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1191B1 -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191B1
KR100411191B1 KR1019960021002A KR19960021002A KR100411191B1 KR 100411191 B1 KR100411191 B1 KR 100411191B1 KR 1019960021002 A KR1019960021002 A KR 1019960021002A KR 19960021002 A KR19960021002 A KR 19960021002A KR 100411191 B1 KR100411191 B1 KR 10041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yrene
moisture
maleic anhydrid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441A (ko
Inventor
권오승
김오영
황재연
Original Assignee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2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191B1/ko
Publication of KR98000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21H27/36Films made from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Landscapes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로는 종이위에 폴리올레핀이 라미네이션된 통상의 방습지에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도입하여 기계적 강도, 방습성, 히트실링성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통상의 환경조건에서 접하는 물이나 비와 같은 중성이나 산성의 물에는 용해하지는 않지만 해리공정의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쉽게 해리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본 발명은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기로는 종이위에 폴리올레핀이 라미네이션된 통상의 방습지에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도입하여 기계적 강도, 방습성, 히트실링성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통상의 환경조건에서 접하는 물이나 비와 같은 중성이나 산성의 물에는 용해하지는 않지만 해리공정의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쉽게 해리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 및 자원고갈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되는 포장지나 포장용기 등에 대한 재활용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종이는 다른 소재에 비해 재활용율이 높은 편이지만, 방습지의 경우 물에 대한 내성이 높은 폴리올레핀을 함께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상의 해리공정에 의해 재활용하기란 쉽지않다. 일반적으로 방습지는 폴리올레핀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용융압출시켜 종이에 라미네이션시켜 제조하고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수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매우 저가(低價)이면서도 올레핀 고유의 특성인 수분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방습지의 방습층용 소재로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화학적ㆍ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여 재활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즉, 제지공정의 하나인 회수된 종이를 다시 천연섬유인 펄프형태로 만드는 해리 공정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투입되는 경우 주로 종이만으로 이루어진 고지와는 달리 표면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의하여 수분의 침투가 늦고 해리공정에서 사용하는 화학약품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방습지는 쉽게 해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은 불규칙한 크기의 파편으로 되며 전부 제거되지 않고 해리액에 부분적으로 남게된다. 해리공정에 의해 폴리에틸렌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은 고지(古紙)를 사용하여 제조한 종이의 경우, 고지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비극성을 띄고 셀룰로오즈계 섬유로 구성된 펄프는 강한 극성을 띄고 있어 상호간에 접착력이 매우 낮으므로 플라스틱 필름을 함유하는 고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종이는 강도가 낮거나 부분적인 박리 등이 발생하고, 또한 이러한 종이를 사용하여 인쇄할 경우 불순물로 혼입된 불규칙한 폴리에틸렌 파편들로 인한 인쇄불량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방습지로 부터 폴리에틸렌을 제거하여 재활용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관계로 일부 고급펄프를 사용하는 방습지를 제외하면, 재활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안하면 경제성이 없어 대부분 소각하거나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각하면 유독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의 문제가 있고, 매립하면 폴리올레핀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합성수지는 토양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아 심각한 토양오염을 일으키게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수용성을 갖는 수지 등에 방습성을 높여 이를 폴리올레핀을 대신하여 코팅 및 건조하여 방습지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재료들은 방습성, 히트실링성, 강도 등의 방습지에 필요한 물성들이 폴리올레핀에 비하여 극히 낮으며, 상대적으로 재료비는 높아 결과적으로 실용성이 적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활용이 가능한 방습지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그동안 많이 진행되어 왔는 바, 그 예로는 방습층에 사용되는 재료 재질의 개선, 방습지 제조방법의 개량, 해리공정의 설비개조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방습층에 사용되는 재료 재질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방습층 그 자체가 기본적으로 해리성을 갖도록 하는 소재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는 바, 수용성의 에멀젼을 코팅물질로 한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 예로서 왁스계 에멀젼 단독 혹은 합성고무와의 혼합액을 코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제 91-10759 호]과 아크릴계 에멀젼을 왁스계 에멀젼과 혼합하여 종이에 코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제 90-1671 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어느 정도 해리성은 만족시킬 수 있지만, 방습지의 방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야 되며 또한 히트실링성이 불량하고 접히거나 꺽이는 부분의 방습성과 고습도에서의 방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타이렌/아크릴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의 공중합체에 왁스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일본특허공개 제 94-200498 호], 이 방법에 의해서는 꺽이거나 구부러지는 곳의 방습성을 다소 개선하는 효과가 있지만, 히트실링성과 방습성 그리고 방습지의 강도면에 있어서는 아직도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분해성수지인 폴리락타이드를 용융 압출하여 라미네이션 방습지를 제조하는 방법[국제특허공개 제 94/08090 호]이 공지되어 있는 바, 폐기시 공해문제를 유발시키지 않고 히트실링성이 좋으며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 매우 양호한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보다 가격이 수배 내지 수십배에 이르는 매우 고가(高價) 제품이므로 아직까지 대량생산이 어려워 경제성이 없고, 대량생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실용성 측면에서 아직 부적합하다.
또한, 성능이 매우 좋은 필터 및 분리설비를 사용한 제지 제조설비의 개조를 통해 문제가 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지만, 이에 따른 설비비의 증가 및 제거능력의 한계로 투자비에 대한 효율 및 경제성에 문제가 있어 회수와 재활용이 대규모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업적으로 경제적이지 못하여 대부분 제지업체에서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폴리올레핀 고유의 우수한 방습성을 살리면서 방습지 제조공정을 변화시켜 해리공정에서의 폴리올레핀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단독 혹은 폴리비닐알콜과 전분 또는 무기물과의 혼합물을 폴리에틸렌이민과 혼합하여 박리조정제로 사용하여 방습지를 제조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제 94-55702 호]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렇게 제조된 종이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라미네이트지는 단시간에 박리는 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접착 및 박리조정제로 사용되는 물질의 내수성이 낮아 층간의 접착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이렇게 제조된 방습지를 우유팩 등에 사용하게 되면 내용물의 수증기가 통과하고 이로써 층간의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내용물의 압력이 상승하는 포장지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이위에 폴리올레핀을 라미네이션하기에 앞서서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를 종이위에 코팅시켜 박리층을 형성시킨 다음, 그 박리층 위에 폴리올레핀을 라미네이션하면 해리공정에서 박리층으로 도입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가 쉽게 알칼리수용액에서 해리되는 것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의 우수한 특성 예를들면 기계적 강도 및 방습성, 히트 실링성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해리공정의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쉽게 해리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이위에 폴리올레핀이 라미네이션된 방습지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폴리올레핀 사이에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알칼리수용성 수지층이 도입된 방습지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이와 폴리올레핀 필름층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방습지에 알칼리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진 박리층을 도입하여 통상의 알칼리 수용액에서는 쉽게 용해되지만 산성 및 중성 용액에는 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폴리올레핀과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수용성 수지들이 가지는 일반적인 문제점인 폴리올레핀과의 낮은 접착력의 문제와 폴리올레핀의 수분 이외의 개스에 대한 차단성을 보완하는 특성이 있다.
박리층으로 도입되는 알칼리수용성 수지는 다음 구조식(I)로 표시되는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다음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로서, 이들 알칼리수용성 수지는 해리공정시 사용되는 알칼리수용액에서 염을 형성하여 쉽게 용해될 수 있다.
상기식에서, m과 n은 각각 50∼ 10,000 의 정수이고; R1및 R2는 각각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 6의 알킬기이다.
상기 알칼리수용성 수지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II)로 표시되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는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중의 무수말레인산 부분이 저급알콜에 의한 개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공중합체이다. 이때 저급알콜의 탄소원자수가 많아 질수록 수용성이 떨어져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빠른 해리성을 기대할 수 없고 결국에는 수용성에서 지용성으로 변화되는 바, 저급알콜류는 탄소원자수 6 이하의 알콜류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이다.
또한 상기 알칼리수용성 수지에 있어서, 무수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 유도체의 농도가 20 ∼ 70 mol%이어야 하는 바, 만약 그 농도가 20 mol% 미만이면 수지의 용해도가 매우 떨어져 해리시간이 연장되고, 70 mol% 를 초과하면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게 되어 좋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수용성 수지의 무게평균분자량은 30,000 ∼ 1,000,000g/mol, 바람직하기로는 50,000 ∼ 500,000 g/mol 이다. 알칼리수용성 수지의 무게평균 분자량이 30,000 g/mol 미만이면 폴리에틸렌에 의한 방습지의 기계적인 물성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박리층의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되어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부분에서의 박리층에 결함이 생길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알칼리수용성 수지의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00 g/mol을 초과하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지만 해리공정에서 용해에 소요되는 시간이 연장되어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습지는 상기 알칼리수용성 수지를 알칼리수용액 또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수지용액을 종이위에 1 ∼ 50 ㎛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한 후, 폴리올레핀을 용융압출 라미네이션하여 제조한다.
방습지 제조시 알칼리수용성 수지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알칼리수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방향족모노아민류, 모포린, 트리소디움 포스페이트, 소디움 메타실리케이트, 보락스 및 디암모니움 포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알칼리가 물에 녹아 있는 수용액이다. 그리고 유기용매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틸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메틸알콜, 에틸알콜, n-프로필알콜, 2-에틸부틸알콜, 2-에틸헥실알콜 등의 알콜류;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그리고 크실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된 단독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해문제나 경제성 관점에서 휘발성을 갖는 암모니아수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알칼리수용성 수지를 알칼리수용액이나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수지용액으로 형성된 박리층은 수분이나 습기에는 강하지만 알칼리수용액에서는 쉽게 용해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층을 형성하는 종이는 대부분의 종이 예를들면 크라프트지, 라이너지, 아트지, 백상지, 백판지, 레이온지 등 모든 종이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폴리올레핀층은 방습지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융지수 1 ∼ 150 g/10분 범위의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되며, 그 층의 두께는 6 ∼ 1,000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습지는 주로 우유팩, 과즙음료용기, 스낵과자용 포장지, 햄버거 포장지, 이형지, 식품이나 분말세제용 포장지, 종이용 포장지 등 각종 산업용 방습지 등에 수분의 통과를 막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각각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35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도막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코팅기의 나이프를 조절하여 코팅한 후 120 ℃에서 완전 건조시켰다. 박리층을 가지는 코팅지에 용융지수 7 g/10분인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티자형 다이를 부탁한 라미네이션용 용융압출기에서 두께가 20 ㎛가 되게하여 290 ℃에서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라미네이션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각각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35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35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도막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코팅기의 나이프를 조절하여 코팅한 후 120 ℃에서 완전 건조시켰다. 박리층을 가지는 코팅지에 용융지수 5 g/10분인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티자형 다이를 부탁한 라미네이션용 용융압출기에서 두께가 20 ㎛가 되게하여 300 ℃에서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라미네이션시켜 방습지를제조하였다.
실시예 3
스티렌 25 mol%, 무수말레인산 25 mol% 및 메틸알콜 50 mol% 를 반응시켜 무수말레인산의 카르복실기 각각이 메틸기와 에스테르교환된 디메틸 말레이트와 스티렌이 50 :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0 g/mol인 공중합체(100 g)을 28% 암모니아수(42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디메틸 말레이트 용액을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도막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코팅기의 나이프를 조절하여 코팅한 후 120 ℃에서 완전 건조시켰다. 박리층을 가지는 코팅지에 용융지수 5 g/10분인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티자형 다이를 부탁한 라미네이션용 용융압출기에서 두께가 20 ㎛가 되게하여 300 ℃에서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라미네이션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스티렌 25 mol%, 무수말레인산 25 mol% 및 메틸알콜 50 mol% 를 반응시켜 무수말레인산의 카르복실기 각각이 메틸기와 에스테르교환된 디메틸 말레이트와 스티렌이 50 :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인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42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디메틸 말레이트 용액을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도막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코팅기의 나이프를 조절하여 코팅한 후 120 ℃에서 완전 건조시켰다. 박리층을 가지는 코팅지에 용융지수 5 g/10분인저밀도폴리에틸렌을 티자형 다이를 부탁한 라미네이션용 용융압출기에서 두께가 20 ㎛가 되게하여 300 ℃에서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라미네이션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90 : 1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아세톤(300 g)에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도막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코팅기의 나이프를 조절하여 코팅한 후 120 ℃에서 완전 건조시켰다. 박리층을 가지는 코팅지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미네이션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20 : 8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20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35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종이에 코팅시킨 후 건조하고 라미네이션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티자형 다이를 부착한 라미네이션용 용융압출기에서 평량이 80 g/㎡인 크라프트지 위에 용융지수 7 g/10분인 저밀도폴리에틸렌을 두께가 20 ㎛가 되도록 300 ℃에서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라미네이션하여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고형분이 40 %인 아크릴 에멀젼 100 중량부에 방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고형분이 40 %인 파라핀왁스계 에멀젼 5 중량부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도공량이 10 g/㎡이 되도록 도공기의 에어나이프를 조절하여 도공한 후, 130 ℃에서 약 30초 동안 건조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각각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2,00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35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코팅조건에 적합한 점도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종이에 코팅시킨 후 건조하고 라미네이션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이 각각 50 mol%비로 공중합되어 있고,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 g/mol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100 g)를 28% 암모니아수(35 g)에 넣고 증류수를 가하면서 그리고 가온하면서 완전 용해시켰다. 용해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용액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종이에 코팅시킨 후 건조하고 라미네이션하여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점화도 86 ∼ 89 mol/%의 폴리비닐알콜(30 g)을 증류수(1,500 g)에 넣고 가온하여 약 80 ℃에서 2시간 정도 녹인 다음, 실온으로 냉각한 후 여기에 폴리에틸렌이민 30 중량% 용액(1 g)을 가하여 혼합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분자수용액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종이에 코팅시킨 후 건조하고 라미네이션하여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7에서 제조한 방습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그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ㆍ투습도 : 방습지의 시험편을 40 ℃의 항온과 상대습도 90 %의 조건에서 투과되는 수분의 양으로서 측정하였다.
ㆍ히트실링성 : 130 ℃ 융착온도에서 5초동안 실링하여 방습층으로 사용한 수지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융착면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 : 융착면 사이에서 분리됨
ㆍ수중분리성 : 방습지 시편을 가로 5 cm 세로 10 cm로 잘라내어 실온에서 pH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24시간 담구었다가 꺼낸 다음, 종이와 폴리에틸렌필름 부분을 손으로 서서히 분리시켜 평가하였다.
: 종이와 폴리에틸렌 필름사이가 분리됨
× : 종이와 폴리에틸렌 필름사이가 분리되지 않음
ㆍ접착성 : 방습지를 가로 3 cm 세로 10 cm로 잘라 중간 부분은 5회까지 반복하여 비빈 후 끝부분에서 필름과 종이를 서서히 분리시켜 박리층과 폴리에틸렌필름의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 종이와 박리층 사이가 분리됨
× : 박리층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가 분리됨
ㆍ내구성 : 접힘 또는 구겨짐 등의 외부자극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필름과 종이가 쉽게 분리되거나 분리는 되지 않아도 투습도의 저하가 일어나는 정도로서 평가하였다.
: 10회 반복 비빔에 대하여 리에틸렌필름과 종이가 쉽게 분리되지 않음
× : 10회 반복 비빔에 대하여 리에틸렌필름과 종이가 쉽게 분리됨
[표]

Claims (5)

  1. 종이위에 폴리올레핀이 라미네이션된 방습지에 있어서, 상기 종이와 폴리올레핀 사이에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알칼리수용성 수지층이 도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는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 ∼ 1,000,000 g/mol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말레인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는 다음 구조식(II)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상기식에서, m과 n은 각각 50∼ 10,000 의 정수이고; R1및 R2는 각각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 6의 알킬기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용성 수지는 무수말레인산 또는 말레인산유도체가 20 ∼ 70 mol% 포함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용성 수지층의 두께가 1 ∼ 50 ㎛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KR1019960021002A 1996-06-12 1996-06-12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KR10041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002A KR100411191B1 (ko) 1996-06-12 1996-06-12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002A KR100411191B1 (ko) 1996-06-12 1996-06-12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41A KR980002441A (ko) 1998-03-30
KR100411191B1 true KR100411191B1 (ko) 2004-03-30

Family

ID=3742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002A KR100411191B1 (ko) 1996-06-12 1996-06-12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29B1 (ko) * 2000-07-28 2007-05-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종이 코팅용 수성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KR100435873B1 (ko) * 2001-06-14 2004-06-11 제일모직주식회사 페인트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74A (ko) * 1987-07-25 1989-04-07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투베크 류코트리엔 길항제, 이의 제조방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및 전구체
JPH05247894A (ja) * 1992-03-05 1993-09-24 Dynic Corp 再生可能な加工紙
JPH07279093A (ja) * 1994-04-07 1995-10-24 O G Kk 防湿紙
KR0168974B1 (ko) * 1995-12-18 1999-03-20 구형우 재활용성 우수한 방습가공용 도공액 조성물 및 방습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74A (ko) * 1987-07-25 1989-04-07 하인리히 벡커, 베른하르투베크 류코트리엔 길항제, 이의 제조방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이의 용도, 및 전구체
JPH05247894A (ja) * 1992-03-05 1993-09-24 Dynic Corp 再生可能な加工紙
JPH07279093A (ja) * 1994-04-07 1995-10-24 O G Kk 防湿紙
KR0168974B1 (ko) * 1995-12-18 1999-03-20 구형우 재활용성 우수한 방습가공용 도공액 조성물 및 방습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41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34504T2 (de) Verbundmaterial und aus diesem Material hergestellter Papierpackbehälter
CN116157268A (zh) 可生物降解且可回收的阻隔纸层合体
US20060275563A1 (en)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material
EP0981666A1 (en) Polylactide coated paper
GB1564525A (en) Method for treating waste high-polymer mixture
US4671982A (en) Composite foil
RU2000125574A (ru) Слоистые упаковочные материалы и полученные из них упаковочные контейнеры
JPH10510853A (ja) 生分解性の熱可塑性成形材料およびそれより成る包装材料
JP2016160406A (ja) ガスバリア膜、セルロース系材料の分散液およびガスバリア膜の製造方法
CN102257219A (zh) 改性纤维产品及其生产方法
JP2017222033A (ja) 紙バリア積層体および成形容器
US5587204A (en) Recyclable paperboard composites
FI90793C (fi) Menetelmä paperin tai kartongin läpäisevyyden vähentämiseksi sekä menetelmässä käytettävä aine
KR100411191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CA2261977A1 (en) Monoaxially stretched,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foil with improved properties
CA1190014A (en) Composite foil
AU659171B2 (en) Packag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disposing of said material
EP4048721A1 (en) Oriented film of binary polymer composition
JP3991444B2 (ja) 延展性を有する含浸紙
JP2005112906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ポリエステルシュリンク包装材料
JP2016164317A (ja) 発泡壁紙
KR0169200B1 (ko)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JP3053431B2 (ja) 包装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処理方法
JPH06255039A (ja) 生分解性紙積層体
JPH04336246A (ja) 分解性ラミネート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5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6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