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5447B1 -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447B1
KR100385447B1 KR10-2000-0060462A KR20000060462A KR100385447B1 KR 100385447 B1 KR100385447 B1 KR 100385447B1 KR 20000060462 A KR20000060462 A KR 20000060462A KR 100385447 B1 KR100385447 B1 KR 10038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mold
curve mold
femal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563A (ko
Inventor
천성철
Original Assignee
뉴바이오 (주)
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바이오 (주), 천성철 filed Critical 뉴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00-006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19Reus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08Lens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정밀한 허용오차를 요구하지 않는 암/숫형 프런트/베이스커브 몰드를 사용하여도 양질의 콘택트 렌즈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렌즈 주형 몰드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및 숫형 베이스 커브 몰드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정밀한 허용오차를 요구하지 않으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절감하면서 양질의 콘택트 렌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은,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숫형 프런트 및 베이스 커브 몰드에 콘택트렌즈 원료인 폴리머를 투입하고 소정시간동안 열과 빛을 이용하여 중합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며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취출하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부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를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내부로 기준척을 삽입하여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내에 압착/성형된 콘택트 렌즈를 용착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 상기 콘택트렌즈를 취출한 다음, 상기 기준척에 용착되어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돗수의 렌즈를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는 콘택트 렌즈 주형모울드는, 단차를 두고 그 일측 끝단부가 소정 곡률로 하여 돌출된 볼록형상면으로 이루어진 숫형 베이스커브와, 상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와 대응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내부에 콘택트 렌즈 형성층이 구비된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A Mold for contact len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정밀한 허용오차를 요구하지 않는 암/숫형 프런트/베이스커브 몰드를 사용하여도 양질의 콘택트 렌즈를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줄일 수 있는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도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목 형상면을 갖는 암형몰드(1)와, 볼록 형상면를 갖는 숫형몰드(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암/숫형 몰드를 마찰 연결에 의해 접합시켜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게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는 정밀하게 제작되어져야, 즉 숫형몰드(2)와 암형몰드(1)의 중심오차가 한정된 허용오차(2마이크론정도)를 요구하며 이로인해 그 제작 금형비가 과다하고, 특히 다양한 돗수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숫형몰드(2)에 대응/결합되는 암형몰드(1)는 최소 수백개로 이루어져야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렌즈 주형 몰드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및 숫형 베이스 커브 몰드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정밀한 허용오차를 요구하지 않으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절감하면서 양질의 콘택트 렌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은,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숫형 프런트 및 베이스 커브 몰드에 콘택트렌즈 원료인 폴리머를 투입하고 소정시간동안 열과 빛을 이용하여 중합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며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취출하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부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를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내부로 기준척을 삽입하여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내에 압착/성형된 콘택트 렌즈를 용착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 상기 콘택트렌즈를 취출한 다음, 상기 기준척에 용착되어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돗수의 렌즈를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는 콘택트 렌즈 주형모울드는, 단차를두고 그 일측 끝단부가 소정 곡률로 하여 돌출된 볼록형상면으로 이루어진 숫형 베이스커브와, 상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와 대응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내부에 콘택트 렌즈 형성층이 구비된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에 콘택트 렌즈 원료를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와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가 상호 대응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6은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부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은 암형 프런트 커브몰드 내부로 기준척을 투입하여 콘택트 렌즈를 용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부터 기준척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9은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 51: 볼록 형상면
60: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61: 콘택트 렌즈 형성층
70: 기준척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며,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에 콘택트 렌즈 원료를 투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도5는 본 발명의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와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가 상호 대응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부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7은 암형 프런트 커브몰드 내부로 기준척을 투입하여 콘택트 렌즈를 용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은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부터 기준척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9은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차를 두고 그 끝단부가 돌출된 형상면(51) 으로 이루어진 숫형 베이스커브(50) 몰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숫형 베이스커브(50) 몰드와 대응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내부에 콘택트 렌즈 형성층(61)이 형성되도록 암형 프론트 커브(60) 몰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콘택트 형성층에서 압착/성형된 콘택트 렌즈를 용착/분리시키는 기준척(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와 암형 베이스커브몰드 및 기준척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숫형 베이스커브 몰드 제작)
단차를 두고 그 끝단부가 돌출된 볼록형상면(51) 으로 이루어진 숫형 베이스커브(50) 몰드를 제작한다.
제2공정(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제작)
상기 숫형 베이스커브(50) 몰드와 대응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내부에 콘택트 렌즈 형성층(61)이 구비되도록 암형 프론트 커브(60) 몰드를 제작한다.
제3공정(콘택트 렌즈 원료주입)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60)에 콘택트 렌즈 원료인 폴리머(P)를 적정량 투입한다.
제4공정(숫형 베이스커브 몰드와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상호결합)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60)와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50)를 상호 밀착 결합시켜 상기 콘택트 렌즈 원료인 폴리머(P)가 콘택트 렌즈 형성층(61)에서 소정형상으로 성형되며, 또한 외부로 부터 소정시간동안 열과 빛을 받아 중합되어 진다.
제5공정(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분리)
상기 중합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50)를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60)로 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콘택트렌즈의 원료인 폴리머(P)는 압착/성형되어 암형 프런트커브몰드의 콘택트 렌즈 형성층(61)에 위치되어 진다.
제6공정(암형 프런트커버 몰드내로 기준척 삽입)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60) 내부로 기준척(70)을 삽입하여 상기 프런트커브몰드에 압착/중합된 콘택트 렌즈를 기준척에 용착(Blocking)한후 상기 프런트커브 몰드와 이를 분리한다.이는 상기 기준척을 전열선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소정 가열판에 의해 대략 90℃까지 가열하고, 콘택트 렌즈가 용착될 부위에 왁스(접착제)를 바른다.그런 다음, 암형 프런트 커브 몰드내부에 압착/성형된 콘택트 렌즈에 상기 기준척을 가압하게 되면 콘택트 렌즈는 기준척에 용착되어 상기 암형 프런트 커브 몰드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제7공정(콘택트렌즈 가공)
상기 전공정에서 용착/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돗수의 렌즈를 가공한다.
상기 전 과정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제조과정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인 암형 프런트 커브 몰드 및 숫형 베이스 커브 몰드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금형 제작시에도 정밀한 허용오차를 요구하지 않으며 숫형 베이스 커버의 돌출부의 형상(곡률)에 따라 돗수가 다양한 콘택트 렌즈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문생산에 적합하며 제품의 신뢰도가 높고, 특히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암/숫형 프런트 및 베이스 커브 몰드에 콘택트렌즈 원료인 폴리머를 투입하고 소정시간동안 열과 빛을 이용하여 중합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며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취출하는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부터 숫형 베이스커브 몰드를 분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 내부로 기준척을 삽입하여 상기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내에 압착/성형된 콘택트 렌즈를 용착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 상기 콘택트렌즈를 취출한 다음,
    상기 기준척에 용착되어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돗수의 렌즈를 가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방법.
  2. 단차를 두고 그 일측 끝단부가 소정 곡률로 하여 돌출된 볼록형상면으로 이루어진 숫형 베이스커버 몰드와, 상기 숫형 베이스커버 몰드와 대응되게 결합됨에 따라 그 내부에 콘택트 렌즈 형성층이 구비된 암형 프런트커브 몰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몰드.
KR10-2000-0060462A 2000-10-13 2000-10-13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38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62A KR100385447B1 (ko) 2000-10-13 2000-10-13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462A KR100385447B1 (ko) 2000-10-13 2000-10-13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563A KR20020029563A (ko) 2002-04-19
KR100385447B1 true KR100385447B1 (ko) 2003-05-27

Family

ID=1969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462A Expired - Lifetime KR100385447B1 (ko) 2000-10-13 2000-10-13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5924A2 (en) * 2004-08-09 2006-02-15 Johnson and Johnson Vision Care, Inc. Thin film in-line degass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158A (ko) * 1990-04-24 1991-11-30 베르너 발데그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KR950704109A (ko) * 1992-11-04 1995-11-17 에릭 에스. 딕커 친수성 콘택트 렌즈의 성형방법(Method for molding a hydrophilic contace lens)
KR0140212B1 (en) * 1989-01-12 1998-07-01 Galley Geoffrey H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JPH11320699A (ja) * 1998-05-21 1999-11-24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254861B1 (ko) * 1991-08-16 2000-05-01 워필드 마크 콘택트 렌즈 모울드 부재 결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212B1 (en) * 1989-01-12 1998-07-01 Galley Geoffrey H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KR910018158A (ko) * 1990-04-24 1991-11-30 베르너 발데그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KR100254861B1 (ko) * 1991-08-16 2000-05-01 워필드 마크 콘택트 렌즈 모울드 부재 결합 방법 및 장치
KR950704109A (ko) * 1992-11-04 1995-11-17 에릭 에스. 딕커 친수성 콘택트 렌즈의 성형방법(Method for molding a hydrophilic contace lens)
JPH11320699A (ja) * 1998-05-21 1999-11-24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5924A2 (en) * 2004-08-09 2006-02-15 Johnson and Johnson Vision Care, Inc. Thin film in-line degas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563A (ko) 200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5737A (zh) 光学元件及其制造装置
KR100385447B1 (ko) 콘택트 렌즈 주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 렌즈제조방법
US5879178A (en)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US6702565B1 (en) Method and mold assembly for producing a molded object
JP4777265B2 (ja) 熱成形により光学部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404024B1 (ko) 마이크로렌즈 제조방법
KR101738315B1 (ko)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라운드 에지면을 갖는 콘택트렌즈
JP3951656B2 (ja) 注入成形金型及びこの金型を用いる成形品の製造法
KR100280329B1 (ko) 플라스틱다심광커넥터페룰을사용하는다심광커넥터및다심광접속자
US6416700B1 (en) Method of producing resin-molded assembly and method producing double-retaining connector
JPH03231814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注型ガスケット
JPH11116257A (ja) 合成光学素子の成形方法及び装置
US20090261487A1 (en) Method for making optical articles
JP2011167988A (ja) レンズの製造方法
US82877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resnel lens
JPS5914333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22851691U (zh) 一体式接口嵌片结构、注塑模具及壳体
KR102163326B1 (ko) 콘택트렌즈 성형잔여물 제거방법
KR102832754B1 (ko) 렌즈어셈블리 및 이의 제작방법
JPH09300371A (ja) 光学素子の成形型
JPH0450553A (ja) ダイアフラムの製造方法
JPH11309741A (ja)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JPS59162025A (ja) 接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69218A (ja) 凹凸面を有するレンズの成形用金型
KR0136471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41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