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1344B1 -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 Google Patents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344B1
KR100431344B1 KR10-2001-0063064A KR20010063064A KR100431344B1 KR 100431344 B1 KR100431344 B1 KR 100431344B1 KR 20010063064 A KR20010063064 A KR 20010063064A KR 100431344 B1 KR100431344 B1 KR 10043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vel
rotating disk
lcd monitor
swivel memb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721A (ko
Inventor
정준수
정현준
하상경
박두순
김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3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스위블장치는, 원통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베이스부와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안내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단면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위블부재; 스위블부재의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스위블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안내부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짧은 두께를 가지는 회전디스크; 및 플랜지부의 내측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회전디스크와 베이스부를 일체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최대한 원활하고 안정적인 스위블동작을 내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SWIVEL APPARATUS FOR STAND OF LCD MONITOR}
본 발명은 스위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CD모니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탠드를 좌우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스크톱 컴퓨터에는 LCD모니터가 주로 채택되고 있으며, 이 LCD모니터의 화면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위블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중에는 예를 들어, 한국공개번호 제1999-001797호(명칭: 스위블동작력이 있는 LCD모니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CD모니터가 장착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결합영역에 힌지부를 마련하여, LCD모니터의 상하좌우방향 스위블동작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그 힌지부의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제품의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한편, 기능성만을 고려한 제품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품위가 저하되어 효과적인 수요증대를 창출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CD모니터(101)가 장착되는 스탠드본체(103)와 이 스탠드본체(103)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05)로 구성된 LCD모니터스탠드(102)를 구비하여 제품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이 LCD모니터스탠드(102)에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상하 및 좌우 스위블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도, 좌우스위블동작을 위한 구성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종래의 LCD모니터의 좌우스위블 동작은, 베이스부(105)와 바닥면(도시않음)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디스크(111), 및 이 회전디스크(111)를 베이스부(105)의 저면(1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일의 결합부재(1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13)는 헤드부(115)와 나사부(117)를 포함하는 거의 스크류형상을 가지며, 나사부(117)의 단부영역에만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113)가 회전디스크(111)를 관통하여 베이스부(105)에 결합되면, 나사부(117)의 하부영역에서 회전디스크(111)의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디스크(111)가 바닥면과 접면하는 상태에서 LCD모니터스탠드(102)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LCD모니터(101)의 좌우스위블동작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스위블동작시 단일의 체결부재에 그 부하가 집중되어 원할한 회전이 방해되는 동시에 그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특히, 관절영역 즉, 베이스부 및 회전디스크와의 상호 접촉영역에 마모가 심하여그 원할한 스위블동작을 내구적으로 보장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블동작시 종래의 회전축에 집중적을 부하가 걸림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최대한 원활하고 안정적인 스위블동작을 내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한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장치가 설치된 LCD모니터스탠드에 LCD모니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저부확대사시도로서, 본 스위블장치가 설치된 LCD모니터스탠드의 하부영역을 확대하여 저부사시도로서 나타낸 도면,
도 3는 도 2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스위블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장치를 분해시킨 상태의 LCD모니터스탠드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스위블장치가 설치된 LCD모니터스탠드에 LCD모니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저부사시도, 및
도 8은 도 7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종래의 스위블장치를 분해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CD모니터 3 : LCD모니터스탠드
5 : 스탠드본체 7 : 베이스부
11, 51 : 스위블장치 13, 53 : 스위블부재
17, 67 : 플랜지부 18, 58 : 안내면
23, 63 : 회전디스크 21a, 21b, 21c, 21d : 체결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있어서, 원통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단면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의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위블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짧은 두께를 가지는 회전디스크;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부를 일체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있어서, 원통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단면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의 안내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위블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디스크; 및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디스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부를 일체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복수의 스크류로 간단히 구성가능하며, 한편, 상기 회전디스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걸림후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장치가 설치된 LCD모니터스탠드에 LCD모니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스위블장치(11)가 설치된 LCD모니터스탠드(3)는 기립배치되는 스탠드본체(5)와 이 스탠드본체(5)를 지지하는 베이스부(7)로 구성된다.
스탠드본체(5)는 거의 직사각통상을 가지며, 그 상부영역에 LCD모니터(1)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본체(5)에는 도시않은 힌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힌지부는 본 발명과 별개의 사안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하지만, LCD모니터(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스위블동작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종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하 및 좌우방향 스위블동작을 일체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부(7)는 거의 정사각판상을 가지며, 그 4개의 측면에 하향플랜지부(7a, 7b, 7c, 7d)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7)의 크기는 스탠드본체(5) 및 그 상부에 LCD모니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를 가진다. 이러한 베이스부(7)에는 스탠드본체(5)의 하단부를 수용가능한 도시않은 수용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브라켓에 스탠드본체(5)가 수용고정된 상태에서, 그 배면에 별도의 역시 도시않은 보강부재가 결합된다. 보강부재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통해 베이스부(7)와 스탠드본체(5)를 상호 결합하며, 이에 의해, LCD모니터(1)를 지지하기 위한 안정적인 구조가 보강된다. 스탠드본체(5)와 베이스부(7)는 일체형성가능하다.
한편, 베이스부(7)의 저면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CD모니터스탠드(3)의 좌우방향 스위블동작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스위블장치(1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스위블부재(13) 및 이 스위블부재(13)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디스크(2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회전디스크(23)를 LCD모니터스탠드(3)의 베이스부(7)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재(21a, 21b, 21c, 21d)를 포함한다.
원통상의 스위블부재(13)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15)로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의 길이 즉, 그 높이는 베이스부(7)에 형성된 플랜지부(7a, 7b, 7c, 7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스위블부재(13)는, 베이스부(7)의 하부에 그 상면이 베이스부(7)의 저면(8)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그 하면(14)이 바닥면(도시않음)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블부재(13)에는, 그 상측 연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플랜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7)는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디스크(23)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위블부재(13)의 내면 즉, 플랜지부(17)의 하부영역의 내벽면은 회전디스크의 회전을 위한 안내면(18)을 형성한다.
회전디스크(23)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스위블부재(13)의 내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고 스위블부재(13)내에 수용된다. 하지만, 스위블부재(13)의 플랜지부(17)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스위블부재(13)내에 상향 이탈방지적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그 두께는 안내면(18)의 폭방향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블부재(13)내에 수용되면, 스위블부재(13)의 하면(14)만이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회전디스크(23)의 회전시 그 외주면과, 스위블부재(13)의 안내면(18) 및 플랜지부(17)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스위블부재(13)와 회전디스크(23)의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구성에서는 아세탈(Acetal)수지로 제작된 스위블부재(13)를 제공한다. 아세틸재질은, 플라스틱이나 ABS수지등과 같은 재질에 비하여 마찰에 의한 강성이 우수함은 물론, 방음효과에 우수한다. 여기서, 회전디스크(23) 또한 아세탈수지로 제작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체결부재(21a, 21b, 21c, 21d)는 간단히 다수의 스크류로 구성가능하다. 회전디스크(23)에는 이들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스크류공(22a, 22b, 22c, 22d)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7)에도 회전디스크(23)의 스크류공(22a, 22b, 22c, 22d)에 대응하는 다수의 체결공(24a, 24b, 24c, 24d)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스크류(21a, 21b, 21c, 21d)는, 회전디스크(23)의 각 스크류공(22a, 22b, 22c, 22d)을 관통하여 베이스부(7)의 체결공(24a, 24b, 24c, 24d)에 체결되며, 이에 의해, 회전디스크(23)는 LCD모니터스탠드(3)의 좌우방향 스위블동작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LCD모니터스탠드(3)의 스위블장치(11)의 조립은, 우선 베이스부(7)의 저면(9)에 스위블부재(13)를 대치시킨 후, 그 원통상의 안내면(18)내에 회전디스크(23)를 수용시킨다. 그런 다음, 복수의 스크류(21a, 21b, 21c, 21d)를 사용하여 회전디스크(23)에 형성된 스크류공(22a, 22b, 22c, 22d)을 관통시켜 베이스부(7)에 마련된 체결공(24a, 24b, 24c, 24d)에 체결시키면, 간단히 조립완성된다.
스위블장치(11)가 조립완성된 LCD모니터스탠드(3)는 테이블이나 책상위에 배치되며, 이 때, 스위블부재(13)의 하면(14)이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탠드본체(5)나 베이스부(7)를 잡고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일체로 회전디스크(23)가 스위블부재(1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LCD모니터(1)의 화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구성에서는, LCD모니터(1)의 화면각도 조절을 위한 스위블조작 즉, LCD모니터스탠드(3)의 회전조작시, 다수의 스크류(22a, 22b, 22c, 22d)들이 도면상에서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체로 회전축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부하가 각각의 스크류(22a, 22b, 22c, 22d)를 통해 분산되며, 이에 의해, 안정적이고 내구적인 원할한 회전이 도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11)에서는, 그 원할한 설명을 위해 생략하였지만, 베이스부(7)의 중앙영역이 거의 정사각형상의 절취부(9)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7)의 형상은 최근 디자인의 다양화를 통하여 외관의 품위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이에 따라 회전디스크(23)의 형상도 베이스부(7)의 절취부(9)에 대응하여 절취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디스크(23)의 스크류공(22a, 22b, 22c, 22d)은 그 절취부(29)의 외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장치를 분해시킨 상태의 LCD모니터스탠드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명칭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위블장치(51)는, 스위블부재(53), 회전디스크(63), 및 복수의 체결부재(21a, 21b, 21c, 21d)로 구성됨은 전술한 실시예(11)와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그 형상에 있어서 상이한데, 먼저, 스위블부재(53)는 원통상을 가지며, 그 상측 연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플랜지부(57)를 가지고 있다.
회전디스크(63)는 고리상을 가지며, 원통상의 스위블부재(53)의 외면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반경을 가진다. 이 고리상의 회전디스크(63)는 스위블부재(53)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때, 스위블부재(53)의 외면이 회전디스크(63)의 회전을 위한 안내면(58)을 형성한다. 회전디스크(63)는 안내면(58)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그 두께가 얇으며, 이에 의해, 스위블부재(53)의 저면(54)만이 바닥면에 접촉가능하다.
한편, 회전디스크(63)는 스위블부재(63)의 플랜지부(65)에 의해 상향 이탈방지된다. 그리고, 그 내경과 외경 사이의 폭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스위블부재(63)를 수용한 상태에서 스위블부재(63)의 플랜지부(53)의 측방으로 외향 돌출된다. 돌출된 판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크류공(62a, 62b, 62c, 62d)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스크류공(62a, 62b, 62c, 62d)에는 각각 하측으로부터 스크류(21a, 21b, 21c, 21d)가 관통하여 베이스부(7)의 체결공(64a, 64b, 64c, 64d)에 체결되며, 이에 의해, 회전디스크(63)는 LCD모니터스탠드(3)와 일체로 좌우방향으로 스위블동작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장치(51)는, 스위블부재(53)와 회전디스크(63)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11)와 상이할 뿐, 그 동일 기능 및 효과를 제공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블동작시,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을 통해 그 부하가 분산되므로, 최대한 원활하고 안정적인스위블동작을 내구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바닥면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있어서,
    원통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단면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의 플랜지부가 형성하는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위블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짧은 두께를 가지는 회전디스크; 및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부를 일체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2. 바닥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가지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에 있어서,
    원통상의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안내부의 상측 연부로부터 단면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의 안내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위블부재에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디스크; 및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에 상기 회전디스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와 상기 베이스부를 일체회전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복수의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걸림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KR10-2001-0063064A 2001-10-12 2001-10-12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KR10043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64A KR100431344B1 (ko) 2001-10-12 2001-10-12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64A KR100431344B1 (ko) 2001-10-12 2001-10-12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721A KR20030030721A (ko) 2003-04-18
KR100431344B1 true KR100431344B1 (ko) 2004-05-12

Family

ID=2956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064A KR100431344B1 (ko) 2001-10-12 2001-10-12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2771A2 (en) 2005-09-13 200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swiveling structure
KR100860025B1 (ko) * 2002-03-26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모니터의 스위블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320B1 (ko) * 2003-12-26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회전받침 구조
KR100609852B1 (ko) 2004-05-04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0973B1 (ko) 2004-10-25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662327B1 (ko) * 2004-12-10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의 스탠드
KR100684996B1 (ko) * 2005-03-08 200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830428B1 (ko) * 2007-01-15 2008-05-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좌우 회전이 가능한 스탠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354A (ja) * 1996-12-16 1998-06-30 Kokus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のスイベルユニット
KR20010044073A (ko) * 2000-08-10 2001-06-05 박세규 엘시디 모니터
KR20010054369A (ko) * 1999-12-06 2001-07-02 박종섭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10055868A (ko) * 1999-12-13 2001-07-04 구자홍 나일론 링을 이용한 회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354A (ja) * 1996-12-16 1998-06-30 Kokus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のスイベルユニット
KR20010054369A (ko) * 1999-12-06 2001-07-02 박종섭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10055868A (ko) * 1999-12-13 2001-07-04 구자홍 나일론 링을 이용한 회전구조
KR20010044073A (ko) * 2000-08-10 2001-06-05 박세규 엘시디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25B1 (ko) * 2002-03-26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모니터의 스위블 조립체
EP1762771A2 (en) 2005-09-13 2007-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swivel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721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6138B2 (en) Hinge and stand for display device
KR1013142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31344B1 (ko) Lcd모니터스탠드의 스위블장치
US6702238B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panel
US20040178314A1 (en) Rotary supporting base for a display device
KR101209317B1 (ko)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US6330993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adjusting range of a visual angle
US912553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JP2786410B2 (ja) ヒンジ装置
KR200341841Y1 (ko) 식기세척기용 하부로터 조립체
KR1005456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 구조
JPH10230703A (ja) 格納式キャスタ装置
KR200255468Y1 (ko) 일체로구성된스탠드부를갖는모니터
US20070219056A1 (en) Monitor for Exercise Machine
JP4290257B2 (ja) タッチパネルタイプの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010055868A (ko) 나일론 링을 이용한 회전구조
JP3054551B2 (ja) 収納容器
KR100489787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200155658Y1 (ko)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KR200226862Y1 (ko) 탁상용 거울의 회동지지장치
KR200401759Y1 (ko) 정치기구 일체형 캐스터
KR200310962Y1 (ko) 승강장치가 구비된 수납케이스
KR200227953Y1 (ko)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KR20010054369A (ko)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70025200A (ko) 액정 tv 모니터용 스탠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