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2110B1 - 도자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110B1
KR100392110B1 KR10-2000-0072657A KR20000072657A KR100392110B1 KR 100392110 B1 KR100392110 B1 KR 100392110B1 KR 20000072657 A KR20000072657 A KR 20000072657A KR 100392110 B1 KR100392110 B1 KR 10039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tube
molding
forming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648A (ko
Inventor
오정택
Original Assignee
오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택 filed Critical 오정택
Priority to KR10-2000-007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1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1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 또는 장식등의 갓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의 성형시 빛을 투과하는 다수개의 투과구멍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 원료에 물과 매용재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압출구가 형성된 용기내에 넣고, 내부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튜브의 표면상에 압출구를 통해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임의 디자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튜브의 표면에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의 건조후 튜브내의 공기를 빼내어 튜브를 수축시켜 성형물로부터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성형물을 가마에 굽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자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CERAMIC}
본 발명은 조명등 또는 장식등의 갓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성형시 빛을 투과하는 다수개의 투과구멍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또는 장식등에 사용하는 갓은 그 장식 및 조명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관을 예술적으로 디자인하는 것 뿐만아니라, 갓에 빛이 투과되는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여 빛이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통해 비추는 장식 및 조명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등 또는 장식등의 갓으로 사용하는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먼저 점토등의 도자기원료에 물과 매용재(예를들면 규산소오다)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든후, 회전하는 원판에 올려놓고 손으로 임의 형상으로 성형물을 만들거나, 혹은 임의 형상으로 만든 모형에 반죽을 부어 모형과 동일한 형상의 성형물을 만든다.
그 후, 성형물의 외관을 조각하여 예술적으로 디자인하거나, 투과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도자기 성형물을 제조한 후, 그 외관을 일일이 조각하여 예술적으로 디자인하거나 투과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품질을 결정하는 만큼 고도의 숙련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갓의 성형물의 형성시 외관의 디자인은 물론, 빛을 투과하는 투과구멍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할 수 있고, 고도의 숙련없이도 아름다운 디자인의 갓을 제조할 수 있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의 사시도.
도 3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반죽 2,12 : 압출구
3,13 : 용기 4 : 모형틀
5,17 : 성형물 5a,17a : 개구부
6,19 : 투과구멍 14 : 튜브
15 : 공기밸브 16 : 지지링
18 : 테두리체 20 : 끈
상기의 목적은, 도자기 원료에 물과 매용재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압출구가 형성된 용기내에 넣고,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모형틀의 표면상에 압출구를 통해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임의 디자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모형틀의 표면에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건조시켜 모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성형물을 가마에 굽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자기 원료에 물과 매용재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압출구가 형성된 용기내에 넣고, 내부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튜브의 표면상에 압출구를 통해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임의 디자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튜브의 표면에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의 건조후 튜브내의 공기를 빼내어 튜브를 수축시켜 성형물로부터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성형물을 가마에 굽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구부가 큰 반구형의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자기 원료, 예를들면 점토에 물과 매용재인 규산소오다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든다. 이때 혼합비율은 점토를 100%로 할 때, 물 20∼50%, 규산소오다 0.2∼0.8%로 한다.
이와 같은 반죽(1)은 압출구(2)를 가지는 용기(3)내에 넣고, 용기(3)내의 반죽(1)이 압출구(2)를 통해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반죽(1)의 압출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소용량의 경우 용기의 재질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하여 직접 손으로 짜내어 압출시키는 방식으로 할 수 있고, 대용량의 경우는 용기내의 반죽이 자중에 의해 압출구로 압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강제압출방식으로 압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출구를 통해 압출되는 반죽(1)은 압출구(2)와 동일한 단면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압출되어지므로, 반죽(1)의 압출단면적은 압출구(2)의 크기에 의해 설정된다.
이어서 제조하고자하는 도자기의 형상을 가지는 모형틀(4)을 구비하고, 도 1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로부터 반죽(1)을 연속적인 선형으로 압출시키면서 모형틀(4)의 안쪽표면에 도포한다. 모형틀(4)은 통상 석고, 종이,스치로폼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도포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압출구(2)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압출구 (2)를 통해 연이어 선형으로 압출되는 반죽(1)을 모형틀(4)의 안쪽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자가 압출구(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성형물(5)의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고, 압출구(2)의 위치이동으로 선형으로 압출된 반죽(1)이 모형틀(4)에 도포되는 부분 및 중복되어 도포되는 부분은 후에 성형물(5)의 몸체를 이루게 되며, 반죽(1)이 모형틀(4)의 안쪽표면에 도포되지 않는 부분도 자연적으로 생기게 되는데 이 부분이 후에 빛을 투과하는 투과구멍(6)이 된다. 이러한 투과구멍(6)은 반죽(1)을 도포하여 성형물(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도포완료후 성형물(5)을 일정시간 자연건조시키거나 혹은 건조수단에 의해 강제건조시키게 되면, 성형물(5)은 건조되면서 수축되므로 자동적으로 모형틀(4)의 안쪽표면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써 도 1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물(5)을 모형틀(4)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a)가 큰 반구형의 성형물(5)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분리된 성형물(5)을 가마에 넣고 초벌구이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재벌구이함으로써 도자기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도자기는 반죽(1)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모형틀(4)의 안쪽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의도하는 형태의 외관 디지인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반죽(1)선형으로 도포되는 것에 의해 모형틀(4)에도포되지 않는 부분도 생기게 되므로, 이 부분에 의해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구멍 (6)이 동시에 자동적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투과구멍(6)을 형성하기 위해 후작업으로 조각하는등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작은 개구부를 가지는 구형의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자기 원료, 예를들면 점토에 물과 매용재인 규산소오다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든다. 이때 혼합비율은 점토를 100%로 할 때, 물 20∼50%, 규산소오다 0.2∼0.8%로 한다.
이와 같은 반죽(11)은 압출구(12)를 가지는 용기(13)내에 넣고, 용기(13)내의 반죽(11)이 압출구(12)를 통해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반죽(11)의 압출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소용량의 경우 용기의 재질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하여 직접 손으로 짜내어 압출시키는 방식으로 할 수 있고, 대용량의 경우는 용기내의 반죽이 자중에 의해 압출구로 압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펌프를 이용한 강제압출방식으로 압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출구(12)를 통해 압출되는 반죽(11)은 압출구(12)와 동일한 단면적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압출되어지고, 반죽(11)의 압출단면적은 압출구(12)의 크기에 의해 설정되어진다.
이어서 제조하고자하는 도자기의 형상을 가지는 튜브(14)를 구비한다. 튜브(14)는 일측에 공기밸브(15)가 구비되어 튜브(14)내부에 공기를 충진시켜 패창시키거나 공기를 배출시켜 튜브(14)를 수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튜브(14)의 공기밸브(15)쪽에는 고무재질로 제작된 고리형상의 지지링 (16)이 부착되어 있고, 이 지지링(16)의 바깥둘레가 후에 구형 도자기의 개구부 (17a)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튜브(14)는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밸브(15)를 통해 내부에 공기를 충전시켜 팽창시킴으로써 성형하고자 하는 구형의 형태가 된다. 그리고 튜브(14)의 지지링(16) 바깥쪽에 석고로 만들어진 고리형상의 테두리체(18)를 끼우고, 용기(13)로부터 반죽(11)을 연속적인 선형으로 압출시키면서 튜브(14)의 바깥표면과 테두리체(18)의 바깥쪽면에 도포한다.
이러한 도포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압출구(12)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압출구 (12)를 통해 연이어 선형으로 압출되는 반죽(11)을 튜브(14)의 바깥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자가 압출구(1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성형물(17)의 외관형태를 다양하게 디자인 할 수 있고, 압출구(12)의 위치이동으로 선형으로 압출된 반죽(11)이 튜브(14)에 도포되는 부분 및 중복되어 도포되는 부분은 후에 성형물(17)의 몸체를 이루게 되며, 반죽(11)이 튜브(14)의 표면에 도포되지 않는 부분도 자연적으로 생기게 되는데 이 부분이 후에 빛을 투과하는 투과구멍(19)이 된다. 이러한 투과구멍(19)은 반죽(11)을 도포하여 성형물(17)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도포완료후 성형물(17)을 일정시간 자연건조시키거나 혹은 건조수단에 의해 강제건조시키게 되면, 성형물(17)은 건조되면서 수축된다. 이때에는 튜브(14)의 공기밸브(15)를 열어 튜브(14)내의 공기를 조금씩 빼줌으로써 성형물(17)의 수축에의해 튜브(14)가 압축되어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성형물(17)이 완전 건조된 후, 도 3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밸브 (15)를 통해 튜브(14)내의 공기를 모두 빼내어 수축시키고, 지지링(16)을 테두리체 (18)로부터 빼내면서 튜브(14)를 제거하면, 테두리체(18)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형상의 성형물(17)이 제작된다. 이때 지지링(16)에는 끈(20)을 설치하여 이 끈(20)을 잡아당김으로써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어서 분리된 성형물(17)을 가마에 넣고 초벌구이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재벌구이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도자기는 반죽(11)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튜브(14)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다양한 외관형태의 디지인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반죽(11)이 선형으로 도포되는 것에 의해 튜브(14)에 도포되지 않는 부분도 생기게 되므로, 이 부분에 의해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구멍(19)이 성형물 (17)의 성형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투과구멍(19)을 형성하기 위해 후작업으로 조각하는등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자기원료를 혼합한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모형틀 또는 튜브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다양한 외관형태의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고, 도자기의 성형과정에서 반죽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은 자동적으로 빛을 투과하는 투과구멍으로 형성됨으로써 종전과 같이 도자기의 성형후에 조각하여 파내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숙련자의 경우에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도자기 원료에 물과 매용재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압출구가 형성된 용기내에 넣고,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모형틀의 표면상에 압출구를 통해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임의 디자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모형틀의 표면에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을 건조시켜 모형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성형물을 가마에 굽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도자기 원료에 물과 매용재를 혼합하여 반죽상태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압출구가 형성된 용기내에 넣고, 내부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튜브의 표면상에 압출구를 통해 반죽을 선형으로 연이어 압출시키면서 임의 디자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투과구멍을 형성하도록 도포하여 튜브의 표면에 성형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물의 건조후 튜브내의 공기를 빼내어 튜브를 수축시켜 성형물로부터 튜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성형물을 가마에 굽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 형성단계에서 성형물의 개구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튜브에 석고로 제작된 고리형상의 테두리체를 설치하고, 이 튜브의 표면 및 테두리체의 바깥쪽에 도포하여 테두리체를 성형물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자기 제조방법.
KR10-2000-0072657A 2000-12-02 2000-12-02 도자기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57A KR100392110B1 (ko) 2000-12-02 2000-12-02 도자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57A KR100392110B1 (ko) 2000-12-02 2000-12-02 도자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648A KR20020043648A (ko) 2002-06-12
KR100392110B1 true KR100392110B1 (ko) 2003-07-23

Family

ID=2767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110B1 (ko) 2000-12-02 2000-12-02 도자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1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34B1 (ko) 2008-07-23 2009-03-12 장영안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472282B1 (ko) * 2014-01-06 2014-12-16 송두환 전등갓용 도자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등갓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402A (ko) * 1992-06-09 1994-01-03 신까이 요시히로 연속기공 다공체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도자기의 가압주입 성형용형
KR970001049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19980029479A (ko) * 1996-10-26 1998-07-25 김관기 공을 이용한 학습용 교구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76433Y1 (ko) * 1998-01-13 2000-04-15 백경호 도자기 성형틀
KR200188795Y1 (ko) * 1999-12-10 2000-07-15 전병오 도자기 조명 스탠드
KR20000056769A (ko) * 1999-02-25 2000-09-15 오정택 나뭇결 무늬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13007Y1 (ko) * 1998-10-19 2001-02-15 권영식 도자기 압력주입 성형장치
KR100293123B1 (ko) * 1998-10-16 2001-06-15 김인규 도자기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402A (ko) * 1992-06-09 1994-01-03 신까이 요시히로 연속기공 다공체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도자기의 가압주입 성형용형
KR970001049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19980029479A (ko) * 1996-10-26 1998-07-25 김관기 공을 이용한 학습용 교구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76433Y1 (ko) * 1998-01-13 2000-04-15 백경호 도자기 성형틀
KR100293123B1 (ko) * 1998-10-16 2001-06-15 김인규 도자기류제조방법
KR200213007Y1 (ko) * 1998-10-19 2001-02-15 권영식 도자기 압력주입 성형장치
KR20000056769A (ko) * 1999-02-25 2000-09-15 오정택 나뭇결 무늬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188795Y1 (ko) * 1999-12-10 2000-07-15 전병오 도자기 조명 스탠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34B1 (ko) 2008-07-23 2009-03-12 장영안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472282B1 (ko) * 2014-01-06 2014-12-16 송두환 전등갓용 도자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등갓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648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5863A (en) Collapsible flexible material candle mold
TW323982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ir-pad and its assisting device
HU212972B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moulding ceramic-parts from moulding-slag
EP1277711A4 (en) SANITARY ARTICLE
KR100392110B1 (ko) 도자기 제조방법
CN105342233A (zh) 多彩陶瓷花瓶的制作方法及多彩陶瓷花瓶
CN104367098B (zh) 一种隔热青瓷杯及其制作工艺
US3634179A (en) Ceramic sanitary ware resembling natural stone or marble
CN113910413B (zh) 窄口瓶内表面线雕及透光珐琅陶瓷制品及其制备工艺
KR102118630B1 (ko) 무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 무궁화 도자기를 이용한 무궁화 공예품 제조방법
CN101326137A (zh) 陶瓷制品的彩饰方法
CN113547611B (zh) 一种大型陶瓷酒坛一体成型的加工方法及其制造装置
US5868993A (en) Process for applying color to clay
KR200176433Y1 (ko) 도자기 성형틀
CN109291718A (zh) 一种山水画绞胎瓷的制作方法
KR100890031B1 (ko) 도자기 호롱 초롱 등 제조 방법
CN1197720C (zh) 一种陶瓷制品的制作方法及由该方法得到的制品
CN111499340A (zh) 一种釉下五彩玉瓷手镯生产工艺
KR20010068157A (ko) 석화 제조방법
CN101104452A (zh) 多层次复合工艺瓶的制作方法
KR200207189Y1 (ko) 통기성이 양호한 도자기 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CN207859110U (zh) 一种柔性石材的表面纹理成型辊筒
US20020071282A1 (en) Porcelain object and fabrication method
KR100956070B1 (ko) 투각편병 및 그 제조방법
KR200310356Y1 (ko) 전등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