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0004B1 -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004B1
KR100380004B1 KR10-1998-0709767A KR19980709767A KR100380004B1 KR 100380004 B1 KR100380004 B1 KR 100380004B1 KR 19980709767 A KR19980709767 A KR 19980709767A KR 100380004 B1 KR100380004 B1 KR 10038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antimony
fluoride
reactor
pentafluoropropa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199A (ko
Inventor
다츠오 나카다
다카시 시바누마
아키노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0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8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M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화학식 1)
CX3CH2CHX2
(다만, 이 화학식중의 X는 플루오르원자 또는 염소원자이고, 모든 X는 동시에 플루오르원자 일수는 없다)
로 표시되는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 염화프로판의 적어도 일종을 플루오르화 염화안티몬과 반응하게 하여,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얻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CFC나 HCFC의 대체화합물로 되고 오존층 중의 오존을 파괴하지 않는 발포제, 냉매, 세정제, 분사제로서 산업상 중요한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경제적인 동시에 수율이 우수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1,1,1,3,3-PENTAFLUOROPROPANE}
본 발명은, CFC나 HCFC의 대체화합물로 되고, 오존층중의 오존을 파괴하지 않는 발포제, 냉매, 세정제, 분사제로서 산업상 중요한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이하, HFC-245fa라 칭한다)의 제조방법으로서는, 4염화탄소와 염화비닐리덴과의 부가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1,1,1,3,3,3-헥사클로로프로판을 플루오르화하여, 1,1,1,3,3-펜타플루오로-3-클로로프로판을 얻고, 더욱더, 이를 수소 환원함으로써 HFC-245fa를 얻는 방법(WO 95/04022)이나, 1,1,1, 3,3-펜타플루오로-2,3-디클로로프로판, 1,1,1,3,3-펜타플루오로-2,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수소환원하여 HFC-245fa를 얻는 방법(EP 0611744)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어느 방법도, 염화물을 플루오르화하여 전구체를 얻는 플루오르화공정과, 얻어진 화합물을 수소환원하는 환원공정이라하는 2개의 공정이 필요로 되고, 공업적으로 공정이 길기 때문에, 경제성이 뒤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더, 플루오르화공정에서 생기는 플루오르화수소(이하, HF라 칭함)는, HFC- 245fa와 거의 1:1몰의 최저공비(azeotropic) 조성물을 형성하므로, 반응계내에 HF가 존재하면 미반응의 HF는, 생성한 HFC-245fa와 공비조성물을 형성하여, HFC -245fa와 함께 계외로 증류제거된다.
이 HF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HFC-245fa로부터 분리되고, 회수 또는 폐기된다. 즉, 분액조작에 의하여 HF의 분리가 행해지지만, HF가 많은 경우에는, 이 공비물은 분액할 수 없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하여 금번 분명하게 되었다.
또, 수세등의 경우, 공비물에 포함되는 HF는 그대로 폐기되므로, 이 계에서는 HF의 로스가 크게 된다. 또, 추출 등의 방법도 가능하지만, HF가 많을때에는, 그의 회수에 코스트를 요하고, 경제성이 저하한다.
기타의 공지의 HFC-245fa의 제조방법으로서는, 4염화탄소와 염화비닐과의 부가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을 플루오르화촉매의 존재하, HF로 플루오르화하여 HFC-245fa를 얻는 방법(WO 96/01797)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생성한 HFC-245fa와 미반응의 HF가 공비조성물을 구성하기 때문에, 상기한 이유에 의하여 그의 분리가 곤란하고 정제하는데 쓸데없는 코스트가 들고,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라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CFC나 HCFC의 대체화합물로 되고, 오존층중의 오존을 파괴하지 않는 발포제, 냉매, 세정제, 분사제로서 산업상 중요한 HFC-245fa의 경제적인 동시에 선택율이 우수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거하여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반응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반응기2: 제2반응기3: 분리기
4: 출발원료5: 플루오르화수소6: 불순물
7: 목적물(HFC-245fa)8: 부생성물
9: 반응생성물10: 플루오르함유량이 저하한 플루오르화 염화안티몬
11: 활성화(재생)된 플루오르화 염화안티몬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FC-245fa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히,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을 플루오르화수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으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과 반응시킴으로써 HFC-245fa를 용이하게 생성하고, 또, 이 플루오로화 염화안티몬중의 플루오르의 함유율을 유지하는 것과, 반응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높은 선택율로 HFC- 245fa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원료인 염화물로부터 플루오르화 공정만으로(수소환원공정도 없이), HFC-245fa가 경제적이고 동시에 고수율로 얻어지는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화학식:
CX3CH2CHX2
(다만, 이 화학식중의 X는 플루오르원자 또는 염소원자이고, 모든 X는 동시에 플루오르원자인 경우는 없다)로 표시되는 플루오르화 염화프로판 및 염화프로판의 적어도 1종을, 플루오르화 염화안티몬과 반응시켜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얻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HFC-245fa)을 제조하는 경우, 특히, 반응계내에 HF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HFC-245fa는 HF와 거의 1:1몰의 최저공비혼합물을 형성하고, 반응계내에 HF가 존재하면, 미반응의 HF는 생성한 HFC-245fa와 공비물을 형성하여 HFC-245fa와 함께 계외로 증류제거되지만, 이 HF가 많은 경우에는 이 공비물은 분액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여졌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계내에 HF를 존재시키지 않고, 플루오르화 염화안티몬(반응조건에서는 액체)을 플루오르공급원으로서 반응을 행함으로써, 생성물로서 얻어지는 HFC-245fa(반응조건에서는 액체)는, 실질적으로 HCl 및 HF를 포함하지 않는 유기조성물로서 얻어지고, 더욱더 효율적으로 HFC-245fa를 얻을수가 있고, 동시에, HF의 분리, 회수 또는 폐기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제로서는, 5염화안티몬 또는 3염화안티몬을 플루오르화하여 얻어지는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안티몬이 5가 또는 3가인 플루오르화안티몬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은, 반응기등의 재질을 선택하면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에 사용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은,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플루오르함유량이 저하하므로, 그의 플루오르함유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플루오르화수소에 의하여 플루오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물(HFC-245fa)을 생성하는 제1반응기(1)와는 별도로 제2반응기(2)를 설치하고, 플루오르함유량이 저하한 제1반응기(1)내의 (반응에 제공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10)을 제2반응기(2)로 유도하고, 여기서 플루오르화수소(5)를 첨가하여 재생하고, 이 재생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11)을 제1반응기(1)로 되돌리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의 재생은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반응기내에서 HFC-245fa의 생성반응과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의 재생반응과를 번갈아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용매를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반응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촉매(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에 대하여 불활성인 것이면 용매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반응시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50∼200 ℃가 바람직하고, 60∼18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반응시의 압력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기압으로부터 30kg/cm2G가 바람직하고, 대기압으로부터 20kg/cm2G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반응생성물은, 반응의 조건에 의하여 변화하지만, 원료로서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240fa)를 출발원료로 할 때에는 HFC- 245fa외에 플루오르화가 불충분한 생성물인 플루오로테트라클로로프로판(HCFC- 241, 이성체를 포함), 디플루오로트리클로로프로판(HCFC-242, 이성체를 포함함), 트리플루오로디클로로프로판(HCFC-243, 이성체를 포함함), 테트라플루오로클로로프로판(HCFC-244, 이성체를 포함함)등이 얻어진다.
이들의 플루오르화가 불충분한 생성물은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플루오르화반응기로 리사이클할 수가 있다. 도 1에 있어서, 이와 같은 생성물(8)은, 바람직하게는 반응혼합물(9)중에서 분리기(3)로 분리하고, 플루오르화 반응용기인 제1반응기(1)로 리사이클시킴으로써,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플루오르화반응기(1)에 분류탑을 설치하고, 목적생성물인 HFC-245fa를 분리하고, 이것보다도 끓는점이 높은 플루오르화의 불충분한 부생성물을 직접 반응기(1)로 되돌린다라는 방법이므로 리사이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출발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은, 4염화탄소와 염화비닐과의 부가반응에 의하여 용이하게 얻어진다(「Journal of Mole-cular Catalysis」Vol, 77, 51면, 1992년 및 「공업화학 잡지」72권, 7호, 1526면, 1969년).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반응의 형태로서는, 필요한 원료를 사입한 후, 반응을 행한후, 생성물 등을 회수하는 배치(회분)방식, 한쪽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사입해가는 세미배치방식, 원료를 연속적으로 사입하고, 생성물등을 연속적으로 빼내는 연속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반응장치의 일례의 개략 흐름도이다. 플루오르화 반응을 행하는 제1반응기(1)중에서 생성한 화합물(9)은 분리기(3)중에서 목적생성물(7)과 부생성물(8)로 분리되고, 이 부생성물(8)은 제1반응기(1)로 되돌린다(리사이클된다). 또, 제1반응기(1)에는 적당히 출발원료(4)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더, 제1반응기(1)내에서 플루오르 함유량이 저하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10)은, 그의 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반응기인 제2반응기(2)내에서 활성화(재생)되어 그의 플루오르함유량을 유지하고, 이 재생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11)을 제2반응기(2)로 되돌릴 수가 있다.
이 제2반응기(2)에는 플루오르화수소(5)를 보충하고, 발생한 HCl등의 불순물(6)을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방법외에, 분리기(3)로 목적물인 HFC-245fa를 꺼내지 않고, 부생성물(8)과 함께 제1반응기로 되돌려서, 목적생성물의 선택율이 올라갈때까지 이 조작을 반복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냉각기가 달린 500㎖ 오토클레이브에 SbCl2F3를 249.5g(1.0몰)넣고, 이를 80 ℃로 유지하였다. 냉각기는 실온(20℃)으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을 2시간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3.8g 이었다. 또 생성가스중에는 약간의 HCl(0.03g이하), HF (0.03g이하)가 존재할 뿐이었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분석을 하였다. 사용한 기기는 시마즈 GC 14A(시마즈 제작소제)이고, 칼럼으로서 Porapack Q(GL 사이엔스사제)를 충전한 3m의 것을 사용하고 온도조건을 100℃, 4분동안 10℃/min로 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내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2% CF3CH=CHF
10.62분 74.8% CF3CH2CHF2(HFC-245fa)
13.65분 0.5% CF3CH=CHCl
15.39분 4.3% CF3CH2CHFCl
17.71분 3.2% CF3CCl=CHCl
20.14분 17.0% CF3CH2CHCl2
CF3CH=CHCl, CF3CH2CHFCl, CF3CH2CHCl2는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이 리사이클에 의한 반응생성물을 포함시키면, 선택율 95.5%로 목적물인HFC-245fa가 얻어졌다.
실시예 2
냉각기가 달린 500㎖ 오토클레이브에 SbCl2F3를 249.5g(1.0몰)넣고, 이를 100 ℃로 유지하였다. 냉각기는 실온(15℃)으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을 2시간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4.6g이었다. 또 생성가스중에는 약간의 HCl(0.03g이하), HF(0.03g이하)가 존재할 뿐이었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상기와 동일하게하여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2% CF3CH=CHF
10.62분 80.8% CF3CH2CHF2(HFC-245fa)
13.65분 0.5% CF3CH=CHCl
15.39분 3.3% CF3CH2CHFCl
17.71분 5.2% CF3CCl=CHCl
20.14분 10.0% CF3CH2CHCl2
CF3CH=CHCl, CF3CH2CHFCl, CF3CH2CHCl2는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이 리사이클에 의한 반응생성물을 포함시키면, 선택율 93.7%로 목적물인 HFC-245fa가 얻어졌다.
실시예 3
냉각기가 달린 500㎖ 오토클레이브에 SbCl3F2를 266.0g(1.0몰), 및 SbF3를59.5g(0.33몰)넣고, 이를 80 ℃로 유지하였다. 냉각기는 실온(25℃)으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를 2시간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3.5g 이었다. 또 생성가스중에는 약간의 HCl(0.03g이하), HF (0.03g이하)가 존재할 뿐이었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2% CF3CH=CHF
10.62분 76.7% CF3CH2CHF2(HFC-245fa)
13.65분 0.7% CF3CH=CHCl
15.39분 4.3% CF3CH2CHFCl
17.71분 3.1% CF3CCl=CHCl
20.14분 15.0% CF3CH2CHCl2
CF3CH=CHCl, CF3CH2CHFCl, CF3CH2CHCl2는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이 리사이클에 의한 반응생성물을 포함시키면, 선택율 95.9%로 목적물인 HFC-245fa가 얻어졌다.
실시예 4
냉각기가 달린 500㎖ 오토클레이브에 SbCl3F2를 266.0g(1.0몰)넣고, 이를 80 ℃로 유지하였다. 냉각기는 실온(20℃)으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를 2시간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2.3g 이었다. 또 생성가스중에는 약간의 HCl(0.03g이하), HF (0.03g이하)가 존재할 뿐이었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2% CF3CH=CHF
10.62분 54.8% CF3CH2CHF2(HFC-245fa)
13.65분 0.5% CF3CH=CHCl
15.39분 4.4% CF3CH2CHFCl
17.71분 13.3% CF3CCl=CHCl
20.14분 26.8% CF3CH2CHCl2
CF3CH=CHCl, CF3CH2CHFCl, CF3CH2CHCl2는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이 리사이클에 의한 반응생성물을 포함시키면, 선택율 80.5%로 목적물인 HFC-245fa가 얻어졌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반응후, 반응기내를 감압하고, 계내에 잔존하는 유기물을 제거하였다. 그후, 반응기내에 HF20g(1.0몰)을 도입하였다. 더욱더, 반응기내의 온도를 80℃로 하고, 생성한 HCl를 제거하였다.
그후, 냉각기가 달린 500㎖ 오토클레이브에 SbCl2F3를 249.5g(1.0몰)넣고, 이것을 80℃로 유지하였다. 냉각기는 실온(20℃)에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 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을 2시간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드라이아이스-아세톤 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4.1g이었다. 또 생성가스중에는 약간의 HCl(0.03g이하),HF(0.03g이하)가 존재할 뿐이었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에 표시한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1% CF3CH=CHF
10.62분 75.9% CF3CH2CHF2(HFC-245fa)
13.65분 0.3% CF3CH=CHCl
15.39분 3.5% CF3CH2CHFCl
17.71분 3.2% CF3CCl=CHCl
20.14분 17.0% CF3CH2CHCl2
CF3CH=CHCl, CF3CH2CHFCl, CF3CH2CHCl2는 상기 오토클레이브에 리사이클할 수 있으므로, 이 리사이클에 의한 반응생성물을 포함시키면, 선택율 95.5%로 목적물인 HFC-245fa가 얻어졌다.
이 예에서는, HF로 처리함으로써, SbCl2F3의 플루오르함유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비교예 1
냉각기달린 500㎖ 오토클레이브 SbCl5를 29.9g(0.1몰)넣어 드라이아이스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HF를 200g(10.0몰)을 도입하고, 생성하는 HCl를 제거하면서 서서히 온도를 올려, 80℃로 하였다. 냉각기는 실온(20℃)으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 43.3g(0.2몰)을 2시간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상압에서 생성한 가스를 수세후에 드라이아이스-아세톤트랩으로 포집하였다. 수세탑은 중화후, 플루오르이온을 측정하고, 동반하는 HF량을 구하였다.
이 포집된 유기물은 22.6g이었다. 이것과 동시에 HF가 3.2g(0.16몰)얻어졌다.
이 포집한 유기물을 상기와 같이하여 기상-고상 크로마토그래피(GLC)분석을 하였다. 이 결과를 이하에 표시한다.
유지시간 생성비율(피크면적비) 생 성 물
8.64분 0.1% CF3CH=CHF
10.62분 98.4% CF3CH2CHF2(HFC-245fa)
13.65분 0.5% CF3CH=CHCl
15.39분 0.3% CF3CH2CHFCl
17.71분 0.2% CF3CCl=CHCl
20.14분 0.5% CF3CH2CHCl2
이 비교예 1에서는 HFC-245fa와 HF와는, 공비혼합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류로 이들을 분리할 수는 없고, 또 이들은 균일상으로 되기 때문에, 분액등으로 분리 할 수도 없었다.
이상의 각 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에 의하여 고선택율로 목적물(HFC-245fa)가 얻어지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사용하는 촉매도, 플루오르화가 충분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이 알맞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화학식:
(화학식 1)
CX3CH2CHX2
(다만, 이 화학식중의 X는 플루오르원자 또는 염소원자이고, 모든 X는 동시에 플루오르원자인 경우는 없다.)
로 표시되는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 염화프로판의 적어도 1종(본 실시예의 출발원료로서는, 특히, 1,1,1,3,3-펜타클로로프로판)을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과 반응시킴으로써, 높은 선택율로 HFC-245fa가 얻어지고, 또, 반응계로부터 효율좋게 생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그 결과, 제조공정 및 정제공정이 간략화됨으로써, 출발원료인 플루오르염화프로판 및/또는 플루오르화프로판으로부터,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촉매로 한, 플루오르화공정만으로, 게다가 수소환원공정도 없이, HFC-245fa를 경제적인 동시에 고수율로 얻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5)

  1. 화학식 1:
    (화학식 1)
    CX3CH2CHX2
    (단, 이 화학식중의 X는 플루오르 원자 또는 염소 원자이고, 모든 X는 동시에 플루오르 원자인 경우는 없다.)
    로 표시되는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 염화프로판의 적어도 일종을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과 반응시켜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얻는데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상기 반응에 제공한 후에, 그 반응 후의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플루오르화수소로 플루오르화하여, 그 플루오르 함유량을 유지하고, 이 플루오르 함유량의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상기 반응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으로서, 안티몬이 5가 또는 3가인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 혹은 이들 양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또는 염화프로판을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과 반응기중에서 반응시켜, 이 반응에서 생긴 반응부생성물을 상기 반응기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또는 염화프로판을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과 반응기중에서 반응시켜, 이 반응에서 생긴 생성물로부터 목적물인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분리하고, 반응부생성물을 상기 반응기중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염화프로판 및/또는 염화프로판과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반응하게 하여 목적물인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을 얻는 제1반응기로부터 상기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반응에 제공한 후에 빼내고, 이 빼내어진 플루오르화염화안티몬을 제2반응기에서 플루오르화수소로 플루오르화한 후에 상기 제1반응기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KR10-1998-0709767A 1996-05-31 1997-03-21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80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60776 1996-05-31
JP16077696A JP3518169B2 (ja) 1996-05-31 1996-05-31 1,1,1,3,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99A KR20000016199A (ko) 2000-03-25
KR100380004B1 true KR100380004B1 (ko) 2003-09-19

Family

ID=1572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0004B1 (ko) 1996-05-31 1997-03-21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6682B1 (ko)
EP (1) EP0919528B1 (ko)
JP (1) JP3518169B2 (ko)
KR (1) KR100380004B1 (ko)
CN (1) CN1150146C (ko)
DE (1) DE69717115T2 (ko)
ES (1) ES2186872T3 (ko)
WO (1) WO1997045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1765A3 (fr) * 1998-02-26 2000-01-11 Solvay Procede d'hydrofluoration d'hydrocarbures.
GB0021618D0 (en) * 2000-09-02 2000-10-18 Ici Plc Production of hydrofluoroalkanes
US6475971B2 (en) * 2001-01-24 2002-11-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 of 1,2-dichloro-3,3,3-trifluoropropene and hydrogen fluoride composition
US7094936B1 (en) * 2001-07-20 2006-08-22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halogenated alkanes
US20030028057A1 (en) * 2001-07-20 2003-02-06 Stephen Owens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US7279451B2 (en) * 2002-10-25 2007-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ine substituted olefins
US6759381B1 (en) * 2003-05-06 2004-07-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chloro-1,3,3,3-tetrafluoropropane and 1,2-dichloro-3,3,3-trifluoropropene
US20070106099A1 (en) * 2005-11-10 2007-05-10 Pcbu Services, Inc.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US8519200B1 (en) * 2012-02-23 2013-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ic compositions of 1,1,3,3-tetrachloro-1-fluoropropane and hydrogen fluoride
US20230234901A1 (en) * 2022-01-26 2023-07-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paration of an improved composition from 1-chloro-3,3,3-trifluoropropene (hfo-1233zd) high boiling residue by-pro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595A (en) * 1987-07-07 1989-07-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quid phase halogen exchang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ethane
US4885416A (en) * 1985-10-18 1989-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402990A (pt) * 1983-06-23 1985-05-28 Du Pont Processo continuo para fluoretar haloalcanos
CA2026565C (en) 1989-02-02 1998-11-17 Shinsuke Morikawa Process for producing a 2,2-difluoropropane
JP2717091B2 (ja) * 1989-02-06 1998-02-18 旭硝子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メチレン基を有するプロパンの製造方法
ES2104521T3 (es) 1994-07-11 1999-05-01 Allied Signal Inc Proceso para la fabricacion de 1,1,1,3,3-pentafluoropropano.
FR2724928B1 (fr) * 1994-09-26 1996-10-31 Atochem Elf Sa Synthese de 1,1,1,3,3-pentafluoropropane
JPH08239334A (ja) * 1995-03-03 1996-09-17 Central Glass Co Ltd 1,1,1,3,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5416A (en) * 1985-10-18 1989-1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ion process
US4851595A (en) * 1987-07-07 1989-07-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quid phase halogen exchang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eth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115D1 (de) 2002-12-19
US6316682B1 (en) 2001-11-13
EP0919528A4 (en) 1999-09-08
JPH09323946A (ja) 1997-12-16
EP0919528B1 (en) 2002-11-13
DE69717115T2 (de) 2003-07-10
CN1224410A (zh) 1999-07-28
WO1997045388A1 (fr) 1997-12-04
EP0919528A1 (en) 1999-06-02
ES2186872T3 (es) 2003-05-16
JP3518169B2 (ja) 2004-04-12
CN1150146C (zh) 2004-05-19
KR20000016199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4936B1 (en) Process for preparing halogenated alkanes
EP2429977B1 (en) Process for preparing chlorine-containing fluorocarbon compound
KR100240375B1 (ko)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 제조방법
US20080154072A1 (en) Production Vessel Mixtures
US576370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3,3-pentafluoropropane and 1,1,1,3,3,3-hexafluoropropane
KR101919552B1 (ko) 2-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의 저온 제조
US20080045758A1 (en) Halocarbon production processes, halocarbon separation processes, and halocarbon separation systems
EP0940382A1 (en) Azeotrope of HF and 1,1,1-trifluro-3-chloro-2-propene
KR20140129165A (ko) HCFC-1233zd의 제조 방법
KR100380004B1 (ko)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JP3279449B2 (ja) フッ化水素及びジフルオロメタンの分離方法
EP1628943A2 (en) Method of making hydrofluorocarbons
US6555086B2 (en) Hydrogen fluoride recovery process
KR100296464B1 (ko)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의제조방법
EP1277720B1 (en) Fluorination of 1,1,1,3,3-pentachloropropane
US641741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alogenated ethanes
CA2261190A1 (en) Removal of water from process streams
JP2661489B2 (ja) 高沸点ハロゲン化炭化水素とフッ化水素の分離方法
WO2023141794A1 (en) Preparation of an improved composition from 1-chloro-3, 3, 3-trifluoropropene (hfo-1233zd) high boiling residue by-product
JPH11180907A (ja) 1,1,1,3,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の製造方法
US5434320A (en) Process for preparing dichlorofluoroethane and chlorodifluoroethane
JPH02207043A (ja) ジフルオロメチレン基を有するプロパンの製造法
HK1151276A1 (en) Methods of making chlorinated hydrocarbons
HK1151276B (en) Methods of making chlorinated hydrocarbons
HK1201820B (en) Methods of making chlorinated hydrocar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0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117

Appeal identifier: 2002101003724

Request date: 2002100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10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01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3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21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