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3381B1 -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381B1
KR100363381B1 KR1020010010675A KR20010010675A KR100363381B1 KR 100363381 B1 KR100363381 B1 KR 100363381B1 KR 1020010010675 A KR1020010010675 A KR 1020010010675A KR 20010010675 A KR20010010675 A KR 20010010675A KR 100363381 B1 KR100363381 B1 KR 100363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act
stage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948A (ko
Inventor
코릴안토니2세
코흘린테리씨2세
스토우트데이비드더블유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9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3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15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25Multistate logic
    • H03K19/09429Multistate logic one of the states being the high impedance or floating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호 회로는 2-전력-공급원 CMOS 집적 회로에서 전력 공급원중 하나가 손실됨으로써 초래되는 불확실한 논리 레벨의 문제를 다룬다. 본 발명의 회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공급 시퀀싱(power supply sequencing)의 전형적인 체계를 바꾸어 놓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회로는 코어 전압의 상태를 감지하여, 코어 전압이 오프인 것으로 감지되면 출력 드라이버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디스에이블된 드라이버는 고 임피던스 상태로 됨으로써, 손상을 일으키는 전위를 제거하고 전력 공급 시퀀싱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규 동작 동안에 집적 회로 코어 전압 VDD 전력 공급원의 갑작스런 손실로부터 보호해준다.

Description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 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TWO-SUPPLY PRO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집적 회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집적 회로를 위한 2개의 공급원에 관한 것이며, 분할 레일(split-rail) 또는 이중 전력원(dual power supply)을 활용하는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집적 회로를 위한 안정한 전력 공급원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선 및 단순화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 분야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이다. 집적 회로는 계속해서 장치 속도와 회로 밀도는 높이면서 소형화되고 있다. 반도체 기판 위에 내장되는 소형화된 장치들은 서로 근접하여 이격되어 있고, 집적 회로 밀도 즉, 단위 면적당 집적 회로의 수는 계속해서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가장 높은 집적 회로 밀도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s)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FET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을 갖는 장치로서, 고 논리 신호 전압이 게이트에 인가되면,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장치이다. 마찬자기로, FET는 저 논리 신호가 게이트가 인가될 때에는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집적 회로 밀도가 증가할수록, 기판상의 집적 회로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전력 소모량은 관심의 대상인데, 그 이유는 칩 온도가 칩의 정격 동작 온도 한계보다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복잡한 열 싱크(heat sinks)와 회로 패키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많은 장치들이 전형적으로 축전형 전력(stored power)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는 배터리 전력으로 동작한다. 전력 소모가 증가할수록, 배터리 수명은 감소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 수명도 단축된다. 그러므로, 주어진 집적 회로 밀도에 대해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 집적 회로 설계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회로가 동작하는 전압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집적 회로들은 사전 정의된 특정 전압 레벨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 전압 레벨을 감소시키면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어떤 회로들이 저 전압 회로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이러한 회로들은 전기-기계적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고 전압 레벨에서 동작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의 집적 회로들중에는 새로운 저 전압 회로와 상호작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동작 전압을 변경시킬 수 없는 집적 회로도 많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전력을 덜 소모하도록 집적 회로의 전압을 낮추면서도 현재의 다른 하드웨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몇몇 형태의 인터페이스 회로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저 전압 레벨을 고 전압 논리 레벨로 변환하거나 그 역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한다. 그 이유는 집적 회로에서 구현되는 논리 전압 레벨들은 일반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집적 회로는 칩 하나 당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설계는 본 기술 분야에서 "분할 레일 설계"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분할 레일 설계는 내부 혹은 코어 칩 전압 VDD이 입/출력(I/O) 인터페이스 전압이나 출력 드라이버 전압 OVDD가 아닌 다른 전압 레벨에서 동작할 때 활용된다. 집적 회로 코어 전압 VDD은 집적 회로 기술이나 혹은 칩의 전력 소모 요구 및 드라이버 출력 전압 OVDD에 의해 제한된다.
분할 레일 설계는 집적 회로 설계자와 시스템 설계자 양자에 의해 다루어져야 하는 많은 문제를 만든다. 적절히 동작하는 전형적인 분할 레일 집적 회로의 경우, 양자의 전력 공급원들은 파워 업 상태(powered up state)에 있어야 한다. 하나의 공급원은 오프(off) 상태인 반면 다른 공급원은 온(on) 상태일 때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공급원이 파워 업되거나 파워 다운되는 시퀀스(sequence)가 변하는 순간에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 중 하나로서, 집적 회로 코어 전압 VDD가 오프 상태이고 출력 드라이버가 출력 드라이버 전압 OVDD을 지나 파워 업될 때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력 드라이버는 집적 회로 코어 전압 VDD으로부터 유도되는 집적 회로 코어로부터의 모든 제어 신호들을 손실할 것이다. 드라이버에 대한 어떠한 제어 신호도 없으므로, 드라이버의 출력단은 출력 패드(output pad)를 풀-업(pull up)시키는 것과 풀-다운(pull down)시키는 것을 동시에 하려고 노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출력 드라이버 전압 OVDD에서 접지 전위까지의 높은 크로스오버 전류 효과(high crossover effect)의 특징을 갖는데, 이것은 칩 전체의 수 백개의 드라이버에 의해 증폭되어 영구적인 장비 손상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코어 전압의 상태를 감지하여, 코어 전압이 오프인 것으로 감지될 때 출력 드라이버를 디스에이블링(disabling)시킴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다. 디스에이블된 드라이버는 고 임피던스 상태로 되어, 손상을 주는 전위를 제거하고전력 공급 시퀀싱 요구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정규 동작 동안의 갑작스런 집적 회로 코어 전압 전력 공급원 VDD의 손실도 막아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점은, 반도체 칩으로서,
제 1 전압 콘택트(first voltage contact)와 접지 콘택트(ground contact)에 접속된 제 1 다수의 회로(first plurality of circuits)와,
제 2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2 다수의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 접속되고, 출력 노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는 제 2 전압 공급원이 접속되지만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에는 어떠한 전압 공급원도 접속되지 않을 때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상태로 만듦으로써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에이블링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에이블링 회로의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 노드가 상기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상태로 될 때,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고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되어있는
상기 반도체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반도체 칩에서 회로를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전압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1 다수의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2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2 다수의 회로를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 및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 접속되고, 출력 노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는 제 2 전압 공급원이 접속되지만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에는 어떠한 전압 공급원도 접속되지 않을 때 상기 출력 노드를 강제로 상기 접지 콘택트로 만듦으로써 동작하는 디스에이블링 회로를 제공 단계와,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에이블링 회로의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회로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런 저런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이후의 본 발명의 더욱 자세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형적인 레벨 시프팅 CMOS 출력 드라이버 회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VDD 전압 공급원의 손실을 감지하는 입/출력(I/O) 보호 회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라이버 회로 110 : 입력단
120 : 전치 드라이브단 130 : 출력단
140 : NAND 게이트 150 : NOR 게이트
200 : I/O 보호 회로 220 : 인버터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 도면에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의 일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드라이버 회로(100)는 전형적인 2-전력-공급 레벨-시프팅 CMOS 출력 드라이버 회로(two-power-supply level-shifting CMOS output driver circuit)를 예시한다. 드라이버 회로(100)는 입력단(110), 전치 드라이브단(120), 출력단(130)을 포함한다. 내부 집적 회로 코어 전압 VDD는 공칭 약 2.5V이고, 출력 드라이버 전압 OVDD는 공칭 액 3.3V이다. 제 1 입력 DATA은 드라이버 입력이고 제 2 입력 ENABLE은 출력단(130)을 고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하는데 이용된다. 정규 동작하에서, 집적 회로 코어로부터 2.5V 논리 데이터가 드라이버 회로(100)의 DATA와 ENABLE 입력에 제공된다. 버퍼 B1, B2는 이 데이터를 2.5V 논리 레벨에서 3.3V 논리 레벨로 변환 혹은 레벨 시프트하여 버퍼 B3, B4로 각각 전달한다. 이 때부터 나머지 회로는 전치 드라이브단(120)과 출력단(130)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3.3V 드라이버이다. 전치 드라이브단(120)은 드라이버 출력 전류의 변화율(di/dt)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NAND/NOR 전치 드라이브이다.
동작에 있어서, 3.3V 공급원 OVDD가 2.5V 공급원 VDD 이전에 파워-업할 때, 혹은 2.5V 공급원의 갑작스런 손실이 존재할 때, 다른 정규 동작동안에 드라이버 회로(100)의 입력 DATA, ENABLE의 논리 레벨은 불확실해진다. 그 이유는, 드라이버 회로(100)의 출력 장치인 트랜지스터 T9와 트랜지스터 T10이 3.3V 공급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드라이버 회로(100)는 트랜지스터 T9, T10을 통해 3.3V에서부터 접지 전위까지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버 회로(100)의 입력(DATA, ENABLE)이 불확실해지는 것을 막는 신규한 방법은 2.5V 공급원의 손실을 감지하여 노드 N1, N5를 강제로 논리 0으로 만드는 것과 관련있다. 노드 N1, N5에서의 논리 0은 각각 버퍼 B3, B4에 대해서 유효한 입력으로서, 이들 버퍼가 계속해서 활성인 동안에는 3.3V 공급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버퍼 B3, B4의 출력도 논리 0이거나 혹은 접지 전위인데, 이 출력들은 NAND/NOR 전치 드라이브단(120)에 보내진다. 트랜지스터 T1,T2, T3, T4는 전치 드라이브단(120)의 NAND 게이트(140)를 형성하여, 출력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PFET) T9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 T1와 T4의 게이트에서의 0 논리 레벨은, 트랜지스터 T2, T3의 게이트의 불확실한 전압과 무관하게, NAND 게이트(140)의 출력을 트랜지스터 T9의 게이트에서 강제로 3.3V로 만든다. 트랜지스터 T9의 게이트의 3.3V 레벨은 출력 PFET 트랜지스터 T9를 차단시켜서 이 장치를 통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못하도록 만든다.
버퍼 B3, B4의 출력에 강제된 0 논리 레벨은 또한 인버터 I1을 통해 트랜지스터 T5, T6, T7, T8을 포함하는 전치 드라이브(120)의 NOR 게이트(150)에도 공급된다. 인버터 I1은 3.3V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것은 트랜지스터 T5, T8의 게이트를 강제로 3.3V (고) 논리 레벨로 만든다. 이것은 차례로 트랜지스터 T6, T7의 게이트의 불확실한 전압과 무관하게 NOR 게이트(150)의 출력을 접지 전위로 만든다. 트랜지스터 T10의 게이트는 접지 전위이고, 이것은 트랜지스터 T10을 턴 오프시켜서 이 장치를 통해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못하도록 만든다. 트랜지스터 T9, T10가 둘 다 턴 오프이므로, 드라이버 회로(100)는 진 고 임피던스 상태(a true high impedance state)가 되어, 3.3V 공급원 OVDD로부터 접지까지 혹은 신호 접속 패드(PDA)(160)로부터 접지까지 혹은 3.3V 공급원 OVDD로부터 PDA(160)까지의 모든 크로스오버 전류를 차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VDD 손실을 감지하는 I/O 보호 회로(200)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2.5V 공급원 VDD의 손실을 감지하여, 노드 N1, N5를 강제로 논리 0 또는 접지 전위로 만든다. 도 2의 보호 회로(2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TN1, TN2는 2 다이오드-접속 N-채널 FETs(NFETs)이다. 트랜지스터 TN1, TN2의 기능은 노드 N3의 최대 전압을 OVDD에서 VDD 이하의 전압 레벨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TP1의 게이트가 VDD로 유지될 때 TP1가 확실히 오프되도록 할 것이다. 또한 트랜지스터 TP1의 N웰(N-well)은 노드 N3에 묶여있다.
정규 기능 모드에서, VDD는 파워 업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TP1, TN3은 그 입력 혹은 게이트가 VDD에 묶여 있는 인버터를 구성한다. VDD에 파워 업되면, 인버터의 입력은 하이 상태가 되고, 이것은 트랜지스터 TP1을 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 TN3은 온시킨다. 트랜지스터 TN3은 트랜지스터 TN4, TN5의 게이트를 풀-다운시킴으로써 TN4, TN5를 차단한다. TN4, TN5가 오프되면, 노드 N1, N5는 플로팅 상태로 되어, 도 1에 도시된 드라이버 회로(100)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VDD 공급원이 접지 전위로 떨어지거나 턴 온에 실패하는 오작동 모드에서는, TP1과 TN3으로 형성된 인버터단(220)의 입력이 접지 상태이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TN3을 턴 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 TP1은 턴 온시켜서, 트랜지스터 TN4와 TN5의 게이트를 노드 N3의 전압 레벨까지 풀-업시킨다. 다시 이것은 트랜지스터 TN4 및 TN5를 턴 온시키고, 노드 N1, N5를 풀-다운시켜서, 도 1의 드라이버 회로(100)의 설명에서 전술한 것처럼 드라이버 회로(100)를 강제로 고 임피던스 상태로 만든다.
드라이버 회로(100)를 강제로 고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기 위해 노드 N1을 풀-다운시키는 트랜지스터 TN4의 영향은 TN5의 적용없이 그 자체로도 충분함을 유의하자. 또한, 노드 N5를 풀-다운시키는 트랜지스터 TN5의 영향은 2.5V 공급원의 손실이 감지될 때 버퍼 B4의 입력을 강제로 논리 0의 안정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즉, 버퍼 B4가 논리 0의 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는 버퍼 B4가 플로팅 상태로 되어 이 버퍼 B4에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보호 회로(200)(도 2 참조)는 노드 N3이 최소 VDD 전압 레벨 아래로 유지되기 때문에 0의 DC 전력을 소모한다. VDD와 OVDD의 전압 범위에 따라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다이오드 접속 NFETs가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보호 회로(200)는 약 2.5V의 공칭 VDD값과 약 3.3V의 공칭 OVDD값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도 2에 TN1과 TN2로 도시된 다이오드-접속 NFETs의 수를 더하거나 감하여서 더 높은 혹은 더 낮은 값의 VDD와 OVDD를 수용하도록 이 보호 회로에 대해 약간의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가 예시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을지라도, 당업자라면 많은 수정과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까지도 모두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전력-공급원 CMOS 집적 회로에서 전력 공급원중 하나가 손실됨으로써 초래되는 불확실한 논리 레벨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전력 소모량도 적은 보호 회로가 제공된다.

Claims (12)

  1. 반도체 칩에 있어서,
    제 1 전압 콘택트(first voltage contact)와 접지 콘택트(ground contact)에 접속된 제 1 다수의 회로(first plurality of circuits)와,
    제 2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2 다수의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 접속되고, 출력 노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는 제 2 전압 공급원이 접속되지만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에는 어떠한 전압 공급원도 접속되지 않을 때 상기 출력 노드를 상기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상태로 만듦으로써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에이블링 회로(disabling circuit)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에이블링 회로의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되고, 상기 출력 노드가 상기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상태로 될 때,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고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되어있는
    반도체 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수의 회로는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반도체 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는 약 2.5 볼트의 공칭 전압 상태인 반도체 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는 약 3.3 볼트의 공칭 전압 상태인 반도체 칩.
  5. 저 전압 논리 레벨을 고 전압 논리 레벨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제 1 전압 콘택트와,
    제 2 전압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콘택트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는 감지 회로와,
    출력 노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는 제 2 전압 공급원이 접속되지만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에는 어떠한 전압 공급원도 접속되지 않을 때, 상기 출력 노드를 강제로 접지 콘택트의 접지 전위로 만들도록 되어 있는 디스에이블링 회로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 노드가 상기 접지 콘택트의 상기 접지 전위와 동일한 상태로 될때, 고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는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6. 반도체 칩에서 회로를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압 콘택트와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1 다수의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2 전압 콘택트와 상기 접지 콘택트에 접속된 제 2 다수의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 및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 접속되고, 출력 노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전압 콘택트에는 제 2 전압 공급원이 접속되지만 상기 제 1 전압 콘택트에는 어떠한 전압 공급원도 접속되지 않을 때, 상기 출력 노드를 강제로 상기 접지 콘택트로 만듦으로써 동작하는 디스에이블링 회로를 제공 단계와,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에이블링 회로의 상기 출력 노드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 보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노드가 상기 접지 콘택트와 동일한 상태로 될 때, 상기 제 2 다수의 회로의 적어도 하나가 고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로 보호 방법.
  8. 2-공급원 입/출력 보호 회로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과 인에이블 입력을 갖는 드라이버 입력단(driver input stage)과,
    NAND 게이트와 NOR 게이트를 포함하는 전치 드라이브단(pre-drive stage)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단의 출력과 동작적으로(operationally) 접속되어 있는 디스에이블링단(disabling stage)과,
    상기 전치 드라이브단의 출력과 동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출력단과,
    동작적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는 인버터단(inverter stage)과 전압 강하단(voltage drop stage)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단과 동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감지단(sensing stage)을 포함하는
    보호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단은,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PFET)인 제 1 트랜지스터와,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NFET)인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단은 다수의 다이오드 접속 트랜지스터(a plurality of diode-connected transistors)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단은, 상기 전압 강하단의 출력의 전압 레벨이 상기 인버터단의 입력의 최소값 미만이 되도록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보호 회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고 임피던스 상태로 전환가능(switchable)한 보호 회로.
KR1020010010675A 2000-04-03 2001-03-02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363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41,196 US6335637B1 (en) 2000-04-03 2000-04-03 Two-supply protection circuit
US09/541,196 2000-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48A KR20010094948A (ko) 2001-11-03
KR100363381B1 true KR100363381B1 (ko) 2002-12-05

Family

ID=241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6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3381B1 (ko) 2000-04-03 2001-03-02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35637B1 (ko)
JP (1) JP3475182B2 (ko)
KR (1) KR100363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1679B1 (en) * 1999-03-24 2001-08-07 Altera Corporation I/O cell configuration for multiple I/O standards
US6836151B1 (en) * 1999-03-24 2004-12-28 Altera Corporation I/O cell configuration for multiple I/O standards
US6700763B2 (en) 2002-06-14 2004-03-02 Thomson Licensing S.A. Protected dual-voltage microcircuit power arrangement
CN100380811C (zh) 2002-12-13 2008-04-0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和使用该半导体器件的显示器件
US6894537B1 (en) 2002-12-18 2005-05-1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evel shifting in power-on reset circuitry in dual power supply domains
US7034585B1 (en) 2003-02-14 2006-04-2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DD detect circuit without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during normal mode
US6909204B2 (en) * 2003-04-01 2005-06-21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equencing a first node voltage and a second node voltage
US7215149B1 (en) * 2004-12-15 2007-05-08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rface circuitry for electrical systems
US7619444B1 (en) * 2005-12-08 2009-11-17 Nvidia Corporation Circuit technique to prevent device overstress
US7541835B1 (en) * 2005-12-08 2009-06-02 Nvidia Corporation Circuit technique to achieve power up tristate on a memory bus
US7429875B2 (en) * 2006-12-13 2008-09-30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static current drain logic circuit
US8570077B2 (en) 2010-12-17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implementation of low-power power-on control circuits
US8675420B2 (en) 2011-05-26 2014-03-18 Micron Technology, Inc.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enabling circuits
US8466722B2 (en) 2011-10-28 2013-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artup and protection circuitry for thin oxide output stage
US10164798B2 (en) * 2016-12-05 2018-12-25 Synopsys, Inc. Driver circuit for transmitter
JP7438995B2 (ja) * 2020-08-07 2024-02-2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4814A (ja) * 1989-03-28 1990-10-15 Nec Ic Microcomput Syst Ltd 3ステート出力バッファ回路
US5136189A (en) * 1990-04-02 1992-08-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icmos input circuit for detecting signals out of ecl range
JPH04120817A (ja) 1990-09-11 1992-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Lsi回路の出力バッファ回路
US5266849A (en) * 1992-02-19 1993-11-30 Hal Computer Systems, Inc. Tri state buffer circuit for dual power system
US5378943A (en) 1993-04-20 1995-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power interface circuit
US5408147A (en) 1993-09-07 1995-04-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CC translator circuit
US5398000A (en) * 1994-03-30 1995-03-14 Intel Corporation Simple and high speed BICMOS tristate buffer circuit
US5513140A (en) 1994-06-01 1996-04-30 Micron Technology, Inc. Data output buffer
JP2922424B2 (ja) 1994-07-13 1999-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出力回路
JPH08148986A (ja) 1994-11-21 1996-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出力バッファ回路
US5834948A (en) 1995-09-21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Output circuit
KR100223744B1 (ko) 1995-12-29 1999-10-15 김영환 혼합 전압 입력 버퍼
US5933025A (en) 1997-01-15 1999-08-03 Xilinx, Inc. Low voltage interface circuit with a high voltage tolerance
US5896045A (en) 1997-05-05 1999-04-20 Siegel; Joshua Static pulsed cross-coupled level shifter and method therefor
US6208167B1 (en) * 1997-11-19 2001-03-27 S3 Incorporated Voltage tolerant buffer
TW511335B (en) * 1998-06-09 2002-11-21 Mitsubishi Electric Corp Integrated circuit
JP2001156608A (ja) 1999-11-29 2001-06-08 Nec Corp 出力トランジスタの貫通電流防止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13560A (ja) 2001-11-09
JP3475182B2 (ja) 2003-12-08
US6335637B1 (en) 2002-01-01
KR20010094948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4795A (en) Voltage translation and overvoltage protection
KR100363381B1 (ko) 반도체 칩, 반도체 인터페이스 회로, 반도체 칩의 회로보호 방법 및 그 보호 회로
JPH11195975A (ja) レベル変換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687422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US5877635A (en) Full-swing buffer circuit with charge pump
US5304872A (en) TTL/CMOS input buffer operable with three volt and five volt power supplies
US5973511A (en) Voltage tolerant input/output buffer
US7355447B2 (en) Level shifter circuit
US7372765B2 (en) Power-ga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7830174B2 (en) Input/output circuit
US6191636B1 (en) Input buffer/level shifter
EP0709964B1 (en) Programmable pull-up buffer
US6313671B1 (en) Low-power integrated circuit I/O buffer
US20070279091A1 (en) Digital Voltage Level Shifter
US6570401B2 (en) Dual rail power supply sequence tolerant off-chip driver
US10541676B2 (en) Symmetrical dual voltage level input-output circuitry
JP3940743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レベル変換回路
JP5266974B2 (ja) 入出力回路
US6150844A (en) High voltage tolerance output stage
US5905618A (en) Voltage protected level shifting of chip driver
KR100732432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JP4469798B2 (ja) 集積回路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段の出力で出力信号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
US5999034A (en) Pull-down driver circuit for 3.3V I/O buffer using 1.9V fabrication process
US6784695B1 (en) Domino circuit topology
US7196548B2 (en) Single ended current-sensed bus with novel static power free receiv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