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3555B1 -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555B1
KR100413555B1 KR1019960705668A KR19960705668A KR100413555B1 KR 100413555 B1 KR100413555 B1 KR 100413555B1 KR 1019960705668 A KR1019960705668 A KR 1019960705668A KR 19960705668 A KR19960705668 A KR 19960705668A KR 100413555 B1 KR100413555 B1 KR 10041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injection
valve membe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430A (ko
Inventor
발테르 에그레르
페테르 보에란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042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35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5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75Arrangement of common rails
    • F02M63/0285Arrangement of common rails having more than one common rail
    • F02M63/0295Arrangement of common rails having more than one common rail for V- or star- or boxer-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03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yclically-operated valve for connecting a pressure source, e.g. constant pressure pump or accumulator, to an injection valve held closed mechanically, e.g. by springs, and automatically opened by fuel pressure
    • F02M63/000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yclically-operated valve for connecting a pressure source, e.g. constant pressure pump or accumulator, to an injection valve held closed mechanically, e.g. by springs, and automatically opened by fuel pressure using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0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for cutting-out pumps or injectors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or the injection apparatus, e.g. over-speed, break-down of fuel pumps or injectors ; for cutting-out pump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0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for cutting-out pumps or injectors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or the injection apparatus, e.g. over-speed, break-down of fuel pumps or injectors ; for cutting-out pumps for stopping the engine
    • F02M63/02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for cutting-out pumps or injectors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f the engine or the injection apparatus, e.g. over-speed, break-down of fuel pumps or injectors ; for cutting-out pumps for stopping the engine by draining or closing fuel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9Biased o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로서, 연료를 저압실(7)로부터 고압도관(9,21)을 통해,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내에 돌입하는 1 개 이상의 분사밸브(23)로 보내기 위한 연료압송펌프(1)와, 1 개 이상의 고압도관(9,21)안에서 최대연료관류량을 제한하는 관류제한밸브(27)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관류제한밸브(27)가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한 밸브부재(35)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밸브부재(35)가, 그 폐쇄위치에서 분사밸브(23)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연료에 의해서, 최대연료관류량을 초과한 때에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밸브시트(39)에 맞닿아 붙여지도록 되어있고, 밸브시트(39)로부터 들어 올려진 밸브부재(35)를 통하는 연료관류량이, 밸브부재(35)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조임장소(49,50)에 의해서 조절가능한 형식의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경우, 최소의 누수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관류제한밸브(27)는, 밸브부재(35)가 각 분사마다 밸브시트(39)를 향하는 방향에서 1 회의 스트로크 운동을 행하지만, 상기 밸브시트(39)에는 고압도관이 기밀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누수량에 있어서는, 밸브부재(35)의 초기위치가 분사단계중에 밸브시트(39)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이러한 형식의,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출원 제 4414242호 명세서에 의해 공지된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는 연료압송펌프가 연료를 저압실에서 고압 수집실로 압송한다. 이 고압수집실은 고압도관을 통해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내에 돌입하는 분사밸브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공통의 압력저장시스템(Common Rail)은 고압펌프에 설치된 압력제어장치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분사밸브의 분사압을 회전수와는 무관하게,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전체운전특성필드에 걸쳐 규정할 수 있다. 분사밸브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 분사밸브에 있어서 각각 1 개의, 전기식으로 제어되는 제어밸브가 고압도관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압도관의 개폐제어에 의해서 분사밸브에 있어서의 연료고압분사가 제어된다.
더우기 또한, 공지의 연료분사장치는 고압도관내에 관류제한밸브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류제한밸브는 누설이 생긴 때에 폐쇄하고, 이것에 의해서, 제어 불능인 연료의 유출 및 이것에 관련한 위험성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류제한밸브는 가동인 밸브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밸브부재는, 관류제한밸브의 하류에 있어서, 고압도관내에서의 소정의 압력저하로부터, 유입하여오는 연료에 의해서 되돌림 용수철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밸브시트에 기밀하게 눌러붙여지고, 이것에 의해서 고압도관을 폐쇄한다. 그러나 이 공지의 관류제한밸브는, 비교적 큰 누수량으로 밖에 응답하지않기 때문에, 작은 누수량은 인식하지 못하고 유출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기재한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삽입된 관류제한밸브를 가지는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의 개략도.
도 2는, 조임삽입체를 구비한 관류제한밸브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밸브부재의 단면벽내에서 조임구멍을 구비한 관류제한밸브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분사밸브에 있어서의 2개의 분사시간에 걸친, 고압도관내의 소량의 누설이 있는 경우 및 없는 경우의 밸브부재 스트로크 운동의 경과를 나타내는 선도.
이것에 대하여, 청구항 1에 기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연료분사장치는, 고압도관내의 소량의 누수량이라도 검출할 수 있고, 각각의 관류제한밸브에 의해서 이 고압도관이 폐쇄되도록 되어있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매우 소량의 관류율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손실을 검지함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하고 있지않은 분사밸브도 확인되고, 엔진구동장치에 의해서 차단되기 때문에, 엔진에 있어서의 중대한 연속손실은 피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소량의 누수량에 있어서도 관류제한밸브의 응답은, 관류제한밸브의 밸브부재의 조임횡단면, 및 되돌림 용수철의 탄성력을, 분사밸브에 있어서의 유량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맞추는 것에 따라, 유리한 형식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조임횡단면 및 탄성력이, 완전한 고압도관에 있어서도 분사밸브의 분사중에 밸브부재가 밸브시트를 향하여 활주되는 정도로 낮게 설정되는 것에 따라 얻어진다.
상기의 경우, 관류제한밸브와 분사밸브의 사이의 고압도관내의 압력저하에의해서 생겨지게되는, 이러한 밸브부재의 스트로크는, 관류제한밸브의 폐쇄위치에서 밸브시트에 접촉할 때까지의, 밸브부재의 최대스트로크보다도 작다. 완전한 고압도관 및 분사밸브에 있어서는, 밸브부재는, 닫힌 분사밸브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의 전후로 고압도관내에 같은 압력이 형성되는데 따라서, 다시 그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대하여, 파손한 경우에는, 밸브부재는 그 압력차에 따라서 그 초기위치로 다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어서 행하여지는, 높은 초기위치에서 밸브시트를 향하는 스트로크 운동은, 관류제한밸브가 닫혀질 때까지 행하여진다.
이러한 형식으로, 관류제한밸브에는 유리한 형식으로, 소량의 누수량, 및 대응하는 도관의 폐쇄를 검지할 수 있다고 하는 불가결한 특성이 주어진다. 누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관류제한밸브와 분사밸브의 사이의 도관내의 압력은, 유입하여 오는 연료가 밸브시트를 즉시 밸브시트까지 시프트시키는 정도로 강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상기의 경우, 관류제한밸브는 즉시 폐쇄한다.
관류제한밸브의 밸브부재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형식으로 사발형상의 피스톤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경우 조임장소는 예를들면 피스톤의 폐쇄한 단면으로 형성된 관류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밸브부재에 삽입된 조임삽입체에 조임장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조임삽입체는, 간단히 교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각분사시스템의 각각의 필요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확실한 밸브폐쇄를 위해, 밀봉면 및 밸브시트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이 원추형의 각각의 각도는 관류개구의 밀봉면측의 출구개구가 폐쇄한 단면에 있어서 분사밸브를 향하는 흐름방향으로 보아, 유효실선의 앞에 위치하고 있다.
관류제한밸브를 고압수집실(Common Rail)을 구비한 연료분사장치의 고압도관내에 배치하면 특히 유리하다. 왜냐하면, 이 장소에서는 고압수집실과 분사밸브의 사이의 도관이 기밀하지 않으면 분사시스템 전체가 고장이지만, 나머지의 분사밸브의 비상운전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별도의 이점 및 유리한 구성요건은 실시예의 설명, 도면 및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내연기관을 위한 본 발명의 연료분사장치의 2 개의 실시예가 도면에 나타나고 있고, 이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피스톤 펌프로서 구성된 고압펌프(1)가 연료를, 필터(3)를 가지는 흡기도관(5)을 통해, 연료탱크로서 구성된 저압실에서 피드도관(9)을 통해, 고압으로, 상호평행하게 배치된 2 개의 고압수집실(11)내로 공급한다. 피드도관(9) 및 고압수집실(11)내의 압력의 제어는, 공지의 형식으로, 고압수집실(11) 혹은 피드도관(9)으로부터 도출된 도시하고 있지 않은 되돌림 도관내에 설치된 것같이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압력밸브에 의해서, 및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운전파라미터에 따라서 전자식의 제어장치(19)로 연료압송펌프(1)의 피드량을 조정함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고압수집실(11)로부터는 또한, 고압도관(21)이,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내로 돌입하는 개별의 분사밸브(23)로 분기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분사과정을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식의 제어장치(19)에 의해서 제어된다, 각 분사밸브(23)에 설치된 각각 1 개의 제어밸브(25)가 고압도관(21)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어밸브(25)를 통해, 저압실(7)로 분기하는 고압도관(29)과 분사밸브(23)와의 접속부가 개방제어된다.
고압수집실(11)에 있어서의 피드압도관(9) 또는 고압도관(21)이 파손한 경우에, 이 파손장소로부터 연료가 부적당하게 새어 나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 도관(9,21)내에 또한 관류제한밸브(27)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류제한밸브(27)는, 유리하게는 고압수집실(11)에 직접 혹은 그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이 관류제한밸브(27)의 사용은, 그 밖의 별도의 구성의 모든 연료분사장치, 예를들면 열형(列型)펌프를 구비하여 고압수집실을 구비하고 있지않은 연료분사장치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폐쇄위치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관류제한밸브(27)는 밸브 본체(31)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밸브 본체(31)내에, 계단붙임구멍으로서 구성된 관류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관류구멍(33)내에서는, 사발형상의 밸브부재(35)가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밸브부재(35)는, 그 원통형의 외주면과 닫힌 단면벽의 사이의 원추형의 이행면을 가지고 있고, 밸브부재(35)는 상기 이행면과 동시에 밸브밀봉면(37)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밸브밀봉면(37)은, 관류구멍(33)의 원추형의 횡단면 이행부로 형성된 밸브시트(39)와 함께 작용한다. 밸브밀봉면(37)의, 밸브시트(39)와는 반대측의 말단부에는, 관류개구(41) 유리하게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류개구(41)를 통해, 밸브부재(35)가 밸브시트(39)로부터 들어 올려진 상태로, 연료는, 밸브부재(35)의 내부에서 밸브시트(39)에, 여기에서 또한, 상기 밸브시트(39)에 접속된, 관류제한밸브(27)의 개방방향에서 밸브부재(35)를 부하(負荷)하는 되돌림 용수철(43)을 수용하는 구멍부분으로 흘러들어 온다. 상기 구멍부분은, 밸브부재(35)와는 반대측의, 밸브시트(39)의 부분에서 밸브시트에 인접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밸브밀봉면(37) 및 밸브시트(39)의 각도는, 관류개구(41)의 밀봉면측의 토출개구가, 분사밸브를 향하는 흐름방향으로 보아, 밸브시트(39)와 밸브밀봉면(37)의 사이에 형성된 밀봉테두리의 앞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밸브부재(35)는, 그 개방하는 말단부가, 연료흐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밸브 본체(31)와 피드도관(9)과의 접속부에 혹은 고압수집실(11)을 향하게 되어있고, 밸브밀봉면(37)을 가지는 폐쇄한 말단부가, 연료흐름방향으로 접속슬리브(45)를 향하도록, 관류구멍(33)내에 삽입되어 있다. 접속슬리브(45)에서는, 고압수집실(11)(피드도관(9)내에 삽입되어있는 경우) 또는 고압도관(21)이 분사밸브(23)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부재(35)는 또한, 연료가 관류하는 내부에서, 관류개구(41)에 전치접속된, 조임장소(49)를 구비한 조임삽입체(47)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임장소(49)는 유리하게는 조임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부재(35)를 개방방향에서 스트로크 제한하기 위해서, 관류개구를 구비한 스토퍼부재(51)가 밸브 본체(31)의 관류구멍(33)내에 삽입하며, 유리하게는 비틀어져 넣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51)의, 밸브부재(35)에 향하여진 말단면(53)은, 밸브부재(35)의 개방하는 말단면측과 함께 작용하는 스토퍼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비틀어 넣은 깊이에 걸쳐서, 밸브부재(35)의 개방스트로크 운동 및 나아가서는 밸브시트(39)에 있어서의 개방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개방위치에서 나타난, 관류제한밸브(27)의 제 2 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는, 조임장소의 배치가 달라져 있을 뿐이다. 결국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임장소는, 밸브밀봉면(37)을 형성하는, 밸브부재(35)이 닫힌 말단면측에 설치된 조임구멍(55)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조임구멍(55)은, 도 2에 나타낸 관류개구(41)의 대신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의 선도를 사용하여, 관류제한밸브(27)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류제한밸브(27)의 기능은, 밸브부재(35)에 설치된 조임횡단면, 및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을 분사밸브(23)의 유체투과율 및 관류제한밸브(27)의 유체투과율에 따라서 조절함에 의하여만 얻을 수 있다.
조임횡단면 및 되돌리는 힘의 조절은, 연료분사중에 둘 수 있는 고압도관(21)내의 압력저하가, 밸브시트(39)를 향하는 방향에서의 밸브부재(35)의 스트로크 운동을 행하기 위해서, 이미 충분한 형식으로 행하여진다. 상기의 경우, 밸브부재(35)의 직경 및 최대스트로크는, 밸브부재(35)의 상기 폐쇄스트로크 운동이, 손상이 없는 고압도관(21)에 있어서 최대분사율 및 나아가서는 최대관류율에 있어서도, 밸브시트(39)까지 달하는 일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관류제한밸브(27)는 닫히는 일이 없다(도 3). 분사밸브의 연료분사 종료후에, 분사단계중의 관류제한밸브(27)의 아직 남아 있는 개방횡단면을 통해, 관류제한밸브(27)와 분사밸브(23)의 사이의 고압도관(23)내에서 압력이, 고압수집실(11)과 관류제한밸브(27)의 사이의 고압도관압력으로 다시 높여지고, 상기의 경우에, 밸브부재(35)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밸브부재(35)를 그 개방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이를 위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의 조임횡단면을 설정함에 의하여,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 및, 밸브횡단면을 조절할 수 있다. 관류제한밸브(27)에 있어서의 연료유체투과율을, 분사단계중에서의 최대허용회전수 및 분사량에 있어서, 최대허용분사량보다도 많은 량이 흐르도록 조절된다.
이 과정은, 분사마다 되풀이되어, 상기의 경우, 밸브부재(35)는, 손상하고 있지 않은 고압도관(21)에 있어서는 밸브시트(39)에 도달하는 일이 없고, 나아가서는 관류제한밸브(27)를 폐쇄하지 않는다. 개폐방향에서의 이러한 밸브부재 스트로크는, 도 4의 선도에 나타나고 있고, 상기 도 4에 있어서 실선은 손상이 없는 운전에 상당한다.
손상이 있는 경우(소량의 누수량), 분사밸브(23)에 통하는 고압도관(21) 내의 압력은, 이제와서는 완전히 분사중단중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압력제한밸브(27)의 전후로 압력차가 생기고, 상기 압력차는, 분사단계에 계속되는, 밸브부재(35)의 되돌아가는 운동이 분사중단중에 손상이 없는 운전시에 있어서 보다도 작게되도록 작용한다. 상기의 경우, 상기 되돌아가는 운동(도 4의 선도로 파선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같이)은, 보다 높은 개방위치의 초기위치까지 도달할 뿐이다.
계속해서 행하여지는 분사과정중에, 밸브부재(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동일한 스트로크만 밸브시트(39)를 향하여 이동시켜지게 되고, 높여진 초기위치에 근거하여, 상기(또는 그 후의) 분사시에 있어서 밸브시트(39)에 도달하기 때문에, 압력제한밸브(27)는 활주시켜지게 된다. 다음 분사중단중에 있어서는, 압력제한밸브(27)의 전후에 있어서의 고압도관(21)내에서 압력보상이 행하여지지 않기(탄성력은 도관내 표준압력보다도 작다) 때문에, 압력제한밸브(27)는 확실하게 폐쇄되고, 이것에 의해서, 손상이 없는 고압도관에 있어서 연료가 부적당하게 토출하는 것은 피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압력제한밸브(27)의 완전한 폐쇄는, 도 4에 나타나고 있는 것같이, 2 회의 분사단계 및 밸브부재 스트로크 후에 이미 행하여진다. 그러나 매우 소량의 누수량에 있어서는, 관류제한밸브(27)의 완전한 폐쇄가, 복수회의 분사후에 처음으로 행하여 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밸브부재(35)는, 이러한 형식의 초기레벨(분사시의 스트로크 운동중에 밸브시트(39)에 도달하는데 충분하다)과 함께 이동한다. 상기의 경우, 폐쇄시점의 속도 혹은 소량의 누수량의 검출감도는, 소정의 누수량에 합쳐서 용수철 및 조임을 조절함에 의하여 정확히 조절할 수 있다.
압력제한밸브(27)의 전후에서 누수량이 많이 압력차가 큰경우에는, 압력제한밸브(27)에 있어서의 관류량은, 조임횡단면에 걸쳐 조절가능한, 조임저항의 최대값이 초과되는 정도로 많아진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는 밸브부재(35)를 통하여 흐르지 않고, 유입하여오는 연료는 밸브부재(35)를, 즉시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밸브시트(39)에 접촉할 때까지 시프트시키고, 상기 위치에서 부동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관류제한밸브는, 손상이 있어 누수량이 많은 경우에,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폐쇄한다.
되돌림 용수철(43)은, 손상이 없는 운전시의 밸브부재(35)에서의 최대허용관류량에 있어서, 고압도관(21)내 혹은 고압수집실(11)내에서의 표준압력(Standdruck)과 함께 작용하여, 밸브시트(39)를 향하는 방향에서의 스트로크 운동후에도, 밸브부재(35)가, 분사중에 확실하게 밸브시트로부터 들어 올려져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부가적인 대항압력으로서 개방방향으로 작용하는 표준압력이, 예를들면 고압도관(21)이 파손하여 연료가 상기 도관으로부터 제어불능하게 유출함에 의하여 없어지면,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만으로는, 조임장소로 향하여 흘러들어오는 연료의 힘에 저항하여 밸브부재(35)를 밸브시트(39)로부터 들어올려 유지하고, 또한, 관류제한밸브(27)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이미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는 관류제한밸브(27)의 구성 및 기능에 의해서, 고압도관(21)에서의 누수량이 매우 소량인 경우라도, 또는 대량인 경우라도, 연료분사장치에서 연료가 부적당하게 새어 나가는 것을 검출하고, 이것을 관류제한밸브(27)를 폐쇄함에 의하여 확실하게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연료를 저압실(7)로부터 고압도관(9,21)을 통해 공급하고자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내로 돌입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밸브(23)로 보내기위한 연료압송펌프(1)와, 1 개 이상의 고압도관(9,21)안에서 최대연료관류량을 제한하는 관류제한밸브(27)를 구비하고, 상기 관류제한밸브(27)가 축방향에서 활주가능한 밸브부재(35)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밸브부재(35)가 그 폐쇄위치에서 분사밸브(23)를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연료에 의해서 최대연료관류량을 초과한 때에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밸브시트(39)에 맞닿아 붙게되어 있고, 밸브시트(39)로부터 들어 올려진 밸브부재(35)를 통하는 연료관류량이 밸브부재(35)에 설치된 1 개 이상의 조임장소(49,50)에 의해서 조절가능한 형식의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밸브부재(35)의 조임횡단면과 되돌림 용수철(43)의 용수철강도가 분사밸브(23)에 있어서의 유체투과율에 따라서 분사밸브(23)에 있어서의 분사과정중에 이미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의 폐쇄방향에서의 최대스트로크보다도 작은 조절운동이 얻어지도록 조절되고 있고,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가 손상이 없는 운전시의 분사중단중에 그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으며,
    관류제한밸브(27)와 분사밸브(23)의 사이의 고압도관(21)이 기밀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가 그 초기위치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의 조임횡단면, 되돌림 용수철(43)의 탄성력 및 밸브횡단면을 상응하게 설계함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관류제한밸브(27)에 있어서의 연료류의 유체투과율이 내연기관의 최대허용회전수 및 최대허용분사량에 있어서, 분사중단중에, 허용분사량보다도 많은 양이 관류하는 정도로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가 사발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부재의 개방한 말단면측이 고압펌프(1)에 접속된 고압도관(21)의 부분에 접속되고, 밸브부재의 폐쇄한 말단면측이 밸브시트(39)와 함께 작용하는 밸브밀봉면(37)을 형성하고 있고, 밸브부재의 폐쇄한 말단면에 하나 이상의 관류개구(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류개구(41)의, 밸브밀봉면(37)에 있어서의 출구개구가 분사류방향에서 보아 밸브시트(39)의 앞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의 폐쇄한 말단면측(37)에 설치된 관류개구가 조임구멍(55)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부재(35)가 조임장소(49)를 구비한 조임삽입체(47)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밸브부재(35)의 밸브밀봉면(37) 및 관류제한밸브(27)의 밸브시트(39)가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관류제한밸브(27)의 되돌림 용수철(43)이, 밸브부재(35)에 있어서의 밸브밀봉면(37)의 평평한 부분과 관류구멍(33)의 구멍단부의 사이에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고압펌프(1)와 분사밸브(23)의 사이의 고압도관(9,21)안에, 공통의 고압수집실(11)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압수집실(11)안에, 연료고압펌프(1)가 이송되고, 각 고압도관(21)으로부터 분사밸브(23)로 도출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KR1019960705668A 1995-02-21 1996-02-02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13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02829U DE29502829U1 (de) 1995-02-21 1995-02-21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29502829.7 1995-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430A KR970702430A (ko) 1997-05-13
KR100413555B1 true KR100413555B1 (ko) 2004-04-03

Family

ID=800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6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3555B1 (ko) 1995-02-21 1996-02-02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92476A (ko)
EP (1) EP0776421B1 (ko)
JP (1) JPH09512325A (ko)
KR (1) KR100413555B1 (ko)
CN (1) CN1064743C (ko)
DE (2) DE29502829U1 (ko)
WO (1) WO1996026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085C2 (de) * 1996-09-28 2001-10-25 Orange Gmbh Sperrventil zur Durchflußmengenbegrenzung
DE19651671C2 (de) * 1996-12-12 2001-10-04 Daimler Chrysler Ag Steuerung einer Einspritzanlage für eine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
US5957197A (en) * 1997-04-10 1999-09-28 Liaohe Petroleum Exploration Bureau Of Xinglongtai Downhole cut-off valve used for cementing
DE19754132B4 (de) * 1997-12-05 2005-06-23 Man Nutzfahrzeuge Ag Common Rail Einspritz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JP4070042B2 (ja) * 1998-01-20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筒内噴射用燃料噴射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量調整装置
DE19822671A1 (de) * 1998-05-20 1999-11-25 Bosch Gmbh Robert Druckbegrenzungsventil
JP2000018119A (ja) * 1998-06-30 2000-01-18 Isuzu Motors Ltd 燃料噴射装置
JP3521811B2 (ja) 1999-08-05 2004-04-26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安全装置
US6463909B2 (en) * 2000-01-25 2002-10-15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Common rail
DE10104634A1 (de) * 2001-02-02 2002-09-19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verbesserter Druckversorgung der Injektoren
DK1378659T3 (da) * 2002-07-01 2008-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Brændstofinjektor samt dieselmotor omfattende samme
FR2845129B1 (fr) * 2002-09-30 2006-04-28 Delphi Tech Inc Insert du type diode fluidique pour attenuer des ondes de pression, et rail commun equipe de tels inserts
JP2004137977A (ja) * 2002-10-18 2004-05-1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燃料配管系の脈動低減システム
JP2004169554A (ja) * 2002-11-15 2004-06-17 Denso Corp 蓄圧式燃料噴射装置
FI117643B (fi) * 2003-01-15 2006-12-29 Waertsilae Finland Oy Järjestely polttoaineen syöttölaitteistossa
US6953026B2 (en) * 2003-10-16 2005-10-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automotive fuel system
DE102005012165B4 (de) * 2005-03-17 2007-02-08 L'orange Gmbh Kraftstoffspeicher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für mehrzylindrige Brennkraftmaschinen und Mengenbegrenzungsventil für einen solchen
DE102005036780A1 (de) * 2005-08-02 2007-02-08 L'orange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4442567B2 (ja) * 2006-01-20 2010-03-31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モンレール
JP4737079B2 (ja) * 2006-12-27 2011-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DE102007055750B4 (de) * 2006-12-27 2021-02-11 Denso Corporation Durchflussdämpfer
BRPI0816923A2 (pt) * 2007-09-13 2015-03-17 Ganser Hydromag Dispositivo de injeção de combustível.
US7628140B2 (en) * 2007-09-27 2009-12-08 Caterpillar Inc. High-pressure pump or injector plug or guide with decoupled sealing land
US7658179B2 (en) * 2008-05-28 2010-02-09 Caterpillar Inc. Fluid leak limiter
US7661410B1 (en) * 2008-08-18 2010-02-16 Caterpillar Inc. Fluid leak limiter
DE102009014072B4 (de) * 2009-03-20 2014-09-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mmon-Rail-Einspritzsystem sowie Verfahren zur Druckentlastung eines Common-Rail-Einspritzsystems
CN101793200B (zh) * 2010-03-10 2013-04-24 王旭光 焦炉气与柴油混燃柴油限流阀
AT509332B1 (de) * 2010-06-22 2011-08-15 Bosch Gmbh Robert Druckrohrstutzen
GB2482875B (en) * 2010-08-17 2015-11-25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Identifying a failure of a fuel injection system based on oxygen levels in the exhaust
DE202011109211U1 (de) * 2011-07-26 2012-01-27 Horst Thiele Maschinenbau-Hydraulische Geräte GmbH Rohrbruchventileinrichtung
DE102012001926A1 (de) * 2012-02-02 2013-08-0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leiste
US20140041635A1 (en) * 2012-08-09 2014-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rail connector
US20160348669A1 (en) * 2015-06-01 2016-12-01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flow rate control of hydraulic pump
DE102015219892A1 (de) * 2015-10-14 2017-01-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auelement, insbesondere Kraftstoff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US11346313B2 (en) * 2020-09-03 2022-05-31 Caterpillar Inc. Fuel flow limiter assembly having integral fuel filter and fuel system using same
CN114165633A (zh) * 2021-12-15 2022-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阀件及净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5785A (en) * 1971-04-26 1974-11-05 Dover Corp Spring biased safety valve
DE2419159C2 (de) * 1974-04-20 1986-06-0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spritzvorrichtung für eine Dieselbrennkraftmaschine
US4246876A (en) * 1979-01-19 1981-01-27 Stanadyne, Inc. Fuel injection system snubber valve assembly
DE2911447A1 (de) * 1979-03-23 1980-09-25 Daimler Benz Ag Den kraftstoffdurchfluss steuerndes steuerglied fuer einspritzvorrichtungen bei insbesondere luftverdichtenden brennkraftmaschinen
US4436111A (en) * 1981-07-21 1984-03-13 Harold Gold Hydraulic fuse valve
FR2558533B1 (fr) * 1984-01-23 1986-06-13 Renault Dispositif de securite pour soupape d'injection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4539959A (en) * 1984-02-27 1985-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injection system with fuel flow limiting valve assembly
US4842198A (en) * 1987-10-26 1989-06-27 Chang Shih Chih Device for damage protection against local flooding caused by sprinkler failure
US4830046A (en) * 1988-04-22 1989-05-16 Hose Specialties/Capri, Inc. Excess flow control valve
US5295469A (en) * 1990-07-09 1994-03-22 Nippondenso Co., Ltd. Safety valve for fuel injection apparatus
DE69218326T2 (de) * 1991-01-14 1997-08-28 Denso Corp Druckakkumulier-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DE4414242A1 (de) * 1994-04-23 1995-10-26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43C (zh) 2001-04-18
JPH09512325A (ja) 1997-12-09
US5692476A (en) 1997-12-02
EP0776421A1 (de) 1997-06-04
DE59605356D1 (de) 2000-07-06
WO1996026362A1 (de) 1996-08-29
DE29502829U1 (de) 1996-06-20
EP0776421B1 (de) 2000-05-31
KR970702430A (ko) 1997-05-13
CN1145654A (zh) 199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555B1 (ko)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
KR100344511B1 (ko) 내연기관용연료분사장치
KR100482901B1 (ko) 내연기관에사용되는연료분사장치
US6439193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45492A (en)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ion valve
WO1992012341A1 (en) Pressure accumulation type fuel jetting device
US6131607A (en) Delivery valve
JP4197350B2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装置
RU2468243C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для систем впрыска тяжелого топлива с общим нагнетательным трубопроводом
US5778925A (en) Pressure regulation valve
US4036192A (en) Engine fuel injection system
JPH0456194B2 (ko)
US5390692A (en) Valve
US4719749A (en) Valve for a fluid flow engine
US6276335B1 (en) Fuel injection valve
US20080095642A1 (en) Device for Pumping Fuel
US6374802B1 (en) Fuel injection system
JP2749512B2 (ja) 自動バイパス・バルブ
CN106460763B (zh) 尤其用于双燃料-燃料喷射系统的限量阀
RU2000107804A (ru) Электронная инжекторная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приводимая в действие с помощью гидравлики
US6712296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0192840A (ja) 燃料噴射装置
EP1247976B1 (en) Over-pressure relief valve in a fuel system
JPH03124957A (ja) 燃料噴射装置
JPH08246980A (ja) 蓄圧式燃料噴射システム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