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9686B1 -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686B1
KR100379686B1 KR1019950036341A KR19950036341A KR100379686B1 KR 100379686 B1 KR100379686 B1 KR 100379686B1 KR 1019950036341 A KR1019950036341 A KR 1019950036341A KR 19950036341 A KR19950036341 A KR 19950036341A KR 100379686 B1 KR100379686 B1 KR 10037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detector
elevator
time
door zone
tr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27A (ko
Inventor
김지헌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1995003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686B1/ko
Priority to MYPI96004332A priority patent/MY123766A/en
Priority to CN96121180A priority patent/CN1071702C/zh
Priority to JP8297035A priority patent/JP2738393B2/ja
Publication of KR97002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장치의 고장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검출장치의 동작시간을 체크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여 일정시간 이상 위치검출기가 온되어 있을 경우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고 위치검출기가 고장검출시간 이내에 다시 오프되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횟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위치검출기가 온되는 시간이 도어존 플레이트 통과시간보다 적을때 이를 카운트하였다가 실제의 도어존 갯수와 비교하여 상이할 시에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횟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엘리베이터 카의 출발시에 일정시간이내에 도어존을 탈출하지 않을때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기 고장판단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장치의 고장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검출장치가 각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동작시간을 체크하여 고장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기 고장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1)와 균형추(6)는 시이브(5)에 로프로 연결되어 있고, 모터(7)를 구동하여 시이브(5)를 회전시킴으로써 카(1)가 운행된다.
이때, 모터(7)의 회전에 따라 계수기(8)로부터 출력된 펄스는 거리 카운터(9)를 통해 카운트된 후 제어반(10)으로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어반(10)은 카(1)의 이동거리를 연산하게 된다.
한편, 카(1)가 목적층에 도착하여 문을 열 수 있는 구간 즉, 도어존(door zone)을 안전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를 설치하고, 이 플레이트(2)를 검출하기 위하여 카(1)에 위치검출기(3)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검출기(3)의 위치검출상태를 제어반(10)이 읽어들여 카(1)의 도어를 안전하게 열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반(10)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의 층위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램(RAM)(15)과, 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14)과, 외부기기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2),(13)와,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씨피유(11)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반(10)은 거리 카운터(9)에 의해 검출된 카(1)의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타를 이용하여 카(1)의 현재 위치가 목적층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검출할 수 있는데, 특히 목적층 전 일정구간(여기서는 예를들어 1050mm ∼ 1350mm로 한다)에서 위치검출기(3)가 정상상태라면 온(ON)되지 않아야 되지만, 만일 온되어 있다면 위치검출기(3)가 고장상태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경우에 위치검출기가 온되어 있어서는 안되는 일정구간을 체크하여 그 구간에서 위치검출기의 온상태에 따라 고장유무를 판별하므로, 목적층이 잘못 설정되어 있거나 카의 현재 위치를 잘못 인식하는 경우에는 위치검출기의 고장체크를 무효로 하게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기 보다는 고장 체크의 공백이 생기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카의 위치검출기가 각층의 플레이트를 통과할때마다 그 위치검출기의 동작시간을 직접 검출함으로써 안정성이 뛰어난 고장체크를 행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기 고장판단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여 일정시간 이상 위치검출기가 온되어 있을 경우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고 상기 위치검출기가 고장검출시간 이내에 다시 오프되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검출기가 온되는 시간이 도어존 플레이트 통과시간보다 적을때 이를 카운트하였다가 실제의 도어존 갯수와 비교하여 상이할 시에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엘리베이터 카의 출발시에 일정시간이내에 도어존을 탈출하지 않을때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승객이 윗층으로 갈 것인가 또는 아랫층으로 갈 것인가하는 원하는 방향의 콜(call)를 등록시키면, 제어반(10)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 인터페이스(12)를 통하여 씨피유(11)로 전달되고, 이는 램(15)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씨피유(11)는 이를 처리하여 모터(7)에 기동지령을 줌으로써 엘리베이터 카(1)는 현재의 층에서 목적층까지 이동하게 되며, 목적층까지 이동하는 동안의 도어존의 갯수에 대한 상태는 위치검출기(3)에서 펄스형태로 검출되어 제어반(10)에 입력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제어의 한 루프는 정확히 100ms가 걸리게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1)가 전속으로 이동하고 있을때에는 출발층과 목적층사이에 있는 각 층의 도어존 통과시간은 최소가 되며, 이의 시간을 구해보면 다음식(1)과 같다.
전속시는 카(1)가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 분당 240m를 이동한다고 하면,
여기서, S 는 도어존 플레이트의 길이.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카(1)의 전속 이동시는 제어 루프주기로 본다면 9주기정도 소요된다.
그러나, 가속이나 감속시에는 전속시보다 속도가 느려지므로 일정시간(최소속도의 100배정도 즉, 0.0875 × 100 = 8.75s , 약 9초이므로 900주기 정도)이상 위치검출기(3)가 온되어 있다면 고장처리하여 고장등을 점등시킨다.
한편, 카(1)가 플레이트(2)를 지나는 속도의 계산은 하기 식(2)에 나타낸다.
일정 가속도식을 정리하면
이때, 플레이트(2)를 지나는 속도는
이 식(2)를 이용하여 플레이트(2)를 통과하는 시간을 구해보면
이때, 안정성 확보를 위해 이 시간의 2배 즉, 0.35s를 위치검출기(3)의 고장측정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위치검출기(3)의 온시간이 고장측정시간(0.35s)보다 적은시간동안 온이 되었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다면 경고등을 통하여 고장경고를 발생하고, 그의 회수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발생하면 그 위치검출기(3)를 고장처리하여 고장등을 점등시킨다.
또한, 카(1)가 플레이트(2)를 전속으로 지나는 시간 즉, 0.0875s 보다 적은 시간동안 위치검출기(3)가 온된다면 이 역시 고장경고신호를 발생하여 경고등을 점등하고, 그의 회수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지속되면 고장처리하여 고장등을점등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을 제 3 도를 참조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속자동운전중이 아니거나 정지중에는 위치검출기(3)의 고장유무를 체크하지 않고, 도어존 내에 카(1)가 위치하지 않는다면 기 검출된 데이타를 초기화 시킨다.
이후, 카(1)가 출발층 도어존에서 적어도 일정시간 즉, 8초이내에 탈출해야 하므로 탈출하기전까제는 오프타임(OFFTIME)을 하나씩 감소시켜 나가다가 일정시간안에 도어존을 탈출하지 못하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고장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이유는 모터(7)가 기동은 하였으나 카(1)가 실제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때는 위치검출기(3)가 고장이 아닐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카(1)가 출발층을 떠나 어느층의 도어존에 진입하면 이때 온타임(ONTIME)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즉, 9초이상 계속 위치검출기(3)가 온되어 있으면 고장처리하게 된다.
이때, 일정시간보다 짧게 온된후 오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감시원이 수리를 할수 있게 하고, 이런 경고신호가 계속 누적되어 일정회수(ONOFF > 5)된 이르면 고장처리한다.
또한, 상기 온타임(ONTIME)이 1일때는 도어존에 바로 진입한 상태이므로 이를 카운트(DZSU를 증가 ; 여기서 DZSU는 도어존의 갯수)하면 카(1)의 이동중 몇개의 도어존을 통과했는지를 알 수 있고, 아주 짧은 시간동안 위치검출기(3)가 온되었다가 오프되었을 경우에도 DZSU가 증가하므로, 이 경우에는 출발층에서 목적층을뺀 만큼의 도어존수와 비교하여 경고신호 및 고장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출발층-목적층을 절대값으로 처리한 것은 카(1)의 하향이동시에 대하여 고려한 것이며, 한 층만 이동시에는 DZSU가 0의 값을 가지게 되므로 층(FL)의 값에서 1을 뺀 값을 비교하게 되고, 2개층 이상이동시에는 출발층에서 목적층을 뺀 값이 DZSU와 2개층의 차이가 나므로 FL-2와 이를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회수를 카운트(즉, OVER를 증가)하여 일정회수에 이르게 되면 고장신호를 발생하고, 이르지 않았다면 경고신호를 발생하여 수리에 도움을 주게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위치검출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지 않고 그 위치 검출기의 동작시간을 직접검출하여 고장체크를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 제어반의 내부 구성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기 고장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 2 : 플레이트
3 : 위치 검출기 4 : 정지층 상
5 : 시이브 6 : 균형추
7 : 모터 8 : 계수기
9 : 거리 카운터 10 : 제어반

Claims (2)

  1.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여 일정시간 이상 위치검출기가 온되어 있을 경우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에 진입하고 위치검출기가 고장검출시간 이내에 다시 오프되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검출기가 온되는 시간이 도어존 플레이트 통과시간보다 적을때 이를 카운트하였다가 실제의 도어존 갯수와 비교하여 상이할 시에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이를 카운트하여 소정회수 이상 발생시는 고장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발시에 일정시간이내에 도어존을 탈출하지 않을때는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검출기 고장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검출기의 고장검출시간은 엘리베이터 카가 도어존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시간의 2배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기 고장판단 방법.
KR1019950036341A 1995-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KR10037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41A KR100379686B1 (ko) 1995-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MYPI96004332A MY123766A (en) 1995-10-20 1996-10-18 Error judgement method for elevator car position detector
CN96121180A CN1071702C (zh) 1995-10-20 1996-10-20 用于电梯轿厢位置检测器的误差判断方法
JP8297035A JP2738393B2 (ja) 1995-10-20 1996-10-21 エレベータ位置検出器の故障判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41A KR100379686B1 (ko) 1995-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27A KR970020927A (ko) 1997-05-28
KR100379686B1 true KR100379686B1 (ko) 2003-06-09

Family

ID=1943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41A KR100379686B1 (ko) 1995-10-20 1995-10-20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738393B2 (ko)
KR (1) KR100379686B1 (ko)
CN (1) CN1071702C (ko)
MY (1) MY123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910B1 (ko) * 2022-07-29 2023-01-27 이형근 호이스트 원격 관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0647B4 (de) 2004-10-18 2014-11-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e Antriebseinrichtung auf Stillstand, hiermit korrespondierende Überwachungseinrichtung und hiermit korrespondierendes Antriebssystem
JP2007112561A (ja) * 2005-10-19 2007-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345210B2 (ja) * 2009-05-19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WO2014136200A1 (ja) * 2013-03-05 2014-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かご位置検出方法
WO2014184869A1 (ja) * 2013-05-14 2014-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7140499A (zh) * 2017-06-05 2017-09-08 安徽讯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电梯安防管理系统
CN107187987A (zh) * 2017-06-05 2017-09-22 安徽讯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电梯警报管控方法
CN110371813B (zh) * 2019-07-02 2021-08-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位置显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7275A (ja) * 1983-03-25 1984-10-0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制御装置
JPH03200681A (ja) * 1989-12-28 1991-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階床位置検出装置
JPH05254748A (ja) * 1992-03-17 1993-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JPH06100253A (ja) * 1992-09-21 1994-04-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H06115837A (ja) * 1992-10-08 1994-04-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75B (zh) * 1987-04-15 1991-11-13 飞行装置及工程有限公司 用于交通工具的宽度可调座椅
JP2708989B2 (ja) * 1991-12-10 1998-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方法
JPH05338949A (ja) * 1992-06-04 1993-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FI111937B (fi) * 1993-12-28 2003-10-15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paikan määrittämiseksi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7275A (ja) * 1983-03-25 1984-10-0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制御装置
JPH03200681A (ja) * 1989-12-28 1991-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階床位置検出装置
JPH05254748A (ja) * 1992-03-17 1993-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JPH06100253A (ja) * 1992-09-21 1994-04-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H06115837A (ja) * 1992-10-08 1994-04-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910B1 (ko) * 2022-07-29 2023-01-27 이형근 호이스트 원격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740A (zh) 1997-07-09
JPH09110323A (ja) 1997-04-28
CN1071702C (zh) 2001-09-26
JP2738393B2 (ja) 1998-04-08
KR970020927A (ko) 1997-05-28
MY123766A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3996A (en) Closure system
US5107964A (en) Separate elevator door chain
US6452353B1 (en) System for detection of obstructions in a motorized door system
KR910001458B1 (ko) 이상상태하에서 자동문의 개폐동작 제어방법
KR100379686B1 (ko)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기고장판단방법
US4673062A (en) Positio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US4505360A (en) Elevator operating system
CN110167863B (zh) 用于控制电梯的方法及电梯
KR900004115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JP4087473B2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救出運転制御装置
KR19980087126A (ko)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
CN1759059A (zh) 电梯控制装置及电梯控制方法
JP259818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219843B1 (ko) 엘리베이터의 문열림위치 검출기 고장 검출장치
KR940008974B1 (ko) 엘리베이터출입문의 제어장치
JP337322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780665B2 (ja)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JP7538093B2 (ja) エレベータ用待機型ブレーキ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装置
JPH04209181A (ja) エレベータの自動救出運転装置
KR19980013835A (ko)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JP4698863B2 (ja) エレベータにおける速度検出器の異常検出装置
KR19980020043A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EP0601842A1 (en) Automated dispatcher for two-stop elevator system
JPH0625593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37147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