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1173B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173B1
KR100401173B1 KR10-2000-0056768A KR20000056768A KR100401173B1 KR 100401173 B1 KR100401173 B1 KR 100401173B1 KR 20000056768 A KR20000056768 A KR 20000056768A KR 100401173 B1 KR100401173 B1 KR 10040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e
retaining wall
shaped clip
uppe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921A (ko
Inventor
곽동준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테크
Priority to KR10-2000-005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1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1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5HD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패턴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101),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사다리꼴형으로 경사각을 갖는 측면(102,103), 후면측으로 향하는 측면과 연접되어 좌우측으로 돌출부(104,105)를 갖는 배면(106)을 포함하며, 측면길이에 해당하는 평면에 저면으로 관통되는 통공(107)이 형성되고, 통공(107)과 전면사이의 평면에 상층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0)가 마련된 옹벽용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통공(107)의 일측 평면에서 저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안내홈(111)과,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되고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각 블록을 상층으로 위치시켜 교호적으로 조적시키기 위한 안착공(112)과,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안착공(112)의 사이에 조적되는 블록의 위치를 잡아 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h자형 클립(120)을 안내시키기 위한 고정홈(113)이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호 블록을 상층으로 조적함에 있어, 안내홈, 안착공, 고정홈, h자형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블록과 그 상층의 블록사이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블록을 상호 지지해 주므로써, 블록에 받는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블록의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항상 제위치에 세팅된 h자형 클립에 대해서는 상층 열에 위치되는 블록의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특히 코너를 형성하는 옹벽작업에 따른 블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Block for breast wall}
본 발명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제방, 방파제, 호안, 도로 등에 경사면을 구축하는 옹벽 블록의 축조구조를 개선하여 블록의 축조방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빠른 기간 내에 축조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경사진 사면의 붕괴 및 외부로부터의 방호를 목적으로 축조되며, 통상 석재 및 콘크리트로 일률적으로 제작되어 횡방향으로 교호되게 축조해 나가는 다단형식의 작업과정을 거쳐 옹벽을 완성한다.
기존의 옹벽들은 콘크리트 옹벽, 석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옹벽의 높이 제한이라든지 미관문제 또는 부지활용성,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공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가장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가지고 환경 친화적인 미관과 빠른 기간 내에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강토 옹벽시공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옹벽의 축조에 따른 블록은 미합중국 특허 제4,299,123호와 미합중국 특허 제 4,525,331호에 제시된 바 있으며, 이들 특허는 옹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횡열로 놓고 서로 쌓아올린 다수의 블록들을 발표하고 있다.
상기 블록들은 대체로 직립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블록의 열이 서로 결합하도록 허용하는 설면과 홈의 구조를 가지며, 또한 토양과 초목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하부가 개방된 내부구멍을 가진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상당량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고가이고, 옹벽형성을 위한 축조작업에 있어 상당한 시간과 노동량을 필요로 하여 블록의 제작 및 작업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97-1721호에 기재된 옹벽용 블록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한 단부들을 가지는 앞면(17), 상부면(42), 바닥면(46), 및 앞면(17)의 대향되는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8,19)을 포함하는 몸통부(13)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부(13)는 또한 상기 상부면(42)과 바닥면(46)의 하나에 개방되고, 상기 측벽(18,19)들로부터 간격진 제1포켓(43) 및 제2포켓(44) 및 핀(51)을 수용하기 위한 제1핀구멍(39) 및 제2핀구멍(41)을 구비하는 블록 상호연결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핀구멍(39)은 상기 제1포켓(4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상기 제2핀구멍(41)은 상기 제2포켓(4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블록의 축조는 경사진 둑으로부터 횡열로 블록을 배열하고, 배열된 블록 사이의 상측에 또 하나의 블록을 횡열로 축조함에 있어, 1열에 배열된 블록의 상면측에 해당하는 포켓부분은 그 상측에 겹쳐진 블록의 핀구멍에 꽂혀진 핀이 안내되는 방식으로 축조해 나갈 수 있고, 상기 포켓은 아치형상을 가지고 있어 안내되는 핀을 기점으로 조적되는 블록을 아치형상으로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블록의 축조구조에 있어, 일직선상으로 블록을 조적 및 지형조건의 곡면을 따라 아치형으로 둥굴게 조적되는 블록의 조적형태를 살피면, 블록의 포켓이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 블록간의 가변(아치형 또는 그 반대되는 아치형)이 가능하나, 지각변동 등에 의해 처음과 같이 조적된 상태에서 포켓은 항상 여유공간을 가지고 있어 블록이 본래의 조적위치를 벗어날 수 있으며, 핀구멍이 블록을 관통하고 있어 응력을 집중적으로 받아 블록의 균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예기치 못한 붕괴 및 사고위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핀 방식을 이용한 블록은 경사벽은 가능하나 경사구간에서 라운드형의 코너를 형성하려 할 때 블록이 핀과 소켓에 고정되어 수평이동이 불가하여 핀을 빼거나 급기야 블록을 절반으로 절단하여 시공하는 등의 시공성 저하의 문제및 옹벽의 안정성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블록의 축조방식으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920,712호에 제시된바 있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바탕을 두는 블록을 배열 형성하고, 그 상층에 상호 블록사이에 안착 설치되는 상층블록에 있어, 상기 블록(12)은 전면(18,20)에 조면을 갖고, 전면(18,20)으로부터 후면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측면(26,28)을 따라 배면(22)과 연접되는 좌우측에 돌출턱(30,32)이 형성되며, 배면(22)의 상부면(38)의 양측에는 소정 폭으로 소정깊이 함몰된 지지홈(40,4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40,42)의 일측으로부터 전면측 방향의 상면에는 저면과 관통되는 통공(34,36)이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지지홈(40,42)에는 상층으로 조적되는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h자 형상을 갖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h자형상을 갖는 클립(44)은 블록의 배면(22) 상부측에 밀착 지지되기 위한 수직부(48)를 갖되, 수직부(48)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지지홈(40,42) 상면에 안내되는 수평부(46)가 형성되고, 수평부(46)의 일측에 일체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통공(34,36) 내측 상부에 밀착되는 수직하부(50), 수직하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층에 위치되는 블록의 통공내측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상부(52)로 이루어진 형상구조를 갖는다.
상기 클립(44)은 지지홈(40,42)의 폭에 대하여 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 범위에서 상층에 위치되는 블록의 통공(34,36) 일측 즉, 배면(22)에 위치되는 통공의내측 저면부위에 일정부분 경사각을 갖는 돌출턱(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돌출턱(60)의 일단은 첨부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44)의 수직 상부(52)에 밀착 지지되는 형태로 상기 클립의 상층에 위치되는 블록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클립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블록은 최하층의 블록에 대하여 상기 돌출턱(60)의 돌출된 만큼 상층으로 갈수록 블록은 단차를 두고 조적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록의 조적상태는 상기 지지홈으로 안내되어 설치되는 클립이 지지홈의 폭 공간으로부터 유동될 수 있는 범위를 가져 블록의 조적시 그 위치를 정확히 잡아주면서 조적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층으로 블록이 안착되기 전까지 클립이 불안정하여 비교적 중량이 나가는 블록을 다루는 작업의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블록을 연결하고, 보강을 위한 그리드를 연결하는 부분이 블록의 뒷부분 즉, h자형 클립이 설치된 곳에 위치하므로 블록및 그리드의 결속이 불안정하여 블록의 전면이 뒤틀리는 현상 및 그리드가 이탈하기 쉬워 붕괴가 우려되고, 블록을 안쪽 곡선부에 설치시 첨부된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32)를 깨어내어야 하는 만 조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매우 떨어지고, 첨부된 도 5a에서와 같이, 조적된 블록의 외측 곡선부에는 클립(44)와 그 상층에 위치되는 블록의 통공(34,36)부분이 전혀 결속이 되지 않아 조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옹벽형성에 따른 블록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옹벽용 블록을 개선하여 블록에 적용되는 h자형 클립의 방향에 따라 블록은 수직으로 또는 경사를 갖는 단차식으로 조적하여 옹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의 조적에 있어 클립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정확한 상층 블럭을 조적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사다리꼴형으로 경사각을 갖는 측면, 후면측으로 향하는 측면과 연접되어 좌우측으로 돌출턱을 갖는 배면을 포함하며, 측면길이에 해당하는 평면에 저면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과 전면사이의 평면에 상층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마련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통공의 일측 평면에서 저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각 블록을 상층으로 위치시켜 교호적으로 조적시키기 위한 안착공과,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안착공의 사이에 조적되는 블록의 위치를 잡아 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h자형 클립을 안내시키기 위한 고정홈이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형성된 옹벽용 블록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블록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블록의 저면도,
도 3은 종래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종래 블록이 일부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종래 블록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블럭를 라운드 형태로 조적시킨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블록을 조적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블록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블록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수직으로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11a는 도 11에서 블럭의 상면에 그리드를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블럭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수직으로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단차지게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단차지게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아치형인 곡선으로 조적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블록 101: 전면
102,103: 측면 104,105: 돌출턱
106: 배면 107: 통공
110: 연결부 111: 안내홈
112: 안착공 113: 고정홈
120: h자형 클립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블록의 저면도이다.
대체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101),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사다리꼴형으로 경사각을 갖는 측면(102,103), 후면측으로 향하는 측면(102,103)과 연접되어 좌우측으로 돌출턱(104,105)을 갖는 배면(106)을 포함하며, 측면길이에 해당하는 평면에 저면으로 관통되는 통공(107)이 형성되고, 통공(107)과 전면사이의 평면에 상층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0)가 마련된 옹벽용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통공(107)의 일측 평면에서 저면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안내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각 블록을 상층으로 위치시켜 교호적으로 조적시키기 위한 안착공(112)이 복수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안착공(112)의 사이에 조적되는 블록의 위치를 잡아 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h자형 클립(120)을 안내시키기 위한 고정홈(113)이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안내홈(111)은 장홈타입이거나 안착공(112)과 같이 복수개로 나뉘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3)으로부터 h자형 클립(120)의 안내되는 상태에 따라 블록(100)을 수직으로 조적시키거나, 단차지게 조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홈(113)은 적용되는 h자형 클립(120)의 전면 두께 폭에 맞는 폭과 깊이를 갖도록 하여 클립이 정확히 안내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h자형 클립(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100)의고정홈(113)에 안내 밀착되기 위한 수직부(121)를 갖되, 수직부(121)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고정홈(113) 상면에 안내되는 수평부(122)가 형성되고, 수평부(122)의 일측에 일체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111) 내측에 밀착되는 수직하부(123), 수직하부(113)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층에 위치되는 안착공(112)의 저면 내측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상부(124)로 이루어진 형상구조를 갖는다.
상기 h자형 클립(120)은 부식성을 고려하여 고강토 유리섬유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하여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인 옹벽용 블록의 시공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옹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지형에 기초를 형성하고, 기초틀 상에 블록(100)의 안내홈(111)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동방향으로 배열 설치한다.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블록(100)의 고정홈(113)에는 h자형 클립(120)을 안내시켜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의 블록(100)의 고정홈(113)에 결합시켜 준다. 여기서 h자형 클립은 상기 고정홈에 대하여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기초면으로부터 1열의 블록을 배열한 상태에서 블록사이의 상부에 또 다른 블록을 안착시켜 주어 상층을 구성함에 있어, 상층에 교호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블록은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h자형 클립이 각 블록의 고정홈에 위치된 상태에 따라 블록은 수직으로 쌓아 올려 옹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참고적으로, 옹벽공사에서 사용되는 그리드(R)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적어도 2열 또는 3열정도 조적된 상태에서 블록사이에 설치되고, 그 일부는 흙 메움 작업으로 지형내에 묻혀 상호 블록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에 h자형 클립(120)의 위치를 고정홈(113)에 반대로 꽂아 준 상태에서의 블록(100) 조적은 첨부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상층으로 조적되는 블록은 h자형 클립(120)의 상부측 수직상부(124)의 위치가 반대로 변경되는 폭의 변화만큼 상층의 블록은 하층의 블록에 대하여 후방으로 단차지는 공법으로 조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블록은 지형조건(외측으로 완만하게 굽어지거나 내측으로 굽어지는 경사 조는 수직 토벽의 코너)에 대하여 첨부된 도 15 및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에 배열된 블록의 배열상태에 의해 그 상층에 조적되는 블록은 저면의 안착공(112) 부분을 그대로 상기 하층에 각각 위치된 h자형 클립(120)에 안착시켜 주면, h자형 클립의 수직상부(124)는 상기 블록의 안착공에 정확히 안내되어 하층의 배열된 상태에서 교호적으로 조적되어 나갈 수 있어 블록의 조적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h자형 클립은 항상 블록이 적층되는 사이에 안내됨과 고정홈에 고정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 이유 때문에 블록의 지지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h자형 클립은 고강토 유리섬유와 HDPE을 혼합하여 제작된 것으로 조적되는 블록 사이에 위치됨에 있어 부식발생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 블록 사이에 위치됨에 있어, 지형으로부터 받는 응력은 블록 전면부에 전달되지 않아 일부 또는블록의 전체적인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의 안착공은 상기 안내홈에 대하여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홈에 고정된 h자형 클립에 대하여 안착공의 길이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존의 핀 방식과는 달리 블록을 절단하지 않고서도 조적이 가능하므로 옹벽의 안정성 및 미관에 전혀 지장이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용 블록은 상호 블록을 상층으로 조적함에 있어, 안내홈, 안착공, 고정홈, h자형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블록과 그 상층의 블록사이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블록을 상호 지지해 주므로써, 블록에 받는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블록의 균열발생을 방지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항상 제위치에 세팅된 h자형 클립에 대해서는 상층 열에 위치되는 블록의 수평이동이 가능하여 특히 코너를 형성하는 옹벽작업에 따른 블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양한 패턴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는 전면(101),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사다리꼴형으로 경사각을 갖는 측면(102,103), 후면측으로 향하는 측면과 연접되어 좌우측으로 돌출부(104,105)을 갖는 배면(106)을 포함하며, 측면길이에 해당하는 평면에 저면으로 관통되는 통공(107)이 형성되고, 통공(107)과 전면사이의 평면에 상층의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0)가 마련된 옹벽용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10)는 통공(107)의 일측 평면에서 저면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안내홈(111)과,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전면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형성되고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각 블록을 상층으로 위치시켜 교호적으로 조적시키기 위한 안착공(112)과,
    상기 안내홈(111)으로부터 안착공(112)의 사이에 조적되는 블록의 위치를 잡아 블록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h자형 클립(120)을 안내시키기 위한 고정홈(113)이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홈(113)으로부터 h자형 클립(120)의 안내되는 상태에 따라 블록(100)을 수직으로 조적시키거나 단차지게 조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홈(113)은 적용되는 h자형 클립(120)의 전면 두께 폭에 맞는 폭과 깊이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h자형 클립(120)은 고강토 유리섬유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을 혼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10-2000-0056768A 2000-09-27 2000-09-27 옹벽용 블록 Expired - Fee Related KR10040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768A KR100401173B1 (ko) 2000-09-27 2000-09-27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768A KR100401173B1 (ko) 2000-09-27 2000-09-27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921A KR20020024921A (ko) 2002-04-03
KR100401173B1 true KR100401173B1 (ko) 2003-10-10

Family

ID=1969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7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1173B1 (ko) 2000-09-27 2000-09-27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10B1 (ko) * 2020-12-30 2021-07-06 권창성 시공성 및 지지력이 향상된 옹벽블록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7692B (zh) * 2015-03-03 2017-12-05 西南大学 田坎护坡改造方法
KR101713894B1 (ko) * 2016-09-21 2017-03-09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KR102088083B1 (ko) * 2017-04-05 2020-03-11 공학봉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CN108316245A (zh) * 2018-04-17 2018-07-24 湖南全水生态科技有限公司 生态砌块
KR102146634B1 (ko) 2019-10-17 2020-08-21 공학봉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36U (ko) * 1999-03-04 1999-06-25 양대환 옹벽용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36U (ko) * 1999-03-04 1999-06-25 양대환 옹벽용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710B1 (ko) * 2020-12-30 2021-07-06 권창성 시공성 및 지지력이 향상된 옹벽블록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921A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079B1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0401173B1 (ko) 옹벽용 블록
KR100395854B1 (ko) 흙구조물의외장재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JP3222780U (ja) 基礎ブロック
KR200172438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축조용 앵커블록
JP3774459B2 (ja) 組立柵工
JP2004308244A (ja) 擁壁ブロックおよび仕切り板ならびに擁壁の構築方法
KR200358082Y1 (ko) 조적식 옹벽블록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JP2001342632A (ja) 組立柵工
KR20010027276A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200344552Y1 (ko) 식생호안블럭의 설치구조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72057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200235108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200216927Y1 (ko) 조립식 조적블럭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2052366B1 (ko) 계단블록 어셈블리
KR100483885B1 (ko)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KR200376593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20094271A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101073971B1 (ko)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