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5198B1 - 셀룰러 전화기 - Google Patents

셀룰러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198B1
KR100395198B1 KR10-2000-0053704A KR20000053704A KR100395198B1 KR 100395198 B1 KR100395198 B1 KR 100395198B1 KR 20000053704 A KR20000053704 A KR 20000053704A KR 100395198 B1 KR100395198 B1 KR 10039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ata
signal
audio signal
sp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417A (ko
Inventor
미따료따
시나가와아끼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5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1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의 착신을 신호하는 멜로디를 음악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재생하고, 착신음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전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은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스피커에 공급된다.

Description

셀룰러 전화기{A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호의 착신을 멜로디를 사용하여 신호하는 셀룰러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음색으로 이루어진 착신음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셀룰러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룰러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에 대응하는 신호를 그대로 스피커에 공급한다.
셀룰러 전화기는 소형, 경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셀룰러 전화기에 사용되는 착신음 발생용 스피커는 소형이다. 일반적으로, 약 20㎜의 직경을 갖는 스피커가 사용된다. 그러한 소형 스피커에서, 주파수 범위는 약 400㎐의 저주파와 약 8㎑의 고주파 사이로 한정된다. 이러한 주파수 범위에서, 약 600㎐에서 5㎑까지의 범위는 충분한 레벨의 음압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 착신 멜로디에 대응하는 신호가 그러한 스피커에 공급되는 경우, 400㎐보다 낮은 대역 또는 8㎑보다 높은 대역에서는 입력 신호가 소리로서 출력되지 않으며, 단지 전력만이 소비된다. 다른 한 편으로, 스피커의 입력 허용 전력은 신호가 소리로서 출력되지 않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소비 전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외의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입력 전력을 허용 가능한 값 이내로 제어하기 위해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내의 입력 신호의 레벨이 저하될 필요가 있다. 입력 신호의 레벨은 특히 멜로디에 화음이 수반되는 경우에 낮은 레벨로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상기 화음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밖의 고음부(high-pitch sound) 또는 저음부(low-pitch sound)에 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신음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어려워졌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대역 통과 필터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방법은 멜로디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밖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표가 생략되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멜로디가 자연스럽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멜로디에 화음이 수반되고 화음 음표 중에 하나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밖에 속하는 경우, 화음은 성립되지 않으며, 따라서 멜로디를 들을 때 그 사운드가 이상하게 느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의 착신을 신호하는 멜로디를 음악 데이터(musical data)를 손상시키지 않고 재생하고, 착신음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며, 신호 데이터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고, 스피커에는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의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으로서,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주파수가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모리 수단은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제어 수단은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는 음계 및 음정이 서로 화음 관계(chord relation)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의 착신을 신호하는 멜로디를 음악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재생하고, 착신음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외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에 대하여 사용된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와 코드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주파수 시프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주파수 시프트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의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뿐만 아니라 스텝 업(stepped up)을 전후한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분포를 도시하는 차트로서, 도 9a는 스텝 업 전의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분포를 도시하는 특성 차트이고 도 9b는 스텝 업 후의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분포를 도시하는 특성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20 : 고주파 회로 유닛
30 : 오디오 회로 유닛
40 : 스피커
46 : 수화기
48 : 마이크로폰
50 : 디스플레이 유닛
60 : CPU
65 : 회로 기판
70 : 제어 유닛
80 : 메모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는 안테나(10), 안테나(10)와 접속된 고주파 회로 유닛(20), 고주파 회로 유닛(20)과 접속된 오디오 회로 유닛(30), 및 오디오 회로 유닛(30)에 접속된 스피커(40), 수화기(46), 및 마이크로폰(48)(이하 마이크)을 구비한다. 오디오 회로 유닛(30)은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FM 음원(sound source)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CPU(60)를 더 구비한다. CPU(60)는 이것에 접속된 메모리(8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고주파 회로 유닛(20) 및 오디오 회로 유닛(30)을 제어한다. CPU(60)에는 제어 유닛(70) 및 디스플레이 유닛(50)이 접속된다. CPU(60)는 제어 유닛(70)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주파수 회로 유닛(20) 및 오디오 회로 유닛(30)을 제어하고,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파의 상태, 통화 상대방의 전화 번호, e-메일 어드레스, 수신될 또는 송신될 e-메일 데이터 등) 또는 셀룰러 전화기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5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회로 유닛(20), 오디오 회로 유닛(30), CPU(60), 메모리(80), 제어 유닛(70), 디스플레이 유닛(50), 스피커(40), 수화기(46), 마이크(48)는 회로 기판(65) 상에 장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유닛(70)이 장착되는 측을 정면이라고 하고, 반대면은 배면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70), 디스플레이 유닛(50), 수화기(46), 및 마이크(48)는 회로 기판(65)의 정면에 장착되는 반면에, 고주파 회로 유닛(20), 오디오 회로 유닛(30), CPU(60), 메모리(80), 및 스피커(40)는 회로 기판(65)의 배면에 장착된다. 고주파 회로 유닛(20)은 보호막(20a)으로 덮여져 있으며, 스피커(40)는 상기 보호막(20a) 상에 배치되고, 스피커(40)와 보호막(20a)의 표면 사이의 중간에는 탄성 부재가 위치하게 된다. 회로 기판(65)의 마이크(48)가 설치되는 쪽에는, 충전 어댑터와 접속하거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 등과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커넥터(66)가 제공된다. 케이싱(90)은 케이스(92) 및 커버(94)로 구성된다. 케이스(92)는 회로 기판(65)의 배면을 덮는다. 반면에 커버(94)는 회로 기판(65)의 정면을 덮는다. 신축 가능한 안테나(10)가 스피커(40)가 장착된 케이스 쪽에 배치되고, 완전하게 수납된 상태에서 또는 완전하게 신장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65)의 배면 측 상에 제공된 접촉편(contact piece; 10a)을 통하여 고주파 회로 유닛(20)에 접속된다. 케이스(92)의 안테나(10)의 반대쪽인 한 측면에 개폐 가능한 커버(66a)가 제공되어서, 커넥터(66)의 개구를 커버한다. 충전식 배터리(93)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 유닛(92a)이 케이스(92)의 배면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94) 상에는 안테나(10) 측으로부터 커버(66a)측으로 수화기(46), 디스플레이 유닛(50), 제어 유닛(70), 및 마이크(48)가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전화기는 호의 착신시에 벨소리(bell sound) 대신에 멜로디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멜로디에 대한 데이터는 메모리(80) 내의 멜로디 메모리 유닛(85) 내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멜로디는 다음과 같은 4개의 타입의 멜로디 데이터로부터 재생된다: (1) 셀룰러 전화기가 제조될 당시에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고정된 멜로디 데이터; (2)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되어,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멜로디 데이터; (3)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e-메일을 통하여 전송되고,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멜로디 데이터; 및 (4)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PC 같은 단말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고,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멜로디 데이터.
멜로디는 악기의 음색을 모방한 음색 데이터(tone data) 뿐만 아니라 음계(interval), 음정(scale), 및 음 길이(sound length)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표 데이터(note data)를 입력함으로써 형성된다. 음색 데이터는 피아노, 기타, 플루우트, 및 신서사이저의 음색을 포함하는 128개 타입의 기본 음색들을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다른 음색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소리 표현의 다양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스피커(40)는 입력 신호를 최저 주파수 fc1과 최고 주파수 fc2 사이의 주파수 범위 내의 음파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fc1은 400㎐이고, fc2는 8㎑이다. 스피커(40)는 f1 내지 f2의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평탄한 출력 특성을 가지며, 주파수 fQ에서 특성의 피크가 설정되어 전화기의 벨소리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f1은 600㎐, f2는 5㎑이다. 또한, 주파수 fQ는 2㎑ 내지 3㎑이고, 피크는 표준 벨소리(2㎑ 내지 3㎑의 주파수에서 1초 동안 ON 그리고 2초 동안 OFF)이 약 95㏈의 고음량 레벨로 생성될 수 있는 방법으로 설정된다.
600㎐ 내지 5㎑의 범위에서는 변환 효율이 우수하며, 따라서 작은 전력으로도 고레벨의 음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 400㎐의 제1 주파수 fc1과 8㎑의 제2 주파수 fc2 사이의 범위 내에서 멜로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음표 데이터가 설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정 코드들(scale chord)들 중에 G#3(415.3㎐)가 400㎐의 주파수를 초과하지만; 제1 실시예에서는 음정 코드 A3(440.0㎐)와 동일하거나 음정 코드 A3보다 높은 주파수가 사용되어 주파수 fc1 또는 그 이하의 주파수에서 전력 손실이 방지된다.
멜로디를 형성하기 위해, 음색 데이터 및 음표 데이터가 메모리 유닛의 역할을 하는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소정의 순서로 저장된다. 제1 실시예에서, 멜로디에 화음이 수반되어 재생된다. 화음의 음색은, 멜로디를 연주하는 음색과는 다른 악기의 음색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멜로디를 연주하는 악기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제1 음색 데이터) 및 음색 데이터와 함께 연주될 음표 데이터가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소정의 순서로 저장된다. 또한, 화음 음표를 연주하는 악기에 대응하는 음색 데이터(제2 음색 데이터) 및 음색 데이터와 함께 연주될 음표 데이터가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소정의 순서로 저장된다. 곡목에 따라, 제3 음색 데이터와 함께 연주될 다수의 음표 데이터, 제4 음색 데이터와 함께 연주될 다수의 음표 데이터, 등등이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소정의 순서로 저장된다. 제어 수단의 역할을 하는 CPU(60)는 신호 발생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FM 음원(35)이 멜로디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화음 음표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FM 음원(35)을 제어한다. 타이밍은 멜로디를 듣는 사람이 화음을 감지하게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이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생성되도록 설정하거나, 오디오 신호들 간의 시차가 오디오 신호들이 동시적인 것처럼 감지되도록 하는 정도까지 제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화음의 음색으로서 예를 들어 저음부를 생성시키는 어쿠스틱 베이스(acoustic bass) 및 다른 악기들을 모방하는 사운드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멜로디에 따라서는 입력 음표 데이터의 음정 주파수는 fc1보다 낮아질 수 있다. 셀룰러 전화기가 제조될 당시에 기본 멜로디 데이터가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경우에, 또는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PC 같은 단말을 사용하여 멜로디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고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경우에, 저장될 음표 데이터로서 400㎐ 또는 심지어 그보다 낮은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화음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멜로디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인터넷을 통하여 멜로디 데이터가 다운로드되고,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경우에, 또는 사용자가 셀룰러 전화기를 구입한 후에 e-메일을 통하여 멜로디 데이터가 전송되고, 멜로디 메모리 유닛(85)에 저장된 경우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정 교정 소프트웨어(scale correction software)가 메모리(80)에 저장되어서 CPU(60)가 음표 데이터의 음정을 시프트시키고 이에 의해 주파수가 400㎐ 이상이 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CPU(60)는 음표 데이터를 판독하고(S101), 음표 데이터가 A3 보다 낮은 음정을 갖는 음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102). 결과가 '예'인 경우에, CPU(60)는 선택된 악기의 음색으로 재생될 전체 음표 데이터를 반음 스텝 업시키고(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S103), 다시 단계(S102)에서 음표 데이터가 A3 보다 낮은 음정을 갖는 음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결과가 '예'인 경우, CPU(60)은 단계(S103) 및 (S102)의 음표 데이터를 반음 스텝 업시키는 단계 및 음표 데이터가 A3 보다 낮은 음정을 갖는 음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 CPU(60)는 설정 동작(S104)으로 진행한다. 설정된 음표 데이터가 멜로디 메모리 유닛(85) 내의 소정의 영역에 저장된다. 따라서, 재생된 모든 데이터들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4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낭비되지 않으며, 스피커(40)의 허용 가능한 입력 전력값 내에서 입력 신호의 레벨이 증가될 수 있다. 멜로디가 화음을 이루며 재생될지라도 입력된 음표 데이터가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레벨을 낮출 필요가 없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저음부가 적은 멜로디의 경우에, 멜로디에 화음이 수반되는 경우일지라도 대부분의 음표 데이터는 600㎐ 내지 5㎑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전력은 소리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멜로디를 높은 음량 레벨에서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저음부에 화음이 수반되는 경우, 음표 데이터는 400㎐ 내지 8㎑의 주파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모든 화음 음표들이 재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듣기 좋은 자연음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고품질의 착신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공된 음표 데이터가 다수의 음악적 파트(musical part)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트가 먼저 선택되고(S201), 이어서 선택된 파트에 포함된 음표 데이터가 판독되어(S202), 에너지 분석을 수행하는데 즉,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한다(S203). 다음으로, 이 분석의 결과에 따라 음표 데이터가 스텝 업(step up)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의 분포는 음표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 분석된다. 예를 들어, 각 음정에서 음표들의 분포를 결정함으로써 분석이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40)는 입력 신호를 최저 주파수 fc1과 최고 주파수 fc2 사이의 주파수 범위 내의 음파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fc1은 400㎐이고, fc2는 8㎑이다. 주파수 성분들의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fc1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에 의해 점유된 전체 음표 데이터의 비율이 계산되어, 그 비율이 60% 이상인지를 결정한다(S204). fc1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에 의해 점유된 전체 음표 데이터의 비율이 60%를 초과하는 경우, 대부분의 소리들은 재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fc1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에 의해 점유된 전체 음표 데이터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 음표 데이터가 스텝 업된다(S205).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선택된 파트에 포함된 음표 데이터는 반음 스텝 업되고, fc1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에 의해 점유된 전체 음표 데이터의 비율이 60% 이하가 될때까지 단계(S205 및 S204)가 반복된다. fc1 이하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에 의해 점유된 음표 데이터의 비율이 60% 이하가 되는 경우, 음정 설정 동작이 수행된다(S206). 그리고 나서, 다른 파트가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S207). 다른 파트가 있는 경우, 절차는 단계(S201)로 복귀한다. 다른 파트가 없는 경우, 절차는 종료된다(S208). 낮은 음역의 파트가 수반되면 호의 착신을 신호하는 멜로디가 화음을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낮은 음역의 외부에 있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수반된 파트들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더욱 명백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 수반된 파트들의 수가 대단히 많은 경우, 각각의 파트마다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의 분포가 분석되고, 각 파트마다 음표 데이터가 스텝 업될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멜로디 파트가 아닌 3개의 파트가 수반되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쿠스틱 베이스 같은 낮은 음역에 있는 3개의 파트 중에 하나가 스피커의 낮은 음역의 외부에 있는 경우, 그 파트만이 도 9b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업되어서, 모든 파트가 스피커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된다. 각 파트의 오디오 신호는 제어 수단에 의해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재생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타이밍은 멜로디를 듣는 사람이 화음을 감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은 오디오 신호들이 동시적이 되게 하고, 오디오 신호들 간의 시차가 오디오 신호들이 동시적인 것으로 느껴지는 정도로 제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셀룰러 전화기의 사용자가 화음과 함께 멜로디를 즐길 수 있게 한다. 음표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의 분포가 스피커의 낮은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음표 데이터는 반음이 아닌 전음 또는 그 이상으로 스텝 업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멜로디가 3개의 수반된 파트를 갖는 경우(4 화음 멜로디) 또는 멜로디가 3개 이상의 수반된 파트를 갖는 경우, 낮은 음역에 있는 수반된 파트가 60% 이상의 비율로 400㎐ 이하의 주파수의 사운드를 포함할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파트들이 400㎐ 이상으로 스텝 업된 경우 결과적인 사운드는 단조로울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더 넓은 주파수 범위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일례로 200㎐ 이하의 낮은 음역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사용하고, 각 파트에 대하여 200㎐를 판정의 경계로 하여 음표 데이터가 스텝 업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멜로디가 넓은 음역으로 재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정 화음 A2 이하로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400㎐가 경계로 사용된 경우에 비해 한 옥타브만큼 재생가능 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사운드가 70% 내지 80%의 비율로 낮은 음역에서 분포되는, 어쿠스틱 베이스 같은 수반된 파트의 대부분의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운드의 넓은 범위를 재생하는 악기에 의해 연주되는 수반된 파트의 경우에는, 스피커의 낮은 음역의 외부에 있는 수반된 파트의 음표 분포의 비율이 적고, 따라서 음표 데이터는 스텝 업되지 않는다. 따라서, 높은 음역 측의 수반된 부분의 사운드가 스텝 업 후에 스피커의 재생가능 범위의 외부에 있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화음 음표의 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도 각 파트의 대부분의 사운드는 스피커의 재생가능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의 착신을 신호하는 멜로디를 음악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재생하고, 착신음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셀룰러 전화기에 있어서,
    안테나에 접속된 고주파 회로 유닛,
    상기 고주파 회로 유닛에 접속된 오디오 회로 유닛,
    상기 고주파 회로 유닛 및 상기 오디오 회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된 메모리 수단,
    상기 오디오 회로 유닛에 접속된 마이크로폰 및 수화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 데이터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스피커에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상기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데이터는 음색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계 및 음정 데이터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는 음계 및 음정이 서로 화음 관계(chord relation)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5. 셀룰러 전화기에 있어서,
    안테나에 접속된 고주파 회로 유닛,
    상기 고주파 회로 유닛에 접속된 오디오 회로 유닛,
    상기 고주파 회로 유닛 및 상기 오디오 회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된 메모리 수단,
    상기 오디오 회로 유닛에 접속된 마이크로폰 및 수화기,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 데이터는 음계 및 음정 데이터와 음색 데이터를 포함하여, 각 음색 데이터마다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이에 의해 넓은 음역의 주파수 분포를 갖는 파트에서는, 상기 신호 데이터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 있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고,
    좁은 범위의 주파수 분포를 갖는 파트에서는, 상기 신호데이터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스피커에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다수의 파트의 상기 오디오 신호 각각이 상기 스피커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트의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다수의 파트의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스피커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공급되는 경우 음계 및 음정이 서로 화음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기.
  8.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에 있어서,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데이터는 상기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고,
    상기 스피커에는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상기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데이터는 음색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계 및 음정 데이터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는 음계 및 음정이 서로 화음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
  11.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의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이 소정 이상의 비율인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로 시프트시켜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인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데이터는 음색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계 및 음정데이터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
  13.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에서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발생 수단, 상기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될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상기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유닛의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저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도록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을 제어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가지며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가지며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상기 스피커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음색 데이터를 갖는 상기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는 음계 및 음정이 서로 화음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사운드 재생 방법.
KR10-2000-0053704A 1999-10-29 2000-09-09 셀룰러 전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95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07987 1999-10-29
JP30798799 199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17A KR20010050417A (ko) 2001-06-15
KR100395198B1 true KR100395198B1 (ko) 2003-08-21

Family

ID=3752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7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5198B1 (ko) 1999-10-29 2000-09-09 셀룰러 전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97149B1 (ko)
KR (1) KR100395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37967A1 (en) * 2003-05-13 2004-11-25 James George Nieuwoudt Sound massage system
IL165817A0 (en) * 2004-12-16 2006-01-15 Samsung Electronics U K Ltd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PT1851943T (pt) 2005-02-02 2018-04-23 Audiobrax Ind E Comercio De Produtos Eletronicos S A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com funções de música instrumental
EP2633518B1 (en) * 2010-10-28 2019-03-27 Gibson Brands, Inc.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standard electronic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153A (en) * 1983-04-04 1984-10-30 Festa Lawrence M Musical-output adapter for telephones
KR900017332A (ko) * 1989-04-26 1990-11-16 김광호 멜로디 톤 링회로
KR940027405A (ko) * 1993-05-19 1994-12-10 김광호 원칩 사운더 회로
US5953408A (en) * 1996-03-13 1999-09-14 U.S. Philips Corporation Telephone includ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method of adapt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such a transducer and method of coding a melod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726B2 (ja) 1991-04-15 2002-06-04 淨 河内 電子オルゴール装置
JPH08125720A (ja) 1994-10-28 1996-05-17 Sony Corp 受信機
US5668337A (en) * 1995-01-09 1997-09-16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having a note conversion function
FI102711B (fi) * 1996-02-23 1999-01-29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määrittely
JPH10150505A (ja) 1996-11-19 1998-06-02 Sony Corp 情報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通信処理装置
JPH11103332A (ja) 1997-09-25 1999-04-13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端末
US5973252A (en) * 1997-10-27 1999-10-26 Auburn Audio Technologies, Inc. Pitch detection and intonation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121533A (en) * 1998-01-28 2000-09-19 Kay; Steph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dom weighted musical choices
JP3637775B2 (ja) * 1998-05-29 2005-04-13 ヤマハ株式会社 メロディ生成装置と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153A (en) * 1983-04-04 1984-10-30 Festa Lawrence M Musical-output adapter for telephones
KR900017332A (ko) * 1989-04-26 1990-11-16 김광호 멜로디 톤 링회로
KR940027405A (ko) * 1993-05-19 1994-12-10 김광호 원칩 사운더 회로
US5953408A (en) * 1996-03-13 1999-09-14 U.S. Philips Corporation Telephone includ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method of adapt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such a transducer and method of coding a mel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17A (ko) 2001-06-15
US7197149B1 (en)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6052B2 (en) Telephone terminal
CN101103391A (zh) 便携式多功能音响系统及其方法
JP3775156B2 (ja) 携帯電話機
KR100578588B1 (ko) 악곡 재생장치
KR100395198B1 (ko) 셀룰러 전화기
JP3542942B2 (ja) 携帯電話機のメロディ設定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198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및 음성 합성 장치와 방법
KR100477306B1 (ko) 휴대 전화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092869B2 (ja) 携帯電話器および出力方法
KR100802253B1 (ko) 콘텐츠 서버, 휴대 단말기, 및 데이터 배신 시스템
KR100468987B1 (ko) 휴대 단말 장치와 그의 효과 부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6230004A (ja) メロディ音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器
JP2000316038A (ja) 着信音発生装置
EP1519619B1 (en) Loudspeaker sensitive sound reproduction
KR20040101192A (ko) 내장된 디바이스들에서의 타악기 소리 발생
KR200248317Y1 (ko) 휴대폰을 이용한 가요반주장치
KR20020060977A (ko) 음원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전화 단말
GB2345611A (en) Incoming-call tone generation device
JPH1069289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S60123897A (ja) オルゴ−ル
JP2005321581A (ja) 電子楽器として使用可能な電話機
KR20050000209A (ko) 휴대용 멜로디 편집장치
KR20030014136A (ko) 휴대 통신 단말 및 서버장치
JP2007110294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スピー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