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5926B1 -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926B1
KR100425926B1 KR10-2001-0014082A KR20010014082A KR100425926B1 KR 100425926 B1 KR100425926 B1 KR 100425926B1 KR 20010014082 A KR20010014082 A KR 20010014082A KR 100425926 B1 KR100425926 B1 KR 10042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ve
cloves
plant
extract
trea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712A (ko
Inventor
이상명
김도완
배일이
이동운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헬스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헬스존 filed Critical (주)제이엔헬스존
Priority to KR10-2001-001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식물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가지는 친환경적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정향 추출물 또는 정향가루를 식물의 재배토양에 처리할 경우 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과 잔디라지패취병균(Rhizoctonia solaniAG2-2)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뿌리혹선충(Meloidogynesp.) 방제제로서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is caused by Meloidogyne sp. using Eugenia caryophyllate}
본 발명은 정향나무 꽃 열매(정향; 이하 '정향'이라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정향의 추출물 또는 정향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원예작물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잘록병(Rhizoctonia solani), 잔디라지패취병(Rhizoctonia solaniAG2-2)과 뿌리혹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향은 정향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정향나무의 꽃봉우리를 말린 것을 말한다(정 등, 1998). 정향나무(Syringa velutina)는 정향과(Myrtaceae)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다. 꽃봉우리에 16∼19%의 정유가 있다. 정유에는 에우게놀 C10H12O278∼95%, 아세틸에우게놀 3%, α- 및 β-카리오필렌 C15H24등이 있다. 꽃봉우리는 방향성건위약, 구풍약으로 가정에서 약 원료로 많이 쓴다. 동의치료에서는 토하거나 설사할 때 곽란, 위와 배 아플때에 쓴다. 또한 정향은 식료품가공부문에 이용되며 약품으로서는 정유와 에우게놀을 치과용 방부약, 국소마비약으로 쓴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636p).
종래 정향을 이용한 연구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999-0055304에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5α-리덕타아제 억제 조성물이 공지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017394에는 정향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방향제에 대하여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방법들은 정향 및 정향나무 추출물을 방향제로서 이용하거나 또는 5α-리덕타아제 억제 활성 조성물로서 비듬 방지용, 여드름 치료용으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써 식물병 방제에 관하여는 보고된 바 없으며, 더욱이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내용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주요 식물병의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정향나무의 정향으로부터 수추출물 및 정향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정향 수추출물과 분말이 식물생장에 미치는 효과 및 잘록병 및 잔디라지패취병 방제효과와 뿌리혹발생 억제능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향 추출물 및 정향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정향 추출물 및 정향분말의 식물병 방제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목적은 식물병원균인 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 잔디라지패취병균(Rhizoctonia solaniAG2-2) 및 식물뿌리혹선충(Meloidogynesp.)에 대한 억제능력이 있는 정향 추출물 및 정향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한 정향 추출물 및 정향분말의 식물병원균 방제효과 및 식물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정향 추출물(1: 300으로 추출한 경우)이 첨가된 배지(A)와 첨가되지 않은 배지(B)에서Rhizoctonia solani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정향 무처리구(A)와 처리구(B)에서 오이의 생장상황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정향분말(A)과 정향(B)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정향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정향을 증류수와 1:200, 1:300, 1:500, 1:1,000의 비율로 하여 온수 추출하여 정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정향을 제분기로 분쇄하고 정향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정향 추출물을 PDA배지를 첨가하여 배지를 조제하는 단계; PDA배지에서 1주일간 배양한 오이잘록병균과 잔디라지패취병균을 정향추출물이 함유된 PDA배지에 접종하여 항균효과를 검정하는 단계; 제분기로 분쇄한 정향분말을 일정비율로 토양에 병원균과 처리하여 병 방제효과를 검정하는 단계 ; 정향을 토양처리하여 뿌리혹선충을 억제하는 단계 및 정향의 처리농도별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 정향 추출물이 식물병균 증식을 완전히 억제시키는 농도는 300배액 이하이다. Rhizoctonia속 균의 방제를 위한 사용량은 0.1∼2 중량 % 이며 바람직하게는 0.2∼0.5 중량 % 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정향 추출물의 제조
정향 1g에 증류수 200㎖, 300㎖, 500㎖, 1,000㎖ 를 각각 첨가하여 24시간 방치하였다가 121℃ 1기압에서 25분간 추출하였다.
실시예 2 : 정향 분말의 제조
정향을 제분기 (대성제약기계, 대구)로 분쇄하고 정향 분말가루 (180mesh)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정향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정
PDA배지에서 1주일간 배양한 잘록병균과 잔디라지패취병원균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향추출물에 포테이토덱스트로스아가(디프코)를 3.9% 첨가하여 121℃ 1.5기압에서 20분간 멸균하여 9cm 1회용 사아레에 20㎖를 분주한 다음 공시균을 접종하여 항균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에 증류수를 1:200의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지에서는 오이잘록병균을 100%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고, 잔디라지패취병원균에 있어서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에 1: 200배나 1: 300배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제조한 추출물의 경우에서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정향 추출물의 함유된 농도에 따른 오이잘록병균 증식억제 효과
첨가량 억제율 (%)
2일 3일
200배 100 100
300배 100 97.9
500배 87.8 84.3
1000배 37.0 13.1
무처리 - -
정향 추출물의 함유된 농도에 따른 잔디라지패취병 증식억제 효과
첨가량 억제율 (%)
2일 3일
200배 100 100
300배 100 100
500배 90 85
1000배 60 56
무처리 - -
실험예 2 : 정향 분말을 처리에 따른 식물병 방제 효과 조사
사질양토에Rhizoctonia solani균 접종원을 1% 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정향분말을 0.1, 0.5, 1.0% 비율로 혼합하여 Tray pot에 발아시킨 오이종자(서울마디오이)를 홀당 3립씩 파종한 다음 25℃ 생장실에서 재배하면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 분말의 첨가량이 높은 경우에 발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정향이 식물병을 방제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향의 토양내 처리량에 따른 병방제 효과
첨가량(중량 %) 처리별 방제효과
발아율 (%) 방제가
정향 분말 1 %(Rhizoctonia 1%) 70.8 88.3
정향 분말 0.5 %(Rhizoctonia 1%) 60.4 86.3
정향 분말 0.1%(Rhizoctonia 1%) 66.7 87.6
정향 분말 무처리(Rhizoctonia 1%) 8.3 -
사질양토에Rhizoctonia solani균 접종원을 1% 비율로 혼합하여 Tray pot에 발아시킨 오이종자(서울마디오이)를 홀당 1립씩 파종하였다. 그리고는 25℃ 생장실에서 재배하면서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마다 28홀을 1반복으로 3반복 처리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Rhizoctonia만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33.2%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지만Rhizoctonia와정향 0.5%가 혼합된 처리구에서 92.9%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어 정향의 토양내 처리에 식물병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정향의 토양내 처리량에 따른 병방제 효과
처 리 발아수 발아율 (%)
Rhizoctonia 9.3 33.2
Rhizoctonia+정향 0.5 중량% 26 92.9
Rhizoctonia+정향 0.1중량% 7 25
정향 0.1중량% 21 75
정향 0.5중량% 26 92.9
무처리 26 92.9
실험예 4 : 정향 처리 농도별 식물 생육상황 조사
사질양토에Rhizoctonia solani균 접종원을 1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정향을 0.1, 0.5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Tray pot에 발아시킨 오이종자(서울마디오이)를 홀당 3립씩 파종하였다. 그리고는 25℃ 생장실에서 재배하면서 생육상황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정향처리 농도별 오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정향 처리 농도별 오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처 리 생육상황
초장(mm) 뿌리길이(mm) 지상부생체중 (g) 뿌리생체중 (g)
정향 0.5중량% 4.4±0.7 B 7.1±1.7 A 0.5±0.1 B 0.05±0.04 B
정향 0.1중량% 4.4±0.6 B 10.0±4.4 A 0.5±0.1 B 0.15±0.09 B
무처리 4.6±0.6 B 8.5±2.4 A 1.0±0.3 A 0.19±0.08 A
[주]던컨 다중 검정 분석법에 의해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실험예 5 : 정향처리가 토양선충 밀도 억제에 미치는 영향
뿌리혹 발생 토양을 채취하여 실험실에 가져와 골고루 섞은 다음 2,000㎖를 취하여 0중량%(무처리), 0.2중량%, 0.5중량%, 1.0중량%, 2.0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골고루 섞었다. 그리고 비닐팩에 담아 20℃ 실온에 5일간 보관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50㎖취하여 깔때기법으로 선충을 분리하여 선충수를 계수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선충밀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정향의 처리농도별 선충 밀도 감소 효과
처 리 선충수/토양 50g
무처리% 181 C
0.2중량% 75 B
0.5중량% 1.3 A
1.0중량% 0 A
2.0중량% 0 A
[주]던컨 다중 검정 분석법에 의해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실험예 6: 정향처리가 뿌리혹 형성 억제 효과
사질양토에Rhizoctonia solani균 접종원을 1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정향을 0.2, 0.5, 1.0, 2.0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Tray pot에 발아시킨 오이종자(서울마디오이)를 홀당 1립씩 파종하였다. 그리고는 25℃ 생장실에서 30일간 재배한 후 뿌리혹 형성 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향 분말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에서 88.7±33.3 A의 높은 뿌리혹 형성을 나타낸 반면 정향 분말 2중량% 처리구에서
뿌리혹 형성수가 12.9±6.3 C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뿌리혹선충 방제 효과
처 리 뿌리혹 형성수/주
2중량% 12.9±6.3 C
1중량% 11.6±10.1 C
0.5중량% 24.0±13.6 C
0.1중량% 60.2±28.2 B
무처리 88.7±33.3 A
[주]던컨 다중 검정 분석법에 의해 동일한 영문자는 p=0.05에서 유의차가 없음을 의미함(DMRT).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정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식물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가지는 친환경적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 정향 추출물 또는 정향가루를 식물의 재배토양에 처리할 경우 잘록병과 잔디라지패취병의 발병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식물뿌리혹선충(Meloidogynesp.)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어 환경 친화적인 무공해 생물농약으로 사용할 경우, 생태계 파괴 및 인축 독성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농약산업상 및 환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정향추출물 또는 정향분말을 재배토양에 0.1 내지 2중량%로 처리하여 뿌리혹선충(Meloidogyne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을 방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1-0014082A 2001-03-19 2001-03-19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2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82A KR100425926B1 (ko) 2001-03-19 2001-03-19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082A KR100425926B1 (ko) 2001-03-19 2001-03-19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12A KR20010044712A (ko) 2001-06-05
KR100425926B1 true KR100425926B1 (ko) 2004-04-03

Family

ID=1970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0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5926B1 (ko) 2001-03-19 2001-03-19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258B1 (ko) * 2002-08-05 2005-10-06 케이지바텍 주식회사 한약추출물을 이용한 식물병해충 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75395B1 (ko) * 2006-09-22 2007-11-12 주식회사 바이넥스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적조 방제제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107A (ja) * 1988-10-22 1990-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抗生物剤
WO1996039846A1 (en) * 1995-06-07 1996-12-19 Thermo Trilogy Corporation Clove oil as a plant fungicide
JPH09291008A (ja) * 1996-04-24 1997-11-11 Haitai Confectionery Co Ltd 植物性抗菌剤
KR19980028332A (ko) * 1996-10-22 1998-07-15 김정옥 식물성 항균제
WO1999027793A2 (en) * 1997-11-28 1999-06-10 Barrier Biotech Limited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20010000894A (ko) * 2000-10-26 2001-01-05 최인귀 한약을 주재료로한 한방 농약
KR20020063375A (ko) * 2001-01-29 2002-08-03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생약재의 휘발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문화재보존용 살생물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107A (ja) * 1988-10-22 1990-04-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抗生物剤
WO1996039846A1 (en) * 1995-06-07 1996-12-19 Thermo Trilogy Corporation Clove oil as a plant fungicide
JPH09291008A (ja) * 1996-04-24 1997-11-11 Haitai Confectionery Co Ltd 植物性抗菌剤
KR19980028332A (ko) * 1996-10-22 1998-07-15 김정옥 식물성 항균제
WO1999027793A2 (en) * 1997-11-28 1999-06-10 Barrier Biotech Limited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20010000894A (ko) * 2000-10-26 2001-01-05 최인귀 한약을 주재료로한 한방 농약
KR20020063375A (ko) * 2001-01-29 2002-08-03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생약재의 휘발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문화재보존용 살생물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문화재 보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712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Monaim et al. Effectiveness of plant extracts on suppression of damping-off and wilt diseases of lupine (Lupinus termis Forsik)
Pradhanang et al. Effects of plant essential oils on Ralstonia solanacearum population density and bacterial wilt incidence in tomato
Rice Chemical warfare between plants
Naz et al.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Sou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foid and White) Chitwood, by Means of Amendments of Fumaria parviflora.
KR100425926B1 (ko) 정향을 이용한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 방제방법
Abo-Korah Integrated Managemen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ng cowpea plants
Opara et al. Potency of some plant extracts and pesticides on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s of cocoyam (Colocasia esculenta) in Umudike, South Eastern Nigeria
De Bruyn The saprophytic life of Phytophthora in the soil
KR20180023092A (ko) 사피움 박카툼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풋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Benit et al. Phytopathogenic bacterial and nematicidal activity of extracts and powder of Adhatoda vasica on Meloidogyne incognita
Sudirga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leaf extract of Mansoa alliacea against Colletotrichum acutatum the cause of anthracnose disease on chili pepper
EDDY et al. Vegetation analysis and ethnobotanical study of rubber agroforests in South Sumatra, Indonesia
CN113767901A (zh) 百里酚在防治花生白绢病方面的应用
Bamidele Antifungal potency of Aframomum melegueta (alligator pepper) seed extracts on postharvest rot fungi of two citrus species
CN113475529A (zh) 一种防治花卉蛞蝓的线虫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Njagi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Artemisia and ginger extracts in controll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in roses
Iwuagwu et al. In-vitro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synthetic fungicide in the control of cocoyam leaf necrotic fungi in Aguata LGA, Anambra State
Jesionek et al. Biotechnological Approach to Cultivation of Rhododendron tomentosum (Ledum palustre) as the Source of the Biologically Active Essential Oil
Hanif et al. Use of homeopathic pellets and globules diffusates against root rot and root knot pathogens on the growth of crop plants
Claudius-Cole et al. Potential of Cleome viscosa L. for the management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in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KARIUKI MANAGEMENT OF CROWN GALL DISEASE IN SELECTED Rosa hybrida FARMS IN KENYA USING Artemisia annua LEAVES AND Zingiber officinale RHIZOME EXTRACTS
Knowles Synergistic effects of mixtures of the kresoxim-methyl fungicide and medicinal plants extracts in vitro and in vivo against Botrytis cinerea
Hoesain et al. In vitro studies on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compatibility with botanical pesticide
KR102034704B1 (ko) 빌레나무 추출물에서 분리한 사포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Raghu Studies on management of rhizome wilt of ginger with special reference to Ralstonia solanacearum (EF Smith) Yabuuchi, et 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9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3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32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