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7071B1 -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71B1
KR100407071B1 KR10-2001-0043102A KR20010043102A KR100407071B1 KR 100407071 B1 KR100407071 B1 KR 100407071B1 KR 20010043102 A KR20010043102 A KR 20010043102A KR 100407071 B1 KR100407071 B1 KR 100407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lor
meat
feed
vitam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452A (ko
Inventor
이상철
김태규
오영균
이현정
김진형
김경훈
정일병
장선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1-004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0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가 우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육질등급 판정의 척도로 이용되는 육색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비타민 C(ascorbic acid) 6∼10 중량%와, 나이아신(niacin) 3∼7중량%와, 산화마그네슘 12∼20 중량%와, 포도당 30∼38중량%와, 결착제 2∼5 중량% 및 반추위보호지방 30∼3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는 출하 전 소에게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할 경우 등급판정시 육색을 개선시키고 저장기간 동안의 육색 저하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Feed additive for improving beef col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타민 C(ascorbic acid), 나이아신(niacin), 산화마그네슘, 포도당, 결착제 및 반추위보호지방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육색 개선 효과 및 육색 저하 억제 효과가 우수한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축 후 방혈을 거친 도체의 육색은 근육 중 색소 단백질인 미오글로빈(myoglobin)에 의해서 발현된다.
미오글로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Fe) 분자와 단백질(Globin)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근육내에서 디옥시(Deoxy-), 옥시(Oxy-), 메트(Met-)의 세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각각 자주색, 선홍색, 암갈색을 띤다.
이러한 세가지 미오글로빈의 식육 내 함유비율은 근육 중 대사작용, pH, 공기와의 접촉시간 등의 요인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결정되므로 신선육은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선홍색을 띠나 상온에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표면의 산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메트미오글로빈의 함량이 증가되어 오래된 고기의 경우 진한 갈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의 육색은 품종, 연령, 거세유무, 스트레스, 영양장애 등 많은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나, 이 중에서 도축 장소까지의 수송 및 계류기간에 의한 스트레스가 암적색육이 발생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과중한 스트레스에 의해 아드레날린 분비가 증가하고 수송, 절식, 피로 등에 의해 간장과 근육 중 글리코겐 농도가 감소하게 되면 근육 중 젖산농도의 감소에 의한 고기의 pH 저하가 억제되면서 산소가 부족하게 되고 도축 후 이러한 근육 중 산소 부족은 미오글로빈에 산소 분자가 결합된 선홍색을 띠는 옥시미오글로빈의 생성을 방해하고 암갈색인 메트미오글로빈으로의 산화를 촉진하여 암적색육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축된 고기의 육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암적색육 발생의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송 및 계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거나 또는 항스트레스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미량 첨가사료의 급여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우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자 육질등급 판정의 척도로 이용되는 육색을 개선시킬 수 있는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비타민 C, 나이아신, 산화마그네슘, 포도당, 결착제 및 반추위보호지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미량첨가사료를 소의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시킬 경우 도축 후 소의 체내 산화반응을 제어 할 수 있어 육색판정등급을 향상시키고 고기의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미오글로빈 형태에 따른 육색의 변화과정을 보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급여에 따른 등심의 저장기간동안의 근육 내 메트미오글로빈의 농도 변화표이다.
본 발명은 비타민 C(ascorbic acid) 6∼10 중량%와, 나이아신(niacin) 3∼7중량%와, 산화마그네슘 12∼20 중량%와, 포도당 30∼38중량%와, 결착제 2∼5 중량% 및 반추위보호지방 30∼3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타민 C와, 나이아신과, 산화마그네슘과, 포도당과, 결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환으로 만든 다음 50∼70℃에서 5∼7시간 건조시키는 단계와; 제조된 환을 실온에서 방치하여 식힌 후, 약 70℃에서 액화시킨 반추위보호지방으로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반추동물인 소에 급여하여 육색을 결정하는 미오글로빈의 조성 및 산화반응을 조절하고 우육의 저장 및 유통 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육색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들을 선정하여 다양한 시험을 거쳐 그 조성을 결정하고 본 발명의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가 효과적으로 반추동물의 소화기관에서 흡수·이용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비타민 E와 함께 대표적인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비타민으로서 미오글로빈이 메트미오글로빈으로 전환되는 과정인 철분자의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나이아신은 생체내의 호흡연소반응에 관여하는 조효소인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와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의 구성성분으로서 체내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며 특히 원활한 탄수화물의 대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마그네슘은 에너지 대사 과정중에서 여러 가지 효소, 특히 키나제(kinase)를 활성화시키고 인산화반응에 촉매작용을 하므로 스트레스에 따른 암적색육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포도당은 출하기간 중 수송 및 절식에 의한 체내 에너지 고갈로 인해 암적색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착제는 분말 상태의 구성요소들을 일정 형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40%의 조단백질을 포함하는 천연결착제2(구룡산업; 제리본드-50)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른 결착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비타민 C(ascorbic acid) 8.3g, 나이아신(nicotinic acid) 5.1g, 산화마그네슘 16.7g, 포도당 33.3g, 결착제 3.3g을 혼합하였다.
2. 상기 혼합물을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가수시킨 다음 직경이 약 1∼2mm 크기인 환으로 제조하여 60℃ 건조오븐에서 6시간동안 건조하였다.
3. 제조된 환을 약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여 식힌 후, 70℃에서 액화시킨 반추위보호지방 33.3g으로 코팅처리하여 첨가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미량첨가사료의 구성성분 및 조성비
구성성분 조성비(중량%)
비타민 C 8.3
나이아신 5.1
산화마그네슘 16.7
무수결정포도당 33.3
결착제 3.3
반추위보호지방(융점 54℃) 33.3
100.0
본 발명자들이 상기 표 1의 조성 외에도 각 구성요소들을 다양한 조성비로 변화시켜가며 사료를 제조한 다음 소의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시킨 결과 비타민 C(ascorbic acid) 6∼10 중량%와, 나이아신(niacin) 3∼7 중량%와, 산화마그네슘 12∼20 중량%와, 포도당 30∼38 중량%와, 결착제 2∼5 중량% 및 반추위보호지방 30∼3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미량첨가사료가 거세한우의 도체성적과 우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미량첨가사료 무첨가 급여
비육후기 거세한우 8두를 공시하여 미량첨가사료를 첨가하지 않은 배합사료를 90일간 급여하였다.
실시예 2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급여
비육후기 거세한우 8두를 공시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를 일일 1회 60g씩 배합사료내에 혼합하여 90일간 급여하였다.
시험예 1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2의 90일간의 급여가 종료된 공시축을 도축하여 도체성적을 조사하고 각각의 등심 약 2㎏을 시료로 채취하여 4℃에서 냉장 보관한 후 도축 후 7, 14일째 근육 중 미오글로빈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2는 상기 시험예 1의 각 도축육의 육색등급(숫자가 낮을수록 선홍색에 가까움) 판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미량첨가사료를 급여한 실시예 2의 거세한우의 등심은 첨가사료를급여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보다 신선한 선홍색을 나타내는 육색도 4의 출현율이 더 높아 본 발명의 급여로 인한 육색 등급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미량첨가사료의 급여가 육색등급 출현율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 육색등급 판정결과(두)
육색도 4 육색도 5
비교예 1 2 6
실시예 2 4 4
하기 표 3과 도 2는 각각 상기 시험예 1의 등심의 저장기간 동안 근육 내 옥시미오글로빈과 메트미오글로빈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미량첨가사료의 급여가 저장기간 중 옥시미오글로빈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장기간 옥시미오글로빈 농도(%)
비교예 1 실시예 2
2일 80.5±2.14 63.6±1.15
7일 63.6±4.24 73.3±2.09
선홍색의 육색을 띠게 하는 옥시미오글로빈의 농도는 비교예 1의 경우 저장기간(2일과 7일째 비교) 중 농도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미량첨가사료를 급여한 실시예 2의 경우 저장기간 중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반하여 암갈색의 육색을 띠게 하는 메트미오글로빈의 농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일째와 14일째 모두 실시예 2가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나 육색의 보존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는 출하 전 소에게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할 경우 등급판정시 육색을 개선시키고 저장기간 동안의 육색 저하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타민 C(ascorbic acid) 6∼10 중량%와, 나이아신(niacin) 3∼7중량%와, 산화마그네슘 12∼20 중량%와, 포도당 30∼38중량%와, 결착제 2∼5 중량% 및 반추위보호지방 30∼3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2. 비타민 C와, 나이아신과, 산화마그네슘과, 포도당과 결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환으로 만든 다음 50∼70℃에서 5∼7시간 건조시키는 단계와;
    제조된 환을 실온에서 방치하여 식힌 후, 약 70℃에서 액화시킨 반추위보호지방으로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6∼10 중량%, 나이아신은 3∼7중량%, 산화마그네슘은 12∼20 중량%, 포도당은 30∼38중량%, 결착제는 2∼5 중량%, 반추위보호지방은 30∼37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제조방법.
KR10-2001-0043102A 2001-07-18 2001-07-18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07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102A KR100407071B1 (ko) 2001-07-18 2001-07-18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102A KR100407071B1 (ko) 2001-07-18 2001-07-18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452A KR20030008452A (ko) 2003-01-29
KR100407071B1 true KR100407071B1 (ko) 2003-11-28

Family

ID=2771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102A Expired - Lifetime KR100407071B1 (ko) 2001-07-18 2001-07-18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086B1 (ko) * 2005-06-16 2007-11-02 이상범 효모-미네랄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색 개선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656A (ja) * 1986-05-23 1987-11-30 Kimitsu Kagaku Kenkyusho:Kk 餌料の製造法
JPH02238855A (ja) * 1989-03-10 1990-09-21 Sanraku Inc 魚類用色調改善飼料
JPH0463551A (ja) * 1990-06-29 1992-02-28 Daicel Chem Ind Ltd 養殖動物の体色又は肉色改善用組成物及び動物の養殖方法
JPH06153815A (ja) * 1992-11-19 1994-06-03 Kyokuto Internatl Corp 肉質改良法
JP2000197445A (ja) * 1993-12-08 2000-07-18 Rta Associates Kk 畜肉、魚肉およびこれらの加工品の鮮度保持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656A (ja) * 1986-05-23 1987-11-30 Kimitsu Kagaku Kenkyusho:Kk 餌料の製造法
JPH02238855A (ja) * 1989-03-10 1990-09-21 Sanraku Inc 魚類用色調改善飼料
JPH0463551A (ja) * 1990-06-29 1992-02-28 Daicel Chem Ind Ltd 養殖動物の体色又は肉色改善用組成物及び動物の養殖方法
JPH06153815A (ja) * 1992-11-19 1994-06-03 Kyokuto Internatl Corp 肉質改良法
JP2000197445A (ja) * 1993-12-08 2000-07-18 Rta Associates Kk 畜肉、魚肉およびこれらの加工品の鮮度保持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452A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ustman et al. The biochemical basis for discoloration in fresh meat: a review
KERRY et al. Improvement of Oxidative Stability of
Froning et al. Color of poultry meat as influenced by dietary nitrates and nitrites
Tuell et al. Arginine supplementation may improve color and redox stability of beef loins through delayed onset of mitochondrial-mediated apoptotic processes
Ortiz et al. Quality traits of fresh and dry-cured loin from Iberian x Duroc crossbred pig in the Montanera system according to slaughtering age
Jiao et al. Effects of dietary arginine and methionine levels on broiler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US5547688A (en) Method for feeding an animal ubidecarenone to prevent discoloration of meat and fish
Luan et al.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laughter performance, antioxidant capacity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bulls
KR100407071B1 (ko) 육색개선용 미량첨가사료 및 그 제조방법
MXPA04009006A (es) Un metodo para mejorar calidad de la carne al complementar las dietas de los cerdos y los cocentrados usados para el mismo.
Hou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mulberry leaf (Morus alba)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rabbits
Sante et al. The effect of dietary α‐tocopherol supplementation and antioxidant spraying on colou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turkey meat
Kearns et al. Effect of different botanically‐diverse diets on the fatty acid profile, tocopherol content and oxidative stability of beef
Ortiz et al. Do animal slaughter age and pre-cure freez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Iberian dry-cured pork loin?
Feng et al. Effect of dietary iron levels on growth, iron concentration in tissues, and blood concentration levels of transferrin and hepcidin in bighead carp (Aristichthys nobilis)
Roeber et al. Effects of three levels of α-tocopheryl acetate supplementation to feedlot cattle on performance of beef cuts during retail display
CN109007356A (zh) 一种改善猪肉品质的添加剂预混合饲料及其使用方法
Titi et al.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male dairy calves on a yeast culture-supplemented diet
CN114982819A (zh) 绿色环保型动物肉质改良抗氧化剂及其可行性评估方法
EP2265131B1 (en) Application of a feed additive mixture for improving meat quality of pigs and poultry
O'Quinn et al. Effects of feeding modified tall oil and supplemental potassium and magnesium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KR100491164B1 (ko) 출하 비육우의 육색저하 방지용 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
Kainski et al. Effect of iron and copper intake on iron, copper, and myoglobin levels in selected pig tissues
Tabke Effects of tannic acid (Bypro®)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pparent toal tract digestibility, fecal nitrogen volitization, and meat lipid oxidation of stears fed steam-flaked corn based finishing diets
Rincon et al. Detoxification of gossypol in raw cottonseed and the use of raw cottonseed meats as a replacement for soybean meal in diets for growing-finishing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113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3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1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