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2372B1 -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72B1
KR100392372B1 KR10-2000-0059752A KR20000059752A KR100392372B1 KR 100392372 B1 KR100392372 B1 KR 100392372B1 KR 20000059752 A KR20000059752 A KR 20000059752A KR 100392372 B1 KR100392372 B1 KR 10039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secondary battery
power supply
film secondary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642A (ko
Inventor
박용준
류광선
김광만
박남규
장순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5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박막 이차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력공급 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원격 전력공급 장치 및 박막 이차전지를 구비하여 도선 연결 없이 원거리에서도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박막 이차전지를 충전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화된 원격 전력공급 장치 및 박막 이차전지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하여 미세 장치의 집적도를 높이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remote-charging thin film battery an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극소형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이차전지의 원거리 충전이 가능한 전력공급 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박막 이차전지는 부피가 매우 작기 때문에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소자와 같은 극소형 소자, 각종 소형 센서 및 스마트 카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박막 이차전지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기판(10), 상기 기판(10) 상에 각각 형성된 양극전하 집전체(current collector, 11) 및 음극전하 집전체(12), 양극전하 집전체(11)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13), 양극박막(13)의 상부 표면 및 측면을 덮는 고체 전해질막(14), 고체 전해질막(14) 상에 형성되며 음극전하 집전체(12)와 연결된 음극 박막(15)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이차전지를 보이고 있다. 박막전지의 제조 기술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5,338,625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극소형 소자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각광 받고 있는 박막 이차전지는 크기가 작고, 수 천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할 만큼 긴 사이클 라이프(cycle life)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박막 이차전지는 방전용량을 좌우하는 양극물질의 양이 적기 때문에 방전용량이 작고 자체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력이 쉽게 소모되며, 그에 따라 자주 충전시켜야 한다. 또한 박막 이차전지가 이용되는 극소형 소자들은 하나의 칩 안에 실장되거나 구조물 내에 내장되고, 소자의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외부와의 도선 연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박막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대부분의 소자들은 구조적인 이유로 또는 소자가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외부와 단절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소자의 사용 중 박막 이차 전지 내의 방전용량이 다하면 충전시켜 재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예로서, 신호처리를 위한 IC 칩,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자기장을 수신하여 IC칩을 구동시키는 안테나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박막형 전지를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경우 박막형 전지의 방전용량에 따라 스마트 카드의 작동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직접적인 도선 연결 없이도 원거리에서 스마트 카드 등과 같은 장치 내의 박막 이차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전력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박막 이차전지를충전시킬 수 있는 전력공급 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박막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미세 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일체화된 원격 전력공급 장치 및 박막 이차전지의 구조를 3차원적으로 분해하여 보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플라스틱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0: 박막 이차전지 200: 원격 전력공급 장치
300: IC 칩 21: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22: 다이오드 23: 저역통과 필터
30: 기판 31: 양극전하 집전체
32: 음극전하 집전체 33: 양극 박막
34: 고체 전해질막 35: 음극 박막
36: 보호막 37, 38, 39: 배선
40: 플라스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막 이차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와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배선; 및 상기 박막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막 이차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분리되어 형성된 양극전하 집전체 및 음극전하 집전체, 상기 양극전하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 상기 양극박막을 덮는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을 덮으며 상기 음극전하 집전체와 연결되는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연결하는 배선; 및 상기 박막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공급 수단으로서 박막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전자기파 수신수단,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에 연결된 정류수단 및 상기 전기전자기파 수신수단에 연결된 여과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원격 전력공급수단; 및 상기 절연막을 통해 상기 여과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연결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공급 수단으로서 박막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는 양극전하 집전체 및 음극전하 집전체, 상기 양극전하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 상기 양극박막을 덮는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을 덮으며 상기 음극전하 집전체와 연결된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의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및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와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원격 전력공급 장치 및 박막 이차전지를 구비하여 도선 연결 없이 원거리에서도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박막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화된 원격 전력공급 장치 및 박막 이차전지를 구비하는 전력공급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하여 미세 장치의 집적도를 높이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및 스마트 카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로부터 발생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22) 및 상기 전압 중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23)를 포함하는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와 상기 원격 전력공급 장치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되는 박막 이차전지(100)로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장치, 상기 박막 이차전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신호를 처리하는 IC 칩(300)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장치를 보이고 있다.
원격 전력공급 장치의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기파가 마이크로 스트립안테나(21)에 유기되면,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에는 유기된 전자기파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압은 다이오드(22)에 의해 정류됨으로써, DC성분과 고주파 성분이 복합된 전압이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 상에 분포하게 되고, 저역통과 필터(23)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으로써 DC 성분이 박막 이차전지(10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원격 전력공급 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박막 이차전지(100)에 저장된 에너지는 IC 칩(300) 등과 같은 동작 소자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 장치의 구성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장치 구조를 보다 명료하게 보이기 위하여 실제로는 일체된 박막 이차전지(100)와 원격 전력 공급장치(200)를 분리하여 3차원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3b는 도 3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 장치는, 기판(30), 상기 기판(30) 상에 각각 형성된 양극전하 집전체(31) 및 음극전하 집전체(32), 양극전하 집전체(31)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33), 양극박막(33)의 상부 표면 및 측면을 덮는 고체 전해질막(34), 고체 전해질막(34)을 덮으며 음극전하 집전체(32)와 연결된 음극 박막(35)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이차전지(100)와 박막 이차전지(100)와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보호막(encapsulation layer, 36), 보호막(36)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 저역통과 필터(23),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와 저역통과 필터(23)의 연결 배선(39)을 포함하는 원격 전력공급 장치(300), 그리고 보호막(36)을 통하여저역통과 필터(23)와 박막 이차전지(300)의 양극전하 집전체(31) 및 음극전하 집전체(32) 각각과 연결되는 배선(37, 38)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는 그 내부에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력공급 장치 제조 과정에서 절연막인 보호막(36) 상에 원격 전력공급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평탄화공정(planarization)을 거쳐 보호막(26) 표면을 다듬는다. 또한, 배선(37, 38)은 포토레지스터(photo-resister)를 이용한 선택적 식각 과정을 통해 보호막(36)의 일부를 제거하고, 그 위에 도전체를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박막 이차전지의 양극 또는 음극전하 집전체(31, 32)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한다.
도 4는 플라스틱(40) 내에 박막이차 전지(100)와 그 내부에 다이오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 및 저역통과 필터(23)를 포함하는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 그리고 IC 칩(300)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드를 보이고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37' 및 '38'은 각각 저역통과 필터(23)와 박막 이차전지(100)의 음극과 양극의 연결배선을 나타내고, '39'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와 저역통과 필터(23)의 연결배선을 나타낸다.
상기 박막 이차전지(100)와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는 도 3a 및 도 3b에 보이는 바와 같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의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전자기파가 스마트 카드내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에 수신되면,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에는 전자기파에 의해 전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압은 다이오드에 의해 정류되고 DC성분과 고주파 성분이 복합된 전압이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1) 상에 분포하게 되고, 저역통과 필터(23)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제거됨으로써 DC 성분이 박막 이차전지(100)에 전달되고, 이와 같이 원격 전력공급 장치(200)에 의해 충전되는 박막 이차전지(100)의 에너지는 IC 칩(300)을 구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박막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전력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는 그 내부의 박막 이차전지를 카드 리더기 등을 통하여 원거리에서도 쉽게 충전을 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카드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드는 원거리에서 박막 이차 전지에 충전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소자 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시켜 시스템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고 소자와 하나의 칩 형태로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박막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며 소자와 일체화되어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면적을 극소화시키고 시스템의 집적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박막 이차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와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배선; 및
    상기 박막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신호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3. 박막 이차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신호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분리되어 형성된 양극전하 집전체 및 음극전하 집전체, 상기 양극전하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 상기 양극박막을 덮는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을 덮으며 상기 음극전하 집전체와 연결되는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연결하는 배선; 및
    상기 박막 이차전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신호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은,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로부터 발생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IC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이고,
    상기 정류수단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은,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 사이에 여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수단은 상기 전자기파 수신 수단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전력공급 수단으로서 박막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전자기파 수신수단,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에 연결된 정류수단 및 상기 전기전자기파 수신수단에 연결된 여과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원격 전력공급수단; 및
    상기 절연막을 통해 상기 여과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연결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을 포함하는 장치.
  10. 전력공급 수단으로서 박막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는 양극전하 집전체 및 음극전하 집전체, 상기 양극전하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박막, 상기 양극박막을 덮는 전해질막, 상기 전해질막을 덮으며 상기 음극전하 집전체와 연결된 음극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 이차전지;
    상기 박막 이차전지를 덮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 위치하며, 전자기파를 수신받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박막 이차전지의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 전력공급 수단; 및
    상기 절연막을 통하여 상기 박막 이차전지와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배선
    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은,
    전자기파 수신수단; 및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에 연결된 정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이고,
    상기 정류수단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공급 수단은,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과 상기 박막 이차전지 사이에 여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수단은 상기 전자기파 수신수단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0059752A 2000-10-11 2000-10-11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KR10039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52A KR100392372B1 (ko) 2000-10-11 2000-10-11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752A KR100392372B1 (ko) 2000-10-11 2000-10-11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642A KR20020028642A (ko) 2002-04-17
KR100392372B1 true KR100392372B1 (ko) 2003-07-22

Family

ID=1969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752A KR100392372B1 (ko) 2000-10-11 2000-10-11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79A (ko) * 2005-04-20 2006-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Pcb 상에 패터닝된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483A (ja) * 1990-06-19 1992-02-18 Kubota Corp 電源装置
US5411537A (en) * 1993-10-29 1995-05-02 Intermedics, Inc. Rechargeable biomedical battery powered devices with recharging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H0869513A (ja) * 1994-08-30 1996-03-12 Mitsubishi Denki Semiconductor Software Kk 非接触icカード
US5776278A (en) * 1992-06-17 1998-07-07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losed transceiver
JPH10257697A (ja) * 1997-03-12 1998-09-25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空間浮遊電磁波・電波をエネルギー源とする電源装置
US5970393A (en) * 1997-02-25 1999-10-19 Polytechnic University Integrated micro-strip antenna apparatus and a system utilizing the s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for sensing and actuation purposes
KR20000033877A (ko) * 1998-11-26 2000-06-15 전주범 이중 안테나 및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 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483A (ja) * 1990-06-19 1992-02-18 Kubota Corp 電源装置
US5776278A (en) * 1992-06-17 1998-07-07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losed transceiver
US5411537A (en) * 1993-10-29 1995-05-02 Intermedics, Inc. Rechargeable biomedical battery powered devices with recharging and control system therefor
JPH0869513A (ja) * 1994-08-30 1996-03-12 Mitsubishi Denki Semiconductor Software Kk 非接触icカード
US5970393A (en) * 1997-02-25 1999-10-19 Polytechnic University Integrated micro-strip antenna apparatus and a system utilizing the sam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for sensing and actuation purposes
JPH10257697A (ja) * 1997-03-12 1998-09-25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空間浮遊電磁波・電波をエネルギー源とする電源装置
KR20000033877A (ko) * 1998-11-26 2000-06-15 전주범 이중 안테나 및 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642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5556B2 (en) Energy source communication employing slot antenna
US680949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EP1206709B1 (en) Piezo-electric tag
US5612532A (en) Thin IC car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78127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power supply
US20180062417A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built-in battery
JP2007516686A (ja) リチャージング方法及び関連する装置
KR20090033451A (ko) 박막 밧데리 재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2000090221A (ja) 非接触型icカード
KR20170132178A (ko) 수전형 정보 취득 발신 장치, 정보 취득 시스템
CN105637899B (zh) 助听器
KR100392372B1 (ko) 박막 이차전지를 원격 충전할 수 있는 전력 공급장치 및그를 구비하는 미세 장치
JP2006127363A (ja) 非接触ic媒体
CN209640875U (zh) 指纹模组结构及电子设备
CN104934553B (zh) 一种内置于有充电电路的电化学二次电池
KR100395488B1 (ko) 무선 신호와 외부전원에 의한 충전이 가능한 슈퍼캐페시터 내장형 스마트카드
CN1334998A (zh) 具有任选辅助电源的非接触式电子通信装置
JP2002291176A (ja) 2次電池実装集積回路
KR102078774B1 (ko) 전력 제공 장치
JP2004104960A (ja) パッシブ電源回路及びそのモジュール素子、並びに整流回路及びそのモジュール素子と半導体icチップ
CN221884315U (zh) 一种射频识别传感器及系统
JP2008199753A (ja) 電源回路
CN117875340A (zh) 一种射频识别传感器及系统
JPH11161766A (ja) Icカード
WO2006022631A1 (en) Rectifying charge storage device with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