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0647B1 -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647B1
KR100390647B1 KR10-2001-0006793A KR20010006793A KR100390647B1 KR 100390647 B1 KR100390647 B1 KR 100390647B1 KR 20010006793 A KR20010006793 A KR 20010006793A KR 100390647 B1 KR100390647 B1 KR 10039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control unit
axis
needle bar
se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549A (ko
Inventor
곽수문
Original Assignee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6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6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9/00Sewing-tab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빔이, 천에 그려진 도안의 선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안이 프로그램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함께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복잡한 도안을 작업할 때에 발생하는 단사 또는 불량 재봉위치를 레이저포인터의 빔으로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데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바느질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대의 하강 위치점을 항상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작업 진행상황을 항상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부에 슬립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상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를 체크하는 x, y축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x, y축구동모터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암에 설치되어 상, 하운동을 하는 바늘대와, 상기 암에 설치되어 바늘대 하강 위치점을 표시하여 주는 지시부와, 상기 x, y축구동모터와 지시부와 x, y축리니어스케일을 연결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구성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SEWING POSITION MARK DEVICE FOR MULTI HEAD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빔이 도안의 선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안이 프로그램화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복잡한 도안을 작업할 때에 발생하는 단사 또는 불량 재봉위치를 레이저포인터의 빔으로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함께 바느질 작업하는 과정에서 바늘대의 하강 위치점을 항상 작업자가 관측할 수 있도록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형 재봉기는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재봉기의 바늘대가 상, 하 운동을 하는 동안, 원단을 고정한 메인프레임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수평 운동을 하는 2축의 위치 결정 제어 기기이다.
이러한 멀티형 재봉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모양의 도안을 프로그램화하여 기계의 특성을 다양화하려 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기술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2)이 구성되는데, 상기 테이블(102) 상부에는 미 도시된 x, y축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프레임(104)이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4) 상부에는 암(106)이 위치하면서 테이블(102)상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4)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바느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작업 대상물인 천(108)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암(106) 선단부에는 메인프레임(104)상에서 수직으로 상, 하운동을 하는 바늘대(1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바늘대(110)는 테이블(102) 하부에 위치하는 미 도시된 주축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한다.
계속하여 테이블(102) 상부에는 메인프레임(104)의 이동거리를 체크하는 x, y축리니어스케일(112, 11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x, y축리니어스케일(112, 114)에는 컨트롤부(116)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부(116)에는 조작부(118)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느질 작업을 하기 위하여 조작부(118)를 통하여 신호를 컨트롤부 (116)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부(116)는 미 도시된 주축모터에 명령을 전달하여 암(106)에 설치된 바늘대(110)가 상, 하로 작동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미 도시된 x,y축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4)이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컨트롤부 (116)에 입력된 도안이 메인프레임(104)에 고정된 천(108)에 바느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천(108)에 여러 가지 모양의 바느질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도안을 프로그램화하여 컨트롤부(116)에 저장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도를 상기 메인프레임(104)에 고정 시킨다.
그리고 미 도시된 주축모터의 풀리를 회전시켜 상기 암(106)에 설치된 바늘대(110)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도안이 그려진 원도의 선에 바늘대(110) 하단부가 접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바늘대(110)가 도안의 선에 접한 것이 확인 되면, 다시 주축모터의 풀리를 작업자가 회전시켜 바늘대(110)를 상승시킴으로써 원도로부터이격되게 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메인프레임(104)을 x, y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수동으로 이동시키되 바늘대(110)가 하강하는 위치 점을 예측하여 이동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주축모터의 풀리를 회전시켜 바늘대(110)를 하강시킴으로써 하단부가 도안의 선에 접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천(108)에 그려진 도안의 선을 따라 메인프레임(104)을 이동시키면, 상기 x, y축리니어스케일(112, 114)이 메인프레임(104)의 이동거리를 체크하여 상기 컨트롤부(116)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부(116)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메인프레임(104)의 이동거리를 바탕으로 도안의 모양을 프로그램화 한다.
상기 프로그램화된 도안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작업 하고자 할 때 조작부 (118)를 통하여 상기 도안을 선택함으로써, 천(108)에 동일한 모양의 도안이 상, 하 작동을 하는 바늘대(1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업되게 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도안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해서 일일이 수동 조작으로 바늘대를 상하 작동시켜 도안의 각 포인트에 위치시킴으로써, 육안으로 바늘대의 포인트점을 식별해야 함으로 인해 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모됨으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복잡한 도안을 작업할 때에 단사 또는 불량 재봉위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재봉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동작업으로 바늘대를 하강시키며 포인트를 확인해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로워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바느질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대의 하강 위치점을수시로 확인할 수 없어 현재의 작업 진행상황을 관측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빔이, 천에 그려진 도안의 선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안이 프로그램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리성과 함께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복잡한 도안을 작업할 때에 발생하는 단사 또는 불량 재봉위치를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레이저빔으로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간편화를 실현하여 효율성이 보다 향상되게 하는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바느질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대의 하강 위치점을 항상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작업 진행상황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부에 슬립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상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를 체크하는 x, y축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x, y축구동모터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암에 설치되어 상, 하운동을 하는 바늘대와, 상기 암에 설치되어 바늘대 하강 위치점을 표시하여 주는 지시부와, 상기 x, y축구동모터와 지시부와 x, y축리니어스케일을 연결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재봉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레이저포인터가 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3 은 재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재봉기 4:테이블 6:블록
8:실공급부 10:암 12:바늘대
14:지시부 16, 32:브래킷 18:레이저포인터
20:메인프레임 22:천 24, 30:벨트
26:X축구동모터 28, 36:샤프트 34:Y축구동모터
38:X축리니어스케일 40:Y축리니어스케일 42:컨트롤부
44:조작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재봉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4)이 구성되는데, 상기 테이블(4) 후미에는 블록(6)이 횡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블록(6) 상부에는 실공급부(8)가 설치되며, 상기 블록(6) 전면에는 다수개의 암 (10)이 각각 전방을 향하여 위치하면서 테이블(4)상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암(10)에는 바느질 작업을 하기 위한 바늘대(12)가 상, 하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늘대(12)는 테이블(4) 하부에 위치하는 미 도시된 주축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작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암(10) 선단부에는 바늘대(12)의 하강 위치 점을 표시하여 주는 지시부(14)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시부(14)는 암(10)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16)과, 상기 브래킷(16)에 고정되는 레이저포인터(1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포인터(18)는 바늘대(12)가 하강하는 위치 점에, 레이저빔의 주사점이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며 위치한다.
계속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4) 상에는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메인프레임(20)이 천(22)을 고정하며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 (20) 일측단부에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4)가 타측 일부를 테이블(4) 하부에 위치시키면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24)의 일측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x축구동모터(26)가 샤프트(28)를 결합하면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0) 후미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0)의 선단부 일부가 브래킷(32)으로 결합되고, 상기 벨트(30) 후미 일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y축구동모터(34)가 샤프트(36)를 결합하면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4)상에는 메인프레임(20)의 이동 거리를 체크하는 x, y축리니어스케일(38, 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x, y축리니어스케일(38, 40)에는 도 4 에 도시된 참고도에서와 같이 정보를 수집하거나 명령을 전달하는 컨트롤부(4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x, y축구동모터(26, 34)와 레이저포인터(18)에도 컨트롤부(42)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부(42)에는 여러 가지의 선택 매뉴얼이 표시된 조작부(44)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도안을 프로그램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작부(44)(도1 참조)에 표시되어 있는 바느질 작업 최초 위치점 모드를 선택하면, 컨트롤부(42)는 x. y축구동모터(26, 34)(도3 참조)를 작동시켜 동력을 샤프트(28, 36)와 벨트(24, 30)를 통하여 메인프레임(20)에 전달하면, 상기 메인프레임(20)은 테이블(4)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며 바느질 작업 최초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20)(도2 참조)에 도안하고자 하는 원도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원도의 프로그램화 작업순서를 도 5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안의 프로그램화 작업을 위해 레이저포인터(18)를 온 시킨다.(S1)
상기 레이저포인터(18)가 온 되면 레이저빔이 주사되면서 메인프레임(20)에고정된 원도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S1 이후로 작업자는 레이저빔 위치가 도안된 원도로부터 일탈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
상기 S2 이후로 레이저빔 위치가 원도로부터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X, Y축구동모터(26, 34)를 작동시킨다.(S3)
상기와 같이 X, Y축구동모터(26, 34)작동 선택모드를 조작부(44)에서 선택하면, 동력은 X, Y축구동모터(26, 34)로부터 샤프트(28, 36), 벨트(24, 30)를 지나 메인프레임(20)에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원도의 도안에 형성된 선이 주사되는 레이저빔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S2 이후로 주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원도로부터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도안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S4)
상기와 같이 조작부(44)(도1 참조)에 표시되어 있는 도안프로그램 작동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메인프레임(20)(도3 참조)의 이동 거리를 X, Y축리니어스케일(38, 40)이 메인프레임(20)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도안을 그릴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된다.
상기 S4 이후로 X, Y축구동모터(26, 34)를 작동시킨다.(S5)
상기와 같이 조작부(44)에 표시되어 있는 X, Y축구동모터(26, 34)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X, Y축구동모터(26, 34)가 작동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을 메인프레임(20)에 전달하여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빔이 원도에 그려진 도안의 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X,Y축구동모터(26, 34)의 작동을 조작부(44)를 통하여 조정하면서 메인프레임(20)이 이동되게 한다.
상기 S5 이후로 X, Y축리니어스케일(38, 40)이 메인프레임(20)의 이동거리를 체크하여 컨트롤부(42)(도4 참조)에 전달한다.(S6)
상기와 같이 X, Y축리니어스케일(38, 40)은, 메인프레임(20)이 이동하면 수시로 이동거리를 체크하여 컨트롤부(42)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S6 이후로 메인프레임(20)의 이동거리를 바탕으로 컨트롤부(42)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도안을 완성한다.(S7)
상기와 같이 컨트롤부(42)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은, X, Y축리니어스케일 (38, 40)로부터 전달되는 메인프레임(20)의 이동거리를 수시로 전달받아 X, Y축 좌표점을 프로그램상에서 찍으며 하나의 도안을 그려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안 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완성하게 되면, 프로그램상에서 저장을 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부(42)에 저장된 도안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조작부(44)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도안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면, 레이저포인터(18)가 바늘대 (12) 하강점에 레이저빔을 주사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테이블(20) 하부에 있는 미 도시된 주축모터가 작동하면서 바늘대(12)를 상, 하 운동시켜, 실공급부(8)로부터 실을 메인프레임(20)에 고정된 천(22)에 공급함으로써 바느질되게 한다.
또한 상기 X, Y축구동모터(26, 34)가 동시 작동하면서 동력을 샤프트(28,36)와 벨트(24, 30)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20)이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프레임(20)에 고정된 천(22)에는 조작부(44)에서 선택한 해당 도안이 바느질 된다.
이때 상기 바늘대(12)가 하강하는 위치 점에는 레이저포인터(18)에서 주사되는 레이저빔이 계속하여 위치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는 현재 어느 위치에서 바늘대(12)가 바느질을 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빔이 천에 그려진 도안의 선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로그램화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함에 따라, 작업 편리성과 함께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향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복잡한 도안을 작업할 때에 발생하는 단사 또는 불량 재봉위치를 레이저포인터로부터 주사되는 빔으로 간단히 파악할 수 있음으로, 작업의 간편화와 함께 효율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 다른 효과로는 바느질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바늘대의 하강 위치점을 항상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어, 현재의 작업 진행상황을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다.

Claims (8)

  1.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부에 슬립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테이블상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를 읽어들이는 x, y축 리니어스케일과,
    상기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을 x,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x, y축구동모터와,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는 암에 설치되어 상, 하운동을 하는 바늘대와,
    상기 암에 설치되어 바늘대 하강 위치점을 표시하여 주는 지시부와,
    상기 x, y축구동모터와 지시부와 x, y축리니어스케일에 연결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x, y축 리니어스케일로부터 전달되는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컨트롤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도안을 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바늘대가 상, 하 작동을 하게 될 때, 상기 지시부가 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바늘대가 정지되었을 때, 상기 지시부가 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레이저포인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레이저포인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X, Y축구동모터 작동모드를 온, 오프시키면서 상기 X, Y축구동모터를 작동시켜 레이저포인터의 빔이 도안의 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면,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x, y축리니어스케일로부터 컨트롤부가 전달받아 프로그램상에서 도안을 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X, Y축구동모터 작동모드를 온, 오프시키면서 상기 X, Y축구동모터를 작동시켜 레이저포인터의 빔이 도안의 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면, 메인프레임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x, y축리니어스케일로부터 컨트롤부가 전달받아 프로그램상에서 도안을 그리게 함을 특징으로 한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KR10-2001-0006793A 2001-02-12 2001-02-12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9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93A KR100390647B1 (ko) 2001-02-12 2001-02-12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93A KR100390647B1 (ko) 2001-02-12 2001-02-12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49A KR20020066549A (ko) 2002-08-19
KR100390647B1 true KR100390647B1 (ko) 2003-07-04

Family

ID=2769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0647B1 (ko) 2001-02-12 2001-02-12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59B1 (ko) * 2016-07-12 2018-12-07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대형 자동봉제 전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62B1 (ko) * 2007-05-10 2014-09-02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레이저포인터 운용 장치 및 방법
CN105420949B (zh) * 2015-11-02 2018-06-29 浙江乐佳机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多头模板缝纫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86A (ko) * 1989-06-30 1991-01-30 오다 긴조 체인식 동력 전동용 벨트
JPH08243776A (ja) * 1995-03-13 1996-09-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レーザー加工機
WO1997001608A1 (en) * 1995-06-26 1997-01-16 Ppg Industries, Inc.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crylic polymers with pendant carbamate groups
KR200231906Y1 (ko) * 2001-01-29 2001-07-03 (주)바코 자수기의 바늘대 원점 표시기구
KR20010107491A (ko) * 2000-05-25 2001-12-07 박인철 자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86A (ko) * 1989-06-30 1991-01-30 오다 긴조 체인식 동력 전동용 벨트
JPH08243776A (ja) * 1995-03-13 1996-09-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レーザー加工機
WO1997001608A1 (en) * 1995-06-26 1997-01-16 Ppg Industries, Inc.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crylic polymers with pendant carbamate groups
KR20010107491A (ko) * 2000-05-25 2001-12-07 박인철 자수기
KR200231906Y1 (ko) * 2001-01-29 2001-07-03 (주)바코 자수기의 바늘대 원점 표시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59B1 (ko) * 2016-07-12 2018-12-07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대형 자동봉제 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49A (ko) 200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2625B2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及び模様データ編集装置
JPH0568760A (ja) 刺繍機
JPH11123293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H05123470A (ja)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US6470813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4121374A (ja) 刺しゅう縫いミシン
US7493867B2 (en) Sewing machine
KR100390647B1 (ko) 멀티헤드 재봉기용 재봉위치 표시장치
JP2001000761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の表示装置
JP2007244463A (ja) ミシンの布保持枠移送装置
US20090025621A1 (en) Sewing machine
JPH05137864A (ja)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JP2003038872A (ja) 飾り縫いミシン
JP3151272B2 (ja) 刺繍装置
JP2008000422A (ja) ミシン
JPH02228997A (ja) コンピュータ刺繍ミシン
JP2002085870A (ja) 刺繍ミシン用刺繍範囲トレース方法
JP2008104638A (ja) ミシン
US5826525A (en) Sewing machine having display means
JP3146478B2 (ja)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JP2003088691A (ja) 刺繍縫いの可能なミシン
JPH10258193A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3146477B2 (ja) 電子制御式刺繍ミシン
US20070113765A1 (en) Sewing machine
JP3077805B2 (ja) 刺しゅう機の模様形成位置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