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9215B1 -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 Google Patents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215B1
KR100379215B1 KR10-2002-0023706A KR20020023706A KR100379215B1 KR 100379215 B1 KR100379215 B1 KR 100379215B1 KR 20020023706 A KR20020023706 A KR 20020023706A KR 100379215 B1 KR100379215 B1 KR 10037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cloth
cylindrical filter
dust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222A (ko
Inventor
정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2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2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222A/ko
Priority to US10/302,435 priority patent/US6786946B2/en
Priority to CNB021538905A priority patent/CN1199708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21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7/00Multiple 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7/30Same type of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공기의 흡입이 하우징의 상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걸러진 청정한 공기의 배출은 하우징의 하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먼지의 자유낙하 방향과 같은 순리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물론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어있는 상태에서 탈진된 먼지가 아무런 간섭이 없이 중력방향으로 자유스럽게 낙하하면서 원활히 회수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각통 형상을 이루면서 하부에 호퍼(101a)를 일체로 갖는 하우징(101)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혼합공기를 하우징(101) 내부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관(102)과, 상기 하우징(101) 내의 상부에 고정된 여과포 지지판(103)과, 상기 여과포 지지판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지지되어 하우징(101)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105)와, 상기 하우징(101)의 호퍼(101a) 하단에 설치되어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중력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라 앉았을 때 이를 수거하는 로타리 밸브(106)와,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08)과,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배출관(108)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과 함께 흡입관(102)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109)과, 상기 하우징(101) 내의 여과포 지지판(103) 상방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여과포 지지판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105) 내로 수직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110a)를 갖는 압축공기 공급관(11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1) 내의 흡입관(102) 연결부쪽에는 하우징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103)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을 다른 부분과 격리시켜 줌과 함께 흡입관(102)을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직하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104)이 고정되고,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105)의 하부에는 여러개의 원통형 여과포끼리 그룹단위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그룹단위를 이루는 여러 원통형 여과포(105)에서 먼지가 걸러지고 난 청정공기가 모아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원통형 여과포와는 별도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사각통형 여과포(107)가 일체화된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dust collector using single body-type filter box mixing circle filter box and quadrangle filter box}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먼지(Dust)가 비산 또는 확산되지 못하도록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는 집진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섬유(화학섬유, 자연섬유, 금속섬유 등)로 제작되어진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조합하여 이를 하우징 내에 구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오는 공기중의 먼지가 상기 원통형과 삭가통형 여과포에서 걸러지도록 한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각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먼지(일반먼지, 산화아연, 흄(fume), 목분, 솜, 원면(原綿), 대패밥, 곡분, 털, 연분(鉛粉) 등)를 공기와 분리하여 상기 먼지가 분리된 천정공기 만을 대기권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함에 따라 상기 대기권이 먼지로 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시설물로서, 먼지를 걸러주는 수단으로 필터를 이용하는 집진기, 여과포를 이용하는 집진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여과포를 이용하는 집진기는 원통형(Cylindrical Filter Type) 또는 봉투형(Envelope Filter Type)으로 제작되어진 복수개의 여과포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는데, 작동시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여과포를 통과한 다음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을 갖는다.
그럼 먼저 종래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사각통 형상을 이루며 하부에 호퍼(1a)를 일체로 갖는 하우징(1)이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하측을 여과 집진영역으로 상측을 청정공기 토출영역으로 각각 구획하기 위한 여과포 지지판(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의 하부분인 호퍼(1a)에는 여과 집진영역으로 혼합공기(공기+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 지지판(2)에는 흡입관(3)을 통해 하우징(1)의 여과 집진영역으로 혼합공기가 흡입되었을 때 이 흡입된 혼합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4)가 수직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의 호퍼(1a) 하단에는 각 원통형 여과포(4)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중력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라 앉았을 때 이를 수거하도록 로타리 밸브(Rotary Valve)(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의 상부분중 흡입관(3)과 반대되는 쪽에는 청정공기 토출영역으로 토출된 청정공기가 하우징(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2)의 상방인 청정공기 토출영역에는 외부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여과포 지지판(2)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4) 내부로 수직 공급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7a)를 일체로 갖는 압축공기 공급관(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6)의 끝단에는 배출관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과 함께 흡입관(3)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송풍팬(8)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를 사용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설치할 때에는 하우징(1)을 지지면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의 하부분인 호퍼(1a)에 고정된 흡입관(3)의 끝단을 후드(Hood)와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출관(6)에 설치된 송풍팬(8)이 작동하면 우선적으로 하우징(1) 내의 공기가 배출관(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하우징(1) 내부는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먼지발생원으로 부터 발생된 혼합공기가 후드와 연결된 흡입관(3)을 통해 하우징(1)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하여 하우징(1) 내부로 혼합공기가 흡입되면 이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일부가 곧바로 하방인 중력방향으로 침강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호퍼(101a)에 모아지지만 대부분의 먼지는 공기에 실려 배출관(6)이 고정되어 있는 상방으로 이동하다가 여과 집진영역에서 여과포 지지판(2)에 지지된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4)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에서 걸러지게 되므로 여과포 지지판(2)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4)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임을 감안할 때 하우징(1)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2)의 상부분인 청정공기 토출영역으로는 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만이 토출되고, 상기 청정공기 토출영역 내의 청정공기는 배출관(6)에 설치된 송풍팬(8)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인해 상기 배출관(6)을 통해 하우징(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다 보면, 각 원통형 여과포(4)에 많은량의 먼지가 달라 붙게되므로 어느 순간부터는 하우징(1) 내부의 과다 압력손실로 인해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배출관(6)에 설치된 송풍팬(8)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심할 경우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각 원통형 여과포(4)에 고압(약 4∼7㎞/㎠)의 공기를 주기적(3∼6분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를 탈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신호에 의해 하우징(1)의 외부에 구비된 공기압축기(9)가 작동하여 공기를 압축하면 이 압축된 고압의 공기는 압축공기 공급관(7)을 통해 하우징(1) 내의 청정공기 토출영역으로 공급된 다음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7)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구(7a)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분사되고, 이 수직 분사된 고압의 공기는 여과포 지지판(2)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4)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므로 결국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어 있던 먼지가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으로 인해 탈진되어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하게 됨에 따라 이후 일정시간 동안까지는 하우징(1) 내부의 과다 압력손실이 없어 집진효율이 떨어지거나 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각 원통형 여과포(4)에 의해 탈진되어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하는 먼지는 대부분 가라 앉게되면서 하우징(1)의 하부인 호퍼(1a)에 일단 모아진 다음 상기 하우징(1)의 호퍼(1a) 하단에 설치된 로타리 밸브(5)에 의해 수거되지만 상기 원통형 여과포(4)에서 탈진된 일부 먼지는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하는 과정에서 흡입관(3)을 통해 하우징(1) 내로 계속 흡입되는 혼합공기와 교차하여 분열을 일으키게 되면서 재비산된 후 혼합공기중의 먼지와 함께 다시 각 원통형 여과포(4)에 달라 붙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는 혼합공기의 흡입이 하우징의 하부에서 이루어 짐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걸러진 청정한 공기의 배출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이루어 지는 구조이므로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먼지의 자유낙하 방향인 중력방향과 반대인 역순리방향으로 이루어 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하우징 내의 각 원통형 여과포에 걸러져 달라 붙어 있던 먼지를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탈진하였을 때 상기 탈진된 먼지의 일부가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되지 못하고 재비산되면서 다시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게되므로 여과기능 및 먼지 회수능력의 저하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먼지 농도가 증가됨은 물론 압력손실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각 원통형 여과포의 수명이 단축된다.
둘째, 각 원통형 여과포에 걸러져 달라 붙어 있는 먼지를 탈진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가 각 원통형 여과포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압 분사될 때 이 분사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상태에서 배출을 위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와 간섭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에 붙어 있는 먼지중 특히 아랫부분의 먼지가 원활하게 탈진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이러한 현상은 원통형 여과포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인해 각 원통형 여과포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지 못하고 짧게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소기의 집진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본체의 수평면적을 넓게하여 원통형 여과포의 갯수를 늘릴수 밖에 없어 결국 집진기의 설치에 따른 부지의 점유 면적이 증가된다.
셋째, 배출관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 및 흡입관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이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출력 및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을 대용량으로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부품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전체적인 제작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종래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는 여과포 지지판에 지지되어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걸러지는 각 원통형 여과포의 하단이 받쳐지지 않은 상태로 있으므로 혼합공기의 하우징 내부 흡입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후 먼지가 걸러진 청정공기의 하우징 외부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가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심하게 흔들려 안정을 이루지 못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혼합공기의 흡입이 하우징의 상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걸러진 청정한 공기의 배출은 하우징의 하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먼지의 자유낙하 방향과 같은 순리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는 물론 여과포에 달라 붙어있는 상태에서 탈진된 먼지가 아무런 간섭이 없이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스럽게 낙하하면서 원활히 회수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원통형 여과포를 갖는 집진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하우징 101a. 호퍼
102. 흡입관 103. 여과포 지지판
104. 가이드판 105. 원통형 여과포
106. 로타리 밸브 107. 사각통형 여과포
108. 배출관 109. 송풍팬
110. 압축공기 공급관 110a. 분사구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통 형상을 이루면서 하부에 호퍼를 일체로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혼합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에 고정된 여과포 지지판과, 상기 여과포 지지판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지지되어 하우징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와, 상기 하우징의 호퍼 하단에 설치되어 각 원통형 여과포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중력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라 앉았을 때 이를 수거하는 로타리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과 함께 흡입관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 내의 여과포 지지판 상방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여과포 지지판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 내로 수직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를 갖는 압축공기 공급관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흡입관 연결부쪽에는 하우징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을 다른 부분과 격리시켜 줌과 함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직하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의 하부에는 여러개의 원통형 여과포끼리 그룹단위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그룹단위를 이루는 여러 원통형 여과포에서 먼지가 걸러지고 난 청정공기가 모아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원통형 여과포와는 별도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사각통형 여과포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과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 실시예는 사각통 형상을 이루면서 하부에 호퍼(101a)를 일체로 갖는 하우징(10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상부에는 먼지가 포함된 혼합공기를 하우징(101) 내의 상부로 흡입시켜 주도록 흡입관(102)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01) 내의 상부에는 여과포 지지판(103)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1) 내의 흡입관(102) 연결부쪽에는 하우징(101)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103)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을 다른 부분과 격리시켜 주도록 함과 함께 흡입관(102)을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직하방으로 안내하여 주도록 가이드판(104)이 고정되며, 상기 여과포 지지판(103)에는 하우징(101)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도록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105)가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01)의 호퍼(101a) 하단에는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이동되어 가라 앉았을 때 이를 수거하도록 로타리 밸브(Rotary Valve)(106)가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여과포(105)의 하부에는 각 원통형 여과포에 의해 먼지가 걸러지고 난 청정공기가 모아지도록 사각통형 여과포(107)가 일체로 조합되게 고정되고, 상기 사각통형 여과포의 일측에는 사각통형 여과포(107)에 모여있는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관(108)이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는 배출관(108)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과 함께 흡입관(102)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송풍팬(109)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1) 내의 여과포 지지판(103) 상방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105) 내로 수직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110a)를 갖는 압축공기 공급관(110)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에서 원통형 여과포(105)의 하부에 고정되어 각 원통형 여과포에 의해 먼지가 걸러지고 난 후의 청정공기가 모아지는 사각통형 여과포(107)는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 구성하여 각 사각통형 여과포마다 원통형 여과포(105)를 그룹단위로 여러개씩 고정하였다.
이하 본 발명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가 조합된 일체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기에 의해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가 조합된 일체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기를 사용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설치할 때에는 종래 집진기를 설치할 때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1)을 지지면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흡입관(102)의 끝단을 후드(Hood)와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출관(108)에 설치된 송풍팬(109)이 작동하면 하우징(101) 내의 공기가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105)와 상기 원통형 여과포의 하단에 일체로 조합되게 고정되어 있는 사각통형 여과포(107)를 거친 다음 배출관(10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하우징(101) 내부는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먼지발생원으로 부터 발생된 혼합공기가 후드와 연결된 흡입관(102)을 통해 하우징(101) 내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하여 하우징(101) 내부로 흡입된 혼합공기는 상기 하우징 내의 흡입관(102) 연결부쪽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104)의 간섭에 의해 직하방으로 가이드되면서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계속 이동하는데, 이때 혼합공기중의 먼지중 일부 먼지(혼합공기중의 전체 먼지중 30∼40% 정도)는 중력 및 관성력의 합세로 인해 곧바로 가라 앉게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호퍼(101a)에 모아지지만 나머지 먼지는 배출관(108)을 통한 배출력이 계속적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배출되는 공기에 실려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된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105)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105) 쪽으로 이동하는 혼합공기는 어느 순간 원통형 여과포를 통과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서 걸러지게 되므로 결국 청정한 공기만이 실제로 각 원통형 여과포(105)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 내로 들어간 청정공기는 계속해서 사각통형 여과포(107)에 모아진 다음 배출관(108)에 설치된 송풍팬(109)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인해 상기 배출관(108)을 통해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작용에서 송풍팬(109)의 회전에 의해 흡입관(102)을 통한 흡입력과 배출관(108)을 통한 배출력이 제공됨에 따라 하우징(101) 내부로 흡입된 혼합공기가 각 원통형 여과포(107) 쪽으로 이동된 후 상기 원통형 여과포에 의해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걸러질 때 일부의 혼합공기는 사각통형 여과포(107) 쪽으로 직접 이동된 후 상기 사각통형 여과포에 의해 일부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걸러짐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다 보면,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많은량의 먼지가 걸러져 달라 붙게되므로 어느 순간부터는 하우징(101) 내부의 과다 압력손실로 인해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배출관(108)에 설치된 송풍팬(109)에 부하가 걸리게 되어 심할 경우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고압(약 4∼7㎞/㎠)의 공기를 주기적(3∼6분 간격)으로 공급하여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를 탈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신호에 의해 하우징(101)의 외부에 구비된 공기압축기(111)가 작동하여 공기를 압축하면 이 압축된 고압의 공기는 압축공기 공급관(110)을 통해 하우징(101) 내의 여과포 지지판(103) 상방으로 공급된 다음 상기 압축공기 공급관(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구(110a)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분사되고, 이 수직 분사된 고압의 공기는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105)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므로 결국 각 원통형 여과포에 달라 붙어 있던 먼지가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탈진되어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하게 됨에 따라 이후 일정시간 동안까지는 하우징(101) 내부의 과다 압력손실이 없어 집진효율이 떨어지거나 하지는 않는다.
상기에서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서 탈진되어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자유낙하하는 먼지는 대부분 가라 앉게되어 하우징(101)의 하부인 호퍼(101a)에 기 모여 있던 먼지와 혼합되고, 상기 호퍼에 모여 있는 모든 먼지는 하우징(101)의호퍼(101a) 하단에 설치된 로타리 밸브(106)에 의해 수거되므로 결국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제거되면서 청정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산업현장의 주변 환경이 깨끗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 과정에서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105)는 물론 상기 원통형 여과포에서 먼지가 걸러지고 난 후의 청정공기가 모아지는 사각통형 여과포(107)는 흡입관(102)을 통한 하우징(101) 내부로의 혼합공기 흡입 및 배출관(108)을 통한 하우징(101) 외부로의 청정공기 배출로 인해 심하게 흔들릴려고 하므로 이를 방지하여 주기 위해 상기 사각통형 여과포(107)의 여러곳에 와이어(112)의 일단을 매달아 상기 각 와이어를 측방향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12)의 타단을 하우징(101)에 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본 발명 구성요소인 사각통형 여과포(107)는 실시예와 같이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서 먼지가 걸러짐에 따른 청정한 공기가 여러곳으로 그룹지어 모아지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로 분할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사각통형 여과포(107)를 고정하는 일체형 여과포의 제작과정이 편리해지도록 함은 물론 일체형 여과포가 제작된 상태에서 사각통형 여과포(107)의 형태가 완벽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105)에 사각통형 여과포(107)가 고정된 상태의 제작구조물을 하우징(101) 내의 여과포 지지판(103)에 지지시키는 조립과정의 편리성도 기대하기 위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청정공기가 독립된 여러곳의 공간에 분할된 상태로 모아진 다음 배출관(108)을 통해 배출될 경우 그 배출의 원활함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는 혼합공기의 흡입이 하우징의 상부에서 이루어 짐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먼지가 걸러진 청정한 공기의 배출은 하우징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된 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먼지의 자유낙하 방향인 중력방향과 같은 순리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 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우징 내의 각 원통형 여과포에 걸러져 달라 붙어 있던 먼지를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탈진하였을 때 상기 탈진된 먼지가 중력에 관성력이 합세한 상태로 하여 하방으로 신속히 자유낙하되므로 일부 탈진된 먼지가 재비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여과기능 및 먼지 회수능력의 향상으로 인해 하우징 내부의 먼지 농도가 감소됨은 물론 압력손실도 감소되고, 이로 인해 각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의 수명이 향상된다.
둘째, 각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가 조합된 일체형 여과포에 걸러져 붙어 있는 먼지를 탈진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가 각 원통형 여과포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고압 분사될 때 이 분사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상태에서 배출을 위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아 신속하면서도 중력방향인 하방으로 더욱 멀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각 원통형과 사각통형 여과포가 조합된 일체형 여과포의 전부분에 붙어 있는 먼지의 탈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각 원통형 여과포의 길이를 더욱 길게 연장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연장된 길이에 비례된 만큼 각 원통형 여과포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하우징 내부의 수평면적 감소로 인해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본 발명 집진기의 설치시 부지 점유 면적도 대폭 감소된다.
셋째, 배출관에 설치된 송풍팬의 용량을 필요이상 대용량으로 하지 않아도 배출관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 및 흡입관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이 원활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구입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는 여과포 지지판에 지지되어 혼합공기중의 먼지가 걸러지는 각 원통형 여과포가 그 하단에 고정된 사각통형 여과포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지므로 혼합공기의 하우징 내부 흡입 및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후 먼지가 걸러진 청정공기의 하우징 외부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하지 않고 안정을 이루게 되어 원통형 여과포의 수명연장이 가능해 진다.

Claims (2)

  1. 사각통 형상을 이루면서 하부에 호퍼를 일체로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혼합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관과,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에 고정된 여과포 지지판과, 상기 여과포 지지판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지지되어 하우징 내로 흡입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원통형 여과포와, 상기 하우징의 호퍼 하단에 설치되어 각 원통형 여과포에 의해 걸러진 먼지가 중력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라 앉았을 때 이를 수거하는 로타리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통한 청정공기의 배출력과 함께 흡입관을 통한 혼합공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 내의 여과포 지지판 상방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고압의 압축공기를 여과포 지지판에 지지된 각 원통형 여과포 내로 수직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를 갖는 압축공기 공급관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흡입관 연결부쪽에는 하우징 내부중 여과포 지지판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을 다른 부분과 격리시켜 줌과 함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혼합공기를 직하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고정되고, 상기 각 원통형 여과포의 하부에는 여러개의 원통형 여과포끼리 그룹단위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그룹단위를 이루는 여러 원통형 여과포에서 먼지가 걸러지고 난 청정공기가 모아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원통형 여과포와는 별도로 혼합공기중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사각통형 여과포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2. 삭제
KR10-2002-0023706A 2002-04-30 2002-04-30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Expired - Lifetime KR10037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06A KR100379215B1 (ko) 2002-04-30 2002-04-30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US10/302,435 US6786946B2 (en) 2002-04-30 2002-11-22 Dust collector with assembly of cylindrical and hexahedral bag filter
CNB021538905A CN1199708C (zh) 2002-04-30 2002-12-04 带有圆柱形和六面体袋式过滤器组件的集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06A KR100379215B1 (ko) 2002-04-30 2002-04-30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222A KR20020064222A (ko) 2002-08-07
KR100379215B1 true KR100379215B1 (ko) 2003-04-08

Family

ID=2772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06A Expired - Lifetime KR100379215B1 (ko) 2002-04-30 2002-04-30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6946B2 (ko)
KR (1) KR100379215B1 (ko)
CN (1) CN119970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82B1 (ko) * 2009-04-02 2009-10-06 그린컨기술주식회사 슬림형 집진기
KR102770094B1 (ko) 2024-11-06 2025-02-20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예비 챔버 및 이중화된 배기 팬을 구비한 고가용성 집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01B1 (ko) * 2002-11-29 2009-11-06 주식회사 포스코 개별 분리형 백 필터 유닛을 구비하는 집진기
DK175107B1 (da) * 2003-02-12 2004-06-01 Simatek As Filter med indlöbsdel med diffuserelementer
KR100761318B1 (ko) * 2007-03-23 2007-10-04 (주)지엔텍 원통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장치
KR100845957B1 (ko) * 2007-03-27 2008-07-11 메가티엔에스 주식회사 집진기
KR100901387B1 (ko) * 2007-11-23 2009-06-05 신용재 폐스케일 집진장치
KR100815456B1 (ko) * 2007-11-30 2008-03-20 (주)지엔텍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US7918907B2 (en) * 2008-02-29 2011-04-05 Venturedyne, Ltd. Cleaning nozzle for dust collector
US7918908B2 (en) * 2008-04-30 2011-04-05 Venturedyne, Ltd. Dust collector with equalized cleaning performance
KR100971810B1 (ko) * 2008-07-29 2010-07-22 김춘식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그
KR101006014B1 (ko) * 2008-08-21 2011-01-06 (주)제이브이엠 호퍼 청소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US9555357B2 (en) * 2010-10-14 2017-01-31 Air Dynamics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Filter chambers and self-cleaning apparatus for vacuum systems
US8888880B2 (en) * 2010-10-14 2014-11-18 Air Dynamics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Vacuum loader
DE202011002724U1 (de) * 2011-02-14 2012-02-07 Herding Gmbh Filtertechnik Filtervorrichtung, Bausatz zur Herstellung einer Filtervorrichtung und zugehöriges Filtermodul
US10023381B2 (en) 2013-01-10 2018-07-17 Black Bow Sdr, Llc Textile silica reduction system
US9084956B2 (en) * 2013-03-18 2015-07-21 Camfil Usa, Inc. Dust collector with monitor air filter
AU2014203519A1 (en) * 2013-06-27 2015-01-22 Filtercorp International Limited Improvements in or for filtration systems
CN103463896B (zh) * 2013-09-09 2016-01-27 佛山市人居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积架层厚度可控、分选、连续的除尘器的操作方法
US9221002B2 (en) 2014-02-26 2015-12-29 Amec Foster Wheeler North America Corp. Pulse cleaning filter system arrangement
CN103816728B (zh) * 2014-03-09 2015-08-05 浙江文国重工机械有限公司 大处理量环保除尘器
EP3650104A1 (en) 2014-10-22 2020-05-13 Aireau Qualite Controle Inc. Dust collector having vertical filters and a filter carriage
CN104474810A (zh) * 2014-10-23 2015-04-01 山东瑞宇蓄电池有限公司 一种铅酸蓄电池生产装置及其除尘装置
JP2017035677A (ja) * 2015-08-14 2017-02-16 ワイエイチビ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Yhb Co., Ltd. 6サイクロンダストクリーナー
CN105510086B (zh) * 2016-01-20 2018-05-15 南京达凯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可反吹飞灰的旋转式定量收灰装置
CN105771447A (zh) * 2016-03-07 2016-07-20 苏州保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布袋式除尘器
CN105864949A (zh) * 2016-05-17 2016-08-17 江苏菲特滤料有限公司 一种室内通风滤尘设备
IT201600130256A1 (it) * 2016-12-22 2018-06-22 Wamgroup Spa Depolveratore per fluidi gassosi e metodo per realizzarlo
CN107715604A (zh) * 2017-11-14 2018-02-2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废硅粉无害化处理装置
CN109173466B (zh) * 2018-10-18 2020-08-04 唐山市滦雪面粉有限责任公司 一种面粉车间防粉尘爆炸的净化回收设备
CN110394346A (zh) * 2019-07-09 2019-11-01 米铁山 一种水泥生产场所用灰尘收集装置
CN110496460A (zh) * 2019-08-14 2019-11-26 苏州格林苏环境评估有限公司 粉尘沉降系统
CN110681223B (zh) * 2019-09-12 2021-10-19 凤台县晶谷粮油贸易有限公司 一种防止喷气管积灰的大米加工用脉冲袋式除尘器
CN112677681A (zh) * 2020-12-03 2021-04-20 娄底市娄星区博识文化培训学校有限公司 一种预应力施工教学装置
CN114229121B (zh) * 2021-12-31 2025-02-11 湖南宏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吨袋包装机
CN116785839B (zh) * 2023-05-16 2024-06-21 浙江蓝威环保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布袋除尘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124U (ja) * 1981-11-30 1983-06-07 オカモト株式会社 コンド−ム
JPH0645620U (ja) * 1992-12-03 1994-06-21 日本ニューマチック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
US5399179A (en) * 1993-04-30 1995-03-21 Lurgi Lentjes Babcock Energietechnik Gmbh Device for filtering dust from ga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137A (en) * 1960-05-23 1962-10-09 Joy Mfg Co Gas filter construction
US3187487A (en) * 1961-12-26 1965-06-08 Phillips Petroleum Co Carbon black filter
US3177636A (en) * 1962-03-19 1965-04-13 H Ind Inc As Bag house construction
BE642500A (ko) * 1963-01-14
US3491518A (en) * 1966-09-15 1970-01-27 Ashland Oil Inc Solid-gas separating means
FR1507976A (fr) * 1967-02-08 1967-12-29 Hydromation Engineering Compan Collecteur de poussières
US3509698A (en) * 1967-05-01 1970-05-05 American Air Filter Co Filter arrangement
US3520109A (en) * 1968-09-12 1970-07-14 Ashland Oil Inc Dust collector improvement
US3853509A (en) * 1973-05-04 1974-12-10 R Leliaert Bag type filter device
US4264345A (en) * 1979-09-12 1981-04-28 American Air Filter Company, Inc. Filter housing
SE421488B (sv) * 1979-11-16 1982-01-04 Loeoef Ingemar Filteranordning for atervinning av fergmaterial buret av en luftstrom fran en sprutbox
US4574420A (en) * 1984-02-24 1986-03-11 Nfe International, Ltd. Versatile particle collector apparatus
GB2177321B (en) * 1985-07-04 1988-12-14 Atomic Energy Authority Uk Dust filter
US4735635A (en) * 1986-01-10 1988-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and process for filtering high temperature gas streams
US4812149A (en) * 1987-12-03 1989-03-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Hot inert gas purging for filter blowback process
US4960448A (en) * 1989-10-16 1990-10-02 Universal Porosics, Inc. High temperature gas filter
DK1095688T3 (da) * 1999-10-11 2005-08-08 Intensiv Filter Gmbh Stövfilter
US6740142B2 (en) * 2000-09-05 2004-05-25 Donaldson Company, Inc. Industrial bag house elements
US6676720B1 (en) * 2000-11-02 2004-01-13 Niro A/S Filter unit for filtering g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124U (ja) * 1981-11-30 1983-06-07 オカモト株式会社 コンド−ム
JPH0645620U (ja) * 1992-12-03 1994-06-21 日本ニューマチック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
US5399179A (en) * 1993-04-30 1995-03-21 Lurgi Lentjes Babcock Energietechnik Gmbh Device for filtering dust from g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82B1 (ko) * 2009-04-02 2009-10-06 그린컨기술주식회사 슬림형 집진기
KR102770094B1 (ko) 2024-11-06 2025-02-20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예비 챔버 및 이중화된 배기 팬을 구비한 고가용성 집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00733A1 (en) 2003-10-30
US6786946B2 (en) 2004-09-07
CN1199708C (zh) 2005-05-04
KR20020064222A (ko) 2002-08-07
CN1454696A (zh)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215B1 (ko)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US5943733A (en) Sucking and filtering vehicle for dust and trash collecting
CN206663163U (zh) 一种过滤式简易除尘工作台
CN102036593A (zh) 用于表面养护机器的气旋式过滤器
US4175933A (en) Dust filter apparatus
AU2023201190B2 (en) Air filtration for a mobile mining machine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JP2003205214A (ja)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61318B1 (ko) 원통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장치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JP3767882B2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210026262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210001831A (ko) 공기 청정 장치
JP2003164718A (ja) 粉塵除去方法とその装置
CN102036594A (zh) 一体式真空扇壳体
JP3125905U (ja) 空気清浄器
KR200407392Y1 (ko)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KR19990024566A (ko) 공기정화기
KR200230483Y1 (ko) 흡입하강기류를 이용한 고성능 집진장치
JP2005246367A (ja) 濾過式集塵装置
KR200370960Y1 (ko) 공기 청정용 쿨링기
CN1629551A (zh) 空气净化器
JP2018069196A (ja) 乾式集塵装置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729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103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