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5927B1 -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927B1
KR100365927B1 KR1020000032238A KR20000032238A KR100365927B1 KR 100365927 B1 KR100365927 B1 KR 100365927B1 KR 1020000032238 A KR1020000032238 A KR 1020000032238A KR 20000032238 A KR20000032238 A KR 20000032238A KR 100365927 B1 KR100365927 B1 KR 10036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terminal
outpu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670A (ko
Inventor
심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927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9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가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대해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와, 문자표시 수단을 구비한 유선전화기로 입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제어부 사이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코덱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에 의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지국과 무선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송수신부로 구성되어, 종래의 유선전화기 및 컴퓨터 등의 단말기에서도 공중전화망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여 음성통화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 {Apparatus for separated terminal equipped transmission and receiving function of characters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무선가입자망단말기가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자체적인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이 없는 유선전화기 및 컴퓨터 등을 접속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통신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일반적인 통신망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은, 가입자측의 음성신호와 기지국측의 전기적 신호에 대한 변복조를 수행하는 단말부(11)와; 상기 단말부(11)에서 전송된 신호를 특정의 상대국으로 전송하는 교환부(13)(14)와; 상기 교환부(13)(14)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상대국에 도달시키기 위한 신호전송경로를 제공하는 공중전화망(1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성은 송신신호를 발하는 자국의 망구성으로써, 이러한 구성은 상대국에 대칭적으로 적용된다. 즉, 상대국에 도달한 신호는 자국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의 역으로 진행되어 수신대상 가입자의 단말기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신망에서 단말부(11)와 교환부(13)(14)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무선 방식에 의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입자측 단말부(11)에는 각 통신방식에 적합한 단말기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단말기로는 휴대폰(11A)과 무선가입자망 단말기(11B)(11C)가 있고, 유선통신에 이용되는단말기로는 유선전화기(11D)와 컴퓨터(11E)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부(11)(21)에 구비되는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경우에는 일체형 단말기(11B)와 분리형 단말기(11C)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입자는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상대국의 특정 가입자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휴대폰과 무선가입자망 단말기(11B)(11C)에서 무선전송되는 신호는 무선교환기(13)를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되고, 유선전화기(11D)와 컴퓨터(11E)에서 유선전송되는 신호는 유선교환기(14)를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된다. 상기 자국의 전송신호가 공중전화망(15)을 통해 상대국으로 전송되어 수신대상 가입자의 단말부(21)에 도달함으로써, 가입자와 가입자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통신서비스가 수행된다.
이때 유선전화기(11B) 및 컴퓨터(11E)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유선통신망 이외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유선전화기(11B) 및 컴퓨터(11E)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일체형 단말기(11B) 또는 분리형 단말기(11C)를 통해 기지국의 무선교환기(13)로 무선전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신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단말부(11)(21)에는 음성신호 뿐만 아니라 문자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폰(11A)과 일체형 단말기(11B)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11A)과 일체형 단말기(11B)간에는 문자메시지의 교환도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이 구현된 휴대폰(11A)과 일체형단말기(11B)는 문자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여러 매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통화접속된 상대방측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며, 상대방과 접속된 후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선전화기(11D)와 분리형 단말기(11C)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기능이 없다. 그래서 문자메시지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문자메시지의 인식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이 없는 상태로 제작된 종래의 유선전화기(11D) 및 분리형 단말기(11C)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휴대폰(11A) 및 일체형 단말기(11B)와의 문자메시지 교환은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사설자동교환기(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PABX)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송신측의 콜러아이디(Caller-ID)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는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사설자동교환기에서 전송되는 콜러아이디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사설자동교환기에서 전송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휴대폰(11A) 및 일체형 단말기(11B)의 경우처럼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기가 휴대폰(11A) 및 일체형 단말기(11B)와 문자메시지를 교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설자동교환망의 경우에는 콜러아이디 이외의 다른 형태의 정보전송에 대한 기준이나 프로토콜이 없어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이 구현되지 못하여, 통신서비스의 폭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가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체적인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이 없는 종래의 유선전화기 및 컴퓨터 등이 접속되어 공중전화망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는, 컴퓨터에 대해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와, 문자표시 수단을 구비한 유선전화기로 입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제어부 사이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코덱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에 의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지국과 무선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송수신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통신망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단말부 32 : 데이터 수신부
32A : 디지털수신부 32B : 아날로그인터페이스부
32C : 코덱 33 : 제어부
34 : 송수신부
이하, 상기와 같은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절한 일실시예는, 문자메시지의 표시기능을 갖춘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입출력부(32)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32)에 의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33)와; 상기 제어부(33)의 제어를 받아 기지국과 무선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송수신부(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부(32)는, 컴퓨터(31A)로 입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32A)와; 유선전화기(31B)로 입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32B)와;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32B)와 제어부(33) 사이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코덱(CODEC, Coder-Decorder)(32C)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2는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질 때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보인 것으로,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은 이에 대칭된다. 이처럼 데이터 흐름의 방향에 차이가 있음을 제외하면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 동작은 동등하다 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도2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송신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부(31)는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부(31)는 액정표시장치가 부착된 유선전화기(31B) 및 컴퓨터(31A) 등을 포함한다. 유선전화기(31B)의 경우, 더불어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을 갖추지 않은 상태로 이용되던 종래의 가정용 유선전화기를 개선한 것으로, 문자메시지의 표시를 위한 액정표시장치(LCD)와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또는 DSP(Digita Signal Processing)을 더 구비하여 문자나 간단한 텍스트의 저장 및 표시 기능이 실현되도록 한다.
단말부(31)는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 및 표시 기능을 포함하게 되므로,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 접속되어 음성메시지 뿐만 아니라 문자메시지도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컴퓨터(31A)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RS-232C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입출력부(32A)로 입력되어 제어부(33)로 전달된다. 유선전화기(31B)에서의 문자메시지 입력은 다이얼패드(Dial Pad)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입력된 문자메시지는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어 무선가입자망 단말기로 입력되며,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32B)를 거쳐 코덱(32C)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제어부(33)로 전달된다.
제어부(33)는 데이터 입출력부(32)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전달받게 되는데, 이는 해당 데이터를 최초 생성한 단말부(31)가 종류가 컴퓨터(31A)인지 아니면 유선전화기(31B)인지 여부와는 무관하다. 제어부(33)는 데이터 입출력부(3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송수신부(34)로 출력하게 되며, 송수신부(34)는 이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동작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수신동작은 휴대폰 또는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기지국의 교환기를 통해 무선송출되어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송수신부(34)로 수신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신 동작은 기 설명한 데이터 송신 동작의 역으로 수행된다.
데이터 수신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송수신부(34)로 수신된 데이터는 제어부(33)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디지털 입출력부(32A) 또는 코덱(32C)으로 전달된다. 제어부(33)는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므로, 디지털 입출력부(32A)는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RS-232C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31A)로 전달하며, 해당 데이터는 컴퓨터(31A)의 표시장치(예: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가입자의 문자메시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유선전화기(31B)의 문자메시지 수신에 있어서, 유선전화기(31B)는 문자메시지의 일시저장을 위한 메모리와 상기 문자메시지의 표시를 위한 적절한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 처리하고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3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코덱(32C)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고,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32B)을 거쳐 유선전화기(31B)로 출력된다. 유선전화기(31B)는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정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가입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분리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유선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같이 자체적인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에 대해서도 무선가입자망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는, 자체적인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이 없는 유선전화기 및 컴퓨터 등의 단말기가 용이하게 접속되어 공중전화망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로 인해 가입자는 단말기의 사용중 수신감도가 떨어져 통화음성의 식별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음성통화를 보완할 수 있게 되며,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수신자에게 일정한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신속히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컴퓨터에 대해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입출력부와, 문자표시 수단을 구비한 유선전화기로 입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와 제어부 사이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코덱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에 의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지국과 무선주파수 신호를 교환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 단말장치.
  2. 삭제
KR1020000032238A 2000-06-12 2000-06-12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6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38A KR100365927B1 (ko) 2000-06-12 2000-06-12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38A KR100365927B1 (ko) 2000-06-12 2000-06-12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70A KR20010111670A (ko) 2001-12-20
KR100365927B1 true KR100365927B1 (ko) 2002-12-26

Family

ID=459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5927B1 (ko) 2000-06-12 2000-06-12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629A (en) * 1995-11-28 1999-08-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ellular telephone network having short message service interaction with other networks
US5953675A (en) * 1996-11-04 1999-09-14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loop terminal and a terminal
JP2000050326A (ja) * 1998-07-27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の固定電話加入者ユニット及びその発番号表示情報の送信方法
US6032039A (en) * 1997-12-17 2000-02-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and retrieval of voicemai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052573A (en) * 1997-05-23 2000-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xed subscriber unit of wireless local loop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629A (en) * 1995-11-28 1999-08-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ellular telephone network having short message service interaction with other networks
US5953675A (en) * 1996-11-04 1999-09-14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loop terminal and a terminal
US6052573A (en) * 1997-05-23 2000-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xed subscriber unit of wireless local loop system
US6032039A (en) * 1997-12-17 2000-02-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and retrieval of voicemai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0050326A (ja) * 1998-07-27 2000-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の固定電話加入者ユニット及びその発番号表示情報の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70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665A (en) Wireless terminal with auxilary desktop unit
US6560317B1 (en) Receiv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telecommunications device for the deaf
US780940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0247019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호전환시발신자이름표시방법
KR10070350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 식별정보 기능 서비스 방법
KR20010041865A (ko) 통신 시스템
KR100365927B1 (ko)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의 분리형단말장치
KR20010098120A (ko)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11715B1 (ko) 핸즈프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JPH0532843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4183147B2 (ja) 通信端末、制御方法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JP3700553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3655842B2 (ja) 無線通信装置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2004004459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메시지확인방법
KR200258225Y1 (ko) 발신자번호 송출표시시스템
KR1011192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표시 방법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JP2001358746A (ja) 携帯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無線端末
JPH118884A (ja) 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H05316560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H0514274A (ja) Dtmfレシーバ搭載無線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