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7848B1 -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848B1
KR100377848B1 KR10-2000-0078789A KR20000078789A KR100377848B1 KR 100377848 B1 KR100377848 B1 KR 100377848B1 KR 20000078789 A KR20000078789 A KR 20000078789A KR 100377848 B1 KR100377848 B1 KR 10037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rear frame
seat belt
vehicle
rear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599A (ko
Inventor
정재옥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8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8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6Rear seats, e.g. b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방향의 강성을 보강하여 큰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바, 그 구조는 차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과, 리어프레임의 상측에 수평으로 안착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시트벨트의 취부를 위한 너트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사이드 플로어와, 사이드 플로어와 리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면이 리어 플로어의 하측면에 용접으로 일체화되고 하면이 리어 프레임의 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대략 "ㄱ"형상의 보강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어 프레임에 측방향 하중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측방향 하중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Structure rear seat belt in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시트벨트를 고정하는 구조에서 측방향 하중이 발생할 경우 리어 프레임측으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시트벨트의 설치는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다.
이것은 통계적으로 보아 운행중 충돌 또는 전복, 추락사고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사람과 착용하지 않는 사람과의 사고율과 사고 경중의 비교에 있어서 시트벨트를 착용하기 않은 탑승자가 사망률과 중상의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된바 있다.
이러한 연유로 자동차 제작당시에 시트벨트를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시켰고 또한 탑승자가 주행중에는 반드시 시트벨트를 착용하도록 의무화시켜 놓고 있는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는 도 1과 같이 시트벨트 앵커(3)가 리어시트가 차지하는 차체 언더플로어판넬(1) 주변부에 장착되어 시트벨트(2)(2a)를 고정한다.
시트벨트(2)(2a)는 앵커(3)에 의해 양 방향으로 분할되어 앵커(3)에 의해 차체 언더플로어판넬(1)에 장착된다.
도 2는 리어시트벨트가 취부되는 뒷좌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된 리어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0)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20)와, 리어 플로어(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플로어(30)와, 사이드 플로어(30)에 설치되고 시트벨트가 고정 설치되는 너트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는 너트플레이트의 취부면적이 작아 취약하므로, 측방향으로 큰 하중이 전달될 경우 안전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측방향의 강성을 보강하여 큰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리어프레임과 플로어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어 프레임 20 : 리어 플로어
30 : 사이드 플로어 40 : 너트플레이트
50 : 보강플레이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형성된 리어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벨트의 취부를 위한 너트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 플로어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에 면 접촉되도록 일체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플로어와 리어 프레임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는, 도 3 참조, 차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10)과, 리어프레임의 상측에 수평으로 안착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20)와, 리어 플로어(2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시트벨트의 취부를 위한 너트플레이트(40)가 결합되는 사이드 플로어(30)와, 사이드 플로어(30)와 리어 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도록 리어 플로어(20)의 하측면에 용접으로 일체화되는 보강플레이트(50)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보강플레이트(50)는 상면이 리어 플로어(20)의 하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용접 결합되고, 하면이 리어 프레임(10)의 측면과 평형되도록 절곡 형성된 대략 "ㄱ"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리어시트벨트의 취부구조는 보강플레이트(50)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은 기존의 것과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립작업시 보강플레이트(50)를 사이드 플로어(30)와 리어 프레임(10) 사이에 위치시키고, 그 상면을 리어 플로어(20)의 하측면에 밀착시킨 후에 용접으로 결합하면, "ㄱ"형상의 보강플레이트(50)의 상면은 리어 플로어(20)의 하측면과 면접촉되는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때의 보강플레이트(50)의 하면은 리어 플로어(20)의 측면과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너트플레이트(40)의 측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될 경우, 그 하중은 사이드 플로어(30)를 통해서 리어 플로어(20)와 보강플레이트(50)에 거쳐 리어 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갖게 된다.
따라서, 너트플레이트(40)에 전달된 하중은 최종적으로 리어 프레임(10)으로 전달되면서 분산 및 분담되므로, 웬만큼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벨트의 착용시 측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어프레임에 측방향 하중이 전달되도록 보강플레이트를 사이드 플로어와 리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측방향 하중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종방향으로 형성된 리어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0)의 상측에 안착 설치되는 리어 플로어(20)와, 리어 플로어(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벨트의 취부를 위한 너트플레이트(40)가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 플로어(30)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20)에 면 접촉되도록 일체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플로어(30)와 리어 프레임(10)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5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KR10-2000-0078789A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37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789A KR100377848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789A KR100377848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599A KR20020049599A (ko) 2002-06-26
KR100377848B1 true KR100377848B1 (ko) 2003-03-29

Family

ID=2768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7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7848B1 (ko) 2000-12-19 2000-12-19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264B (zh) * 2016-11-25 2023-09-15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中排座椅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599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961B2 (en) Frame structure for vehicle
KR100337830B1 (ko)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KR100377848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취부구조
JP3972937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JP4299899B2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JP3434199B2 (ja) 車体構造
KR10075694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리트렉터 고정구조
US7469970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three-point type seat belt
JP2002308153A (ja) 小型自動車の側面車体構造
KR100435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KR100482629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 보강구조
KR0140167Y1 (ko) 리어시트의 프레임 구조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200216709Y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
KR19980040982U (ko) 자동차 시트벨트 마운팅 브라켓
KR0126281Y1 (ko) 알루미늄 프레임의 결합구조
JPH04159156A (ja) 車両用バンパー構造
WO2020203216A1 (ja) 車両のボディ構造
KR100309840B1 (ko) 트럭 캡용 베드의 벨트 장착 구조
KR19990003469U (ko) 자동차의 시트 결합구조
KR100275203B1 (ko) 차량의 리어엔드패널 보강구조
KR200188441Y1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보강구조
KR100380403B1 (ko) 승합차의 안전벨트앵커보강재
KR100432003B1 (ko) 차량의 리어 사이드 시트 벨트 마운트
KR20050037130A (ko) 리어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 보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