10043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xide
cemented carbide
cement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172A (ko
Inventor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유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권 filed Critical 유성권
Priority to KR10-2001-007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1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1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215Mortar or concrete mixtures defined by their oxid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성이 떨어지고 인장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투수성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화반응이 서서히 나타나서 안정된 수화물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도 비교예에 비하여 대체로 20%강하였고, 재령 3시간에서의 휨강도도 대체로 30% 정도 높아서 열수축성을 낮출수 있고, 인장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투수성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값싸고 물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HIGH SPEED HARDENING CE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수축성이 떨어지고 인장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투수성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교통량의 증가에 의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및 교량 접합부 등의 도로 구조물은 차량의 윤하중으로 인한 조기 열화 현상이 발생하여 긴급 보수 공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나 콘크리트는 강도를 발현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양생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단시간에 강도를 발현한다는 장점이 있어 시멘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의 보수공사시에 교통차단 시간을 줄이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우수한 보수 재료일 뿐만 아니라, 현재 비행장의 활주로 보수공사, 일반 토목 건축 공사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는 통상의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조기 강도 발현을 위해 높은 수화열이 발생하므로, 대형구조물의 시공시 콘크리트 내에서 열과 수분의 이동에 따른 온도 응력과 수축으로 많은 미소 균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소 균열은 콘크리트의 투수성을 증가시키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양한 형태의 파괴를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 저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년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초속경 시멘트는 제조 코스트가 매우 비싸서 활주로의 보수공사 또는 도로의 긴급 보수공사 등에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열수축성이 떨어지고 인장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투수성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값싸고 물성이 뛰어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9중량% 내지 16중량%의 산화규소(SiO2)와, 21중량% 내지 25중량%의 산화알루미늄(Al2O3)과, 1중량% 내지 3.2중량%의 산화철(Fe2O3)과, 0.05중량% 내지 0.2중량%의 산화망간(MnO)과, 55중량% 내지 65중량%의 산화칼슘(CaO)과, 1.7중량% 내지 5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과, 0.2중량%내지 0.8중량%의 산화카륨(K2O)과, 0.1중량% 내지 0.4중량%의 산화나트륨(Na2O)과, 0.1 내지 0.4중량%의 5산화인(P2O5)과, 0.3 내지 0.8중량%의 산화티탄(TiO2)을 균등하게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칼슘(CaO)이 65중량%를 초과하고, 산화규소(SiO2)이 16중량%를 초과하고, 또한 산화알루미늄(Al2O3)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수화열이 높아져서 콘크리트 몰타르의 양생시간은 단축되나, 양생후에 콘크리트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투수성이 열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산화칼슘(CaO)이 55중량% 미만이고, 산화규소(SiO2)가 9중량%를 미만이고, 또한 산화알루미늄(Al2O3)이 16중량% 미만 함유하고 있으면, 수화열은 떨어지나, 콘크리트 몰타르의 양생시간이 증가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의 특성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산화규소(SiO2) 13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21중량%
산화철(Fe2O3) 2.4중량%
산화망간(MnO) 0.1중량%
산화칼슘(CaO) 60중량%
산화마그네슘(MgO) 2중량%
산화카륨(K2O) 0.5중량%
산화나트륨(Na2O) 0,2중량%
5산화인(P2O5) 0.2중량%
산화티탄(TiO2) 0.6중량%
상기 성분들의 분말을 대기에서 볼밀 또는 믹서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7중량%와, 물 6중량%와, 모래 34중량%와, 자갈 42중량%와, 유동화제 1중량%를 레미콘 탱크에서 1시간 동안 균등하게 혼합하여 가로 ×세로 ×높이가 60㎝ ×60㎝ ×10㎝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한국 공업 규격 KS F 2436에 의해서 콘크리트 몰타르의 응결시간을 측정하였더니 45분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열을 알기 위하여 스티로폴 용기로 단열시키고, 300 × 300 ×250㎜ 크기의 몰드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전하고 중심부에 온도센서(Thermocouples)를 2개 매몰시키고 요꼬가와(주)에서 제조한 수화열 측정장치(모델명 DA10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험편을 양생한 후, 수화열을 측정하였더니 20분부터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14분 경과후부터 43℃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안정된 수화열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직경 ×높이가 10 ×20㎝의 시험편을 제조하여 23 ±2℃ 및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3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더니, 255㎏f/㎝2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높이가 15㎝ ×15㎝ ×55㎝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3시간 양생시킨 후, JCI SF4(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hnes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규정에 따라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39.57㎏f/㎝2였다.
실시예2
산화규소 9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산화철 1.9중량%
산화망간 0.05중량%
산화칼슘 60.5중량%
산화마그네슘 2.05중량%
산화카륨 0.3중량%
산화나트륨 0,4중량%
5산화인 0.4중량%
산화티탄 0.4중량%
상기 성분들의 분말을 대기에서 볼밀 또는 믹서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5중량%와, 물 8중량%와, 모래 25중량%와, 자갈 50중량%와, 유동화제 2중량%를 레미콘 탱크에서 1시간 동안 균등하게 혼합하여 가로 ×세로 ×높이가 60㎝ ×60㎝ ×10㎝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한국 공업 규격 KS F 2436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 몰타르의 응결시간을 측정하였더니 48분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열을 알기 위하여 스티로폴 용기로 단열시키고, 300 × 300 ×250㎜ 크기의 몰드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전하고 중심부에 온도센서(Thermocouples)를 2개 매몰시키고 요꼬가와(주)에서 제조한 수화열 측정장치(모델명 DA10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험편을 양생한 후, 수화열을 측정하였더니 20분부터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10분 경과후부터 45℃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안정된 수화열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직경 ×높이가 10 ×20㎝의 시험편을 제조하여 23 ±2℃ 및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3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더니, 249㎏f/㎝2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높이가 15㎝ ×15㎝ ×55㎝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3시간 양생시킨 후, JCI SF4(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hnes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규정에 따라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42.35㎏f/㎝2였다.
실시예3
산화규소 16중량%
산화알루미늄 23중량%
산화철 2.4중량%
산화망간 0.1중량%
산화칼슘 55중량%
산화마그네슘 1.7중량%
산화카륨 0.8중량%
산화나트륨 0,1중량%
5산화인 0.1중량%
산화티탄 0.8중량%
상기 성분들의 분말을 대기에서 볼밀 또는 믹서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9.5중량%와, 물 7중량%와, 모래 37중량%와, 자갈 36중량%와, 유동화제 0.5중량%를 레미콘 탱크에서 1시간 동안 균등하게 혼합하여 가로 ×세로 ×높이가 60㎝ ×60㎝ ×10㎝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한국 공업 규격 KS F 2436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 몰타르의 응결시간을 측정하였더니 43분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열을 알기 위하여 스티로폴 용기로 단열시키고, 300 × 300 ×250㎜ 크기의 몰드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전하고 중심부에 온도센서(Thermocouples)를 2개 매몰시키고 요꼬가와(주)에서 제조한 수화열 측정장치(모델명 DA10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험편을 양생한 후, 수화열을 측정하였더니 20분부터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10분 경과후부터 47℃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안정된 수화열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직경 ×높이가 10 ×20㎝의 시험편을제조하여 23 ±2℃ 및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3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더니, 258㎏f/㎝2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높이가 15㎝ ×15㎝ ×55㎝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3시간 양생시킨 후, JCI SF4(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hnes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규정에 따라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37.30㎏f/㎝2였다.
실시예4
산화규소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0.8중량%
산화철 3.2중량%
산화망간 0.2중량%
산화칼슘 59.2중량%
산화마그네슘 5중량%
산화카륨 0.2중량%
산화나트륨 0,3중량%
5산화인 0.3중량%
산화티탄 0.8중량%
상기 성분들의 분말을 대기에서 볼밀 또는 믹서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1.5중량%와, 물 5중량%와, 모래 37중량%와, 자갈 45중량%와, 유동화제 1.5중량%를 레미콘 탱크에서 1시간 동안 균등하게 혼합하여 가로 ×세로 ×높이가 60㎝ ×60㎝ ×10㎝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한국 공업 규격 KS F 2436에 의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 몰타르의 응결시간을 측정하였더니 44분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열을 알기 위하여 스티로폴 용기로 단열시키고, 300 × 300 ×250㎜ 크기의 몰드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전하고 중심부에 온도센서(Thermocouples)를 2개 매몰시키고 요꼬가와(주)에서 제조한 수화열 측정장치(모델명 DA10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험편을 양생한 후, 수화열을 측정하였더니 20분부터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10분 경과후부터 46℃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안정된 수화열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직경 ×높이가 10 ×20㎝의 시험편을 제조하여 23 ±2℃ 및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3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더니, 256㎏f/㎝2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높이가 15㎝ ×15㎝ ×55㎝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3시간 양생시킨 후, JCI SF4(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hnes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규정에 따라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38.45㎏f/㎝2였다.
비교예
산화규소 15중량%
산화알루미늄 16중량%
산화철 1중량%
산화망간 0.1중량%
산화칼슘 65중량%
산화마그네슘 2중량%
산화카륨 0.2중량%
산화나트륨 0,2중량%
5산화인 0.2중량%
산화티탄 0.3중량%
상기 성분들의 분말을 대기에서 볼밀 또는 믹서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혼합하여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비교예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16중량%와, 물 6중량%와, 모래 24중량%와, 자갈 52중량%와, 유동화제 2중량%를 레미콘 탱크에서 1시간 동안 균등하게 혼합하여 가로 ×세로 ×높이가 60㎝ ×60㎝ ×10㎝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한국 공업 규격 KS F 2436에 의해서 비교에 따른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 몰타르의 응결시간을 측정하였더니 24분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열을 알기 위하여 스티로폴 용기로 단열시키고, 300 × 300 ×250㎜ 크기의 몰드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전하고 중심부에 온도센서(Thermocouples)를 2개 매몰시키고 요꼬가와(주)에서 제조한 수화열 측정장치(모델명 DA10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시험편을 양생한 후, 수화열을 측정하였더니 20분부터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60분 경과후부터 50℃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는 불안정된 수화열이 나타났다. 다시말하면 수화열이 양생시킨 후 60분 경과하였을 경우, 수화열이 높게 나타나서 양생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으나, 급격히 온도가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비교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직경 ×높이가 10 ×20㎝의 시험편을 제조하여 23 ±2℃ 및 습도 50%의 조건하에서 3시간 양생한 후, 탈형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더니225㎏f/㎝2였다.
또한, 비교예에 의한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비교예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물, 모래, 자갈, 유동화제의 혼합비로 균등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몰타르를 사용해서 가로 ×세로 ×높이가 15㎝ ×15㎝ ×55㎝인 시험편을 제작해서 3시간 양생시킨 후, JCI SF4(Method of TESTS for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Toughhnes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규정에 따라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28.33㎏f/㎝2으로서 휨강도가 약해서 초속경 시멘트로 사용할 수 없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에 의하면, 비교예에 비하여 응결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수화반응이 서서히 나타나서 안정된 수화물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도 비교예에 비하여 대체로 20%강하였고, 재령 3시간에서의 휨강도도 대체로 30% 정도 높아서 열수축성을 낮출수 있고, 인장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키며, 미세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투수성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값싸고 물성이 뛰어나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9중량% 내지 16중량%의 산화규소(SiO2)와, 16중량% 내지 25중량%의 산화알루미늄(Al2O3)과, 1중량% 내지 3.2중량%의 산화철(Fe2O3)과, 0.05중량% 내지 0.2중량%의 산화망간(MnO)과, 55중량% 내지 65중량%의 산화칼슘(CaO)과, 1.7중량% 내지 5중량%의 산화마그네슘(MgO)과, 0.2중량% 내지 0.8중량%의 산화카륨(K2O)과, 0.1중량% 내지 0.4중량%의 산화나트륨(Na2O)과, 0.1 내지 0.4중량%의 5산화인(P2O5)과, 0.3 내지 0.8중량%의 산화티탄(TiO2)균등하게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KR10-2001-0076629A 2001-12-05 2001-12-05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43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9A KR100436120B1 (ko) 2001-12-05 2001-12-05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29A KR100436120B1 (ko) 2001-12-05 2001-12-05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172A KR20030046172A (ko) 2003-06-12
KR100436120B1 true KR100436120B1 (ko) 2004-06-14

Family

ID=2957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6120B1 (ko) 2001-12-05 2001-12-05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97B1 (ko) * 2009-08-31 2010-03-29 그린텍산업(주) 무시멘트-무독성 무기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블록
KR101042495B1 (ko) 2008-08-21 2011-06-16 신현홍 다공성 생태포장강화 조성물의 제조 및 이의 시공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122B1 (ko) * 2006-07-11 2007-11-02 (주)우암건설 맨홀보수공법
KR101545635B1 (ko) * 2013-10-25 2015-08-19 주식회사 휴리스 방수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5098A (ko) * 1984-12-29 1986-07-18 고준영 지반경화 안정처리 공법
JPH01192196A (ja) * 1988-01-27 1989-08-02 Aisin Seiki Co Ltd ポツテイング方法
JPH10291852A (ja) * 1997-04-15 1998-11-04 Kurosawa Kensetsu Kk 常温硬化セラミック組成物
KR19990048208A (ko) * 1997-12-09 1999-07-05 최용주 속성 경화시멘트(몰탈) 조성물
KR20000049749A (ko) * 2000-04-27 2000-08-05 정광식 저발열시멘트계 고화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30010976A (ko) * 2001-07-28 2003-02-06 씨엠씨 코리아 주식회사 환경친화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난 무기질계 지반안정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5098A (ko) * 1984-12-29 1986-07-18 고준영 지반경화 안정처리 공법
JPH01192196A (ja) * 1988-01-27 1989-08-02 Aisin Seiki Co Ltd ポツテイング方法
JPH10291852A (ja) * 1997-04-15 1998-11-04 Kurosawa Kensetsu Kk 常温硬化セラミック組成物
KR19990048208A (ko) * 1997-12-09 1999-07-05 최용주 속성 경화시멘트(몰탈) 조성물
KR20000049749A (ko) * 2000-04-27 2000-08-05 정광식 저발열시멘트계 고화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30010976A (ko) * 2001-07-28 2003-02-06 씨엠씨 코리아 주식회사 환경친화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난 무기질계 지반안정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95B1 (ko) 2008-08-21 2011-06-16 신현홍 다공성 생태포장강화 조성물의 제조 및 이의 시공공법
KR100949697B1 (ko) * 2009-08-31 2010-03-29 그린텍산업(주) 무시멘트-무독성 무기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태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172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193B2 (en) Cementitious materials including slag and geopolymers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US5151126A (en) Cement-base injection grout for consolidating structures
JP3582263B2 (ja) 製鋼スラグを利用した水和硬化体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1708357B1 (ko) 고기능성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KR101873782B1 (ko) 내구성능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KR101144210B1 (ko) 개질 유황 결합재를 이용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1967B1 (ko)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KR101363857B1 (ko) 조강형 혼합 시멘트 결합재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조강형 혼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545170B1 (ko) 폴리머 개질 조강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N112930329A (zh) 具低收缩率的碱活化干混修补砂浆
KR101877528B1 (ko) 활주로 보수용 초속경 특성을 갖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활주로 보수방법
KR100592781B1 (ko)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KR100436120B1 (ko)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KR101031981B1 (ko) 자기충전성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KR100982653B1 (ko)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0515116B1 (ko) 교면 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방법
KR101426691B1 (ko) 개질 유화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고성능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1755639B1 (ko) 화강석 석판재용 차열성 코팅조성물 및 코팅방법
US5292366A (en) Pumice containing composition
KR101653564B1 (ko) 초속경 도로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3108A (ko) 시멘트 클링커 및 그 시멘트 클링커를 함유한 시멘트
JP4843271B2 (ja) アルカリシリカ反応抑制用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含有組成物
KR102017954B1 (ko) 자기치유형 유황 복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