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1251B1 -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 Google Patents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251B1
KR100401251B1 KR10-2000-0039182A KR20000039182A KR100401251B1 KR 100401251 B1 KR100401251 B1 KR 100401251B1 KR 20000039182 A KR20000039182 A KR 20000039182A KR 100401251 B1 KR100401251 B1 KR 10040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ork
inspection
vertical
c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788A (ko
Inventor
황무영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770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012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25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2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교량점검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교량 점검및 유지보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식 점검로, 상설형 점검차, 굴절차, 고소작업차, 고정비계, 이동비계등의 여러 형식등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 중에 어느것도 모든 작업을 완벽하게 충족시켜 주지는 못하여 여러 형식이 복합적으로 동원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설형점검차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그 용도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해도 현장에 따라서는 그 자중이 수십톤에 이르기도 하고 그 자체 장비의 보수점검이 어려우며, 장비 스스로가 고가에다가 관리비용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폭 넓은 사용에는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경량의 점검대가 상시고정형으로 각경간마다 교각에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필요시에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이동하면서 다리 전체에 대한 보수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점검대가 꼭 교각통과를 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종래 상설형 점검차의 고질적인 문제인 고가와 중량을 감소시켰고, 특수한 장대교량뿐만아니라 기존의 일반교량, 고가교등에도 범용적인 채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mobile and fixative bridge maintaining system}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진단에서부터 점검및 보수작업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사용하는 이동식교량점검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주점검대는 상설고정형으로 교각에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필요시에 주행레일과 결합하여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이동하면서 다리 전체에 대한 보수점검을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이다.
현재까지의 교량관리시스템장비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의 각종 시설물및 장비는 점검용과 작업용으로 그 용도가 제한되어 있어 점검및 작업 전체에 폭넓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첫째, 고정식 점검로는 교량, 고가교등의 교좌장치등에 대한 집중점검을 위해 일반적으로 설치되지만 교량에 대한 접근률이 극히 떨어져 교량 점검효과가 투자비에 못 미친다 할 수 있다.상설형점검차(교량에 항시 점검차를 상시설치하는 형태)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그 용도의 다양성을 인정한다 해도 현장에 따라서는 그 자중(自重)이 수십 톤에 이르기도 하고 그 점검차자체의 보수점검이 어려우며, 장비 스스로가 고가에다가 관리비용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폭 넓은 사용에는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이들 점검작업차를 설치한 경우 설치비용에서 부터 유지보수에 이르기 까지 엄청난 문제가 노출되어지고 있다.구체적으로는 도 13(금천교설치사진)과 14(김포교설치사진)에 도시하듯이 몇톤에 이르는 거대한 주점검대와 그 이동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며 교각통과를 위하여 양측에 고도의 정밀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제어장치와 강력한 유압시스템같은 것을 사용하여 회전하면서 통과한다.구체적으로는 금천교에 설치된 실제설치사진인 도 15와 같이 중앙부가 서로 분리하여 회전하기 직전의 사진에 나타나듯이 점검대의 가운데가 분리하여 지고, 이어서 양측단에서 회전하면 교각밖으로 점검대가 나가게되어 교각에 걸리지않게 되어 통과한다는 것이다.상설형이 갖는 좋은 장점에도불구하고 설치에 엄청난 설치비용과 복잡한 제어시스템과 유압실린더와 같은 장비가 항시 외부에 노출된 교량에 설치된 관계로 쉽게 노화되어버리기 때문에 이들 장치자체의 관리에 또다른 관리비용과 전문인력의 투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둘째, 점검및 단순보수공사에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굴절차와 고소작업차는 교량에 고정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해상, 강상 혹은 계곡등에는 사용상에 문제가 있고 불가피하게 교통통제를 해야하는 문제가 따른다.
셋째, 교량의 보수작업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비계(일명 공중비계)는 점검용으로는 맞지 않으며 작업성을 인정한다 해도 안전사고가 빈발하여 치명적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넷째, (다경간용)상설형점검차는 이론적으로 점검과 부분보수용으로 그 용도가 폭 넓게 인정되고 있지만, 교각간의 통과를 위하여 여러 축방향의 유압시스템과 거대한 트러스구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자중이 무겁고 설치비용이 높아서 일부 특수한 교량외에는 일반적인 교량에 범용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다섯째, 점검과 보수용으로 사용되는 이동비계(일명 랙크작업차)는 경량, 저가라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교량(교각형태가 문형주형태)을 제외하고는 교각통과가 어려워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보조를 받아서 이설하고 있다.비계식은 조립이 편하고 이동식으로 장점이 있지만 난간등에 조립한 볼트너트가 작업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풀리게 되며(물론 난간을 관통할 정도로 세게조이면 문제가 없지만 손상이 없는 정도에서 조립하게 됩니다), 결국 상설로 설치하지못하고 일회성으로 설치후에 해체하는 것입니다. 이같은 여러가지 장비를 다른 교각의 보수점검시 함께 이동하면서 재설치하는 것등의 작업이 불가결하게 됩니다.또한 장대교(보통 4차선도로이상이 설치된 경우)에서는 경량의 철골재 중간이 휘어지는 것은 어쩔수 없으며, 그렇다고 이것을 휘어지지않는 강재로 사용하게 되면 무게가 엄청나게 되어 조립식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아무리 경량재라하여도 이 경간이설을 위하여 앞서 설명하듯이 고가이면서 10톤이상의 중량이 나가는 고소작업차, 고정비계와 같은 각종작업장비들이 동원되어야 한다.따라서 고소작업차, 굴절작업차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필요시마다 차량을 통제하고 점검하는 것이 대부분의 교량점검의 실태이며, 이러한 특수장비를 이용하는 것도 계곡, 수심이 깊은 하천등에서는 또다른 특수장비의 동원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교량에 대하여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속수무책으로 피상적인 원거리 육안점검정도에 머물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설형점검차의 대형화와 설치의 한계 그리고 유지보수의 결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이동비계(랙크작업차)의 교각통과상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구동부는 교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점검대(작업대)는 각 경간마다 별도 설치하여 그 경간만에서라도 이동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각 경간내에서는 점검대가 상설형으로 설치되어 교좌부에 대한 상시점검은 언제든지 가능함은 물론 주행레일과 결합하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져 교량 하면에 대한 전면보수작업 또한 가능하다. 또한 주행레일의 설치, 해체, 이설이 쉬워서 부담없이 주행레일을 임대 사용할 수 있으며, 점검대는 경량이어서 기존의 부하내구성이 약한 구형(舊形) 혹은 소형(小形)교량에도 교량자체에 대한 별도의 보강설비가설작업이 필요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해체또한 자유롭게 한 점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또한 점검대는 상설형처럼 고정식도 가능하며, 이동가능한 조립식으로도 구성하여 필요하다면 임의로 해체, 보관할 수있게 하여, 최소의 점검대 수량으로 그 인근의 다수 교량을 점검할 수있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가 강교에 설치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상세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교량에 대한 설치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6은 본발명의 콘크리트교량에 대한 설치상태중에 좌, 우측점검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교량에 대한 설치상태중에 주점검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교량에 대한 설치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I비임을 이용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I비임을 이용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점검로를 달아 내리는 설치형태의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주점검로를 달아 내리는 설치형태의 측면도임.<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강교의 주점검대 , 11-1:콘크리트 교량의 주점검로, 12:랙크레일 플레이트, 13:클램프, 14:랙크기어산, 15:주행레일, 15-1:트러스형태의 주행레일, 21:구동차, 23-1:상부종동차, 23-2:하부종동차, 24-1:2차 상부종동차, 24-2:2차 하부종동차, 29:캔틸레바, 29-1:보행플레이트, 31:1차수직연결봉, 32:평판플레이트, 33:수직 트러스, 37:장출작업대, 37-1:장출작업대 안치용 수평바아, 40:트러스보강재, 50:좌,우측점검대, 51:브라켓 행거, 54:상부점검대, 55:2차수직연결봉, 57:하부점검대, 58:수직작업대, 60:수직작업대용 구동차, 61:수직작업대용 종동차, 62:모멘트 방지용 지지롤라, 63:수직작업대용 진행레일, 71:I비임 고정용 브라켓, 72:I비임, 73:I비임용 구동차:, 74:I비임용 종동차:, 81:수평연결봉, 91:브라켓, 92:수직방향의 고정식 행거, 93:가새, 94:고정용 클립
본 발명은 기존의 상설형점검차의 단점인 엄청난 중량과 가격 부담을 제거하고자 교량의 용접플렌지부나 플레이트부에 특수하게 제작한 레일이나 I비임과 같은 레일장치를 설치하고 이것에 수직트러스, 평판플레이트, 트러스보강재로 점검대를 구성하여 준 다음 자력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차를 부착하여 주었으며, 이들 장치들이 모두 조립식으로 구성되어져 임의로 해체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교량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단순한 비계식 점검대의 설치시 안전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설고정식과같은 안정성을 보장하는 고정방법을 채용하면서 비계식의 경량과 조립해체의 용이성을 겸비토록하여 상설형점검차의 거대한 하중과 조립설치의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본 발명은 강교 형태의 다리는 물론이고 좌우로 길게 캔틸레버가 연장되어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형태의 콘크리트형 다리에도 본 발명의 주행장치와 조립시스템을 순차로 설치할 수 있어서 어떠한 형태의 교량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동식교량점검작업차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강교, 콘크리트교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주행레일부와
상기한 주행레일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점검대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엔진, 밧데리 기타 동력 발생 장치로 구성된 동력발생부와
상기한 동력발생부와 수평연결봉으로 결합되어 구동차에 의해 견인되어지면서 수직트러스, 평판플레이트, 트러스보강재등으로 박스형태로 만들어진 주점검대(주작업대)가 이동식 교량점검장치의 주요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교량의 종류는 상당히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스틸박스형, 플레이트거더형과 같은 강교가 있고 구조상 캔틸레바 부분이 크게 돌출된 형태의 콘크리트교량의 2가지가 있으며, 이외에도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특수교량이 있다. 여기서는 스틸박스형과 콘크리트 교량을 대표적인 예시로 하여 설치와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장치가 강교에 설치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상세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교량점검작업차에 대한 설치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교량의 종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교량의 종방향으로 작업대를 배치토록하면서 이 작업대와 작업차가 일체로 구성되어 혹은 작업차만이 독립하여 교량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량의 보수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교량점검시스템에 있어서,역삼각구조의 하부재(29-3)의 상측으로 보강부재(29-4)를 ㄷ자형태로 일체화한 측면트러스트구조물을 연결부재(29-5)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한 켄틸레버(29)를 교각의 길이에 따라 교량의 종방향으로 고정구(29-6)에 의하여 연속병렬배치하고, 하부재의 상측으로 작업대용 트러스트구조물(T)을 배치하되 이 트러스트구조물의 폭(L)이 교각의 폭(L-1)보다 길도록 구성한 베이스(B)를 교량의 교각측면에 고정토록하며,교량의 용접프렌지 혹은 플레이트부(P)에 일면이 접하도록 평면구조(12)의 배면을 갖으면서 그 반대면에는 다수의 랙크기어산(14)이 형성된 랙크레일(15)을 클램프(13)에 의하여 고정한 주행레일부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토록 하여 구동부를 설치하되 1차수직연결봉(31)에 의하여 임의로 조립해체가능한 상부종동차(23-1)와 하부종동차(23-2)를 매개로 작업차가 조립구성되면서 측면의 죠인트(j)에 의하여 장출작업대(37)이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동식교량점검작업차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에서 트러스트구조물의 폭이 교각의 폭보다 길도록 구성하므로서 상설형과같은 복잡한 회전장비를 이용함이 없이도 교각을 만나게 되면 교각의 통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행레일부는 수많은 래크기어산(14)이 플레이트부(12)에 부착된 형태로서, 교량의 형태에 따라서 각종 조립식 클램프(13)를 이용하여 가설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교량에 EYE형 브라켓트를 고정 부착하여 주행레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주행레일의 행잉 피치가 불가피하게 멀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트러스 형태의 주행레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차(21)는 주행레일부에 설치되어 주점검대(11)를 견인하는 기능을 하는데, 그 스스로 내연기관이나 밧데리등의 동력을 내장할 수도 있고, 아니면 (발전기나 기타 전원으로부터 급전받아 구동하는) 모타만 장착된 형태일수도 있다. 상기한 구동차(21)와 구동차를 콘트롤하는 전기판넬(일명 콘트롤박스)의 표면에는 각종 콘트롤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속도와 방향, 그리고 여러 안전장치를 임의로 제어가능토록 하였다.
본발명에서 행잉부는 그 기능이 구동차(21)로부터의 견인력을 주점검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데 그 구성은 수평연결봉(81), 상부종동차(23-1), 하부종동차(23-2), 그리고 상부,하부종동차 사이에 1차수직연결봉(31)등으로 구성된다. 상부종동차는 주행레일에, 하부종동차는 주점검대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부종동차는 수평연결봉으로 구동차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차에 의해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주점검대(작업대)는 랙크기어가 상단에 부착된 두 개의 수직트러스(33)와 그 안쪽 하단에 안치되는 평판플레이트(32),그리고 두 개의 수직트러스를 상호 보강 지지하는 트러스 보강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수직트러스는 주점검대의 기본후레임으로서 '최소자중의 최대적재중량'을 위해 여러 트러스형태가 적용된다. 또한 수직트러스 상단에 랙크기어산이 부착되어 있는데 그 용도는 교량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점검대를 설치하거나 측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뿐만아니라 그 위에 별도의 수직작업대(58)등 각종 옵션 장비를 안착시켜 좌우로 구동시킬 때 '진행 레일' 기능을 하기도 한다. 별도의 평판플레이트(32)를 바닥에 포설하여 작업자가 안정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평판플레이트의 형태는 데크플레이트, EX-METAL, 일반 타공발판등이 적용 가능하다. 트러스 보강재(40)는 두 개의 수직트러스(33)를 상호 지지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주행레일의 개소에 따라 장출작업대설치를 위한 죠인트(j)에 의하여 장출작업대(37)를 부가 설치하여 주행레일부의 연장설치 혹은 해체등의 작업시에 사용하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5 ~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교량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를 도시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강교와 동일한 원리로 운용되지만 콘크리트 교량은 특수하게 캔틸레바 부분이 크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좌, 우측점검대(50)가 별도로 설치된다.
주행레일은 본교에 상기한 강교의 설치와 유사하게 설치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EYE TYPE의 브라켓을 부착할 수도 있고 이와같은 보조장치의 설치없이 주행레일을 설치하려면 도 8과 같이 브라켓행거(51)를 방호벽등에 안착시켜 주행레일을 걸 수도 있다.
이 주행레일에서부터 하측으로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좌,우측 점검대가 설치되는데 이 좌, 우측점검대의 기능은 우선 캔틸레바 점검이 가능해야하며 캔틸레바점검용 수직작업대(58)등의 장비를 스스로 탑재해서 주점검대(11-1)의 설치비용부담을 최소화한다. 좌,우측 점검대는 교각을 만나면 주점검대와 분리되어 각각 외줄의 주행레일(15-1)을 주행하며 독자적으로 교각을 통과하는데 회전모멘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점검대(54), 하부점검대(57)와 수직작업대(58)등의 무게중심을 주행레일의 직하방향에 두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작업자가 끝단으로 움직여도 점검대의 자중으로 그 흔들림은 극히 미미하다. 그리고 좌,우측점검대의 하부점검대(57)를 직접 주행레일로부터 행잉하지 않고 상부점검대(54)로부터 4점지지하여 주점검대로부터 하부점검대를 분리할 때 그 모멘트변화를 줄였다. 또한 모멘트방지용 회전롤라(62), 발란스웨이트등으로 모멘트 방지를 지원하였다.
그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브라켓행거(5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져 주행레일을 설치한 후, 이 주행레일에 구동차(21)와 상부종동차(23-1), 하부종동차 (23-2), 1차수직연결봉(31)등과 함께 상부점검대(54)를 설치한다. 이어서 2차 상부종동차(24-1), 2차수직연결봉(55), 2차하부종동차(24-2)에 의하여 하부점검대(57)가 설치된다. 상기한 상부점검대(54)와 하부점검대(57) 사이에 수직작업대(58)를 내장토록 하였다. 수직작업대는 그 하측에 수직작업대용 구동차(60)를 설치하였고 수직작업대용 진행레일(63)과 종동차(61)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가 있고 또한 수직작업대는 작업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이 가능해서 교량의 하부 어느 위치에 대하여도 접근이 가능토록 하였다.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9, 도 10에 도시하듯이 주행레일부와 구동부를 일부 변경한 것으로 주행레일은 I비임을 사용하고, 구동차와 상부종동차를 I비임에 맞추어 개조한 것이다.
강교의 경우는 용접프렌지 혹은 플레이트에 브라켓(71)을 용접한 후 여기에 I비임을 부착하여 준 주행레일부와,
(랙크기어에 맞는) 피니언기어가 내장된 구동차(21) 대신에 I비임에 맞는 회전롤라 TYPE의 구동차(73)및 종동차(74)가 설치된다.
콘크리트교량의 경우에는 상기한 강교와 동일한 형태로 주행레일로서 I비임과 그것에 맞는 구동부가 변경되어지는데 다만 콘크리트교량의 캔틸레버가 좌우로 길게 노출되어져 있으므로 브라켓행거(51)를 이용하거나 앙카링하여 주행레일을 설치한다. 기타 원리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11, 도 12에 도시하듯이 주점검로를 캔틸레바 (29)에 안치하지 않고 직접 본교량에 달아 내려 고정하는 방법이다. EYE TYPE의 브라켓(91)을 교량에 부착한 후 주점검로의 넓이에 따라 수직방향의 고정식 행거(92)를 적정하게 배치하여 주점검로를 달아 내린다. 또한 수평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용 가새(93)로 보완한다.
이상의 전체적인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원리를 정리하면, 점검대가 상시고정형으로 각경간마다 교각에 고정설치되는 동시에 필요시에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이동하면서 다리 전체에 대한 보수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동차(21)가 랙크기어가 있는 주행레일(15)에 설치되고 그 주행레일은 클램프(13) 또는 브라켓행거(51)에 의하여 교량에 부착되며 마지막으로 주점검대(11)는 평상시에는 교각 측면에 부착된 캔틸레바(29)에 안치되어 있다가 유사시 행잉부에 의하여 주행레일과 결합하며 한 경간의 작업이 끝나면 다시 주점검로는 분리되고 구동부는 주행레일을 따라 계속 주행하여 교각을 통과하면 다시 다음 경간의 주점검로와 다시 결합하면서 점검및 보수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이상 본발명의 구조에 따른 이동식교량점검작업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설형 점검차의 경우는 교각통과의 어려움을 유압장치를 이용한 거대한 트러스 구조물로 그 해답을 찾음으로 해서 십여톤이나 되는 자중을 교량의 가장 취약부위인 캔틸레바에 설치함으로써 그 원리의 우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유지보수가 필요한 기존 교량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채 신설장대교량에만 극히 제한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장교와 같은 장대교량조차 중량이 집중되는 상설형점검차는 발란스 유지에 좋지 않다는 것이 정평이다. 또한 그 자중으로 인해 교량의 보수작업시 필요한 작업공간및 적재하중에도 한계가 있어서 보수작업시는 별도의 장비 또는 재래식 고정 비계를 설치할 수 밖에 없는 중복투자의 경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점검용과 작업용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통합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교량의 유지보수에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없어지게 되었다. 즉, 이동식 점검대가 매경간마다 존재하므로 신속한 점검도 가능하지만 유사시 주행레일과 결합되면 동시다발적인 전면적인 긴급점검도 가능하다. 그리고 점검대의 자중이 경량이어서 별도의 보강 필요없이 기존교량에 조차 설치 가능하여 기존교량에 조차 다경간용 상설형점검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면보수작업시 흔히 설치되는 고정비계(공중비계)의 설치, 해체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교량의 점검 및 보수가 각각 별도의 장치가 아니고 통합운용되므로 교량관리에 대한 중복 투자를 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상설형에 비하여 구조상 유압시스템일 필요도 없고 거대한 트러스 구조물일 필요도 없으므로 저가로 운행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저가 설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I비임 주행레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랙크기어가 부착된 랙크레일은 분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그 제작단가가 비싼 편이어서 교량이 길면 길수록 주행레일 가격이 부담되어 가격경쟁력에서의 우위가 일부 상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주행레일을 이설해서 사용하고자 하거나, 아니면 아치교량이나 램프교처럼 어쩔 수없이 주행레일이 구배가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I비임을 주행레일로 고정 부착해서 사용해도 문제는 없다. 둘째, 주점검로 안치용 캔틸레바 대신에 주점검로를 본교량에서 달아 내리는 간단한 행잉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교량의 종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교량의 종방향으로 작업대를 배치토록하면서 이 작업대와 작업차가 일체로 구성되어 혹은 작업차만이 독립하여 교량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량의 보수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교량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역삼각구조의 하부재(29-3)의 상측으로 보강부재(29-4)를 ㄷ자형태로 일체화한 측면트러스트구조물을 연결부재(29-5)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한 켄틸레버(29)를 교각의 길이에 따라 교량의 종방향으로 고정구(29-6)에 의하여 연속병렬배치하고, 하부재의 상측으로 작업대용 트러스트구조물(T)을 배치하되 이 트러스트구조물의 폭(L)이 교각의 폭(L-1)보다 길도록 구성한 베이스(B)를 교량의 교각측면에 고정토록하며,
    교량의 용접프렌지 혹은 플레이트부(P)에 일면이 접하도록 평면구조(12)의 배면을 갖으면서 그 반대면에는 다수의 랙크기어산(14)이 형성된 랙크레일(15)을 클램프(13)에 의하여 고정한 주행레일부를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토록 하여 구동부를 설치하되 1차수직연결봉(31)에 의하여 임의로 조립해체가능한 상부종동차(23-1)와 하부종동차(23-2)를 매개로 작업차가 조립구성되면서 측면의 죠인트(j)에 의하여 장출작업대(37)이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동식교량점검작업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교량의 종횡방향으로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교량의 종방향으로 작업대를 배치토록하면서 이 작업대와 작업차가 일체로 구성되어 혹은 작업차만이 독립하여 교량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량의 보수점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면서 좌우로 캔틸레버가 길게 노출된 콘크리트교량용의 교량점검시스템에 있어서,
    브라켓행거(5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져 주행레일을 설치한 후, 이 주행레일에 구동차(21)와 상부종동차(23-1), 하부종동차 (23-2), 1차수직연결봉(31)등과 함께 상부점검대(54)를 설치하며,
    2차 상부종동차(24-1), 2차수직연결봉(55), 2차하부종동차(24-2)에 의하여 하부점검대(57)가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한 상부점검대(54)와 하부점검대(57) 사이에 수직작업대(58)를 내장토록 하되 수직작업대는 그 하측에 수직작업대용 구동차(60)를 설치하면서 수직작업대용 진행레일(63)과 종동차(61)를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직작업대는 작업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교량의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54), 하부점검대(57)와 수직작업대(58)등의 무게중심을 주행레일의 직하방향에 두면서 좌,우측점검대의 하부점검대(57)를 상부점검대(54)로부터 4점지지하는 동시에 모멘트방지용 회전롤라(62)혹은 발란스웨이트들에 의하여 모멘트 방지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0-0039182A 2000-07-10 2000-07-10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Expired - Fee Related KR10040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82A KR100401251B1 (ko) 2000-07-10 2000-07-10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82A KR100401251B1 (ko) 2000-07-10 2000-07-10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88A KR20020005788A (ko) 2002-01-18
KR100401251B1 true KR100401251B1 (ko) 2003-10-11

Family

ID=1967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1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1251B1 (ko) 2000-07-10 2000-07-10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5111A (zh) * 2017-11-30 2020-06-19 胡张艳 一种便于维修的道路分隔警示护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6B1 (ko) * 2001-12-27 2005-02-23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교량의 박스보 내부 이동식 점검시설
KR100823638B1 (ko) * 2007-06-15 2008-04-21 주식회사 에코카 터널과 교량의 비상 및 다목적 관리용 차량
KR101011893B1 (ko) * 2008-07-01 2011-02-01 이연철 아치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점검차
CN103174089B (zh) * 2011-12-22 2016-05-04 湖北华舟重工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式桥梁快速插拔销装置
CN108487624B (zh) * 2018-05-25 2023-12-15 广州丰利达安防科技有限公司 附着式升降脚手架
CN111115117B (zh) * 2020-01-08 2025-01-10 焦作科瑞森重装股份有限公司 用于输送带机构的支架及缆索输送带系统
CN111441245B (zh) * 2020-05-11 2024-08-09 山东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公司 一种混凝土斜拉桥加装检修桁车用轨道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202020B (zh) * 2021-05-31 2024-10-01 成都市新筑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箱型拱肋检查的拱肋检修车
CN115404769A (zh) * 2022-09-29 2022-11-2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既有桥梁的后锚固养护桁车
KR102558279B1 (ko) * 2023-03-23 2023-07-24 주식회사 임성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506A (en) * 1981-04-20 1982-10-27 Kayaba Industry Co Ltd Bridge inspection car for long and large bridge
JPH03110208A (ja) * 1989-09-25 1991-05-10 Miyaji Tekkosho:Kk 橋梁用移動式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H0842133A (ja) * 1994-08-01 1996-02-13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JPH0868198A (ja) * 1994-08-26 1996-03-12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KR970059388A (ko) * 1996-01-25 1997-08-12 전장열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작업대
KR200197369Y1 (ko) *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4506A (en) * 1981-04-20 1982-10-27 Kayaba Industry Co Ltd Bridge inspection car for long and large bridge
JPH03110208A (ja) * 1989-09-25 1991-05-10 Miyaji Tekkosho:Kk 橋梁用移動式足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H0842133A (ja) * 1994-08-01 1996-02-13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JPH0868198A (ja) * 1994-08-26 1996-03-12 Yoneyama Kogyo Kk 移動式吊り足場装置
KR970059388A (ko) * 1996-01-25 1997-08-12 전장열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작업대
KR200197369Y1 (ko) *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05111A (zh) * 2017-11-30 2020-06-19 胡张艳 一种便于维修的道路分隔警示护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88A (ko)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25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작업차
JP6902184B2 (ja) 作業装置及び張出架設工法
JP3318549B2 (ja) 既設橋梁の作業足場
US3863771A (en) Gantry cranes
JP2001146718A (ja) 橋梁床版張出部移動支保工構造
JP2008050811A (ja) 移動式吊り足場装置
CN111335173B (zh) 一种用于钢混结合梁桥面板施工的防护平台及方法
JP2019196593A (ja) 梁工事用吊り足場
CN118498732A (zh) 一种大跨度钢结构屋面滑移顶推施工工法
JP3136457B2 (ja) トラベリング工法
JP3038154B2 (ja) 張出架設作業装置
KR100377529B1 (ko) 교량공사용 이동 작업대
CN209894497U (zh) 一种可调式结构力学试验平台
CN111335188B (zh) 小曲率半径预制1号块箱梁与现浇0号块箱梁悬拼的吊梁
JPH09195227A (ja) 橋脚補強工事用組立式架台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5014381A (en) Rolling platform assembly
CN2337186Y (zh) 高架路砼桥面板吊装机
KR0160244B1 (ko) 교량의 시공 및 유지관리겸용 작업대
US4723333A (en) Brid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54259A (ko)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612435B2 (ja) 天井型クレーン
KR200402793Y1 (ko) 레일방식 교량 슬라브 매달림 공중 비계장치
JP7692125B1 (ja) 吊り治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高欄の撤去方法
Matta et al. Modular frame concept cart for inspection of slab-on-girder bridge superstructure
AU620332B2 (en) Modular scaffolding platform and truss frame component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