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261B1 - 타원진동장치 - Google Patents
타원진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2261B1 KR100392261B1 KR1019960009175A KR19960009175A KR100392261B1 KR 100392261 B1 KR100392261 B1 KR 100392261B1 KR 1019960009175 A KR1019960009175 A KR 1019960009175A KR 19960009175 A KR19960009175 A KR 19960009175A KR 100392261 B1 KR100392261 B1 KR 1003922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output
- controller
- oscillation
- detection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7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3534 oscil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8 satur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magnetostri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38—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of a single frequency, e.g. a sine-wave
- B06B1/0246—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of a single frequency, e.g. a sine-wave with a feedback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50—Application to a particular transducer type
- B06B2201/52—Electrodynamic transducer
- B06B2201/53—Electrodynamic transducer with vibrating magnet or c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5)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 제 1 하이게인증폭기(high-gain amplifier)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1 진동변위 검출수단 ;F) 적어도 제 2 이상기ㆍ제 2 하이게인 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제어기 ;G)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제 2 전력증폭기 ;H)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I)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진동기의 제 2 진동계 ;J) 상기 제 2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다른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 ;K)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제 1 진동계ㆍ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제 2 제어기ㆍ상기 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2 진동계ㆍ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에 의해 형성되어진 폐루프(closed loop)ㆍ상기 폐루프 내의 상기 제 1 제어기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장치의 출력 ; 으로 구성되며,여기서,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그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Self-excitedly)으로 진동되는 상기 제 1 진동계와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ㆍ제 1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증폭하는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 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진동변위검출수단 ;F) 적어도 제 2 이상기 ㆍ 제2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제어기 ;G)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을 증폭하는 제 2 전력증폭기 ;H)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I)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진동기의 제 2 진동계 ;J)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 ㆍ 상기 제 1 진동계 및 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에 의해 형성되어진 폐루프, 상기 폐루프 내의 상기 제 1 제어기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 ; 으로 구성되며,여기서, 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상기 제 2 진동 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그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Self-excitedly)으로 진동되는 상기 제 1 진동계와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제 1항에 있어서, 진폭제어기에 상기 제 1 및 제 2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이 각각 공급되고, 소정의 진폭이 상기 진폭제어기 내에 설정되고, 상기 소정의 진폭과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현 진동변위사이의 편차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제어기에 공급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의 진동변위의 진폭이 상기 소정의 진폭과 같도록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제 2진동변위 검출수단이 상기 제 2방향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은 소정의 진폭이 설정된 진폭제어기에 공급되고, 소정의 진폭과 현진폭과의 편차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기에 공급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진동계의 진폭이 각각 상기 소정의 진폭과 같도록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가변주파수 전원 ;B)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의 출력을 받아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는 제 1 진동구동자 ;C) 상기 제 1방향에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D)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장치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진동변위 검출수단 ;E) 상기 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이상기 ;F) 상기 이상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전력증폭기 ;G)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H) 상기 제 2 진동구동자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에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 진동장치의 제 2 진동계 ; 로 구성되고,여기서, 상기 제 1 진동계는 상기 진동주파수 전원이 보상(補償)되어 그의 공진주파수에서 구동되고, 상기 이상기의 위상각도는 상기 타원진동기의 구동부가 최적 진동상태에서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ㆍ제 1 하이게인 증폭기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전력 증폭하는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는 상기 제 1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 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1 방향에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구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1진동변위 검출수단 ;F) 적어도 제 2 이상기ㆍ제 2 하이게인 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제어기 ;G)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한 입력터미날에 공급되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H)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2 전력증폭기 ;I) 상기 제 1 방향에 직각인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K) 상기 제 2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 ;L) 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가상(假相) 스프링상수에 상당하는 게인(gain)를 가진 증폭기 ;M) 상기 제 2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보상기 ;N) 상기 제 2 전원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2 진동계ㆍ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ㆍ상기 위상보상기 및 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이 피드백되는 상기 비교기로 구성된 제 1 폐루프 ;O)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1 진동계ㆍ상기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으로 구성된 제 2 폐루프; 여기서,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지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 상기 제 1 진동계 및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ㆍ제 1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는 상기 제 1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 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1 방향에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 ;F) 적어도 제 2 이상기ㆍ제 2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제어기 ;G) 비교기, 이 비교기의 한 입력터미날에 공급되는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H)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전력 증폭하는 제 2 전력증폭기 ;I)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직각인 제 2 방향에 제 2가진력을 발생하는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K) 상기 제 2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 ;L)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가상부가 스프링에 상당하는 게인을 가진 증폭기 ;M) 상기 제 2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보상기 ;N) 상기 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기ㆍ상기 제 2 진동계ㆍ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ㆍ상기 위상보상기 및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이 피드백되도록 상기 비교기로 형성된 제 1 폐루프 ;O)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1 진동계ㆍ상기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제 2 제어기ㆍ상기 비교기ㆍ상기 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 및 상기 제 1 제어기에 부피드백되는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해 형성된 제 2 폐루프 ; 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지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상기 제 1 진동계 및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제 7항 내지 제 8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진폭제어기에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이 각각 공급되고, 소정의 진폭이 상기 진폭제어기 내에 설정되고, 상기 소정의 진폭과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현 진동변위사이의 편차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기에 공급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의 진동변위의 진폭이 상기 소정의 진폭과 같도록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가변 주파수전원 ;B)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의 출력을 수용하여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는 제 1 진동구동자 ;C) 상기 제 1 방향의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D)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타원진동장치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1 진동변위 검출수단 ;E) 상기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이상기 ;F) 상기 이상기의 출력이 한 입력터미날에 공급되는 비교기 ;G)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전력증폭기 ;H) 상기 제 1 방향에 직각인 제 2 방향의 제 2 가진력을 발생하는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I) 상기 제 2 진동구동자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진동장치의 제 2 진동계 ;J)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 ;K)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여 가상스프링상수에 상당하는 게인을 갖는 증폭기 ;L) 상기 제 2 진동구동자의 위상 지연을 보상하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보상기 ;M) 상기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2 진동계ㆍ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ㆍ상기 위상보상기 및 상기 제 2 진동변위 수단이 부피드백되는 상기 비교기에 의해 구성된 폐루프 ; 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의 조정과 상기 이상기의 위상각이 조절되어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가 최적 진동상태에서 진동될수 있는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계가 구동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ㆍ제 1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 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1 방향에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 ;F) 적어도 제 2 이상기ㆍ제 2 하이게인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제어기G)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전치필터(prefilter) ;H) 상기 전치필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2 전력증폭기 ;I) 상기 제 1 방향에 직각인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을 발생하는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J) 제 2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2 방향의 제 2 가진력내에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계의 제 2 진동계 ;K)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타원진동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상기 제 2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2 방향에 대한 제 2 진동변위검출장치 ;L)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1 진동계 상기 제 1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제 2 제어기ㆍ상기 전치필터ㆍ상기 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2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 및 상기제 1 제어기에 부피드백되는 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해 구성된 폐루프 ; 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전치필터는 공진주파수 성분을 컷트하는 노치필터(notch filter)와 상기 공진주파수보다 몇 % 높은 주파수 성분을 증폭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그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Self-excitedly)으로 진동되는 상기 제 1 진동계와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적어도 제 1 이상기ㆍ제 1 하이게인 증폭기 및 제 1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제어기 ;B) 상기 제 1 제어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방향에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1 진동구동자 ;D) 상기 제 1 진동구동자로부터 제 1 방향에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 ;E) 상기 제 1 방향에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의 진동변위를 검출하는 진동 변위검출장치 ;F) 적어도 제 2 이상기ㆍ제 2 하이게인 증폭기 및 제 2 포화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제어기 ;G) 상기 제 2 제어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전치필터 :H) 상기 전치필터의 출력을 전력증폭하는 제 2 전력증폭기 ;I) 상기 제 1 방향에 직각인 제 2 방향에 제 2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제 2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진동구동자 ;J) 상기 제 2 진공구동자로부터 제 2 방향에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진동기의 제 2 진동계 ;L)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 제 1 진동계ㆍ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ㆍ상기 제 1 제어기에 부피드백하는 상기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해 구성되는 폐루프; 여기서 상기 전치필터는 공진 주파수 성분을 컷트하는 노치필터와 상기 공진주파수 보다 몇 % 높은 주파수 성분을 증폭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이 각각으로부터 단락될때,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각은 상기 제 2 진동변위검출수단의 출력터미날과 상기 제 1 제어기의 입력터미날 사이의 위상차가 180˚되도록 예정되고, 그 공진주파수에서 자려진동(Self-excitedly)으로 진동되는 상기 제 1 진동계와 자려진동으로 진동되는 제 2 진동계의 상기 진동변위 사이에서 상기 타원진동기의 최적상태를 위해 소정의 위상차가 얻어질수 있다.
- 제 7 내지 제 8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제 2 진동변위 검출수단이 제공되고, 진폭제어기에 상기 제 1 및 제 2진동변위 검출수단의 출력이 각각 공급되고, 소정의 진폭이 상기 진폭제어기 내에 설정되고, 상기 소정의 진폭과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현 진동변위사이의 편차가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기에 공급되어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의 진동변위의 진폭이 상기 소정의 진폭과 같도록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8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가변주파수 전원 ;B) 상기 가변 주파수전원의 출력을 수용하여 제 1 방향의 제 1 가진력을 발생하는 제 1 진동구동자 ;C)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제 1 가진력을 수용하는 타원진동기의 제 1 진동계;D)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타원진동장치의 가동부의 가동변위를 검출하는 진동변위검출수단 ;E) 상기 제 1 진동변위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이상기 ;F) 전치필터 ;G) 상기 전치필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전력증폭기 ;H)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의 제 2 가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제 2진동구동자 ;I) 상기 제 2 진동구동자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의 상기 제 2 가진력을 수용하는 상기 타원진동장치의 제 2 진동계; 여기서, 상기 가변주파수 전원의 조정과 상기 이상기의 위상각이 조절되어 상기 타원진동기의 가동부가 최적 진동상태에서 진동될수 있는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계가 구동된다.
- 제 7항 제 8항 및 제 11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진동계의 진동변위 사이의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차 검출수단과 상기 위상차 검출수단의 검출된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차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증폭기의 게인이 상기 위상차제어기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계의 진동변위 사이의 위상차가 최적 각도로 되게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진동지령을 수용하는 제어기 ;B) 제어기의 일측 입력터미날에 접속되는 비교기 ;C) 상기 비교기의 출력터미날에 접속되는 전력증폭기 ;D) 진동구동자 ;E) 상기 진동구동자의 가진력을 수용하는 기계진동계 ;F) 상기 기계진동계에 근접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취부된 진동검출수단 ;G) 상기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여 가상스프링 상수에 상당하는 게인을 갖는 증폭기 ;H)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고 상기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는 위상보상기 ;I) 상기 비교기ㆍ상기 전력증폭기ㆍ상기 진동구동자ㆍ상기 기계진동계ㆍ상기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 및 상기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이 상기 비교기의 다른 측 입력터미날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보상기로 구성된 제 1 폐루프 ;J) 상기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제어기ㆍ상기 비교기ㆍ상기 증폭기ㆍ상기 진동구동자 및 상기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이 상기 제어기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기계진동계로 구성되는 제 2 폐루프 ; 로 구성되고 여기서, 자려진동이 얻어지고 기계 진동계의 전기적 또는 가상공진주파수가 상기 증폭기의 게인에 의해 상기 가상스프링상수에 상당하는 주파수에 의해 상승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진동지령을 수용하는 제어기 ;B) 상기 제어기의 일측 입력터미날에 접속된 비교기 ;C) 상기 비교기의 출력터미날에 접속된 전력증폭기 ;D) 진동구동자 ;E) 상기 진동구동자의 가진력을 수용하는 기계진동계 ;F) 상기 기계진동계 부근에 배치되거나 취부된 진동검출수단 ;G) 상기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고 가상부하에 상당하는 게인을 갖는 증폭기 ;H) 상기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보상기 ;I) 상기 비교기ㆍ상기 전력증폭기ㆍ상기 진동구동자ㆍ상기 기계진동계ㆍ상기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 및 상기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이 상기 비교기의 다른 일측 입력터미날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위상보상기로 구성된 폐루프 ; 로 구성되고 여기서, 전력원이 상기 기계진동계를 강제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기에 접속되고, 기계진동계의 전기적 또는 가상 공진주파수가 상기 증폭기의 게인에 의해 상기 가상스피링상수에 상당하는 주파수에 의해 상승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제 1 제어기 ;B)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진동구동자 ;D) 제 1 기계진동계 ;E) 상기 제 1 기계진동계 부근에 배열되거나 또는 취부된 제 1 진동검출수단;F) 상기 제 1 진동검출수단의 검출된 출력을 수용하는 제 2 제어기 ;G) 비교기 ;H) 제 2 전력증폭기 ;I) 제 2 기계진동계 ;J) 제 2 기계진동계 부근에 배열되거나 또는 취부된 제 2 진동검출수단 ;K) 상기 제 1 제어기ㆍ상기 제 1 전력증폭기ㆍ상기 제 1 진동구동자ㆍ상기 기계진동계ㆍ상기 제 1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제 2 제어기ㆍ상기 비교기ㆍ상기 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기계진동계ㆍ상기 제 2 진동검출수단의 검출된 출력이 상기 제어기에 부피드백되는 상기 제 2 진동검출수단ㆍ자려진동되는 상기 제 1 기계진동계 및 강제진동되는 상기 제 2 기계진동계로 구성된 제 1 폐루프 ;L) 가상스프링상수에 상당하는 게인을 가진 상기 제 2 진동검출수단의 출력을 수용하는 증폭기 ;M)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여 상기 제 2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는 위상보상기 ;N) 상기 제 2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위상보상기 및 상기 비교기ㆍ제 2 전력증폭기ㆍ상기 위상보상기의 출력이 상기 비교기에 부피드백되는 상기 제 2 기계진동계로 구성된 제 2 폐루프; 여기서, 상기 제 2 기계진동계의 전기적(가상) 공진 주파수는 상기 가상스프링상수에 상당하는 주파수성분에 의해 상승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제 1 전기력 전력원에 접속된 제 1 제어기 ;B) 제 1 전력증폭기 ;C) 제 1 진동구동자 ;D) 제 1 기계진동계 ;E) 상기 제 1 전력원으로부터 소정의 위상각이 다른 제 2 전력원에 접속된 제 2 제어기 ;F) 비교기 ;G) 제 2 전력증폭기 ;H) 제 2 진동구동자 ;I) 제 2 기계진동계 ;J) 상기 제 2 기계진동계의 부근에 배치되거나 또는 취부된 진동검출수단 ;K) 가상부하에 상당하는 게인을 갖는 증폭기 ;L) 제 2 진동구동자의 위상지연을 보상하고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위상보상기 ;M) 상기 진동검출수단ㆍ상기 증폭기ㆍ상기 위상보상기 및 상기 위상보상기의 출력이 상기 비교기에 부 피드백되는 상기 비교기로 구성된 폐루프, 상기 제 2 기계진동계의 전기(가상) 공진주파수는 증폭기의 상기 게인에 상당하는 주파수에 의해 상승된다.
- 하기와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A) 진동지령을 수용하는 전력증폭기 ;B) 상기 전력증폭기의 출력을 수용하는 진동구동자 ;C) 상기 진동구동자로부터 가진력을 수용하는 기계진동계, 상기 진동지령은 전치필터를 통해 상기 전력증폭기에 공급되는데, 상기 전치필터는 상기 기계진동계의 공진주파수 성분을 컷트하는 노치필터와 상기 기계진동계의 실제공진주파수보다 수 % 높은 주파수성분을 증폭하는 밴드패스필터로 구성된다.
- 제 9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위상차 검출수단 및 위상차 제어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 2 이상기의 이상각이 상기 위상차 제어기의 출력으로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100468 | 1995-03-31 | ||
JP10046895A JP3531279B2 (ja) | 1995-03-31 | 1995-03-31 | 振動装置 |
JP10046795A JP3161277B2 (ja) | 1995-03-31 | 1995-03-31 | 楕円振動装置 |
JP95-100467 | 1995-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3568A KR960033568A (ko) | 1996-10-22 |
KR100392261B1 true KR100392261B1 (ko) | 2003-10-22 |
Family
ID=2644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091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261B1 (ko) | 1995-03-31 | 1996-03-29 | 타원진동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5804733A (ko) |
EP (1) | EP0734784B1 (ko) |
KR (1) | KR100392261B1 (ko) |
CN (1) | CN1075210C (ko) |
DE (1) | DE69616851T2 (ko) |
SG (1) | SG423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48987A (en) * | 1996-06-20 | 1999-09-07 | Liu; Hong S. | Rotational shock fixture |
JPH11106020A (ja) * | 1997-09-30 | 1999-04-20 | Shinko Electric Co Ltd | 振動パーツフィーダ |
US6854585B2 (en) * | 2002-12-17 | 2005-02-15 | David Brooks | Multidirectional part transporter and sorter |
WO2005087393A1 (en) * | 2004-03-18 | 2005-09-22 | Flexidrill Limited | Vibrational heads and assemblies and uses thereof |
CN100395929C (zh) * | 2004-11-26 | 2008-06-18 | 上海电缆研究所 | 一种让架空线产生椭圆运动轨迹的方法和它的机构 |
US7228957B1 (en) * | 2005-12-09 | 2007-06-12 | Tna Australia Pty Limited | Slip conveyor assembly |
AU2009318200B2 (en) * | 2008-11-21 | 2015-01-15 | Hadar Magali | Rebound-effector |
CN101972856B (zh) * | 2010-09-16 | 2012-02-08 | 长春工业大学 | 一种非共振三维椭圆金刚石飞切光学自由曲面方法及专用装置 |
CN102602689A (zh) * | 2012-03-20 | 2012-07-25 | 东莞市怡合达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中大型振动底盘的顺逆兼容式结构 |
US9377375B2 (en) * | 2012-05-16 | 2016-06-28 | Venturedyne, Ltd. | Repetitive shock vibrat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
JP6153308B2 (ja) * | 2012-10-10 | 2017-06-28 | Ntn株式会社 | 振動式部品搬送装置 |
CN105262377A (zh) * | 2015-10-28 | 2016-01-20 |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 多电机驱动系统及其驱动方法 |
CH713047A1 (de) * | 2016-10-14 | 2018-04-30 | K Tron Tech Inc | Verfahren zur Regelung der Vibrationsbewegung eines Vibrationsförderers und einen Vibrationsförderer. |
JP7020426B2 (ja) * | 2016-12-07 | 2022-02-1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子部品の振込方法および装置 |
US10974908B2 (en) * | 2017-09-12 | 2021-04-13 | Spirol International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vibratory feeder |
GB2572350B (en) * | 2018-03-27 | 2023-01-25 | Hitachi Rail Ltd |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JP6901688B2 (ja) * | 2018-04-19 | 2021-07-14 |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振動系の制御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装置 |
US11414274B2 (en) * | 2018-07-16 | 2022-08-16 | Mitsuo FUKASE | Work-piece feeding assembly |
KR20210144894A (ko) | 2019-04-12 | 2021-11-30 |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 체분리 장치 |
DE102020106350B4 (de) * | 2020-03-09 | 2021-09-16 | IMA-TEC GmbH | Fördergerät |
CN111701833A (zh) * | 2020-06-22 | 2020-09-25 | 陕西师范大学 | 超磁致伸缩窗形椭圆复合振动换能器及换能方法 |
CN114035626B (zh) * | 2021-11-12 | 2022-10-04 |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 振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54804A (en) * | 1967-01-03 | 1972-04-11 | Chadwick Elect Inc H | Stabilization of multiple shaker systems |
US4002270A (en) * | 1975-05-02 | 1977-01-11 | Cleveland Machine Controls, Inc. | Vibratory feeder system |
US4395665A (en) * | 1981-06-09 | 1983-07-26 | The Arthur G. Russell Company, Incorporated | Control system for vibrating a member at its resonant frequency |
US4692649A (en) * | 1985-03-01 | 1987-09-08 | Canon Kabushiki Kaisha | Driving circuit of a vibration wave motor |
JPH0798567B2 (ja) * | 1988-11-21 | 1995-10-25 | 神鋼電機株式会社 | 振動部品搬送機における部品詰り除去方法 |
US5074403A (en) * | 1989-05-08 | 1991-12-24 | K-Tron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wo loop control of vibratory material feeders |
US5205395A (en) * | 1991-06-10 | 1993-04-27 |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 Vibratory movement and manipulation apparatus and method |
GB9112973D0 (en) * | 1991-06-15 | 1991-08-07 | Marriott Paul A | Improvements to vibrating materials handling and processing devices |
CA2128090A1 (en) * | 1992-02-07 | 1993-08-19 | Emery S. Rose | Ultrasonic surgical apparatus |
DE69407219T2 (de) * | 1993-06-16 | 1998-07-09 | Ykk Corp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Antriebs von selbst-erregten Vibrationsförderern |
US5494151A (en) * | 1993-08-06 | 1996-02-27 | Shinko Electric Co., Ltd. | Vibratory parts-feeder apparatus |
US5404995A (en) * | 1993-10-13 | 1995-04-11 | Graham; S. Neal | Vibratory parts feeder |
-
1996
- 1996-03-26 US US08/620,676 patent/US580473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28 DE DE69616851T patent/DE69616851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28 EP EP96302152A patent/EP073478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3-29 CN CN96104157A patent/CN107521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29 KR KR1019960009175A patent/KR1003922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3-29 SG SG1996006750A patent/SG42367A1/en unknown
-
1998
- 1998-03-24 US US09/046,752 patent/US604471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5210C (zh) | 2001-11-21 |
EP0734784A2 (en) | 1996-10-02 |
DE69616851D1 (de) | 2001-12-20 |
CN1139207A (zh) | 1997-01-01 |
US5804733A (en) | 1998-09-08 |
EP0734784A3 (en) | 1998-04-15 |
KR960033568A (ko) | 1996-10-22 |
SG42367A1 (en) | 1997-08-15 |
US6044710A (en) | 2000-04-04 |
EP0734784B1 (en) | 2001-11-14 |
DE69616851T2 (de) | 2002-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2261B1 (ko) | 타원진동장치 | |
US4692649A (en) | Driving circuit of a vibration wave motor | |
US4658172A (en) | Drive circuit for a vibration wave motor | |
EP0735448B1 (en) | Vibratory apparatus | |
US4823053A (en) | Control of vibration energization | |
KR20030035953A (ko) | 트랜스듀서용 구동 유닛 | |
JP3161277B2 (ja) | 楕円振動装置 | |
JP3531279B2 (ja) | 振動装置 | |
KR100351522B1 (ko) | 자려 진동형 진동장치 | |
KR100376007B1 (ko) | 전자석가진방식의자려진동형진동장치 | |
JPH01321876A (ja) | 超音波モータ駆動装置 | |
JPH08168274A (ja) | 振動装置および超音波モータ | |
JPH1045232A (ja) | 楕円振動装置 | |
JP2003043402A (ja) | 光スキャナ駆動回路 | |
JP4562960B2 (ja) | 光スキャナ駆動回路 | |
JPH10157827A (ja) | 楕円振動装置 | |
JP2019076802A (ja) | 振動系の制御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装置 | |
KR101330140B1 (ko) | 공진 수단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
JP3988060B2 (ja) | 楕円振動装置 | |
SU1493321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озбуждени колебаний | |
JPH11119840A (ja) | 楕円振動装置 | |
Shiratori et al. | Temperature Characteristic Compensation of a Miniature Bi-Axial Gyro-Sensor Using a Disk-Type Resonator | |
JP3823401B2 (ja) | 自励振動型振動装置 | |
JPH01174281A (ja) | 振動波モータ | |
JPS61102519A (ja) | 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3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