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3870B1 -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870B1
KR100413870B1 KR10-1999-7003266A KR19997003266A KR100413870B1 KR 100413870 B1 KR100413870 B1 KR 100413870B1 KR 19997003266 A KR19997003266 A KR 19997003266A KR 100413870 B1 KR100413870 B1 KR 10041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field
header
data
bit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171A (ko
Inventor
녹스마이클드웨인
딘위디아론할
Original Assignee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4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를 정의하는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함으로써 OSD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OSD 비트스트림은 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포함한다. OSD 유닛은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되는 OSD 헤더로부터의 픽셀 제어 정보를 검색한다. OSD 헤더는 OSD 데이타의 처리에 관한 명령을 제공하도록 사용되고 각종 포인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갖고 있다. 상단 필드 포인터 및 하단 필드 포인터가 OSD 헤더 내에 동일값으로 설정되면, OSD 유닛은 OSD 영역을 위한 다른 필드 내의 각각의 OSD 라인을 반복한다.

Description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전자 제품의 사용 방법 및 구성에 걸쳐 안내하기 위한 메뉴와 같은 대화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전자 제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SD의 다른 중요한 특징은 폐쇄 자막 및 채널 로고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디지탈 비디오 기술의 최근 표준은 OSD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고선명 텔레비젼(HDTV) 방식에서는 4개의 "윈도우" 내에 최대 216개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의 NTSC 방식에서는 하나의 "윈도우" 내에 최대 128개의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규정은 텔레비젼 신호들(예를 들어, HDTV, NTSC, MPEG 등)을 디코드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서 입력되는 인코드된 데이타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디코드된 데이타를 최소의 지연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제공해야 한다는 극심한 제약이 가해진다. OSD 메시지가 비디오 데이타와 함께 디스플레이(오버레이)되어야 하므로,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메모리 대역폭의 일부분을 OSD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당하여야 하고, 이로써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메모리 대역폭 요구량 및 전체적인 연산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WO 90/15502 호에는 비디오 신호 등에 대한 정보를 중첩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복합 비디오 신호와 결합될 데이타는 대체가능한 메모리 소자에 기억된다. 복합(예를 들어, 텔레비젼) 신호가 입력에 제공된다.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는 세퍼레이터에서 분리되어 메모리로부터의 판독 기능을 동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정보외에도,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타는 프레임 카운트와, 라인 카운트와, 디스플레이 정보의 개시, 라인 지점 및 라인내 위치가 각각 결정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정보는 식역하의 정보(subliminal), 식역상의 정보(supraliminal)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것이며,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운드 데이타와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기 위해 유사한 기술이 이용된다.
그러므로,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하드웨어 요구량, 예를 들어 메모리 대역폭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OSD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필드 더블링 모드"를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OSD 영역용의 하단 필드(bottom field) 내에 OSD 데이타의 상단 필드(top field)를 반복함으로써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메모리 대역폭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OSD 유닛을 포함하는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필드 더블링을 시행하는 샘플 OSD 비트스트림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각종 OSD 헤더와 OSD 상단 및 하단 필드 비트 맵(블록)을 갖는 메모리의 구조와,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에 대한 이들의 관계를 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필드 더블링을 시행하는 유효한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OSD 영역용의 하단 필드 내에 OSD 데이타의 상단 필드를 반복하기 위한 OSD 헤더 내의 명령을 이용하여 유효한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함으로써 OSD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OSD 유닛은 기억 소자로부터 OSD 비트스트림을 검색한다. OSD 비트스트림은 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포함한다. OSD 헤더는 OSD 유닛의 컬러 팔레트를 프로그램하고 OSD 데이타의 처리에 관한 명령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는 2개의 OSD 픽셀 데이타 포인터, 즉 "OSD 상단 블록 포인터" 및 "OSD 하단 블록 포인터"를 포함한다. 이들 포인터(플래그)는 상단 및 하단의 OSD 픽셀 데이타가 각각 메모리 내의 어느 곳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OSD 유닛에 알려준다. 양 포인터를 동일값으로 설정함으로써, OSD 유닛은 다른 필드 내의 픽셀의 OSD 라인을 반복한다. 즉, 상단 및 하단 필드가 동일 OSD 데이타를 공유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기타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텔레비젼 신호용의 디코딩/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후, 디코딩 시스템으로 지칭함)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코딩 시스템은 프로세서(130),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40), 리드-온리 메모리(ROM: 142), OSD 유닛(150), 비디오 디코더(160) 및 합성기(mixer: 170)를 포함한다. 합성기(170)의 출력은 경로(18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90)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MPEG 표준, 즉 ISO/IEC 국제 표준 11172(1991)(일반적으로 MPEG-1 포맷으로 지칭됨) 및 13818(1995)(일반적으로 MPEG-2 포맷으로 지칭됨)에 따라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익숙한 자라면 본 발명을 상이한 인코딩/디코딩 포맷을 이용하는 다른 디코딩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코딩 시스템(100)은 각종 데이타 스트림(비트스트림)(120)의 실시간 오디오 및 비디오 압축해제를 수행한다. 비트스트림(120)은 MPEG-1 및 MPEG-2 표준에 부합하여 인코드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기본 스트림을 포함할 것이다. 인코드된 비트스트림(120)은 인코더(도시 생략)에 의해 생성되고, 통신 채널을 통해 디코딩 시스템에 전송된다. 인코드된 비트스트림은 복수의 이미지의 코드화된 표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타 스트림과 같은 이들 이미지와 관련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소스는 HDTV 방송국, 비디오 디스크,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국 등이 될 것이다. 그 결과, 디코딩 시스템(100)은 인코드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드하고 관련 오디오 정보에 동기하여 디스플레이(190) 상에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디코드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코딩 시스템(100)의 오디오 디코딩 기능과 전혀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비트스트림(120) 및 비트스트림(110)을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비트스트림(110)은 비트스트림(120)에 포함되지 않는 각종의 제어 신호 또는 기타 데이타 스트림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채널 디코더 또는 전송 유닛(도시 생략)이 전송 채널과 디코딩 시스템(100) 사이에 채용되어 데이타 패킷의 데이타 스트림 또는 제어 스트림으로의 구문분석(parse) 및 경로지정(route)이 효율적으로 시행되도록 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제어 데이타를 비디오 디코더(160) 및 OSD 유닛(150)에 제공하는 기능,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기능 및 디코드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 각종의 제어 기능(이러한 기능만으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단일 프로세서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익숙한 자라면 프로세서(130)에는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장치 등의 특정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전용 장치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비트스트림(120)을 수신하고, 비디오 디코더(160)를 통해 데이타 패킷을 메모리(140)에 기입한다. 비트스트림은 메모리 데이타 버스를 통해 메모리에 전송되기 전에 선입선출(FIFO) 버퍼(도시 생략)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것이다. 더욱이, 프로세서(130)에 의해 독단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메모리(도시 생략)가 있다.
메모리(140)는 압축된 데이타, 디코드된 이미지 및 OSD 비트 맵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압축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 버퍼, OSD 비트 맵을 저장하기 위한 OSD 버퍼, 이미지의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각종 프레임 버퍼 및 디코드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버퍼 등의 각종 버퍼에 맵핑된다.
MPEG 표준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160)는 메모리내의 인코드된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해 메모리(140)내의 압축된 데이타를 디코드한다. 일부 경우, 디코드된 이미지는 이미지의 인코드에 사용된 압축 기술에 따라 실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예를 들어, 움직임 보상된 이미지의 디코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장된 기준 이미지에 가산되는 차분 신호이다. 이미지가 재구성되면 합성기(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중인 디스플레이 버퍼에 저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OSD 유닛(150)은 OSD 비트 맵 또는 OSD 사양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140)를 사용한다. OSD 유닛에 의해 사용자(제조업체)는 디코드된 이미지 상에 중첩될 수 있는 각 필드에 대한 비트 맵을 정의할 수 있다. OSD 비트 맵은 특수한 소비자 전자 장치의 구성 및 옵션에 관련되는 예를 들어 ROM 등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이와 달리, OSD 비트 맵은 케이블 텔레비젼, 비디오 디스크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폐쇄 자막 및 채널 로고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OSD 비트 맵은 프로그램 가능한 지점의 영역(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 및 크기의 세트로서 정의되며, 프로그램 가능한 지점의 영역 및 크기의 각각은 이용가능한 컬러의 고유 팔레트를 갖는다.
OSD 비트 맵은 사용자에 의해 이 용도로 할당된 메모리(140)의 OSD 버퍼 내에 기입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자라면 ROM(142) 또는 기타 등가의 저장 장치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특정 이미지 또는 프레임에 대해 OSD 기능이 인에이블될 때, 프로세서(130)는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하기 위해 메모리(140) 내의 데이타를 조작한다. OSD 비트스트림은 OSD 헤더 및 OSD 데이타(OSD 픽셀을 정의하는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 내의 OSD 헤더를 프로그램(포맷 및 저장)한다. OSD 헤더는 상단 및 하단의 OSD 필드 비트 맵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팔레트 데이타에 관한 정보와, 다음 헤더 블록에 대한 포인터에 관한 정보와, OSD 해상도, 컬러 및 압축을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OSD 헤더가 프로그램될 때, 프로세서(130)는 특정 실시에 따라 메모리내의 OSD 데이타를 조작할 것이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는 저장된 OSD 데이타가 OSD 비트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수정없이 검색되는 메모리내의 OSD 데이타에 대한 포인터를 이용하여 OSD 헤더를 간단하게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각종 OSD 포인터의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나서, 프로세서(130)는 예를 들어 OSD가 활성화 상태라는 등의 인에이블 상태를 OSD 유닛(150)에 보고하고, 이 OSD 유닛(150)은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OSD 비트스트림에 대한 액세스를 프로세서(130)에 요청함으로써 응답한다. OSD 비트스트림은 관련 OSD 데이타가 각각 후속되는 OSD 헤더를 OSD 유닛이 판독할 때 형성 및 검색된다. OSD 비트스트림을 수신한 후, OSD 유닛은 OSD 헤더내의 명령 또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OSD 픽셀 데이타를 처리한다. 그 후, OSD 유닛은 한쌍의 디스플레이 카운터(도시 생략)가 OSD 정보(메시지)를 삽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카운트값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 정확한 위치가 식별되면, OSD 유닛은 그 출력을 합성기(170)에 제공한다. OSD 유닛(150)의 출력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휘도 및 색도 성분을 표현하는 디지탈 워드의 스트림 또는 시퀀스이다. 이해될 수 있는 OSD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OSD 유닛을 통과하는 필요 데이타 흐름(OSD 비트스트림)을 유지하도록 요구될 때, 새로운 메모리 액세스가 요청된다. 현재 OSD 영역에 대한 OSD 픽셀 데이타의 최종 바이트가 메모리로부터 판독될 때, 다음 OSD 헤더가 판독되고, 현재 프레임에 대한 최종 OSD 영역에 걸쳐 처리가 반복된다.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자라면 전술된 바와 같이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하고 검색하는 순서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OSD 헤더는 프로세서가 OSD 데이타를 포맷하고 있을 때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거나, 전체 OSD 비트스트림을 검색하지 않고서도 OSD 유닛에 의해 OSD 메시지로서 처리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OSD 픽셀 데이타가 디코드된 이미지 상에 중첩되므로, 합성기(170)는 디코드된 이미지를 OSD 픽셀 데이타와 선택적으로 혼합 또는 다중화할 것이다. 즉, 합성기(170)는 OSD 픽셀, 디코드된 이미지의 픽셀 또는 이 두가지 유형의 픽셀의 조합(혼합)을 각각의 픽셀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성능을 갖는다. 이 성능은 디코드된 이미지 상에의 폐쇄 자막의(OSD 픽셀 데이타만의)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한 채널 로고(OSD 픽셀과 디코드된 이미지 픽셀의 조합)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디코더(160) 및 OSD 유닛(150)은 모두 각각의 휘도 및 색도 성분을 나타내는 디지탈 워드의 스트림 또는 시퀀스를 형성한다. 비디오 성분을 나타내는 디지탈 워드의 시퀀스는 합성기(170)를 통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185)에 인가된다. 휘도 및 색도를 나타내는 디지탈 워드는 DAC의 각 섹션에 의해 아날로그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변환된다.
OSD 유닛(150)은 활성 비디오 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임의의 부분에 걸쳐 사용자 정의된 비트 맵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트 맵은 각 필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OSD 영역의 집합(collection)으로서 특정될 수 있다. 영역은 간혹 그 경계에 의해 그리고 그 내용물(content)을 정의하는 비트 맵에 의해 특정된 직사각 영역이 된다. 비트 맵은 각각의 OSD 라인이 OSD 영역 내의 OSD 픽셀의 라인을 표현하는 복수의 OSD 라인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각 영역은 그 영역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컬러(예를 들어, 4 또는 16 컬러)를 정의하는 팔레트와 연관된다. 필요에 따라, 이들 컬러 중의 한 컬러가 투명하게 될 수 있어 전술된 바와 같이 배경이 들여다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에 대한 OSD 기능을 처리하면 프로세서(130)의 연산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특히 프로세서(130)가 비디오 디코더(160)와 OSD 유닛(150) 모두로부터의 메모리 요청을 서비스하여야만 하므로 프로세서의 메모리 대역폭에 관한 극심한 제약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드 더블링 모드를 시행함으로써 OSD 비트스트림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상단 및 하단 필드 모두에 대한 각각의 OSD 라인을 반복함으로써,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메모리(140)로부터 판독되어야 하는 OSD 데이타의 양은 50% 정도 감소된다.
도 2는 "필드 더블링"을 시행하는 샘플 OSD 비트스트림(200)의 구조를 예시한다. OSD 비트스트림은 OSD 데이타(220)가 각각 후속되는 복수의 OSD 헤더(21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헤더는 임의의 수의 64-비트 OSD 데이타(비트 맵) 워드가 후속되는 5개의 64-비트 워드로 구성된다. OSD 헤더(210)는 OSD 영역 좌표(214)에 관한 정보, 특수 OSD 영역에 대한 팔레트(216)의 각종 엔트리 및 각종 기능 코드(비트)(212)를 포함하고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자라면 OSD 헤더를 어떠한 길이로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헤더 길이를 더 길게 하면 더 많은 엔트리를 갖는 팔레트와 같은 더 많은 정보 및 옵션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높은 연산 오버헤드를 초래하여 OSD 기능을 시행하기 위해 더 많은 판독 및 기입 사이클이 요구된다. 실제로, OSD 헤더의 내용물은 특정 실시예에 대한 예시일뿐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팔레트(216)는 각각의 엔트리가 OSD 픽셀에 대한 색도 및 휘도 레벨의 표현을 포함하는 복수의 엔트리를 포함하고 있다. 팔레트 정보(216)는 OSD 팔레트를 프로그램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능 코드(비트)(212)는 디스플레이 옵션 및 OSD 비트스트림 옵션 등을 포함한 각종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능 코드(212)의 선택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된다.
OSD 영역 좌표(214)는 OSD 영역의 좌측 및 우측 에지의 위치, 즉 행 개시 및 정지 위치와 열 개시 및 정지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좌표는 OSD 영역이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상에 나타나게 될 위치를 정의한다.
그러나, 종래의 텔레비젼 디스플레이는 이미지의 하나 걸러의 라인이 초기에 디스플레이(주사)되는 서브샘플링의 형태를 갖는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다. 초기 주사가 완료된 후, 나머지 세트의 라인의 2차 주사가 이미지의 상단에서부터 개시된다. 즉, 이미지 또는 프레임의 기수 라인(일반적으로, "상단 필드" 또는 "상단 블록"으로 지칭됨)이 초기에 주사되고, 우수 라인(일반적으로, "하단 필드" 또는 "하단 블록"으로 지칭됨)의 연속 주사가 후속된다.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의 경우, 영역 좌표(214)는 대응하는 OSD 영역에 대한 메모리(140) 내에서의 상단(240) 및 하단(242) 필드 픽셀 비트 맵의 위치(포인터)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OSD 영역 좌표(214)는 메모리(140) 내에서의 다음 헤더 블록을 가르키기 위한 "다음 헤더 포인터"(244)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상단 블록 포인터(240)를 하단 블록 포인터(242)와 동일한 값으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OSD 유닛(150)은 동일 메모리 지점 내에 위치될 상단 및 하단 필드 모두에 대한 OSD 데이타의 위치를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OSD 유닛(150)은 OSD 영역 내의 상단 및 하단 필드 모두에 대한 동일 OSD 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필수적으로, OSD 유닛은 다른 필드 내의 픽셀의 OSD 라인을 반복한다(필드 더블링).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OSD 데이타의 1/2을 생성하도록 요구된다. 즉, OSD 비트스트림의 크기는 대략 50%로 감소된다.
OSD 데이타(220)는 좌에서 우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의 순서로 비트 맵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OSD 데이타는 일반적으로 비트 맵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을 위한 OSD 팔레트에 대한 컬러 인덱스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터레이스 디스플레이에 대해 필드 더블링이 시행되면, OSD 데이타(220)는 단일 필드(230)만을 위한 OSD 데이타를 정의한다. 상단 및 하단 블록 포인터가 동일값으로 설정되므로, OSD 유닛(150)은 2개의 필드에 대하여 단일 필드의 OSD 데이타만을 판독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필드(상단 또는 하단)를 반복할지에 관한 판단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어느 필드를 선택하든지 간에 현저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도 3은 각종 OSD 헤더와 OSD 상단 및 하단 필드 비트 맵(블록)(310∼330)을 갖는 메모리(340)의 구조와, 복수의 OSD 영역(352,354)을 갖는 디스플레이된 프레임(350)에 대한 이들의 관계를 개시하는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예시를 위해, 각각의 "OSD 활성" 프레임에 대해, OSD 유닛(150)은 레지스터(305)에 의해 지시된 메모리 위치에서 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를 요청한다. OSD 유닛(150)은 상단(312) 및 하단(314) 필드 비트 맵이 OSD 1 영역(352)을 위해 위치 지정하고 있는 곳을 판정하기 위해 제1 OSD 헤더 블록(310)을 판독한다. 양 필드로부터의 OSD 데이타가 OSD 유닛에 의해 판독될 때, OSD 유닛은 신규의 헤더 어드레스를 제1 OSD 헤더(310) 내에 저장된 "다음 헤더 포인터"를 사용하여 프로세서(130)에 전송한다. 이 처리는 최종 OSD 영역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프레임에 대해 처리 및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지속한다.
도 3은 필드 더블링이 시행되는 OSD 2 영역(354)을 도시하고 있다. OSD 유닛(150)은 상단(326) 및 하단(324) OSD 필드 비트 맵이 OSD 2 영역(354)을 위해 위치 지정하고 있는 곳을 판정하기 위해 제2 OSD 헤더 블록(320)을 판독한다. 상단 및 하단 블록 포인터가 동일값으로 설정되므로, OSD 유닛(150)은 단일 필드[상단 필드(326)]의 OSD 데이타만을 판독한다. 단일 필드의 OSD 데이타는 OSD 2 영역(354)에 대해 반복된다. 하단 OSD 필드 비트 맵(324)은 메모리를 사용하지도 않고 메모리를 판독하지도 않는다. 실제로, 특정 타입의 OSD 데이타에 대해, 프로세서(130)는 하단 OSD 필드 비트 맵(324)을 전혀 구성하지 않을 것이다.
이 모드의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130)는 OSD 비트스트림이 양 필드의 OSD 데이타를 운반하는 정상 디스플레이 모드에 비해 2:1의 압축비를 얻을 수 있다. OSD 영역이 특히 큰 곳에서 절감이 두드러진다. 필드 더블링이 시행되면, 각각의 연속 쌍의 수평 OSD 라인이 동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므로 OSD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수직으로 50% 감소된다.
그러나, 더 많은 OSD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OSD 해상도의 감소는 수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 자막 등의 각종 OSD 시행에 적합한 것이다. 패쇄 자막은 일련의 프레임(이미지)으로 지칭되는 워드와 상관되는 OSD 메시지의 고속 디스플레이를 요구한다.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폐쇄 자막을 시청하기를 희망하므로, 해상도의 감소는 불가피한 것이다. 더욱이, 폐쇄 자막 내의 OSD 메시지가 간략하게 디스플레이되므로, 감소된 해상도는 일반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필드 더블링은 특정 OSD 시행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제한하지 않고서도 메모리 연산의 수를 감소시킨다.
최종적으로, 필드 더블링이 하나의 OSD 헤더(210)에 대해 시행될 수 있다하더라도, OSD 유닛(150)은 각각 상이한 해상도 모드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헤더 블록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OSD 유닛은 동일 비디오 스크린 상에 상이한 유형의 해상도 또는 포맷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되는 OSD 데이타에 좌우되는 상이한 해상도로 상이한 OSD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필드 더블링의 시행은 프로세서(1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는 OSD 유닛(150)에 의한 메모리 액세스를 최소화할 필요를 검출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코더(160)는 추가의 메모리 액세스를 요구하는 복잡한 인코드된 일련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도 있다. OSD 유닛과 비디오 디코더간의 메모리 액세스 분쟁(memory access conflict)을 최소로 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OSD 비트스트림으로 필드 더블링을 시행함으로써 비디오 디코더의 증가된 요구를 상쇄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필드 더블링 모드"가 인에이블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OSD 헤더내에 단일 비트를 통합한다. 이 전용 비트가 인에이블될 때, OSD 유닛은 각각의 OSD 라인이 다른 필드에서 반복되도록 OSD 데이타를 반복할 것이다.
도 4는 필드 더블링을 시행하기 위해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400)을 예시한다. 본 방법은 저장 장치,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인출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된다. 프로세서(130)에 의해 OSD 비트스트림이 생성되어 OSD 유닛(150)에 의해 처리된다. 본 방법(400)은 각종 포인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정보를 갖는 OSD 헤더와 이에 후속하는 복수의 데이타 바이트를 생성함으로써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방법(400)은 단계 405에서 개시되고, OSD 영역에 대해 필드 더블링이 인에이블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410으로 진행한다. 필드 더블링이 인에이블되지 않았다면, 본 방법(400)은 비필드 더블링 포맷을 사용하여 OSD 데이타 바이트가 생성되는 단계 415로 진행한다. 그 후, 본 방법(400)은 단계 440으로 진행한다.
단계 410에서의 대답이 "예" 이면, 본 방법(400)은 상단 및 하단 필드 포인터가 OSD 헤더내에 동일값으로 설정되는 단계 420으로 진행한다. 상단 및 하단 필드(블록) 포인터가 동일값으로 설정되므로, OSD 유닛(150)은 단일 필드의 OSD 데이타만을 판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단계 430에서,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가 OSD 데이타 바이트내에 위치된다. 즉, OSD 비트스트림은 각각의 OSD 라인이 OSD 영역 내의 단일 수평 라인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SD 유닛(150)용의 충분한 OSD 픽셀을 포함하는 하나 걸러의 OSD 라인에 대한 OSD 데이타를 운반할뿐이다.
단계 440에서는 방법(400)은 다른 OSD 헤더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새로운 OSD 헤더는 기능 비트(212)에 의해 표현된 각종 모드가 수정된 경우에 요구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신규의 헤더는 프레임 상의 각각의 신규 OSD 영역에 대해 요구된다. 응답이 "아니오" 이면, 방법(400)은 단계 450으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응답이 "예" 이면, 방법(400)은 단계 410으로 복귀하여 각각의 부가적인 OSD 헤더에 대한 단계 410 내지 430을 반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OSD 비트스트림은 필드 더블링 OSD 데이타 바이트 및 비필드 더블링 OSD 데이타 바이트 모두를 포함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단일의 OSD 픽셀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필드 더블링을 시행하는 OSD 비트스트림을 구성하기 위한 신규의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 및 도시하고 있는 본 명세서와 도면을 참고하면,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에 의한 본 발명에 대한 각종의 변경, 수정, 변형 및 다른 사용과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변경, 수정, 변형 및 다른 사용과 응용 모두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갖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필드 포인터와 제2 필드 포인터를 OSD 헤더 내에 동일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를 갖는 복수의 OSD 데이타 바이트를 정의하는 OSD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 포인터는 상단 필드 포인터이고, 상기 제2 필드 포인터는 하단 필드 포인터인 것인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비단일 필드 OSD 데이타를 갖는 복수의 OSD 데이타 바이트를 정의하는 OSD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구성 방법.
  4.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갖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필드 더블링 모드를 나타내도록 사용되는 비트를 OSD 헤더내에 설정하는 단계와;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를 갖는 복수의 OSD 데이타 바이트를 정의하는 OSD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구성 방법.
  5. 저장 매체에 기억되는 OSD 비트스트림에 있어서,
    제1 필드 포인터 및 제2 필드 포인터를 가지며, 상기 필드 포인터가 동일값으로 설정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에 연결되고,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를 정의하는 복수의 OSD 데이타 바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6. 삭제
  7. 삭제
  8.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갖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OSD 헤더 및 OSD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와;
    상기 저장 매체에 접속되고, 제1 필드 포인터와 제2 필드 포인터를 동일값으로 설정하고, OSD 비트스트림을 형성하기 위해 OSD 데이타의 단일 필드를 정의하는 상기 OSD 데이타 및 OSD 헤더를 판독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비트스트림 생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1999-7003266A 1996-10-16 1996-10-16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100413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6/016502 WO1998017057A1 (en) 1996-10-16 1996-10-16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71A KR20000049171A (ko) 2000-07-25
KR100413870B1 true KR100413870B1 (ko) 2004-01-07

Family

ID=2225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266A KR100413870B1 (ko) 1996-10-16 1996-10-16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32977B1 (ko)
JP (1) JP3935959B2 (ko)
KR (1) KR100413870B1 (ko)
BR (1) BR9612746A (ko)
DE (1) DE69623824T2 (ko)
ES (1) ES2183011T3 (ko)
HK (1) HK1024370A1 (ko)
MY (1) MY119562A (ko)
TW (1) TW388180B (ko)
WO (1) WO1998017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2912B2 (en) * 2000-05-12 2007-04-1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ngle OSD pixmap across multiple video raster sizes by chaining OSD headers
US6750918B2 (en) * 2000-05-12 2004-06-1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ngle OSD pixmap across multiple video raster sizes by using multiple headers
EP1418764A1 (en) * 2002-11-05 2004-05-12 STMicroelectronics S.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sub-picture data, and video display system comprising such apparatus
ES2235600B1 (es) * 2003-04-02 2006-03-16 Alcad, S.A. Sistema de videoportero electronico.
US9124870B2 (en) 2008-08-20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n screen display appli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484A (en) * 1989-06-01 1992-07-28 Mindseye Educational Systems, Inc. Superimposing method and apparatus useful for subliminal messages
US6166728A (en) * 1992-12-02 2000-12-26 Scientific-Atlanta, Inc. Display system with programmable display parameters
US5534942A (en) * 1994-06-17 1996-07-0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On screen display arrangement for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5640502A (en) * 1994-08-05 1997-06-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it-mapped on-screen-display device for a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9563B2 (en) 2000-05-11
ES2183011T3 (es) 2003-03-16
JP3935959B2 (ja) 2007-06-27
EP0932977A1 (en) 1999-08-04
KR20000049171A (ko) 2000-07-25
BR9612746A (pt) 1999-08-31
EP0932977B1 (en) 2002-09-18
AU7433096A (en) 1998-05-11
DE69623824T2 (de) 2003-06-05
TW388180B (en) 2000-04-21
JP2001505376A (ja) 2001-04-17
DE69623824D1 (de) 2002-10-24
MY119562A (en) 2005-06-30
WO1998017057A1 (en) 1998-04-23
HK1024370A1 (en)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771B1 (ko) 인코딩된데이터를전송하는전송기및그전송방법,인코딩된데이터를수신하는수신기및그수신방법,영상신호,및저장매체
US61753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on-bit pixels
US64802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US6351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line doubling
KR100413869B1 (ko) 라인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100413870B1 (ko) 필드 더블링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US61184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true color mode
KR100417278B1 (ko) 1-비트 픽셀을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100434675B1 (ko) 트루 컬러 모드를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U71956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MXPA990035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field doubling
MXPA99003537A (es) Aparato y metodo para generar mensajes de despliegue en pantalla usando doblaje de linea
MXPA990035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true color mode
MXPA990035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n-screen-display messages using one-bit pix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