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0020B1 -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020B1
KR100400020B1 KR10-2002-0006506A KR20020006506A KR100400020B1 KR 100400020 B1 KR100400020 B1 KR 100400020B1 KR 20020006506 A KR20020006506 A KR 20020006506A KR 100400020 B1 KR100400020 B1 KR 10040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rier
developing
forming apparatus
high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177A (ko
Inventor
신규철
송인용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020B1/ko
Priority to EP02255992A priority patent/EP1338930B1/en
Priority to DE60218280T priority patent/DE60218280D1/de
Priority to US10/246,519 priority patent/US6778799B2/en
Priority to JP2003015218A priority patent/JP2003270986A/ja
Publication of KR2003006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0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6Developing
    • G03G13/10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e.g. liquid suspen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2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 G03G9/125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in liquid develop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비휘발성의 캐리어를 분산매로 하는 고농도의 잉크 현상액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감광체의 전위를 대전 전위로 상승시키는 대전장치와, 감광체에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 감광체에 비휘발성 캐리어가 분산매인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장치와,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받아 고농도 현상 필름을 형성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된 화상을 기록매체로 이동시키는 전사장치 및, 전사된 화상을 상기 캐리어의 인화점보다 20도 이상 높지 않은 온도로 상기 기록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한다. 비휘발성의 고농도 현상액을 이용하여 캐리어 증기에 의한 냄새를 억제하며 구조가 간단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Wet type electronic photograph forming apparatus using non-volatile ink carri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휘발성의 캐리어를 용매로 사용하는 현상제를 이용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는, 감광벨트(14)와, 감광벨트(14)를 대전시키는 대전기(15)와, 대전된 감광벨트(14)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 유니트(16)와,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30)와, 감광벨트(14)상의 액상의 캐리어를 흡착 증발시키는 건조기(18)와, 형성된 화상을 용지(23)에 전사하는 전사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감광벨트(14)는 구동롤러(11), 피동롤러(12, 13)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순환하며, 용지(23)는 전사롤러(21)와 정착롤러(22)의 회전에 의해 전사장치(20)로 인입되며 화상이 용지(23)로 전사되게 된다.
광주사 유니트(16)는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K)의 색상정보를 감광벨트(14)로 주사하고 각 현상기(30)는 각각 해당 색상의 현상액을 감광벨트(14)에 공급한다.
현상기(30)는 감광벨트(14)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기(32)와, 감광벨트(14)로부터 낙하하는 현상액을 회수하는 현상조(31)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조(31)내에는 현상 롤러(36)와, 현상 롤러(36)에 묻어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롤러(37)와, 감광벨트(14)상에 공급된 현상액중 화상형성을 하지 않는액상의 캐리어를 분리하기 위한 스퀴즈 롤러(34) 및 스퀴즈 롤러(34)를 통해 취출되는 캐리어를 현상조(31)로 회수하기 위한 플레이트(35)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기(30)는 각 컬러, Y(Yellow), C(Cyan), M(Magenta), K(Black)에 대해 정전잠상을 현상할 수 있도록 감광벨트(14)와 현상갭(G)을 유지하며 소정 전압으로 대전되는 현상롤러(36)와, 상기 현상갭(G)내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분사기와, 감광벨트(14)에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스퀴지 롤러(34)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액은 인쇄용지(23)에 전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가 분산되어 있는 고농도의 잉크와 상기 토너를 감광벨트(11)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전달하는 저농도의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진다.
현상액 공급기(32)는, 잉크 카트리지(38)로부터 용매인 액상의 캐리어(N, norpor)와 현상물질인 각 컬러(Y, C, M, K)의 잉크를 공급받아, 이를 혼합하여 제조한 적정 농도의 현상액과, 현상조(31)내에 저수된 현상액을 공급받아 다시 감광벨트(14)에 현상액으로 제공한다.
상기 종래의 현상기(30)에서는 현상액의 농도를 2.5%~3% 정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38)로부터 공급되는 10~30%의 잉크를 저농도의 캐리어로 희석하여 현상기(30)로 공급한다.
현상액 공급기(32)에서 만들어진 현상액을 현상닙(nip)에 공급하기 위해 현상 롤러(36)와 감광벨트(14) 사이에 현상액 공급장치(35)를 사용하여 잉크를 공급한다. 공급된 저농도의 현상액은 감광벨트(14)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한 다음, 스퀴지 롤러(34)를 통과하면서 과잉 캐리어가 제거된다. 잔류하는 캐리어는건조장치(18)에 의해 흡수되고 이를 다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뒤 포집하여 응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정착장치(20)에서는 감광벨트(14)상의 화상을 형성하는 높은 농도의 토너가 열, 압력 또는 정전력에 의해 전사 롤러(21)로 전사가 되고, 다시 정착 롤러(22)에 인가된 열과 압력에 의해 일부 잔류된 캐리어를 증발시켜 화상이 기록용지(23)로 재전사가 되게 하여 화상을 출력하게 된다.
일반적인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액상의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므로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액체 현상액의 캐리어 증발 온도(flash point)는 80도 이하의 온도로 낮으므로, 110도 이상의 온도로 정착하고 증발시킬 때 외부로 냄새가 나게 된다. 따라서, 이 냄새를 억제하기 위해 증발된 캐리어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는 복잡한 캐리어 공급 및 회수 장치(vapor capture system)가 필요하게 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수된 캐리어의 응축(condensing)을 위해서는 부수적인 냉각 장치가 필요하다.
더하여,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시 사용하는 액체 현상액의 농도가 2~3%로 잉크 카트리지(38)에 마련되어 있는 잉크의 농도 10~30%와 다르게 되어 있어 고농도의 잉크를 캐리어와 혼합하여 2~3%의 현상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복잡한 잉크 공급 시스템과 농도 제어장치가 필요하며, 낮은 액체 현상제의 과잉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즈 공정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의 증기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고 고속으로 고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현상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1 : 감광드럼 52 : 대전 장치
53 : 현상 장치 54 ; 정착 장치
55 : 광주사장치 56 : 전사 장치
57 : 잉크 카트리지 58 : 제전기
59 ; 중간전사벨트 61 ; 미터링 블레이드
62 ; 잉크 63 ; 현상 롤러
64, 66 ; 전원 67 ; 증착 롤러
68 ; 현상액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전위를 대전 전위로 상승시키는 대전 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와 상기 감광체에 비휘발성 캐리어가 분산매인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 장치;와 상기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받아 고농도 현상 필름을 형성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상기 현상된 화상을 기록매체로 이동시키는 전사 장치; 및 상기 전사된 화상을 상기 캐리어의 인화점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기록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는 퍼플르오르카본(Perfluorcarbon),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및 하이드로 카본(Hydrocarbon)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는 비유전성이며 표면장력이 낮으며, 90℃이상의 인화점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고농도 현상액은 2% 내지 40%의 농도를 가지며, 30℃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고, 상기 캐리어의 인화점(Tv)보다 20도이상 높지 않은 녹는점(Tm≤Tv+2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장치는 고농도 잉크 필름을 형성하는 미터링 장치를 더 구비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캐리어를 분산매로 가지는 습식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시 또는 인쇄물에서 캐리어의 증기에 의한 냄새 발생을 억제하고 정착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농도의 현상액을 사용함으로써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나 응축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접촉 현상시 비화상부의 오염없이 고화질의 화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과잉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스퀴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50)는, 각 컬러(Y, C, M, K)에 해당하는 정점잠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감광체(51)와, 상기 감광체(51)의 표면 전위를 대전 전위로 상승시키는 대전 롤러(52)와, 대전된 감광체(51)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55)와,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53)와, 상기 감광체(51)과 접촉하며 현상된 화상을 이동시키는 중간전사벨트(59)와, 상기 중간전사벨트(59)상으로부터 이송된 화상을 용지(s)에 전사하는 전사롤러(56)와,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5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전사벨트(59)와 전사 롤러(56)는 전사장치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종래의 감광 벨트에서 이루어지던 대전, 노광 및 제전이 드럼타입의 감광체(51)상에서 이루어지며, 현상 장치(53)에는 비휘발성의 캐리어를 분산매로 가지는 고농도의 현상액(68)이 공급되어 스퀴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전 장치(52)에서 감광체(51)의 표면 전위를 대전 전위로 상승시키면, 노광 장치(55)는 옐로우(Y), 시안(C), 마젠타(M), 블랙(K)의 색상정보를 감광체(51)로 주사하여 노광 전위로 하강시킴으로써 각 색상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각 현상 장치(30)는 각각 해당 색상의 현상액(68)을 감광체(51)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감광체(51)상의 토너는 정전력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9)상으로 이동되며 각 컬러별 토너는 각 현상 장치(53)를 통과할 때마다 중첩전사된다.
중간전사벨트(59)로 탄성고무를 사용하고 전사시 압력을 2~4kgf 정도로 주며, 전사 전압을 400~1500V로 설정하면 90~99% 의 전사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전사 특성은 전 단계에서 캐리어의 잔류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30~40% 정도의 토너농도일 때 가장 적합한 전사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정착 장치(54)에는 두 개의 정착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두 정착 롤러 사이로 화상이 전사된 용지(s)를 통과시켜 화상이 용지(s)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정착 롤러 가열시 캐리어의 증발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한 다음 10~30kgf 정도의 압력을 가하면, 정착시 캐리어의 증발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비휘발성 캐리어를 분산매로 이용하는 현상액과 이를 감광체(51)에 공급하는현상 장치(53)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현상장치는, 고농도의 현상액(68)이 담겨있는 현상 장치(53)와, 상기 현상 장치(53) 내부의 현상액(68)에 잠겨 있으며, 현상 롤러(63)와 접촉하거나 현상갭을 이루며 현상액(68)을 공급하는 증착 롤러(depositing roller; 67)와, 반정도 현상액(68)에 잠겨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며 증착 롤러(67)에 의해 부착된 토너 입자를 보유하는 현상 롤러(63)와, 소정의 압력으로 현상 롤러(63)를 가압하여 현상 롤러(63)상에 부착된 토너의 두께등을 조정하는 미터링 블레이드(metering blade; 61)와, 현상 롤러(63)와 접촉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미현상된 토너를 세정하는 클리닝 롤러(65)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현상장치에는, 현상 장치(53)에 공급되는 현상액의 원료인 고농도의 잉크(62)가 담겨있는 잉크 카트리지(57)와, 증착 롤러(67)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66)과, 현상 롤러(63)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64)이 구비되어 있다.
현상 장치(53) 내부는 2%~40% 정도의 농도를 가지는 현상액(68)으로 채워져 있다. 현상액(68)은 토너를 함유하는 고농도의 잉크(62)와 비휘발성 캐리어를 혼합한 액체로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공급되는 현상제이다.
고농도의 잉크(62)는 각 색깔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57)에 장착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57)는 피스톤 형태를 가지며 현상 장치(53)에 상기 고농도의 잉크(62)를 공급하거나 현상 장치(53) 내부의 현상액(68)을 회수하는 기능을 한다.
비휘발성 캐리어로 퍼플르오르카본(Perfluocarbons; F와 C를 포함하는 화합물),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등을 이용할 수 있다.
비휘발성 캐리어가 분산매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비유전율이 낮고(<5), 잉크 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전하제(charge director)를 잘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하며, 잉크 입자를 잘 대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가 양호한 현상특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점도가 낮고(<10cps) 빠른 이동도(mobility)를 가지며 표면장력이 낮아야(<30dynes/cm)한다. 더하여 증발을 억제하고 증발에 의한 안정성등의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 90℃이상의 인화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들과 단가, 화학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노파(Norpar15) 또는 아이소파(Isopar M; Exxon의 상품명)등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비휘발성 캐리어로 선택할 수 있다.
비휘발성 캐리어로 상기 노파를 사용하는 경우 인화점은 116℃이며, 잉크의 전도율(conductivity)은 20~30 pMho/cm 정도, 잉크 유동성(mobility)은 (5~8)×10-11(m2/V·s) 정도를 나타낸다. 상온에서 잉크 입자간의 엉김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의 유리전이 온도(Tg)는 30℃이상을 유지하고 정착공정에서 캐리어의 인화점 116℃보다 낮은 온도로 정착될 수 있도록 잉크의 녹는점을 130℃이하로 한다.
감광체(51)는 유기 감광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감광드럼으로 도전체인 대전 롤러(52)를 사용하여 대전시킨다. 상기 감광체(51)에, 예를 들어 600V 정도의 대전전위를 인가한 경우 노광 전위를 50V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노광 전위보다 높은 현상 전위를 현상 롤러(63)에 인가하고 증착 공정을 거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액(62)에 잠겨있는 증착 롤러(67)는 현상 롤러(63)와 접촉하거나 미리 정해져 있는 현상갭 예를 들어, 50~500μm 정도 이격되어 있다.
현상 롤러(63)에 현상 전압(예를 들어, 200~500V)을 인가하면 현상 롤러(63)와 증착 롤러(67)사이에 전계가 형성되고 현상액(68)에 분산되어 있는 토너가 상기 현상 롤러(63)에 부착된다.
현상 롤러(63)는 도전성 탄성체로, 그 재질은 폴리우레탄 러버(Polyurethane rubber) 또는 NBR(Nitryl Butadiene Rubber)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현상 롤러(63)의 저항은 105~108Ω정도, 경도는 Shore A로 25도 내지 65도 정도, 표면 거칠기는 Ra 1 내지 4μm 정도다. 증착 롤러(67)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SUS 계열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착 공정 후 기록용지(s)에 전사되는 화상의 농도가 균일하게 하는 미터링 공정을 수행한다. 현상 롤러(63) 상의 넓게 분포하는 현상액(68) 농도에 관계없이 밀도(M/A; Mass per Area)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재질의 미터링 블레이드(61)를 선택하고, 이 미터링 블레이드(61)에 적절한 가압력을 가하여야 한다. 여기서, 미터링 블레이드는 감광체(51)상에 고농도의 현상액 필름을 형성하는 미터링 장치이다.
미터링 블레이드(61)로는 두께 0.05~2mm 정도를 가지는 L자형 금속판이 적당하며, 현상 장치(53) 내부의 현상액(68)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터링 압력은 100~300gf/cm 정도가 적당하다.
미터링 블레이드(61)를 전기적으로 플로팅(floating)한 상태에서 미터링 블레이드(61)의 압력, 위치, 접촉부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M/A는 200~300μg/cm2정도, 현상액 농도(%solid)는 20~35% 정도의 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미터링 블레이드(61)에 작용하는 압력과 부착된 토너입자의 부착력의 상관관계로부터 토너층의 두께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미터링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단일 현상액 농도가 아닌 넓은 범위의 현상액 농도로 현상 롤러상에 균일한 M/A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비휘발성 캐리어를 분산매로 하는 고농도의 잉크를 현상액으로 이용하여 캐리어 증기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이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며, 접촉 현상시 비화상부의 오염없이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종래의 캐리어 증기를 포집하고 응축하는 부가 장치, 고농도의 잉크를 저농도의 현상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복잡한 잉크공급장치, 농도 제어장치 및 스퀴지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의 고농도 잉크를 정착함으로써 정착에너지를 감소시켜 고속으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당업자라면 현상 롤러, 미터링 블레이드 등의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장치를고농도의 현상액 이용에 적합한 다른 재질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장점은 비휘발성의 고농도 현상액을 이용함으로써 캐리어 증기의 냄새 발생을 억제하고 비화상부의 오염없이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장점은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장치, 응축장치, 스퀴지 장치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정착 에너지를 감소시켜 고속으로 균일한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당업자라면 실험시 TRC의 특성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입력값과 출력값의 수준을 각 인쇄기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여 특성방정식의 계수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9)

  1.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전위를 대전 전위로 상승시키는 대전장치;
    상기 감광체에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
    상기 감광체에 비휘발성 캐리어가 분산매인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장치;
    상기 고농도 현상액을 공급받아 고농도 현상 필름을 형성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상기 현상된 화상을 기록매체로 이동시키는 전사장치; 및
    상기 전사된 화상을 상기 캐리어의 인화점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기록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는 퍼플르오르카본,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및 하이드로 카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는 비유전성이며 표면장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캐리어는 90℃이상의 인화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현상액은 2% 내지 40%의 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현상액은 30℃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현상액은 상기 캐리어의 인화점보다 20도 이상 높지 않은 녹는점(Tm)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는 고농도 잉크 필름을 형성하는 미터링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장치는,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상기 현상된 화상을 이동시키는 중간전사벨트;
    상기 현상된 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06506A 2002-02-05 2002-02-05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06A KR100400020B1 (ko) 2002-02-05 2002-02-05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EP02255992A EP1338930B1 (en) 2002-02-05 2002-08-29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on-volatile ink carrier liquid
DE60218280T DE60218280D1 (de) 2002-02-05 2002-08-29 Bilderzeugungsgerät mit Flüssigentwicklung unter Verwendung von nichtflüchtiger Tinte
US10/246,519 US6778799B2 (en) 2002-02-05 2002-09-19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on-volatile ink carrier
JP2003015218A JP2003270986A (ja) 2002-02-05 2003-01-23 湿式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506A KR100400020B1 (ko) 2002-02-05 2002-02-05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177A KR20030066177A (ko) 2003-08-09
KR100400020B1 true KR100400020B1 (ko) 2003-09-29

Family

ID=2765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0020B1 (ko) 2002-02-05 2002-02-05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78799B2 (ko)
EP (1) EP1338930B1 (ko)
JP (1) JP2003270986A (ko)
KR (1) KR100400020B1 (ko)
DE (1) DE60218280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846B2 (en) 2004-04-28 2007-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unit and a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0836A1 (en) * 2003-07-29 2006-07-13 Oce Printing Systems Gmbh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phoretic liquid development
JP4991293B2 (ja) * 2003-07-29 2012-08-01 オーセ プリンティング システム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気泳動式に液体現像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174114B2 (en) * 2004-07-29 2007-0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ontamination of an image transfer device
US7869343B1 (en) * 2006-06-05 2011-01-11 Altera Corporation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forward error correction
JP2009205078A (ja) * 2008-02-29 2009-09-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77A (ja) * 2008-02-29 2009-09-10 Brother Ind Ltd 現像液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11015B2 (ja) * 2008-11-28 2013-10-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23716B2 (en) 2012-03-01 2016-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arge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292A (en) * 1973-06-27 1977-05-17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with ink
US4059444A (en) * 1974-03-14 1977-11-22 Xerox Corporation Liquid development using conductive inks
US4004931A (en) * 1975-05-29 1977-01-25 Xerox Corporation Constant viscosity inks
US4268597A (en) * 1976-04-13 1981-05-19 Philip A. Hunt Chemical Corp. Method,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liquid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images
JPS5393842A (en) * 1977-01-28 1978-08-17 Can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5238762A (en) * 1990-03-26 1993-08-24 Olin Corporation Liquid colored toner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contact and gap electrostatic transfer processes
US5240806A (en) * 1990-03-26 1993-08-31 Olin Corporation Liquid colored toner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contact and gap electrostatic transfer processes
US5176980A (en) * 1991-08-08 1993-01-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graphic liquid develop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E69426393T2 (de) * 1993-09-20 2001-04-12 Research Laboratories Of Australia Pty. Ltd., Eastwoo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lüssigentwicklung
US6167225A (en) * 1994-01-10 2000-12-26 Research Laboratories Of Australia Pty Ltd Liquid developing method of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liquid developing apparatus
DE69529064T2 (de) * 1994-02-08 2003-05-08 Research Laboratories Of Australia Pty. Ltd., Eastwood Mehrfarbenbilderzeugungsgerät mit flüssigentwicklung
US5573883A (en) * 1995-06-05 1996-11-12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eveloping an latent image with liquid developer having a mixture of a high vapor pressure carrier fluid and a low vapor pressure carrier fluid
US6173147B1 (en) * 1997-08-27 2001-01-09 Pfu Limited Wet type electrophotography apparatus to heat toner on intermediate transfer medium
WO1999010779A1 (fr) * 1997-08-27 1999-03-04 Pfu Limited Dispositif electrophotographique a liquide
EP0997792A4 (en) * 1998-03-25 2007-05-02 Pfu Ltd ELECTROPHOTOGRAPHIC DEVICE WITH LIQUID DEVELOPMENT
JP3810953B2 (ja) * 1999-07-07 2006-08-16 株式会社Pfu 液体トナー現像方式の電子写真装置
AUPQ529000A0 (en) * 2000-01-28 2000-02-17 Research Laboratories Of Australia Pty Ltd Toner characterization cell
US6219501B1 (en) * 2000-03-28 2001-04-17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oner cake delivery
JP2004534973A (ja) * 2000-04-14 2004-11-18 ゴー アヘッド ソフトウェ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アップグレードシステム及び方法
JP3721048B2 (ja) * 2000-05-16 2005-11-30 株式会社Pfu 液体現像電子写真装置
US6389242B1 (en) * 2000-09-15 2002-05-14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846B2 (en) 2004-04-28 2007-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xidation catalyst unit and a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7673A1 (en) 2003-08-07
KR20030066177A (ko) 2003-08-09
DE60218280D1 (de) 2007-04-05
JP2003270986A (ja) 2003-09-25
EP1338930B1 (en) 2007-02-21
EP1338930A1 (en) 2003-08-27
US6778799B2 (en) 200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1315A (en) Gravure imaging system
US68653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eveloping liquid
US3815989A (en) Electrophotographic copy systems
KR100400020B1 (ko) 비휘발성 잉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US5708950A (en) Transfuser
US61224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high solids content toner cake in a contact electrostatic printing system
EP2467757B1 (e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blanket,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CA11568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US5574547A (en) Liquid electrophotographic reproduction machine employing heated carrier liquid
JP3263069B2 (ja) 結像方法および装置
EP0921444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liquid developer
US77564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imaging member
US6006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igh quality images in an electrostatic printing machine
KR100547104B1 (ko) 고농도 잉크를 사용하는 습식 현상 장치
JP3702523B2 (ja) 液体現像剤を用いた現像装置
US6553205B1 (en) System for toner cleaning
EP1971900B1 (en) Device and method for minimizing residual charge effects in a printing device
US6289191B1 (en) Single pass, multicolor contact electrostatic printing system
US6256468B1 (en) Toner cake delivery system having a carrier fluid separation surface
KR20040006393A (ko) 습식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방법
KR100400025B1 (ko) 회전하는 증착롤러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US60200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refining toner images in an electrostatic printing machine
US66219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gh solids content toner cake in an electrostatic printing system
US7092661B2 (en)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liquid carrier depositing unit
EP0913744A2 (en) Liquid developing material layer char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