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7474B1 - 전기리셉터클컨택트 - Google Patents

전기리셉터클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474B1
KR100377474B1 KR1019970707177A KR19970707177A KR100377474B1 KR 100377474 B1 KR100377474 B1 KR 100377474B1 KR 1019970707177 A KR1019970707177 A KR 1019970707177A KR 19970707177 A KR19970707177 A KR 19970707177A KR 100377474 B1 KR100377474 B1 KR 10037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electrical receptacle
beams
receptacl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777A (ko
Inventor
주니어 호이 에스 벡
엠. 마이어 존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8070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4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10)는 컨택트 종단부(20), 와이어 종단부(40), 및 절연물 파지부(50)를 가진다. 컨택트 종단부(20)는 제 1 캔틸레버 비임(26), 제 2 캔틸레버 비임(27), 및 비임(26, 27)들이 예비부하되지 않도록 할 목적으로 비임들 사이에 틈새가 있는 과부하 스톱(28)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27)과 과부하 슨톱(28)의 정렬은 비임(26, 27)들이 과부하되는 것을 보호한다.

Description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본 발명은 안에 핀 또는 블레이드 컨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에 균형을 이룬 1쌍의 캔틸레버 비임을 가져서 블레이드 또는 핀 컨택트를 강력하게 바이어스시키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 이 리셉터클 컨택트는 캔틸레버 비임의 과도한 외력을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미국특허공보 US-A-5112254호에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기술되어 있다. 이공지의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대적인 핀 컨택트에 결합하여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하는 1쌍의 캔틸레버 비임을 포함한다. 이 공지의 컨택트는 핀이 어느 하나의 캔틸레버 비임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커버부를 포함하고, 캔틸레버 비임들은 하부가 리셉터클 컨택트의 하부와 결합하는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이 공지의 전기 컨택트는 바람직하게도 리셉터클 컨택트와 블레이드 또는 핀 컨택트 사이에 상호 접속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캔틸레버 비임이 예비부하를 받고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 비임 또는 핀의 삽입전에 서로 마찰결합상태로 있기 때문에 높은 삽입력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하부 캔틸레버 비임은 리셉터클의 하부면에 대해 예비부하를 받고 있어서 핀의 삽입중 핀을 구부리기 위한 부가적인 힘을 요구하게 되고, 그리고 컨택트 커버는 전기 컨택트의 제조에 비용을 추가시키는 부가적인 부재이다.
다른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로서 미국특허공보 US-A3836947호에 기술된 것이있다. 이 제 2의 공지된 장치는 핀 컨택트가 리셉터클 컨택트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결합하는 상태로 있는 1쌍의 가요성 캔틸레버 비임 아암을 갖추고 있다. 이들 양 캔틸레버 비임은 삽입되는 핀을 향해 동일 각도 및 동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상부에 있는 제 2 캔틸레버 비임 부재는 타측 캔틸레버 비임이 결합하여 제 1 의 하부 캔틸레버 비임의 휨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에 대한 스톱수단이다. 상부 캔틸레버 비임은 하부 캔틸레버 비임에 관련하여 기능적인 등가체인 스프링 보조체로서 작용한다. 핀 컨택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었을 때, 양측의 상,하부 캔틸레버 비임은 휘어져서, 핀에 대해 하부 캔틸레버 비임의 파지력을 증대시킨다. 이 공지의 발명은 바람직하게도 리셉터클과 핀 컨택트를 상호 연결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부의 "보조(assist)" 캔틸레버 비인 역시 스톱부재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은 컨택트 삽입력을 가변적으로 증대시키기 쉬운 것이다. 더욱이, 상부 캔틸레버 비임은 컨택트 삽입에 대한 저항을 야기시키는데 이 저항은 캔틸레버 비임이 하부 캔틸레버 비임에 반하여 완전히 동작하게 되는 순간에 급작히 증대시킨다. 부가적으로, 핀이 리셉터클속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하부 캔틸레버 비임은 보조 캔틸레버 비임과 결합하고 그리고 이 보조 캔틸레버 비임이 연장하는 리셉터클 컨택트 벽의 일부분이 "언폴딩(unfolding)" 힘을 받을 것이다.
다른 공지의 리셉터클 컨택트가 미국특허공보 US-A-528117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이 공지의 리셉터클 컨택트는 2개의 캔틸레버 비임을 마련하고 있는데, 하나는 리셉터클에 삽입되었을 때 핀 컨택트와 일차적으로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주비임에 대해 보조 캔틸레버 비임으로서 되어 있다. 보조 캔틸레버 비임은 주 캔틸레버 비임과 항상 결합상태로 있다. 이들 캔틸레버 비임중 어느 것도 반경곡선을 가지는 것이 없고, 오히려 비교적 작은 예각 만곡부를 포함한다. 이 공지의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도 리셉터클 컨택트와 핀 컨택트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러나, 이 구성은 양측의 보조 및 주 캔틸레버 비임의 예각 만곡부들이 동시에 휨으로써 관련된 휨 관성의 부가적인 영향으로 인해 높은 삽입력을 요구하기 쉽다.
본 발명은 타측 전기 컨택트를 리셉터클 컨택트에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방향부를 가지는 컨택트 종단부를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를 제공하며, 이 리셉터클 컨택트는 전기 도체에 접속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컨택트 종단부는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제 1 및 제 2 의 캔틸레버 비임을 포함하고, 제 1 비임은 타측 전기 컨택트와 결합하게끔 되고, 이들 비임들은 타측 컨택트의 삽입에 앞서 무부하상태로 있다.
본 발명의 컨택트 에셈불리는 종래의 컨택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어느 한 비임에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비임에 대해 과부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부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비임들에 균형된 정도의 추종성을 분배하기 위해 각각의 캔틸레버 비임에 대해 (횡단면적을 미리 선택함으로써) 미리 선택된 반경 및 휨 관성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핀 또는 블레이드의 삽입에 의해 발생된 접촉력을 제어하게 되며, 컨택트 형상에 작용하는 전개력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태브 및 태브구멍을 가지며, 비임들이 예비부하 되어 있지 않지만 힘들이 갑작스럽게 증가함이 없이 소정의 점진속도로 증가하도록 초기 저접촉력을 제공하며, 그리고 제조 및 사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컨택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따른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상부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전기 컨택트의 전단면도이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전기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제 5 도는 블랭크 형상으로 있는 캐리어 스트립에 연결되었을때의 본 발명의 1쌍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좌측 컨택트의 캔틸레버 부재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제 2 구현예이다.
제 7 도는 제 1 도의 컨택트의 일부 및 그에 삽입된 핀 컨택트의 단면도이다.
제 8 도는 제 1 도의 컨택트의 일부 및 그에 삽입된 테스트 프로브의 단면도이다.
제 1 도는 컨택트 종단부(20), 와이어 종단부(40), 및 절연물 파지부(50)를 가지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10)를 보여준다. 컨택트(10)는 컨택트가 각인 · 성형된 후, 그렇지만 캐리어 스트립(12)으로부터 컨택트(10)의 절단에 앞서, 캐리어 스트립(12)에 연결된 것을 보여준다. 컨택트 종단부(20)는 플랫폼(22a)을 갖춘 베이스부(22), 측벽(23), 외부상벽(24), 내부상벽(25), 만곡부(26a)와 팁(26b)을 갖춘 제 1 캔틸레버 비임(26), 만곡부(27a)와 팁(27b)을 갖춘 제 2 캔틸레버 비임(27), 과부하 방지부재(28), 및 옵셋부(29)를 포함한다. 와이어 종단부(40)는 도면중에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의 도체 코어를 압착시키는 압착부이다. 같은 방도로, 절연물 파지부(50)는 도면중에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의 코어를 에워싸는 절연물을 압착하는 압착부이다. 횡평면 "A"는 비임(26 및 27)의 일부와 과부하 방지부(28)를 가로지르는 평면을 나타낸다.
제 2 도에 관해 설명하면, 외부 상벽(24)은 컨택트 형상부에 작용하는 전개력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상벽(25)의 고정 태브(25a)를 수용하는 태브구멍(24a)을 포함한다. 내부상벽(25)과 일체로 된 고정 태브(25a)는 탄성력으로 휘어지는 캔틸레버 비임(26 및 27)들이 빳빳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도에 대해 설명하면, 이 도면은 제 1 도의 3-3선에 따라 취한 리셉터클 컨택트의 전방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또한 고정 태브(25a)가 어떠한 방법으로 상벽(24)의 태브구멍(24a)에 끼워지는 지를 보여준다.
제 4 도는 측벽(23)의 구멍(23a)이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의 단부에 노출되어 있는 리셉터클 컨택트(10)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를 보여 주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블랭크 형태로 되어 있다. 블랭크(80)는 2개의 블랭크부(82 및 84)로 보이고 있다. 블랭크부(82)는 고정 태브(25a), 부호26' 및 27'로서 미리 형성된 상태로 있는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및 27)를 보여추고, 그리고 과부하 방지부재(28')을 갖춘 내부 상벽(25')을 보여준다. 미리 형성된 제 1 비임(26')의 폭은미리 형성된 제 2 비임(27')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서, 결국 비임들은 서로 다른 횡단면적을 갖게 된다. 구멍(23a)은 태브구멍(24a)에 인접하여 있다. 블랭크(83)는 성형과정중 서로를 향해 접혀진 후의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을 보여준다.
제 6도는 모든 특징부가 제 1 도와 동일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준다. 컨택트 리셉터클(100)은 컨택트 종단부(120), 플랫폼(122a)을 갖춘 베이스부(122), 측벽(123), 외부상벽(124), 내부상벽(125), 만곡부(126a)를 갖춘 제 1 캔틸레버 비임(126), 만곡부(127a)를 갖춘 제 2 캔틸레버 비임(127), 과부하 방지부재(128), 옵셋부(129), 및 와이어 종단부 및 절연물 파지부(도시하지 않았음)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만곡부(126a)는 각도α로서 제 1 캔틸레버 비임(126)에 가해져 있다. 더욱이, "B"로서 한정된 횡평면 및 "C"로서 한정된 횡평면은 제 1 도의 횡평면 "A"에 도시한 겹침특징부가 변경된 사실을 보여준다. 여기서, 횡평면C는 캔틸틸레버 비임들(126 및 127) 사이의 겹침부를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 겹침부는 과부하 방지부재(128)의 횡평면B(제1도의 경우와 같음)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제 7 도 - 8 도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10)의 동작을 컨택트(110)에 대해서도 대부분 동일하게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7 도는 컨택트(10)안에 삽입된 핀 컨택트(60)를 보여주는 것으로, 핀 컨택트(60)는 제 1 캔틸레버 비임과 미끄럼 결합하기 위해 제 1 캔틸레버 비임(26)의 팁(26b) 상에 형성된 반경곡선과 결합한다. 이 반경곡선은 팁(26h)자 핀 컨택트(60) 사이의 미끄림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핀 컨택트(60)의 삽입에 앞서,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은 그들의 각각의 팁(26b 및 27b)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따라서, 비임들은 예비부하를 갖지 않는다. 예부하의 결핍이 유익하게도 낮은 초기 컨택트 삽입력을 제공한다는 것이 예비부하된 비임들에 비해 잇점이다. 더욱이, 컨택트가 점진적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비임(26 및 27)들이 서로 접촉상태로 됨에 따라, 삽입력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제 7 도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만곡부(26a)는 반경(R1)을 가지며, 만곡부(27a)는 반경(R2)을 가진다. 대표적인 구현예에 있어, R2는 R1보다 크고, 각 반경의 영역에 있는 비임(26 및 27)의 휨 횡단면적들은 비임(27)의 휨관성이 비임(26)의 것보다 작도록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의 휨 중에는 제 2 캔틸레버 비임(27)이 상대적으로 보다 더 추종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제 2 캔틸레버 비임(27)은 큰 반경(R2) 및 낮은 휨 관성으로 인해 보다 큰 휨 강도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된 용어로서 비임의 휨 강도는 휨의 단순한 기하학적 측정값이라기 보다 단위 휨당 힘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임(26 및 27)은 바람직하게도 균형된 추종성을 분배하기 위한 휨관성 및 1쌍의 미리 선택된 반경 만곡부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핀 또는 블레이드의 점진적인 삽입 증대에 의해 발생된 접촉력을 한정시키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본 바와 같이, 핀 컨택트(60)의 삽입에 앞서, 팁(26b)과 팁(27b) 사이에는 틈새가 있다. 그러나, 비임(27)의 팁(27b)와 과부하 방지부재(28) 사이에도 틈새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삽입위치로 있을 때 핀 컨택트(60)는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의 부가적인 바이어스 효과에 의해 플랫폼(22a)에 바이어스된다. 플랫홈(22a)은 핀(60)과 컨택트(10) 사이의 접촉점을 한정하고, 그리고 스터빙(stubbing)을 막는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테스 트 프로브(70)와 함께 컨택트(10)의 시용방안이 기술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프로브(70)는 양 비임(26 및 27)이 휘어져서 서로 결합되는 각도로 삽입되고, 따라서 비임(27)도 휘어져서 옵셋된 종축선을 가지는 과부하 방지부재(28)와 결합상태로 된다. 이때 횡평면 A는 비임(26, 27) 및 과부하 방지부재(28)와 정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옵셋 정렬 상태는 양 비임(26 및 27)이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 방지부재(28)를 가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또한 유해한 공차요인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대표적인 구현예에 있어, 양측의 캔틸레버 비임(26 및 27)은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며, 또한 이 비임들은 과부하 방지부재(28)의 중심선 부근에서 서로 접촉할 것이며, 또한 상기 주지한 바와 같이, 핀 컨택트(60) 또는 테스트 프로브(70)의 삽입 전에는 무부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핀 컨택트(60) 또는 프로브(70)가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양 비임(26 및 27)은 항상 결합된 상태로 있다.
그러나, 주지할 바는 핀 컨택트(60) 또는 테스트 프로브(70)가 제 6 도의 리셉터클 컨택트(110)에 삽입되었을 때, 마찬가지로 핀 컨택트의 삽입전에는 비임(126 및 127)의 팁(126c 및 127b)들 사이에 틈새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핀 컨택트가 리셉터클 컨택트(110)으로 삽입됨에 따라, 팁(126c)은 캔틸레버 비임(127)의 하부면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고, 만곡부(126a)는 핀 컨택트가 삽입됨에 따라 핀 컨택트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테스트 프로브가 예컨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도로 리셉터클 컨택트(110)에 삽입되었을 때는 단지 비임(126) 만이 과부하 방지부재(128)의 잇점을 가질 것이다.
가급적, 컨택트(10 및 110)가 고강도, 고전도성, 및 저가금속, 예컨대, 구리, 황동, 청동, 벨릴륨구리, 또는 아연재료로 각인 ·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택트의 전기적 및 기계적 보전을 위해, 최종 제조과정은 가급적 도금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부식 방지제의 적용을 포함한다. 가급적, 도금 재료는 주석, 저연 주석, 주석 납, 니켈, 금, 은, 구리, 아연 및/또는 팔라듐을 포함한다. 도금은 가급적 전착(電着:electro-deposition)과 같은 도금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처리에 의해 컨택트에 응용된다.
이상, 본 발명의 몇몇 대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현예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서 기타 다양한 구현도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타측 전기 컨택트를 전기적으로 수용하는 컨택트 종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종단부는 타측 전기 컨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방향부를 가지며, 아울러 전기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부위도 함께 포함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종단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제 1 및 2 캔틸레버 비임을 포함함에 있어, 상기 제 1 비임이 상기 타측 전기 컨택트와 결합하게끔 되어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 및 상기 제 1 캔틸레버 비임이 제 2 캔틸레버 비임과 결합했을 때 제 2 캔틸레버 비임과 결합하여 제 1 및 제 2 캔틸레버 비임 양측에 대해 과부하를 방지하도록하는 과부하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비임들은 상기 타측 전기 컨택트의 삽입전에 무부하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임은 베이스로부터 자 유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부를 가지며, 상기 종방향부는 상기 타측 전기 컨택트의 상기 삽입 방향부에 마주하여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방지부재가 상기 다른 컨택트 삽입 방향부를 가로지르는 종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종단부는 상기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캔틸레버 비임들을 빳빳하게 지지하는 고정 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임이 적어도 각각의 단일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아치형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아치형 만곡부가 각각의 곡룬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임 만곡부의 각각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 1 비임 만곡부의 각각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들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서로 다른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가 아치형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만곡부가 U형 만곡부를 형성하는 곡률반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들이 각각의 상기 비임들에 추종성을 부여하고, 상기 제 2 비임의 추종성은 상기 제 1 비임의 추종성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임의 만곡부가 서로 다른 휨 횡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임의 상기 비임 만곡부의 휨 횡단면적이 상기 제 2 비임의 비임 만곡부 휨 횡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고, 그에 의해 상기 제 2 비임에 상대적으로 더 큰 가요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종단부가 횡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임들은각각의 자유단을 포함하고, 상기 횡평면은 상기 각 자유단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횡평면은 상기 과부하 방지부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종단부가 상기 횡평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옵셋된 종축선을 가지는 과부하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임이 자유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타측 전기 컨택트의 삽입에 앞서 상기 자유단들간에는 틈새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종단부가 과부하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타측 전기 컨택트의 삽입후에 상기 과부하 방지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임단부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리셉터클 컨택트.
KR1019970707177A 1995-04-13 1996-02-21 전기리셉터클컨택트 Expired - Lifetime KR100377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1,634 1995-04-13
US08/421,634 US5791945A (en) 1995-04-13 1995-04-13 High force contact
US8/421,634 1995-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777A KR19980703777A (ko) 1998-12-05
KR100377474B1 true KR100377474B1 (ko) 2003-06-19

Family

ID=2367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177A Expired - Lifetime KR100377474B1 (ko) 1995-04-13 1996-02-21 전기리셉터클컨택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91945A (ko)
EP (1) EP1018190B1 (ko)
JP (1) JP4172658B2 (ko)
KR (1) KR100377474B1 (ko)
CN (1) CN1154203C (ko)
BR (1) BR9604933A (ko)
DE (1) DE69620921T2 (ko)
WO (1) WO1996032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0939C1 (de) * 1996-07-31 1997-12-11 Siemens Ag Kontaktfeder
JP3494347B2 (ja) * 1998-03-06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へたり防止構造
JP3473521B2 (ja) * 1999-10-08 2003-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3620786B2 (ja) * 2000-01-24 2005-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US6428366B1 (en) 2000-11-03 2002-08-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FR2840736B1 (fr) * 2002-06-11 2004-08-27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d'une seule piece ayant une partie de transition renforcee
TWI252877B (en) * 2003-09-03 2006-04-11 Hon Hai Prec Ind Co Ltd Terminal and method of plating the same
JP2006216321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6216316A (ja) * 2005-02-02 2006-08-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PL1851835T3 (pl) * 2005-02-09 2009-06-30 Fci Automotive Holding Elektryczny styk obejmujący ze sprężystymi płytkami stykowymi
US7387550B2 (en) 2005-07-21 2008-06-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ual beam receptacle contact
JP4672510B2 (ja) * 2005-10-05 2011-04-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接続端子
US7429178B2 (en) * 2006-09-12 2008-09-30 Samtec, Inc. Modular jack with removable contact array
JP4913539B2 (ja) * 2006-10-25 2012-04-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DE102007045880A1 (de) * 2007-09-25 2009-04-23 Inovan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silbertem Kontaktteil auf Stahlbasis
US7996174B2 (en) 2007-12-18 2011-08-09 Teradyne, Inc. Disk drive testing
US8549912B2 (en) 2007-12-18 2013-10-08 Teradyne, Inc. Disk drive transport, clamping and testing
US8117480B2 (en) 2008-04-17 2012-02-14 Teradyne, Inc. 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8238099B2 (en) 2008-04-17 2012-08-07 Teradyne, Inc. Enclosed operating area for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8305751B2 (en) 2008-04-17 2012-11-06 Teradyne, Inc. Vibration isolation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8160739B2 (en) 2008-04-17 2012-04-17 Teradyne, Inc. Transferring storage devices within storage device testing systems
US7945424B2 (en) 2008-04-17 2011-05-17 Teradyne, Inc. Disk drive emul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095234B2 (en) 2008-04-17 2012-01-10 Teradyne, Inc. Transferring disk drives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8041449B2 (en) 2008-04-17 2011-10-18 Teradyne, Inc. Bulk feeding disk drives to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7848106B2 (en) 2008-04-17 2010-12-07 Teradyne, Inc. Temperature control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20090262455A1 (en) 2008-04-17 2009-10-22 Teradyne, Inc. Temperature Control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US8102173B2 (en) 2008-04-17 2012-01-24 Teradyne, Inc. Thermal control system for test slot of test rack for disk drive testing system with thermoelectric device and a cooling conduit
MY149779A (en) 2008-06-03 2013-10-14 Teradyne Inc Processing storage devices
US8547123B2 (en) 2009-07-15 2013-10-01 Teradyne, Inc. Storage device testing system with a conductive heating assembly
US7920380B2 (en) 2009-07-15 2011-04-05 Teradyne, Inc. Test slot cooling system for a storage device testing system
US8466699B2 (en) 2009-07-15 2013-06-18 Teradyne, Inc. Heating storage devices in a testing system
US8116079B2 (en) 2009-07-15 2012-02-14 Teradyne, Inc. Storage device testing system cooling
US8628239B2 (en) 2009-07-15 2014-01-14 Teradyne, Inc. Storage device temperature sensing
US7995349B2 (en) 2009-07-15 2011-08-09 Teradyne, Inc. Storage device temperature sensing
US8687356B2 (en) 2010-02-02 2014-04-01 Teradyne, Inc. Storage device testing system cooling
US8687349B2 (en) 2010-07-21 2014-04-01 Teradyne, Inc. Bulk transfer of storage devices using manual loading
US8911253B2 (en) * 2011-06-13 2014-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2014160545A (ja) * 2013-02-19 2014-09-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6115449B2 (ja) 2013-11-13 2017-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CN108092067B (zh) * 2016-11-23 2020-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组件
US10948534B2 (en) 2017-08-28 2021-03-16 Teradyne, Inc. Automated test system employing robotics
US10845410B2 (en) 2017-08-28 2020-11-24 Teradyne, Inc. Automated test system having orthogonal robots
US11226390B2 (en) 2017-08-28 2022-01-18 Teradyne, Inc. Calibration process for an automated test system
US10983145B2 (en) 2018-04-24 2021-04-20 Teradyne, Inc. System for testing devices inside of carriers
US10775408B2 (en) 2018-08-20 2020-09-15 Teradyne, Inc. System for testing devices inside of carriers
JP7059920B2 (ja) * 2018-12-21 2022-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3080A (en) * 1971-09-20 1973-01-23 Ford Motor Co Electrical terminal
US3836947A (en) * 1973-02-23 1974-09-17 Amp Inc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with helper spring
US3977757A (en) * 1975-03-17 1976-08-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pe-in female terminal for printed circuits
US4278317A (en) * 1979-08-31 1981-07-14 The Bendix Corporation Formed socket contact with reenforcing ridge
JPS60110930U (ja) * 1983-12-27 1985-07-27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雌形電気接触子
JPS61237375A (ja) * 1985-04-11 1986-10-22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レセプタクル端子
JPS62206776A (ja) * 1986-03-05 1987-09-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イルタコネクタ
FR2621180B1 (fr) * 1987-09-28 1990-01-12 Francelco Sa Borne de contact electrique de type cage
US4919628A (en) * 1987-10-19 1990-04-24 Interlock Corporation Tab receptacle with fixed beam contacts
US4772225A (en) * 1987-11-19 1988-09-20 Amp Inc Electrical terminal having means for mounting electrical circuit components in series thereon and connector for same
US4894630A (en) * 1987-11-28 1990-01-16 Nec Home Electronics Ltd. Conversion adapter
FR2627020B1 (fr) * 1988-02-08 1994-05-27 Amp France Contact electrique destine a recevoir une patte complementaire de connexion
US4862311A (en) * 1988-04-12 1989-08-29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Overvoltage protector for use with data cables
JPH0429508Y2 (ko) * 1988-12-05 1992-07-16
US4950169A (en) * 1989-03-13 1990-08-21 Pc Industries, Inc. Universal cable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JPH04209480A (ja) * 1990-12-03 1992-07-30 Murata Mfg Co Ltd コネクタ
US5281175A (en) * 1993-03-30 1994-0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2745188B2 (ja) * 1993-06-21 1998-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用接続端子
FR2711853B1 (fr) * 1993-10-26 1995-12-01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électrique fem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2658B2 (ja) 2008-10-29
CN1186572A (zh) 1998-07-01
WO1996032757A1 (en) 1996-10-17
EP1018190A1 (en) 2000-07-12
KR19980703777A (ko) 1998-12-05
DE69620921D1 (de) 2002-05-29
CN1154203C (zh) 2004-06-16
JPH11505360A (ja) 1999-05-18
US5791945A (en) 1998-08-11
BR9604933A (pt) 1998-06-09
DE69620921T2 (de) 2002-11-14
EP1018190B1 (en)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474B1 (ko) 전기리셉터클컨택트
US5540603A (en) Female contact
US4408824A (en) Wire-in-slot terminal
JP4187338B2 (ja) 電気コネクタ
EP1137108A1 (en) Electrical contact
JP4077116B2 (ja) 電気端子
JPH07296886A (ja) リセプタクル端子
KR19980071317A (ko) 원피스 콘택 스프링
KR910002050A (ko) 와이어 수용 슬롯을 갖는 전기 접속 커넥터
US6010377A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KR960016876B1 (ko) 과도 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수 전기 단자
WO2007089825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wire trap
JPS6311749B2 (ko)
EP0117021B1 (en) Socket connector
JPH0648173U (ja) 端子金具の圧着構造
KR100348021B1 (ko) 콘택스프링
JP2000285982A (ja) 端子及び端子への電線加締め構造
PL116554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insulated leads
JPH0636811A (ja) 鎖錠端子金具
JPS618861A (ja) 接点素子
KR910003606B1 (ko) 전기 커넥터
US20220216622A1 (en) Junction Box
GB2050712A (en) Self-stripping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432361Y1 (ko) 스플라이스 단자
CA1283960C (en)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608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