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9662B1 -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662B1
KR100389662B1 KR1019960000749A KR19960000749A KR100389662B1 KR 100389662 B1 KR100389662 B1 KR 100389662B1 KR 1019960000749 A KR1019960000749 A KR 1019960000749A KR 19960000749 A KR19960000749 A KR 19960000749A KR 100389662 B1 KR100389662 B1 KR 10038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polyurethane foam
density
flexible facing
reac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097A (ko
Inventor
리만 울리히
카트 한스
훌란트 클라우스-베르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6002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로 가요성 페이싱을 이면 발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시트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300 g/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g/l의 밀도를 갖고,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당한 가요성 페이싱은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체는 자동차 분야에서 자기 지지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통상적인 강화 성분은 상기 자기 지지 복합체를 제조하는데 필요치 않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자기 지지 부품으로서 적합한 복합 시트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PUR)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로 박형의 가요성 페이싱 (facing)을 이면 발포 (backfoaming)시켜 복합 시트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복합체는 자동차에서 자동차 내장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사용되는 PUR 발포체는 부품에 필요한 강성 및 극히 낮은 열팽창율을 특징으로 한다.
PUR 발포체 및 페이싱을 기재로 하는 복합체는 예를 들면 계기판(instrument panel), 팔걸이, 중앙 콘솔 또는 범퍼와 같은 부품으로 자동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치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계기판에서 처럼 금속 및(또는)플라스틱 강화용 성분과 같은 첨가 보조제 (강화제)또는 예를 들면 범퍼의 외부 쉘에서와 같이 충분히 두껍고 단단한 페이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첨가 보조제는 이전부터 -30℃ 내지 120℃의 온도 범위에서 부품의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해오던 것이다. 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PUR 충전 발포체 등과 같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원료의 선 팽창율 (이하, 열팽창율로 인용됨)은 충전제 또는 유리 매트와 같은 보조 물질이 사용되지 않는한, 100 x 10-6/K 이상이다. 복합체 제조 공정에 충전제, 유리 매트, 강화 성분 등과 같은 통상적인 강화제를 첨가하면 복합체에 치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복합체를 중량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100 x 10-6/K 미만의 열팽창율 및 40% 압축시 100 kPa 보다 큰 파쇄 경도 (crush hardness)를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로 박형의 가요성 페이싱을 이면 발포시켜 제조된 복합체가 자동차의 자체 지지 부품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이들 복합체는 예를 들면 충전제, 유리 매트 등을 포함하여 첨가 보조제와 같은 통상적인 강화제를 함께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다. 상기 보조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복합체의 제조 중에, 자동차 내 또는 자동차 상에서 목적하는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셈블리 요소의 결합을 배제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들 어셈블리 요소는 부품의 치수 안정성에 대해 중요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는 현재의 기술 상태에 따라 제조된 유사한 복합체보다 중량면에서 상당히 경량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로 상부층을 구성하는 가요성 페이싱을 금형에서 이면 발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응 혼합물은 충분히 형성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300 g/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g/l의 밀도를 갖도록 선택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을 함유하며,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가요성 페이싱은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RRIM 및(또는) SRIM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강화제 (강화 성분)는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결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1) 발포체가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고, 20 내지 90 g/l의 밀도를 가지며,
2) 발포체가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고, 100 x 10-6/K 미만의 열팽창율을 보이며,
3) 발포체가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고, 40% 압축시 100 kPa보다 큰 파쇄 경도를 나타내며,
4) 발포체가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며,
5) 가요성 페이싱이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쉘, 텍스타일 시트, 피혁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며,
6) 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 시트체가 자동차용 범퍼, 계기판 및 도어 부분의 에너지 흡수용 보호 요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복합체이다.
임의로,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함유하는 발포체의 제조는 공지되어 있으며,예들 들면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고 제1,112,285호, 영국 특허 공고 제1,104,394호,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1,595,844호 및 1,769,023호, 및 플라스틱 핸드북(Kunststoff-Handbuch, Vol VII, Polyurethanes, Vieweg 및저, Munich 소재의 Carl-Hanser-Verlag사 발행, 1966) 및 상기 플라스틱 핸드북의 신판 (G. Oertel 편저, Vienna 소재의 Carl-Hanser-Verlag사 발행, 1983)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의 물질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요구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는 반응 혼합물로 적합하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 MDI),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보다 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중량%의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총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다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예를 들면 지프켄 (W. Siefken)의 문헌 (Justus Liebigs Annalen der Chemie, 562, p 75-136)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지방족, 지환족, 아르지방족, 방향족 및 헤테로시클릭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중, n은 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을 나타내고,
Q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6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수 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지환족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수 6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6 내지 13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 원자수 8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8 내지 13의 아르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에서, Q가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식에 대응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2,832,253호의 공보 10~11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2,4- 및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이성질체 ("TDI")의 임의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방법의 발포체 형성 반응 혼합물에서 사용되는 적당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인 수소 원자를 2개 이상 함유하고, 일반적으로 4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폴리올 성분으로서 지칭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은 예를 들면 아미노기, 티오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특히 히드록시기를 2 내지 8개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000 내지 6,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6,000인 화합물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균질의 기포 폴리우레탄의 제조시에 공지되고, 예를 들면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2,832,253호의 공보 11~18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기를 2개 이상, 일반적으로 2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를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 혼합물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폴리올은 말단 위치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에테르이다. 이들은 예를 들면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 또는 산화부틸렌과 같은 산화알킬렌의 출발 물질(개시제)로의 염기 촉매 첨가 반응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적당한 개시제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아닐린 및 다른 방향족 모노아민, 지방족 모노아민 및 글리세롤의 모노에스테르; 3 관능성 개시제, 예를 들면 글리세롤,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틸롤에탄, N-알킬페닐렌 디아민, 모노-, 디- 및 트리알카놀아민; 4 관능성 개시제,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2,4'-, 2,2'- 및 4,4'-메틸렌디아닐린, 톨릴렌 디아민 및 펜타에리트리톨; 및 6 관능성 및 8 관능성 개시제, 예를 들면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를 들 수 있다. 출발 물질에 대한 산화알킬렌의 첨가는 동시적으로 또는 상이한 산화알킨렌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블록, 헤테르 또는 블록 헤테르 폴리에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핸드북" 및 "폴리우레탄: 화학 및 기술 (Chemistry and Technology)"를 상기와 관련한여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플리에테르는 산화프로필렌으로 프로폭실화하여 제조한 트리메틸롤프로판,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개시된 말단 위치에 0 내지 50%의 산화에틸렌 블록을 갖는 폴리에테르류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와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화학분야에서 공지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은 폴리올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인 적당한 출발 성분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고, 32 내지 399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는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 및(또는) 티오기 및(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이중, 히드록시기 및(또는)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저분자량 화합물은 상기 반응에서 사슬연장제 또는 가교제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이 있는 수소 원자를 2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 함유한다. 이들의 특정예는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2,832,253호의 공보의 19및 20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 혼합물에 사용되는 적당한 발포제의 예로는 단독 또는 고휘발성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n-펜탄 또는 i-펜탄, 시클로펜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헥사플루오로부탄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물이 있다. 발포제로서 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제 및 첨가제는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의 예로는 추가 발포제로서의 다른 고휘발성 유기 물질 및(또는) 물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고분자량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 (폴리올)의 총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응 혼합물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화학 업계에서 공지된 유형의 촉매 첨가제, 유화제 및 발포 안정제와 같은 계면 활성 첨가제, 예를 들면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 적린과 같은 인을 함유하고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난연제와 같은 난연제, 및 예를 들면 염산 또는 유기산 할로겐화물과 같은 반응에서 산인 물질을 포함하는 지연제를 추가 함유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의 예로는 파라핀 또는 지방족 알코올 또는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공지된 유형의 기포 조절제 및 안료 및(또는) 염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노화방지 및 내후 안정화제, 가소제 및 정진균제 (靜眞菌劑) 및 정균제, 및 충전제, 예를 들면 황산바륨, 규조토, 유연 (soot) 또는 조제 백악올 보조제 및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제 및 첨가제로서 임의로 첨가되는 것은 예를 들면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공개 제2,732,292호의 공보의 21~24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임의로 사용되는 계면 활성 첨가제 및 발포 안정화제 및 기포조절제, 지연제, 안정화제, 난연제, 가소제, 염료 및 정진균제 및 정균제의 추가예, 및 사용 방법 및 그의 효과의 상세한 내용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핸드북(Kunststoff-Handbuch, Vol VII, p. 103-113, Vieweg 및저, Munich 소재의 Carl-Hanser-Verlag사 발행, 196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경질의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 반응하는 반응 혼합물의 성분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조 인용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2,764,5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종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공지된 공정, 예를 들면 단단계 공정, 초기 중합체 공정 또는 반-초기 중합체 공정에서 반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는 프로세스 장치에 관한 내용은 플라스틱 핸드북(Kunststoff-Handbuch, Vol VII, p. 121-205, Vieweg 및저, Munich 소재의 Carl-Hanser-Verlag사 발행, 196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90 내지 300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종종 예를 들면 200 내지 300과 같은 150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일반적으로 적합하게 작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로서 사료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NCO 지수로도 칭함)는 이소시아네이트 당량을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수소 함유 물질의 총 당량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성분의 발포는 밀폐된 금형에서 수행한다.
본 방법에서 박형의 가요성 페이싱으로 사용되는 적당한 물질은 10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 통상적인 시판용 시트 또는 성형 스킨을 포함한다. 이들 시트의 예로는 PVC/ABS, AS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트는 성형체의 페이싱을 형성하고, 예를 들면 열성형법에 의해 금형에서 심교 성형 (deep drawn)될 수 있다. 성형 스킨을 제조하기 위해 PVC 분말을 사용하는 분말 슬러시 성형과 같이 가요성의 연질 페이싱을 제조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이 마찬가지로 적합하다고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면 텍스타일 적층 시트와 같은 다른 유형의 페이싱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시트체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300 g/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g/l,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g/l의 성형 발포 밀도, 및 40% 압축시 100 kPa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900 kPa의 파쇄 경도, 및 100 x 10-6/K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x 10-6/K 미만의 열팽창율을 갖는 것으로 특징된다. 낮은 열팽창율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로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여 폴리올 성분을 형성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10 중량%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중량%의 중합체 성분을 갖는 중합체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기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며 온도는 섭씨 기준이다. 앞서 기재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의 물질은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PMDI: 31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 및 200 mPas의 점도를 갖는 중합체 MDI를 50 중량% 함유하는 중합체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A: OH가가 28인 3관능성 폴리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을 프로폭실화한 후, 에톡실화하여 제조함
B: OH가가 28인 3관능성 폴리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을 프로폭실화한 후,에톡실화하고, 여기에 20 중량%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을 그라프팅시켜 제조함
C: 프로필렌 글리콜을 프로폭실화한 후, 에톡실화하여 제조한 OH가가 28인 2 능성 폴리에테르
D: 트리에탄올아민을 프로폭실화하여 제조함; 500의 OH가를 가짐
E: 소르비톨을 프로폭실화하여 제조함; 100의 OH가를 가짐
F: 에틸렌디아민을 프로폭실화하여 제조함; 630의 OH가를 가짐
G: 아미노크로톤산 에스테르
H: 프로필렌 글리콜의 프로폭실화 생성물; 180의 OH가를 가짐
K: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M: 수크로오스, 프로필렌 글리콜 및 물로 이루어지는 출발 물질 혼합물의 프로폭실화 생성물; 약 5.3개의 관능기 및 470의 OH가를 가짐
N: 트리메틸롤프로판의 프로폭실화 생성물; 380의 OH가를 가짐
P: 디에틸렌 글리콜 중의 25 중량% 아세트산 칼륨의 용액
R: 디메틸아미노에톡시에탄올
B 4690: 골드슈미트(Goldschmidt)사의 시판용 안정제
하기 기재되는 폴리올의 화학적 배합물은 오래전부터 폴리우레탄 가공 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같은 통상의 수동적 및 기계적 혼합 방법을 사용하여 가공해왔다. 반응성 데이타 및 자유 상승 (free-rising) 밀도를 500 ml 비이커에 수동 발포시켜 제조한 발포체에 대해 측정하였다. 또한, 자유 용적 밀도, 라이즈 시간 및 개시 시간을 PUR 발포체 섹터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동으로 혼합된 발포체 시료에 대해 측정하였다. 열팽창율을 DIN 53752의 방법에 의해, 포그 값을 DIN 75201의 방법에 의해, 40% 압축시의 파쇄 경도를 DIN 53577의 방법에 의해 기계적으로 발포된 성형체 (20x20x4 cm)에 대해 측정하였다.
실험실 플라크를 제조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를 40±3℃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시료를 5분간의 탈형 시간으로 핸드믹싱에 의해 성형하였다.
표 1에서의 배합물 1은 계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 따라 사용된 폴리우레탄 충전 발포체를 기재한 것이다. 충분한 치수 안정성은 단지 발포체가 부착되는 보강 지지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성형체는 목적하는 페이싱 상에 배합물 2 내지 4를 발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낮은 열팽창율은 치수적으로 안정된 부품이 자동차에서 자기 지지 부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배합물 2는 자동차 범퍼와 같은 장치에 적당한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적당한 배합물이며, 배합물 3 및 4는 계기판 및 도어 부분에서의 에너지 홉수용 보호 요소와 같은 장치에 적합한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적당한 배합물이다.
표 1: 발포체 배합물
표 2: 발포체 배합물의 반응성 및 특성
본 발명을 예시를 위해 상기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용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의 이탈없이 당업자에 의해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6)

  1. 충분히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 가요성 페이싱(facing)을 상부층으로 하여 이면 발포(back-foaming)시켜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요성 페이싱이 10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300 g/l 미만의 밀도,100x10 -6 /K 미만의 열팽창율(DIN 53752에 따라 측정함) 및 200 내지 900 kPa의 40% 압축시 파쇄 경도(DIN 53577에 따라 측정함)를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페이싱이 2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20 내지 150 g/l의 밀도를 갖고 이소시아누레이트기를 더 함유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20 내지 90 g/l의 밀도를 갖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폴리우레탄 발포체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페이싱이 플라스틱 시트, 플라스틱 쉘, 텍스타일 시트, 피혁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충분히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로 가요성 페이싱을 상부층으로 하여 이면 발포시켜 제조된 복합체로서, 가요성 페이싱의 10 mm 미만의 두께를 갖고,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300 g/ℓ 미만의 밀도, 100x10 -6 /K 미만의 열팽창율(DIN 53752에 따라 측정함) 및 200 내지 900 kPa의 40% 압축시 파쇄 경도(DIN 53577에 따라 측정함)를 갖는 복합체.
KR1019960000749A 1995-01-17 1996-01-16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KR100389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1198A DE19501198A1 (de) 1995-01-17 1995-01-17 Verwendung eines Folienverbundkörpers als selbsttragendes Bauteil im Automobilbereich
DE19501198.8 1995-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097A KR960029097A (ko) 1996-08-17
KR100389662B1 true KR100389662B1 (ko) 2004-02-05

Family

ID=775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749A KR100389662B1 (ko) 1995-01-17 1996-01-16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16564A (ko)
EP (1) EP0722827B1 (ko)
JP (1) JPH08238734A (ko)
KR (1) KR100389662B1 (ko)
BR (1) BR9600104A (ko)
CA (1) CA2167130C (ko)
CZ (1) CZ290757B6 (ko)
DE (2) DE19501198A1 (ko)
ES (1) ES2202384T3 (ko)
PT (1) PT722827E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887A (en) * 1980-07-24 1982-04-06 Compai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 flow area classification
US4508774A (en) * 1983-03-15 1985-04-02 Basf Aktiengesellschaft Cellular, molded polyurethane par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by thermoforming of polyester-urethane foam and their use
US5219893A (en) * 1990-01-18 1993-06-1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pen-cell, cold-formable rigid polyurethane foams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articles
KR930010072A (ko) * 1991-11-20 1993-06-22 수잔 제인 젠틀 기포형 고분자 제품의 제조 방법
KR930017952A (ko) * 1992-02-11 1993-09-20 랑핑어, 방에르트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기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클로로플루오로카아본이 없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유형의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US5348778A (en) * 1991-04-12 1994-09-20 Bayer Aktiengesellschaft Sandwich elements in the form of slabs, shells and the like
US5494942A (en) * 1993-12-27 1996-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rigid polyurethane foam and laminate articles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9247A (en) * 1973-07-11 1975-12-30 Kaiser Aluminium Chem Corp Cryogenic tank
GB1545098A (en) * 1975-12-29 1979-05-02 Berol Kemi Ab Polyurethane foam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452829A (en) * 1983-06-20 1984-06-05 Thermocell Development, Ltd. Sprayable, cross-linked trimer polymer and method of use and preparation
CA1291605C (en) * 1987-06-08 1991-11-05 Seiji Ishii Manufacturing method of a rigid or semi-rigid foamed material and a composite panel
US4916173A (en) * 1988-05-06 1990-04-10 Ciba-Geigy Corporation Polyurethane syntactic foam modeling stock
EP0539802A1 (de) * 1991-10-28 1993-05-05 Bayer Ag Freifliessende,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 und dabei nachvernetzende, gegebenenfalls expandierbare Polyurethan-Pulver (-Zubereitungen)
DE4218840A1 (de) * 1992-06-09 1993-12-1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körpern
DE4232420A1 (de) * 1992-09-28 1994-03-3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stoffen
DE4337012A1 (de) * 1993-10-29 1995-05-0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albharter Urethangruppen aufweisender Schaumstoffe mit verbesserten Fließeigenschafte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887A (en) * 1980-07-24 1982-04-06 Compai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 flow area classification
US4508774A (en) * 1983-03-15 1985-04-02 Basf Aktiengesellschaft Cellular, molded polyurethane par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by thermoforming of polyester-urethane foam and their use
US5219893A (en) * 1990-01-18 1993-06-15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pen-cell, cold-formable rigid polyurethane foams and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articles
US5348778A (en) * 1991-04-12 1994-09-20 Bayer Aktiengesellschaft Sandwich elements in the form of slabs, shells and the like
KR930010072A (ko) * 1991-11-20 1993-06-22 수잔 제인 젠틀 기포형 고분자 제품의 제조 방법
KR930017952A (ko) * 1992-02-11 1993-09-20 랑핑어, 방에르트 우레탄기를 함유하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기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클로로플루오로카아본이 없는 연질 폴리우레탄 포옴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유형의 변형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US5494942A (en) * 1993-12-27 1996-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rigid polyurethane foam and laminate articles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67130C (en) 2007-03-20
EP0722827B1 (de) 2003-07-23
CA2167130A1 (en) 1996-07-18
EP0722827A3 (de) 1998-06-03
ES2202384T3 (es) 2004-04-01
KR960029097A (ko) 1996-08-17
DE19501198A1 (de) 1996-07-18
DE59610610D1 (de) 2003-08-28
US5716564A (en) 1998-02-10
JPH08238734A (ja) 1996-09-17
CZ13796A3 (en) 1996-08-14
CZ290757B6 (cs) 2002-10-16
PT722827E (pt) 2003-12-31
BR9600104A (pt) 1998-01-27
EP0722827A2 (de) 199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064C (en) Production of low-fogging polyurethane foams, and specific polyoxyalkylene-polyols which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US5512602A (en)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s
KR0178401B1 (ko) 상온 성형성 연속 기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의 용도
US6107355A (en)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s
EP1930367B2 (en) Use of polyurethane foam in vehicle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7609B1 (ko)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US6060531A (en) Production of low-fogging polyurethane foams, and specific polyoxyalkylene-polyols which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JP6698526B2 (ja) 低減されたアルデヒドの排出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
JPH03199224A (ja) 低圧縮硬さ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軟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ために使用するブロックポリオキシプロピレンーポリオキシエチレン―ポリオール混合物
JP2581884B2 (ja) エネルギー吸収性の、水で発泡させ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970000946B1 (ko) 에너지 흡수성, 수 발포성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물
US5614566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igid foams having urethane and/or isocyanurate groups and being extensively open celled
US541612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emirigid foams containing urethane groups with improved flow properties
JPH04270718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5170864A (ja) ウレタン基含有ポリウレアエラストマーの製法
JP3057609B2 (ja) ウレタン基および主としてイソシアヌレート基を有する硬質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5760099A (en) Production of rigid or semirigid polyurethane foams and composite elements comprising such polyurethane foams
KR100389662B1 (ko) 자동차의자기지지부품으로서적합한복합시트체의제조방법
KR20010051398A (ko) 폴리우레탄 발포제품의 제조방법
DE4001044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skoelastische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mit einem verbesserten Schallabsorptionsvermögen sowie hierzu verwendbare Polyether-polyol-Polyester-polyol-Mischungen
JP3202034B2 (ja) 三級アルコール類の共用下でのポリイソシアネート重付加反応による発泡プラスチックの製造法
CN111372963B (zh) 制备包含氨基甲酸酯基和异氰脲酸酯基的开孔硬质泡沫的方法
KR102787398B1 (ko) 우레탄 기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연속 기포 경질 폼의 제조 방법
CA2242695A1 (en) Production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s
EP0358075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eisshärtenden Polyurethan-Weichformschaumstof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