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9344B1 - 슬러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344B1
KR100399344B1 KR10-2000-0076460A KR20000076460A KR100399344B1 KR 100399344 B1 KR100399344 B1 KR 100399344B1 KR 20000076460 A KR20000076460 A KR 20000076460A KR 100399344 B1 KR100399344 B1 KR 100399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eat storage
storage plate
particles
he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325A (ko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식 filed Critical 신정식
Priority to KR10-2000-007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3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3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되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새로운 구성의 슬러지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챔버(10)와, 상기 가열챔버(10) 내에 구비되어 버너(22)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판(20)과, 각종 폐수의 처리 후에 발생된 슬러지를 상기 축열판(20)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분사노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슬러지가 축열판(20)에 부딪혀서 슬러지내의 수분은 슬러지입자와 분리되어 증발되고, 상기 슬러지입자는 가열 또는 소각되도록 되며, 상기 가열챔버(10)의 후단에는 상기 슬러지입자가 가열 또는 소각되어 생성된 분진 및 가스상물질 등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후처리수단(40,50,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슬러지처리장치{sludge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슬러지처리장치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되며, 에너지효율이 높은 새로운 구성의 슬러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폐수의 처리 후에 발생되는 슬러지는 함수율이 상당히 높은 묽은 죽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슬러지는 먼저 탈수하여 함수률을 낮춘 다음, 매립하거나 소각처리한다. 그러나 슬러지 입자들이 물과의 친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를 별도로 탈수처리하여도 수분함량을 소정수준으로 낮추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슬러지를 매립처리하는 경우에는 슬러지가 오염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슬러지 자체가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탈수처리한 후에 매립하더라도 슬러지에서 유출수가 발생되어 매립지의 주변 토양이나 수질이 오염된다.
또한, 슬러지를 소각처리하는 경우에도 탈수처리하여 소각한다하더라도 슬러지의 함수율이 비교적 낮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소각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내부까지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 슬러지가 불완전연소되면 대기를 오염시키는 질소화합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발생되어 심각한 대기오염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슬러지 중의 수분을 무화시킨 후에 증발시키도록 되어 적은 에너지로 슬러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슬러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열챔버 20. 축열판
30. 분사노즐 40. 싸이클론집진기
50. 필터 60. 탈황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챔버(10)와, 상기 가열챔버(10) 내에 구비되어 버너(22)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판(20)과, 각종 폐수의 처리 후에 발생된 슬러지를 상기 축열판(20)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분사노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슬러지가 축열판(20)에 부딪혀서 슬러지내의 수분은 슬러지입자와 분리되어 증발되고, 상기 슬러지입자는 가열 또는 소각되도록 되며, 상기 가열챔버(10)의 후단에는 상기 슬러지입자가 가열 또는 소각되어 생성된 분진 및 가스상물질 등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후처리수단(40,50,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폐수의 정화처리 후에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로서, 가열챔버(10)와, 이 가열챔버(10)의 내부 전단부에 구비되어 버너(22)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판(20)과, 상기 축열판(20)을 향해 슬러지를 고압분사하는 분사노즐(30)과, 상기 가열챔버(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입자 또는 이 슬러지입자가 축열판(10)에 부딪혀 소각되어 생성된 분진 등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싸이클론집진기(40)와, 이 싸이클론집진기(40)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세분진이나 가스상물질을 ??터링하는 백필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챔버(10)는 대략 좌우로 긴 통상으로 되어, 그 전단부에는 축열판(20)이 구비된다. 이 축열판(20)은 가스버너(22)에 의해 가열되어 대략 800℃이상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축열판(20)은 비열이 커서 축열성이 좋은 스텐레스나 세라믹소재 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축열판(20)의 후방에는 슬러지를 축열판(20)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분사노즐(30)이 구비된다. 이 분사노즐(30)은 폐수의 정화처리 후에 발생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9)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30)을 작동시켜 축열판(30)에 슬러지를 고압분사하면 슬러지가 축열판(30)에 부딪히면서 슬러지의 수분 중 일부는 증발되어 기화되고, 나머지 일부는 축열판(30)에 부딪히는 충격력에 의해 슬러지입자와 분리되어 무화된다. 그리고 이때 축열판(20)이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슬러지와 분리되어 무화된 수분은 축열판(30)의 열에 의해 기화된다. 이때 상기 축열판(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800℃ 이상을 유지하는데, 축열판(22)의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의 무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축열판(20)에 부딪히는 충격력에 의해 슬러지입자와 분리되어 무화된 수분은 축열판(20)의 열에 의해 기화된다. 그리고 수분이 분리되어 가열된 슬러지는 상기 축열판(20)의 열기에 의한 가열챔버(10) 내의 공기흐름에 의해 가열챔버(10) 내의 후방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가열된 슬러지입자 중의 일부는 축열판(20)에 부딪혀 소각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챔버(10)의 후방으로 이송된 슬러지입자와 이 슬러지입자가 소각된 재로 이루어진 분진은 상기 싸이클론집진기(40)에 포집되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싸이클론집진기(40)의 배출구(42) 하측에는 이송컨베이어(44)를 설치하여 포집된 분진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집진기(40)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분진이나 가스상물질은 싸이클론집진기(40)의 상측에 구비된 백필터(50)를 통과하면서 제거된다. 한편, 이때 기화된 수분에 의해 가열챔버(10) 내의 습도가 상당히 높은 상태이므로 백필터(50)의 효과가 다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백필터(50) 내부의 온도를 소정수준으로 유지하여 기화된 수분이 응결되지 않고 기화된 상태로 백필터(5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백필터(50)가 막혀 필터링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필터(50)의 배출구에는 탈황장치(60)와 같이 배출가스 중에 포함된 특정의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정화장치를 구비하여 배출가스에 의해 공기가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된 새로운구성의 슬러지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처리장치는 축열판에 슬러지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무화시킨 후, 무화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므로 종래의 소각기와 같은 열처리장치에 비해 에너지소비량이 절감되어 효율적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본 발명을 분유 등과 같은 식품의 가열시에 사용하면 적은 에너지로 식품을 용이하게 가열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가열챔버(10)와, 상기 가열챔버(10) 내에 구비되어 버너(22)에 의해 가열되는 축열판(20)과, 각종 폐수의 처리 후에 발생된 슬러지를 상기 축열판(20)을 향해 고압분사하는 분사노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슬러지가 축열판(20)에 부딪혀서 슬러지내의 수분은 슬러지입자와 분리되어 증발되고, 상기 슬러지입자는 가열 또는 소각되도록 되며, 상기 가열챔버(10)의 후단에는 상기 슬러지입자가 가열 또는 소각되어 생성된 분진 및 가스상물질 등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후처리수단(40,50,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처리장치
KR10-2000-0076460A 2000-12-14 2000-12-14 슬러지처리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399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0A KR100399344B1 (ko) 2000-12-14 2000-12-14 슬러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0A KR100399344B1 (ko) 2000-12-14 2000-12-14 슬러지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25A KR20010025325A (ko) 2001-04-06
KR100399344B1 true KR100399344B1 (ko) 2003-09-26

Family

ID=1970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60A Expired - Lifetime KR100399344B1 (ko) 2000-12-14 2000-12-14 슬러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531A (ko) 2018-05-04 2018-05-24 주영길 슬럿지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74A (en) * 1978-07-05 1980-01-22 Seiichi Ta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fluid
KR950016900A (ko) * 1993-12-18 1995-07-20 김용호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970006918A (ko) * 1995-07-28 1997-02-21 배순훈 와류방지를 위한 워터펌프
KR980001841A (ko) * 1996-12-02 1998-03-30 김승욱 폐수처리장치
KR20000037055A (ko) * 2000-04-06 2000-07-05 박덕만 분뇨 처리시스템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74A (en) * 1978-07-05 1980-01-22 Seiichi Ta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fluid
KR950016900A (ko) * 1993-12-18 1995-07-20 김용호 폐기물 종합 처리 장치
KR970006918A (ko) * 1995-07-28 1997-02-21 배순훈 와류방지를 위한 워터펌프
KR980001841A (ko) * 1996-12-02 1998-03-30 김승욱 폐수처리장치
KR100243834B1 (ko) * 1996-12-02 2000-02-01 김승욱 폐수처리장치
KR20000037055A (ko) * 2000-04-06 2000-07-05 박덕만 분뇨 처리시스템
KR20010000285A (ko) * 2000-09-06 2001-01-05 김현용 열풍분사식 해쇄형 건조기 및 건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531A (ko) 2018-05-04 2018-05-24 주영길 슬럿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2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438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cinerat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nitro compounds
US4141702A (en) Condensation cleaning of exhaust gases
CN102120130A (zh) 一种半干法处理污泥焚烧尾气的成套装置及方法
KR20010093132A (ko) 배기가스처리장치
US12172101B2 (en) Harmful substance removal system and method
CN103432887A (zh) 一种垃圾焚烧烟气净化系统及工艺
KR100734092B1 (ko)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399344B1 (ko) 슬러지처리장치
US4654144A (en) Proces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gases with ozone
CN112320876B (zh) 一种含盐废水蒸发浓缩工艺及系统
KR100530192B1 (ko)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를 위한 건조장치
CN214693719U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全厂废水零排放的装置
CN110272774A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方法及其在衍生燃料制备中的应用
KR100416959B1 (ko) 직가열식 폐수증발농축 처리장치
CN215176470U (zh) 一种垃圾渗滤液膜滤浓缩液雾化干燥处理系统
CN212334981U (zh) 一种利用烟道蒸发污泥干化废水的系统
KR100417477B1 (ko) 분뇨 처리시스템
CN112923664A (zh) 一种垃圾渗滤液膜滤浓缩液雾化干燥处理系统和方法
KR200191683Y1 (ko) 폐수처리장치
CN112915742B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全厂废水零排放的方法
WO2021096344A1 (en) A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KR102703371B1 (ko) 생활폐기물 소각로 배기가스 백연 저감 처리 시스템
KR940006871B1 (ko) 쓰레기 소각장치
CN112791559A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全厂废水零排放的系统
KR101044120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액체무화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6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