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4938B1 - 비틀림모멘트측정장치를내장하는회전축 - Google Patents

비틀림모멘트측정장치를내장하는회전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938B1
KR100424938B1 KR10-1998-0709330A KR19980709330A KR100424938B1 KR 100424938 B1 KR100424938 B1 KR 100424938B1 KR 19980709330 A KR19980709330 A KR 19980709330A KR 100424938 B1 KR100424938 B1 KR 10042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rotating shaft
support
axis
central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782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니꼬
Original Assignee
에스엔에르 룰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에르 룰망 filed Critical 에스엔에르 룰망
Publication of KR2000001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9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01L3/1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invol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1)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회전축(1)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회전축(1)의 중심축 상의 제1 지점(A)을 지나는 평면이 회전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1 지지체(9)에 부착된 2개의 자계 검출 수단(11)과, 회전축(1)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회전축(1)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회전축(1)의 중심축 상의 제2 지점(B)을 지나는 평면이 회전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2 지지체(12)에 부착된 2개의 자계 발상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지점(A)과 제2 지점(B)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1)에 있어서, 제1 롤링 베어링(7)의 내륜이, 회전축(1)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2 개의 지지체(9, 12)의 각각의 고정점인 제1 지점(4) 또는 제2 지점(B) 중에서 주 지지체라고 불리는 지지체의 고정점을 지나는 평면이 회전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회전축(1)의 원주상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본 발명은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예컨대 프랑스 특허 공보 FR-2692986에 기재되어 있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에 관한 것이다. 이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는 제1 지지체에 고정되고 회전축에 수직인 하나의 면내에 있는 2개의 자계 발생기와, 제2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다른 면내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자계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는 회전축에 직접 부착할 수 있고, 이론상으로는 각도 방향 변위의 함수인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의 감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의 강성을 국소적으로 저하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회전축의 비틀림 변형을 축방향의 특정 지점으로 국소화하기 위해서 측정 지점의 회전축 직경을 약간 작게 한다. 이 경우에도 회전축은 비틀림에 기인한 변형을 제한하는 부가적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모든 작동 모멘트를 견딜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의 몇 개의 응용예에 있어서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회전축 상에서 이용 가능한 길이는 제한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일단에서 는 핸들 축과 맞물리는 스플라인에 의해, 또한 타단에서는 래크 피니언에 의해 한정된 회전축의 길이 사이에,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와 볼 베어링을 내장해야만하기 때문에, 회전축 상에서의 이용 가능한 길이는 특히 제한된다.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 정밀도는 2개의 센서의 각 지지체의 회전축 상의 부착 위치가 떨어져 있을수록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설치 길이의 끝에 롤링 베어링을 부착하기 위한 장소를 남겨둔 채 상기 2 개의 지지체를 그 설치 가능한 지점의 양단에 가능한 한 이격시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 제1 해결 방법은 한쪽 지지체를, 회전축에 체결되고, 링형의 축방향의 유지 장치에 의해 회전축에 유지된 롤링 베어링의 내륜을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베어링의 외륜은 강성이고 회전하지 않는 하우징에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 있어서는, 축방향의 유지 장치가 약간의 축방향의 길이를 차지하는 것 이외에, 회전축에 가해지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의 응력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축으로부터 고정 박스에 전해진다. 부하에 따라서는, 베어링의 내륜에 대한 회전축의 고정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체결력이 우연히 제조시의 허용 범위의 최저치가 되는 경우에 특히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회전축에 대하여 자계 발생기가 동작 중에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이 때문에, 자계 검출 수단에 대하여 자계 발생기가 동작 중에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초기 조정 위치가 변하고, 비틀림 모멘트 검지기의 조정이 어긋나서 오신호가 공급된다. 다른 하나의 해결 방법은 베어링의 내륜을, 한쪽 지지체의 회전축 상의 지지부 외주부에 부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베어링의 외경이 증가하고, 이 때문에, 강성인 베어링 하우징, 특히 베어링을 장착하기 위한 사용 공간에 대해 부적절한 크기가 된다.
도 1은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 및 볼 베어링을 구비한 본 발명의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의 절반 단면도,
도 2는 회전축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볼 베어링을 갖춘 회전축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회전축(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의 래크와 핸들 축(모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이다. 도면에 도시된 회전축(1)의 좌단에는 핸들 축과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스플라인(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단에는 래크 피니언(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의 피니언(3) 좌측에 인접하여 칼라(4)를 구성하는 외경이 큰 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그 외주부에는 제1 롤링 베어링(7)을 구성하는 외륜(6) 안에 유지된 롤링 요소, 특히 볼(5)의 궤도륜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롤링 베어링의 내륜은 칼라(4)에 의해 구성된다. 래크 피니언(3)의 우측에는 제2 롤링 베어링인 니들 베어링의 내륜을 구성하는 가는 축(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1)을 도시하고, 그 동작은 프랑스 특허 공보 FR-2692986에 기재되어 있다. 회전축(1)에는 둥근 관형의 제1 지지체(9)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지지체(9)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환상 부분(10)이 설치되어 있다. 환상 부분(10)에는 2개의 자계 검출 수단(11)이 회전축(1)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1의 절반 단면도에 있어서는, 한쪽 자계 검출 수단(11)만이 보이고, 다른 한쪽 자계 검출 수단(11)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회전축(1)에는 칼라(4)의 제1 지지체(9)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견부(4a)에 제1 지지체(9)쪽으로 돌출하여 고정된 둥근 관형의 제2 지지체(1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체(12)에는 2개의 자계 발생기(13)가 회전축(1)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자계 검출 수단(11)과 대향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1의 절반 단면도에 있어서는, 한쪽 자계 발생기(13)만이 보이고, 다른 한쪽 자계 발생기(13)는 보이지 않는다. 제2 지지체(12)는 공지의 수단, 예컨대 접착,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에 의해 칼라(4)의 견부(4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지체(9)의 고정점을 지나 회전축(1)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이 회전축(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지점(A)과, 제2 지지체(12)의 고정점을 지나 회전축(1)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면이 회전축(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지점(B)을 서로 최대한으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비틀림 모멘트의 측정 정밀도를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들 2개의 점(A, B)은 핸들 축과 맞물리는 스플라인(2)과 래크 피니언(3) 사이의 공간에 내에서 서로 최대한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공간 내에서, 제1 롤링 베어링(7)의 내륜은 회전축(1)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전술한 장치는 이들 2개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체(12)를 지지하는 제1 롤링 베어링(7)의 내륜은 칼라(4)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의 일부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에대하여 이동하는 일은 있을 수 없고, 그 때문에, 내륜이 제2 지지체(12)를 지지하고 있는 독립적인 롤링 베어링의 경우와 같이 측정의 부정확함을 야기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실제, 내륜이 제2 지지체(12)를 지지하고 있는 독립적인 롤링 베어링의 경우에는, 제1 롤링 베어링(7)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의 영향이 제2 지지체를 통해 전해지지만, 본원 발명의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1)에 있어서는 그러한 일은 없다. 또한, 제2 지지체(12)가 상기 제1 롤링 베어링(7)의 내륜을 구성하고 있는 칼라(4)의 측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1 롤링 베어링(7)의 직경이 증가하는 일은 없다. 필요하면, 제1 롤링 베어링(7)에 단수 또는 복수 개의 시일(14)을 설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링 베어링(7)의 외륜(6)은 회전축(1)을 스티어링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플랜지(15)를 포함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륜(6)은 예컨대, 단조재(鍛造材)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축(1)의 비틀림 변형을 축방향으로 제1 지지체(9)와 제2 지지체(12) 사이에 국소화하기 위해서 회전축(1)의 제1 지지체(9)와 제2 지지체(12) 사이의 직경을 작게 한다. 회전축(1)의 제1 지지체(9)와 제2 지지체(12)를 덮는 캡(17)을 설치하고, 그 일단을 제1 롤링 베어링(7)의 외륜(6)에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회전 통로(16)를 형성할 수 있다. 캡(17)의 타단과 제1 지지체(9)와의 접합 지점에 조인트(18)를 부착하여 봉할 수 있다. 제1 롤링 베어링(7)의 외륜(6)의 고정은 플랜지(15)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캡(17)이 외륜(6)을 플랜지(15)에 고정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고, 캡(17)은 프레스 가공된 박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되어 도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은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 및 베어링을, 회전축의 한정된 길이의 범위 내에 내장할 필요가 있는 모든 종류의 회전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은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기 위한 상기 문제점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회전축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상의 제1 지점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축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1 지지체에 부착된 2 개의 자계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상의 제2 지점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축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2 지지체에 부착된 2 개의 자계 발생기로 이루어진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제1 롤링 베어링의 내륜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2 개의 지지체의 각각의 고정점이 상기 제1 지점 또는 상기 제2 지점 중에서 주 지지체라고 불리는 지지체의 고정점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축의 표면과 교차하는 회전축의 원주상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자계 검출 수단의 지지체의 고정점인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자계 발생기의 지지체의 고정점인 상기 제2 지점을, 상기 회전축으로의 각 지지체의 고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서로 최대한으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륜은 상기 회전축 상에 설치된 칼라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 지지체는 다른 지지체와 대향하여 상기 칼라의 견부에 고정된다.
이 특징은 상기 내륜으로의 상기 주 지지체의 간단하고 실제적인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링 베어링의 외륜은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특징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외측 박스의 도움 없이 상기 회전축을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각 지지체의 각각의 고정점인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에 직경이 작은 부분이 있다.
이 특징은 비틀림 변형을 축방향으로 국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 중, 상기 주 지지체의 일측에 래크 피니언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 스플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래크 피니언의 선단에는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을 구성하도록 가공된 가는 축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링 베어링은 볼 베어링이며, 상기 제2 롤링 베어링은 니들 베어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주 지지체는 상기 제2 지지체로 이루어진다.
이 특징은 상기 제2 지지체의 해체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체의 해체를 우선시킨다. 상기 제1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자계 검출 수단은 일반적으로 간단한 자석인 자계 발생기보다도 손상을 받기 쉽기 때문이다.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 본 발명의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읽음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8)

  1. 회전축(1)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회전축(1)의 중심축 상의 제1 지점(A)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 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1 지지체(9)에 부착된 2개의 자계 검출 수단(11)과, 상기 회전축(1)의 중심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 상의 제2 지점(B)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지점에 고정된 제2 지지체(12)에 부착된 2개의 자계 발생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점(A)과 상기 제2 지점(B)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에 있어서, 제1 롤링 베어링(7)의 내륜이, 상기 회전축(1)의 충심축에 직교하여 상기 2개의 지지체 (9, 12)의 각각의 고정점인 상기 제1 지점(A) 또는 상기 제2 지점(B)중에서 주 지지체라고 불리는 지지체의 고정점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회전축(1)의 표면과 교차하는 회전축(1)의 원주상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은 상기 회전축(1) 상에 마련된 칼라(4)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 지지체는 다른 지지체와 대향하여 상기 칼라(4)의 견부(4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링 베어링(7)의 외륜(6)은 고정용 플랜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4. 재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은 각 지지체(9, 12)의 각각의 고정점인 상기 제1 지점(A)과 상기 제2 지점(B) 사이에 직경이 작은 부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에는 상기 제1 지지체(9) 및 상기 제2 지지체(12) 중, 상기 주 지지체의 일측에는 래크 피니언(3)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스플라인(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피니언(3)의 선단에는 제2 롤링 베어링의 내륜을 구성하도록 가공된 가는 축(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링 베어링(7)은 볼 베어링이고, 상기 제2 롤링 베어링은 니들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체는 상기 제2 지지체(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모멘트 측정 장치를 내장하는 회전축.
KR10-1998-0709330A 1996-06-21 1997-06-13 비틀림모멘트측정장치를내장하는회전축 Expired - Fee Related KR100424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7731A FR2750180B1 (fr) 1996-06-21 1996-06-21 Arbre tournant incorporant un dispositif de mesure de couple de torsion
FR96/07731 199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82A KR20000015782A (ko) 2000-03-15
KR100424938B1 true KR100424938B1 (ko) 2004-07-07

Family

ID=949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3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4938B1 (ko) 1996-06-21 1997-06-13 비틀림모멘트측정장치를내장하는회전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13251A (ko)
EP (1) EP0906558B1 (ko)
JP (1) JP4010566B2 (ko)
KR (1) KR100424938B1 (ko)
CN (1) CN1100982C (ko)
BR (1) BR9709917A (ko)
DE (1) DE69721990T2 (ko)
FR (1) FR2750180B1 (ko)
WO (1) WO1997049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0906B1 (fr) * 1997-11-07 1999-12-03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esure d'un couple de torsion sur un element mecanique
DE19828513A1 (de) * 1998-06-26 1999-12-3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lektrisch unterstützte Hilfskraftlenkung für Kraftfahrzeuge
DE10108883B4 (de) 2000-04-15 2014-08-21 Volkswagen Ag Drehmoment-Meßaufnehmer
JP4969110B2 (ja) * 2006-01-31 2012-07-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
JP5513902B2 (ja) * 2010-01-12 2014-06-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EP2663848B1 (de) * 2011-01-12 2016-07-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ageranordnung für drehmomentsensor mit abstützender führung des stators und drehmomentsensor
JP5591180B2 (ja) * 2011-05-16 2014-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駆動関節機構
CN106124099A (zh) * 2016-08-05 2016-11-16 索特传动设备有限公司 回转支承扭矩测试装置
JP6726593B2 (ja) * 2016-10-05 2020-07-22 Kyb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DE102018202222B4 (de) * 2018-02-14 2023-12-14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Lenksenso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2597B (de) * 1961-11-29 1964-02-06 Siemens Ag Anordnung zur Messung des Drehmomentes an Wellen
DE3344385A1 (de) * 1983-12-08 1985-06-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Beruehrungsfreie messvorrichtung fuer drehmoment und/oder drehwinkel
FR2661246B1 (fr) * 1990-04-20 1994-08-05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esure d'un couple sur un arbre.
FR2692986B1 (fr) * 1992-06-26 1994-08-19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esure d'un couple de torsion sur un arbre tournant.
FR2738339B1 (fr) * 1995-08-31 1997-10-17 Roulements Soc Nouvelle Dispositif de mesure de couple de torsion d'un arbre tourn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7058A (zh) 1999-05-19
BR9709917A (pt) 1999-08-10
FR2750180B1 (fr) 1998-07-31
EP0906558B1 (fr) 2003-05-14
JP4010566B2 (ja) 2007-11-21
DE69721990D1 (de) 2003-06-18
EP0906558A1 (fr) 1999-04-07
DE69721990T2 (de) 2004-03-11
WO1997049976A1 (fr) 1997-12-31
US5913251A (en) 1999-06-15
KR20000015782A (ko) 2000-03-15
FR2750180A1 (fr) 1997-12-26
CN1100982C (zh) 2003-02-05
JP2000515962A (ja) 200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110A (en) Torsion measuring device for a rotating shaft
KR100424938B1 (ko) 비틀림모멘트측정장치를내장하는회전축
JP6648340B2 (ja) 半径方向弾性トルク伝達を備えたトルクセンサー
US5067350A (en) Sensor to determine rotational parameters
WO1998025116A1 (en) Magnetoelastic torque sensor with shielding flux guide
JPWO2010013490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1947357A1 (en) Bearing with rotation detecting device
CN108474699B (zh) 定子保持器,定子组件和其组装方法,扭矩传感器装置
JP2007024885A (ja) 航空機のホイール用タコメータ
US11496021B2 (en) Electric motor having a rotor shaft and a first and a second bearing
JPS62247222A (ja) トルク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装置
US6640651B2 (en) Torque detector
JP2000508055A (ja) 回転軸の捩り偶力測定装置
JPH086742B2 (ja) センサ装置用軸受座符号器取付け台
US5803419A (en) Support device for measuring sensor
JP2006057814A (ja) 車輪用軸受装置
AU611837B1 (en) Sensor to determine rotational parameters
JP2564055B2 (ja) 磁歪式トルクセンサの過負荷防止装置
JPH02284032A (ja) トルク測定装置
JP3862284B2 (ja) 回転軸の捩りモーメント測定装置
JP2545317Y2 (ja) 波動歯車変速機のトルク検出装置
JP2007078615A (ja) センサ付車輪用軸受
JPH04120374U (ja) 加速度計
JPH02164241A (ja) アンギュラコンタクト形組合わせ玉軸受の予圧量検出装置
JPH043204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