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2172B1 - 통신교환기 - Google Patents

통신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172B1
KR100412172B1 KR1019960704515A KR19960704515A KR100412172B1 KR 100412172 B1 KR100412172 B1 KR 100412172B1 KR 1019960704515 A KR1019960704515 A KR 1019960704515A KR 19960704515 A KR19960704515 A KR 19960704515A KR 100412172 B1 KR100412172 B1 KR 10041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y
signal
parties
data processing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482A (ko
Inventor
요하네스 지테르스 리하르트
아드리아누스 마리아 오에르레만스 코넬리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97070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Q3/625Arrangements in the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5Software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7Call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3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4Data transmission, file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5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WW interface, visua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49Networ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교환기(PABX)는 이 통신 교환기(PABX)에 결합될 수 있는 파티들(P1, P2) 사이의 접속들을 설정 및 제어하는 제어 수단(CM)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통신 교환기(PABX)는 CSTA(컴퓨터 지원 통신 응용들) 링크(LNK)를 경유하여 데이터 처리 수단(COMP)에 결합된다. 통신 교환기(PABX)는 파티들의 상황에 관한 상태 정보(MON1, MON2)를 CSTA-링크(LNK)를 경유하여 데이터 처리 수단(COMP)에 전송하고, 데이터 처리 수단(COMP)은 파티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명령들(MNP1, MNP2)을 통신 교환기(PABX)에 전송한다. 제어 수단(CM)은 상호 접속된 파티들(P1, P2)에 대한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을 설정하도록 배열되고, 하나의 접속에 속하는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은 신호 메시지들(SGN)을 교환한다.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 사이에서 교환된 신호 메시지들(SGN)은 모니터링되고, 상태 정보(MON1, MON2)로 변환된다. 조작 명령들(MNP1, MNP2)은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중 하나에 전송되는 신호 메시지들(SGN)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PABX)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수단(COMP)은 부가적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든 종류의 파티들 즉, 아날로그, 디지털, 무선 파티 등을 모니터링하여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Integrated telecommunication exchange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그와 같은 통신 교환기는 U. Gleinig, P. Redemann 및 L. Winkler에 의한 Nachrichtentechnik Elektronik, Vol. 42(1992), no. 3. 페이지 96 내지 98의 "CSTA-컴퓨터 지원 통신 응용들(Computer Supported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이란 논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논문에는, 소위 Computer Telephony Interface(CTI)를 통해 데이터 처리 수단에 결합된 통신 교환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서 데이터 처리 수단은 단일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컴퓨터와 통신 교환기는 다수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 상호 보완적임을 규정한다. 이를 위해, 통신 교환기는 파티들의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를 컴퓨터에 전송한다. 컴퓨터는 파티들 사이의 접속들을 조작하는 조작 명령들을 통신교환기에 전송한다. 상기 논문에 기재된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소위 컴퓨터 지원 통신 응용들(CSTA) 인터페이스라 불린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유럽 컴퓨터 제조업자들 협회(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ECMA)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다. 그러나, 텔레폰니 서버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TSAPI, 노벨의 상표)와 같은 다른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도 있다.
인용된 문헌에 있어서는, 특정 통신 교환기가 상태 정보를 얻고, 이 상태 정보를 데이터 처리 수단에 전송하기 적합하도록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논의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통신 교환기에 연결될 수 있는 파티들(parties) 사이의 접속들을 확립 및 제어하고, 파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데이터 처리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들 파티는 아날로그 접속, 디지털 접속, 무선 접속과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통해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교환기와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통신 교환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파티들을 CSTA-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파티들 중 하나에 대해 CSTA-모니터링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두 파티들에 대해 CSTA-모니터링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장치들에 의해 처리된 호출 전송(call transfer)의 경우의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호출 전송의 경우의 프로세스들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신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인데, 간단하면서, 모든 형태의 파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가능성(potential)을 갖고, 그로 인해, 아날로그 접속에 의해 통신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는 파티들과 디지털 접속에 의해 통신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는 파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는, 접속이 설정될 때 파티들에 관련된 파티 프로세스들을 발생하도록 제어 수단이 배열되고, 신호 메시지(signalling nessage)가 파티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고, 신호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태 정보를 발생하도록 제어 수단이 더욱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은 파티의 입력을 처리하고, 파티에 신호(signalling)를 실행하도록 배열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들이다. 파티 프로세스의 형태는 파티의 형태(디지털/아날로그)에 의존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은 신호 메시지들을 상호 교환한다. 파티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교환된 신호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들 메시지를 상태 정보로 전환함으로써, 상태 정보 발생의 선택은 각 형태의 파티에 대해 용이하게 액세스된다. 결과적으로, 부가적인 하드웨어에 의해 통신 교환기를 확장하지 않고 파티들의 모든 형태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 대한 실시예는 신호 메시지가 일반 프로토콜(generic protocol)에 따라 교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generic)은 프로토콜이 모든 형태들의 파티 프로세스들에 대해 동일함을 의미한다. 결과로서, 파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얻는데, 파티의 형태가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상태 정보의 획득은 모든 형태의 파티들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인입되는, 특정 파티들 사이의 접속들을 조작하는 조작 명령들을 신호 메시지들로 변환하도록 제어 수단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은 다른 파티 프로세스들로부터 인입되는 그들에 어드레싱된 신호 메시지들과 조작 명령들의 변환으로부터 얻어진 그들에 어드레싱된 신호 메시지들 사이의 어떠한 차이도 발견하지 못한다. 따라서, 어떤 파티에 속하는 하나의 파티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통신 교환기에 접속된 파티가 통신 교환기에 접속된 장치에 의해 조작되거나, 또는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조작되든지 간에 어떠한 차이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파티들이 통신 교환기에 접속된 장치와 데이터 처리 수단 모두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술 및 다른 측면들은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구내 자동교환기(PABX)(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와 데이터 처리 수단(COMP)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수단은 본 명세서에서 단일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수의 워크스테이션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통신 교환기는 공중 회선 통신 네트워크(PSTN)(Public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에 접속된다. 통신 교환기는 전화들(TLPH)이 접속된 다수의 내부 선들을 포함한다. 이들 전화는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무선 전화들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교환기는 링크(LNK)에 통해 컴퓨터에 링크된다. 메시지들은 링크를 통해 교환기와 컴퓨터 사이에서 교환된다. 링크는 통신 교환기와 컴퓨터 사이에 인터페이스(INF)를 형성한다. 이 인터페이스에는 텔레포니 서버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TSAPI, 노벨 상표) 표준과, 컴퓨터 지원 통신 응용들(CSTA) 표준 등과 같은 여러 표준이 있다. CSTA-메시지들의 의미론(semantics) 및 구문론(syntax)은 ECMA(유럽 컴퓨터 제조업자들 협회)에 의해 ECMA 표준들 179 및 180에 기재된 바와 같이 표준화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CSTA-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그러나, 대안으로, 본 발명은 다른 표준들을 고수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터미널들(TER)은 컴퓨터에 링크된다. 동일 사용자의 터미널들(TER)과 전화들(TLPH)은 그룹을 이룬다. 이는 전화와 터미널 둘레의 점선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터미널과 전화 모두의 사용은, 언급한 논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다수의 부가적인 편의를 제공한다.
도 2는 통신 교환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교환기는 다수의 라인 카드(LNCRD), 스위치 모듈(SM) 및 제어 수단(CM)에 의해 형성된다. 통신 교환기를 공중망에 연결하기 위한 중계선(TRNK)뿐만 아니라 가입자 라인들도 라인 카드들에 접속된다. 모든 형태의 전화기들 즉, 디지털 및 아날로그 형태의 전화기들은 가입자 라인들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접속들을 설정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ECMA에 의해 표준화된 메시지를 컴퓨터와 교환하기 위해 CSTA-링크에 연결된다.
도 3은, CSTA-모니터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기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두 파티들(P1, P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파티는 아날로그, 디지털, 무선을 통해 접속될 수 있고, 어떤 파티가 공중 회선 전화망을 통해 접점을 찾는 경우에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제어 수단에서는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의 소프트웨어가 설정된다. 파티 프로세스들은 예를 들어, 온-훅(on-hook), 오프-훅(off-hook), 번호의 다이얼링 등과 같은 파티들로부터 인입되는 입력 신호들을 처리한다. 또한, 예를 들어 통화중 신호와 같은 신호를 파티에 제공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이 파티들의 물리적인 특성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임의 형태의 파티에 이용 가능한 특정 형태의 파티 프로세서가 존재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파티들은 아날로그 파티 프로세스들에 의해 처리되고, 디지털 파티들은 디지털 파티 프로세스들 등에 의해 처리된다. 파티들의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파티 프로세스들이 그에 반응하여 파티들로 전송할 신호 형태를 나타내는 신호 메시지들(SGN)은 파티 프로세스들 사이에 교환된다. 따라서, 파티 프로세스들은 그들 자신이 서로 다른 상태들을 가질 수 있다. 신호 메시지들과 파티 상태들은 독점의 통신 교환기 프로토콜에 따라 정의된다. 이 독점의 프로토콜은 모든 형태의 파티 프로세스들에 대해 동일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는, CSTA-모니터링이 파티들 중 하나에 대해 발생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어 수단은 어떤 파티들이 CSTA-모니터링되는지 모니터한다. 파티가 CSTA-모니터링되고, 사용 상태(non-idle status)에서 종료되는 경우, 제어 수단은 그 파티에 속하는 파티 프로세스에 부가하여 CSTA-프로세스 쌍을 생성한다. 도 4는, 제 1 파티(P1)가 모니터링되고, 이 파티에 속하는 CSTA-프로세스 쌍(CSTA1, CSTA1')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CSTA-프로세스 쌍은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사이에서 교환된 신호 메시지들을 모니터하고, 이들은 상태 정보(MON1)로 변환하여 연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적인 CSTA-프로세스(CSTA-SP)에 추가적 처리를 위하여 전송한다. 이 정적인 CSTA-프로세스는 CSTA-링크를 통해 컴퓨터에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에서 알수 있듯이, CSTA-프로세스들은 링크에 속하는 다른 파티 프로세스들을 시뮬레이팅 한다. 파티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는 다른 파티 프로세스와의 통신과 CSTA-프로세스와의 통신 사이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 1 파티(P1)를 조작하기 위해 의도된 조작 명령들(MNP1)은 정적인 CSTA-프로세스를 경유하여 CSTA-프로세스(CSTA1)에 전송된다. CSTA1은 이 명령들을 프로세스 CSTA1'에 전송한다. 후자는 조작 명령들을 신호 메시지들로 변환하여, 그들 신호 메시지를 제 2 파티(P2)에 속하는 파티 프로세스(PP2)에 전송한다. CSTA-프로세스(CSTA1')가 파티 프로세스(PP2)와 다른 파티프로세스를 시뮬레이팅하기 때문에, 파티 프로세스(PP2)는 수신된 신호 메시지가 파티 프로세스(PP1) 또는 CSTA-프로세스(CSTA1')에 의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전화 및 컴퓨터 모두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파티(1)를 조작할 수 있다.
상태 정보 및 조작 명령들의 형태는 ECMA 표준들(179 및 180)에 정의되어 있다. CSTA-프로세스 쌍은 어느 파티 프로세스로부터 인입되는 신호 메시지들을 다른 파티 프로세스로 투명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더 배열되는데, 이는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5는 CSTA-모니터링이 두 파티를 위해 발생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교환에서의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CSTA-프로세스 쌍들(CSTA1, CSTA1', CSTAS2, CSTA2')뿐만 아니라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은 두 파티들을 위해 생성된다. 제 1 파티(P1)의 상태 정보(MON1) 및 조작 명령들(MNP1)은 정적인 CSTA-프로세스(CSTA-SP)와 CSTA-프로세스(CSTA1) 사이에서 교환된다. 제 2 파티(P2)의 상태 정보(MON2)와 조작 명령들(MNP2)은 정적인 CSTA-프로세스(CSTA-SP)와 CSTA-프로세스(CSTA2) 사이에서 교환된다. 신호 메시지들은 CSTA-프로세스들(CSTA1' 및 CSTA2') 사이에서 교환된다. 두 CSTA-프로세스들은 파티 프로세스를 시뮬레이팅하고, 그들이 다른 CSTA-프로세스와 통신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 또한, CSTA-프로세스 쌍들(CSTA1 및 CSTA1')과 CSTA-프로세스 쌍들(CSTA2, CSTA2')은 파티 프로세스들로부터 인입되는 신호 메시지를 투명한 방법으로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도 6a는 전화를 통해 발의되는 질의 호출 전송에 대한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제 1 파티(P1)와 제 2 파티(P2) 사이에 설정된 정상 링크가 있다. 두 파티들이 CSTA-모니터링되고, 그로 인해, 두 파티들에 대하여, 파티 프로세스들(PP1, PP2)과 함께, CSTA-프로세스들(CSTA1, CSTA1', CSTA2, CSTA2') 각각이 이용 가능하다. 제 1 파티(P1)는 제 2 파티(P2)를 제 3 파티(P3)에 접속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 1 파티 자체는 링크를 상기 제 3 파티(P3)에 먼저 설정한다. 이는 그 전화를 통해서 실행된다. 제 1 파티(P1)가 CSTA-모니터링되므로, 제 3 파티(P3)로의 그 링크에 대하여 CSTA-프로세스 쌍(CSTA1", CSTA13)이 생성된다. 링크가 제 1 파티와 제 3 파티 사이에서 설정된 후, 호출 전송이 실현되고, 그 동작으로 인해 제 2 파티(P2)와 제 3 파티(P3)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제 2 파티가 CSTA-모니터링 되므로, 이 파티에 속하는 CSTA-프로세스 쌍(CSTA2, CSTA2')이 유지된다.
도 6b는 컴퓨터를 통해 발의된 질의 호출 전송의 경우에서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경우와의 차이는 제 3 파티(P3)에 대한 링크가 CSTA-프로세스(CSTA1')에 조작 명령들을 인가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파티 프로세스(PP3)와 직접 통신한다. 따라서,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경우에 행해진 바와 같이, 제 1 파티에 속하는 부가의 CSTA-프로세스 쌍은 생성되지 않는다. 호출 전송은 CSTA-조작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파티(1)의 전화가 온-훅(on-hook)되기 때문이다. 호출 전송이 실행된 후에, 상태는 도 6a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Claims (8)

  1.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통신 교환기에 접속된 임의의 제 1 파티와 제 2 파티 사이에 통신 링크를 확립 및 제어하기 위한 통신 교환기내의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파티들은 장치들이고, 이들 장치들 사이에서 상기 통신 교환기는 상기 통신 링크를 작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들은 서로 다를 수 있는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signalling protocols)을 각각 이용하는, 상기 교환기내의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파티 프로세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 프로세스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 각각의 신호 메시지들을 일반 신호 프로토콜(generic signalling protocol)의 신호 메시지들로 변환하고, 상기 일반 신호 프로토콜의 신호 메시지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 각각의 신호 메시지들로 변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들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일반 프로토콜의 신호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신호 메시지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 프로세스들 사이를 통과할 때,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조작 명령을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조작 명령을 상기 일반 신호 프로토콜의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조작 명령으로부터 변환된 상기 신호 메시지를 상기 제 1 및 제 2 파티들 중 하나에 전송하여 상기 통신 링크를 조작하는,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일반 신호 프로토콜과 다른 신호 프로토콜의 상태 메시지로서 발생되고, 상기 조작 명령은 상기 동일한 신호 프로토콜에서 상태 메시지로서 발생되는,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의 상기 신호 프로토콜은 컴퓨터 지원 통신 응용들(CSTA) 프로토콜에서 발생되는,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 중 하나는 아날로그 신호 프로토콜인,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 중 하나는 디지털 신호 프로토콜인,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 프로토콜들 중 하나는 트렁크 신호 프로토콜(trunk signalling protocol)인,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들은 전화기들인,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모니터링되는 각각의 파티에 대한 제 1 및 제 2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발생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파티가 오프-후크될 때, 상기 제 1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상기 모니터링된 파티로부터 인입되는 상기 일반 신호 프로토콜의 신호 메시지를 차단하고, 상기 차단된 신호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전송되는 상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의 조작 명령을, 상기 차단된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의도된 상기 파티에 전송되는 상기 일반 신호 프로토콜의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는, 통합된 통신 교환 및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9960704515A 1994-12-19 1995-11-09 통신교환기 KR100412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23672.4 1994-12-19
EP94203672.4 1994-12-19
EP94203672 1994-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482A KR970701482A (ko) 1997-03-17
KR100412172B1 true KR100412172B1 (ko) 2004-03-30

Family

ID=821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515A KR100412172B1 (ko) 1994-12-19 1995-11-09 통신교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99076A (ko)
EP (1) EP0752188B1 (ko)
JP (1) JP3773261B2 (ko)
KR (1) KR100412172B1 (ko)
DE (1) DE69525530T2 (ko)
WO (1) WO199601990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234A (en) 1996-02-14 1999-02-23 Netphone, Inc. Computer integrated PBX system
US6094479A (en) * 1997-05-06 2000-07-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gateway
US6044142A (en) * 1997-05-06 2000-03-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grating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with operator assisted services
US5995610A (en) * 1997-05-06 1999-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operative call processing across public and private intelligent networks
KR100266538B1 (ko) * 1997-12-31 2000-09-15 서평원 복수개의 네트웍 상태 관리방법
US6208724B1 (en) * 1998-04-09 2001-03-27 Dialogic Corporation Virtual telephone
DE19828485A1 (de) * 1998-06-25 1999-12-30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Telekommunikationsanlage durch einen Computer und zugehörige Schnittstellen zwischen einem Computernetzwerk und einem Datenkanal sowie zwischen dem Datenkanal und der Telekommunikationsanlage
KR20000025246A (ko) * 1998-10-09 2000-05-06 김영환 전전자교환기에서의 ipc 노드 상태 출력 방법
DE10044417A1 (de) * 2000-09-08 2002-04-04 Siemens Ag Verfahren und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Unterstützung verschiedener CSTA-Phasen
DE10149983A1 (de) * 2001-10-10 2003-04-30 Siemens Ag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Anzeigeelementes an einem Endgerät und zugehörige Einheiten
DE10160027A1 (de) * 2001-12-06 2003-06-26 Siemens Ag Anordnung zur Steuerung und/oder Überwachung von mindestens zwei Kommunikationssystemen durch mindestens eine An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3679B2 (ja) * 1987-09-04 1999-05-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交換機
US5099510A (en) * 1990-06-11 1992-03-24 Communications Network Enhancement Inc. Teleconferencing with bridge partitioning and other features
DE69130618T2 (de) * 1991-03-01 1999-05-06 Hitachi Telecom Technologies, Ltd., Koriyama, Fukushima Fernsprechvermittlungssystem
GB9107884D0 (en) * 1991-04-12 1991-05-29 Plessey Telecomm Computer supported telephony application system
US5315647A (en) * 1991-07-31 1994-05-24 Teleos Communications, Inc. Private branch exchange adapted for telemarketing
US5291492A (en) * 1991-12-18 1994-03-01 Unifi Communications Corporation Externally controlled call processing system
CA2108740C (en) * 1992-12-23 1997-09-16 Bruce Merrill Bales Telephone terminal controlled conference inspection
US5373549A (en) * 1992-12-23 1994-12-13 At&T Corp. Multi-level conference management and notification
CA2154464C (en) * 1993-02-01 1999-06-22 Bruce S. All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teleconferencing a plurality of phone channels
US5396548A (en) * 1993-03-08 1995-03-07 At&T Corp.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information received during a silent interval between ringing signals
US5414762A (en) * 1994-01-18 1995-05-09 Q.Sys International, Inc. Telephony controller with functionality command converter
US5533109A (en) * 1994-09-30 1996-07-0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user modifiable PBX terminating call feature controll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5530T2 (de) 2002-10-02
WO1996019904A3 (en) 1996-08-29
JP3773261B2 (ja) 2006-05-10
JPH09509555A (ja) 1997-09-22
DE69525530D1 (de) 2002-03-28
US5799076A (en) 1998-08-25
WO1996019904A2 (en) 1996-06-27
EP0752188A1 (en) 1997-01-08
EP0752188B1 (en) 2002-02-20
KR970701482A (ko) 199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7877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930011032B1 (ko) 호 처리 장치
KR100412172B1 (ko) 통신교환기
CA2549960A1 (en) Server apparatus
AU718130B1 (en) PBX system for interworking digital telephone with personal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GB2254981A (en) Computer supported telephony application system
EP12050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6658020B1 (en) Voice data exchange system
US6393120B1 (en) Arrangement in a network structure
KR100582569B1 (ko) 내선 가입자의 호를 전환하여 보류시키는 방법
KR100446518B1 (ko) 교환기의 포트상태 조회방법
EP1142282A1 (en) Change between functional modes of terminal in private branch exchange
CN1093365C (zh) 能处理内部呼叫的远距离用户模件及其控制方法
JP2936028B2 (ja) 同時通話における転送方式
EP15276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lecom network
JP2664175B2 (ja) 通信システム
JPH03135148A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JPH03108862A (ja) Isdn対応構内用電子交換機の着信方法
CN1543747A (zh) 用于运行电信网的方法和布置
JPH0451755A (ja) Isdn回線制御方式
JPS6198049A (ja) 加入者端末収容方式
KR20010028207A (ko)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전환시키는 방법
JPH01290396A (ja) 通信システムの端末収容方式
JP2000022843A (ja)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及びそのリモート制御方法
JPH01158850A (ja) Lan端末収容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