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0282B1 - 동적 무늬 표현 기술 - Google Patents

동적 무늬 표현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282B1
KR100360282B1 KR1020000026647A KR20000026647A KR100360282B1 KR 100360282 B1 KR100360282 B1 KR 100360282B1 KR 1020000026647 A KR1020000026647 A KR 1020000026647A KR 20000026647 A KR20000026647 A KR 20000026647A KR 100360282 B1 KR100360282 B1 KR 10036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oller
film
forming
bas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4025A (ko
Inventor
김영오
Original Assignee
김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오 filed Critical 김영오
Priority to KR102000002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2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5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2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7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보는 각도에 따라 제품에 표현된 정적인 무늬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엠보스와 골로 구성된 기본 패턴 각각을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와 무늬의 동적 움직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런 배치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택된 무늬 및 무늬의 움직임을 반영하되 엠보스에 대응되는 리세스와 골에 대응되는 돌출부로 구성된 대응 기본 패턴의 다수 각각이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된 대응무늬를 롤러의 표면에 형성하고, 대응 무늬가 형성된 롤러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다. 대응 무늬는 사진 식각 기술을 이용하거나 디지털 조각기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무늬 표현 기술{MOVE-EMBOSS DESCRIBING TECHNOLOGY}
본 발명은 제품 표면에 형성된 무늬를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시키는 무늬 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 표면에 무늬를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쇄가 있다. 원하고자 하는 무늬를 제품 표면에 인쇄하는 경우,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과 제품과의 접착성이 양호해야 하며, 무늬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무늬를 표현하기 위한) 재료에 의해 제품이 손상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인쇄된 무늬는 보는 각도에 관계없이 모양이 변하지 않아, 하나의 무늬는 제품에 하나의 모양만을 제공하므로 제품의 디자인이 단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는 무늬를 제품에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품 표면에 표현된 무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품 표면에 표현된 무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현된 동적 무늬의 제조 공정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대응 무늬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먼저, 제품에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선택한다. 무늬는 엠보스와 골로 구성된 기본 패턴을 다수 포함하며, 다수의 기본 패턴 각각을 각각의 소정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무늬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무늬의 표현 유형을 선택한다. 선택된 무늬 및 선택된 유형을 반영하되 엠보스에 대응되는 리세스와 골에 대응되는 돌출부로 구성된 대응 기본 패턴 각각이 각각의 기본 패턴에 대응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대응무늬를 롤러의 표면에 형성한다. 대응 무늬가 형성된 롤러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에 무늬를 형성한다. 여기서,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무늬 및 선택된 유형을 나타내도록 대응 기본 패턴 각각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디자인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필름을 롤러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필름 상면 일부에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감광막을 이용하여 필름 상면의 다른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감광막과 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롤러의 표면을 식각 하여 리세스와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필름을 제거하여 대응 무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선택된 무늬 및 선택된 유형을 나타내도록 롤러의 일부분을 디지털 신호 "0"으로 인식하고 롤러의 다른 부분을 디지털 신호 "1"로 인식한다. 다음, 인식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롤러 표면의 식각 여부를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롤러 표면을 식각 하여 리세스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대응 무늬를 완성한다.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빛이 물체로 입사할 때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은 동일하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광원과 대칭을 이루는 부분과 비대칭인 부분에서 관찰자가 느끼는 빛의 밝기를 차별화 함으로써, 물체에 표현된 무늬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제품 표면에 표현되는 무늬를 구성하는 기본 패턴(10)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무늬는 기본 패턴(10)을 다수 포함하며, 각각의 기본 패턴은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에 해당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기본 패턴(10)은 다수의 엠보스(12)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골(14)로 구성되어 있는 골판지와 같은 형상을 한다. X방향으로 배치된 기본 패턴(10)의 폭(L)은 무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무늬 크기에 따라 단위 길이(1인치)에 포함될 수 있는 엠보스의 수가 결정된다(엠보스의 크기가 일정하다는 전제). 도 2에서는 골(14)이 Y축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다수의 기본 패턴으로 구성된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기본 패턴의 골이 Y축으로 배치되고, 다른 기본 패턴은 Y축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배치되게 한다. 이를 도 2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2는 사각형 무늬를 나타낸 것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사각형이 축소 또는 확대된다. 검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기본 패턴의 골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하얗게 표시된 부분은 엠보스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무늬의 하부 중앙의 A-A에 따른 단면의 형상은 도 1의 것과 동일하다.
무늬의 중앙에 위치하는 패턴(30)의 골은 X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15도를 이룬다. 패턴(30)과 접하는 패턴(32)의 골은 X 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30도를 이루도록, 기본 패턴(32)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패턴(34)의 골은 X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45도를 이루고, 패턴(36)의 골은 X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60도를 이루며, 패턴(38)의 골은 X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75도를 이루고 패턴(40)의 골은 X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90도를 이룬다. 같은 방법으로, 패턴(42)은 Y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15도를 이룬다. 패턴(42)과 접하는 패턴(44)의 골은 Y 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30도를 이루고, 패턴(46)의 골은 Y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45도를 이루고, 패턴(48)의 골은 Y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60도를 이루며, 패턴(50)의 골은 Y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75도를 이루고 패턴(52)의 골은 Y축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 90도를 이룬다. 전술한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사각형 무늬를 형성한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 3 및 도 4a와 도 4b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제품 표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선정한다(단계 11). 무늬로는 꽃모양, 사각형 또는 원형 모양 등이 있으며 여기서는 사각형 모양을 선택한다. 선택한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을 결정한다(단계 13).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이란 보는 각도에 따라 무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무늬의 이동, 무늬의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무늬의 명멸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무늬의 확대 또는 축소를 선택하였다.
다음, 단계 20에서 원하는 무늬에 대응되는 대응 무늬를 롤러의 표면에 형성한다. 롤러의 표면에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사진 식각 기법을 이용하는 것과 디지털조각기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사진 식각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하는 무늬 및 무늬의 표현 방법을 반영하도록 디자인된 필름을 출력한다(단계 21). 다음, 도 1에 도시된 기본 패턴에 대응하는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이 표현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이 고르게 연마된 롤러(60)의 표면을 필름(63)으로 덮는다. 필름에는 무늬 전체가 디자인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는 필름 전체 중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기본 패턴에 대응되는 대응 기본 패턴이다. 즉, 원하는 무늬가 사각형 모양이되 보는 각도에 따라서 확대 또는 축소되는 사각형 모양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 도 4b에 형성된 대응 기본 패턴들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각형 무늬를 구성하는 기본 패턴들이 배치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치된다. 필름 출력 후, 필름(63) 위에는 감광액이 도포 된다(단계 22). 필름 중 감광액이 도포 되는 부분(62)은 인화/현상 과정에서 남게 되고, 감광액이 도포 되지 않은 부분(64)은 인화/현상 과정에서 제거된다. 이후, 감광액을 제거하고, 필름의 잔여분(62)을 탑재한 롤러의 표면을 부식시킨다(단계 23). 부식에 의해 롤러의 표면은 등방향 식각 된다. 즉, 잔여분(62) 사이의 롤러 표면은 오목하게 식각 되어 리세스(72)로 형성되고 부분(62)의 하부는 돌출부(74)로 형성된다. 리세스(72)는 도 1의 엠보스(12)에 대응하고 돌출부(74)는 도 1의 골(14)에 대응된다. 이후에 필름의 잔여분(62)을 제거하여 롤러의 표면에 대응 기본 패턴으로 구성된 대응 무늬를 완성한다(단계 26).
디지털 조각기를 이용하여 대응무늬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단계 24에서 무늬가 디자인된 필름을 출력하는 대신 디자인된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디지털 조각기에 입력한다. 무늬의 디지털 데이터화란 무늬를 구성할 엠보스(12)를 형성할 부분과 골(14)을 형성할 부분을 각각 "0(또는 1)" 및 "1(또는 0)"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 단계 25에서, 디지털 조각기를 이용하여 롤러 표면에 미세한 선골을 형성한다. 즉, 디지털 조각기는 "0(또는 1)"로 인식되는 롤러 표면을 식각하고 "1(또는 0)"으로 인식되는 롤러 표면은 식각하지 않음으로써, 대응 무늬를 완성한다(단계 26).
대응 무늬가 형성된 롤러를 제품 표면에 밀면, 제품 표면에는 원하는 무늬,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각형 무늬가 제품 표면에 형성된다(단계 15). 본 발명은 사각형 모양의 무늬가 확대 또는 축소되어 보이는 경우에 한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의 각종 변형, 예를 들면 꽃모양의 무늬가 명멸(꽃이 피었다가 꽃이 지는 것)되어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되, 정적이고 평면적인 무늬를 동적인 무늬로 보이게끔 각인함으로써, 보는 이에게 소정의 무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품이 원단 또는 벽지 등과 같이 평면적인 특징을 갖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무늬만으로 원단 또는 벽지 디자인을 대체할 수 있다. 입체적 특징을 보이는 제품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제품의 외관을 장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늬를 제품에 표현(인쇄)하기 위해 제품과 다른 재질의 재료(인쇄물)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쇄물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엠보스를 제품 표면에 표현한 뒤 기본 패턴의 배치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이물질 또는 압력 등의 외부 요소로부터 기본 패턴의 배치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Claims (3)

  1. 제품에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무늬는 엠보스와 골으로 구성된 기본 패턴을 다수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기본 패턴 각각을 각 기본 패턴에 대응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무늬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이게 하는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무늬 및 상기 선택된 유형을 반영하되 상기 엠보스에 대응되는 리세스와 상기 골에 대응되는 돌출부로 구성된 대응 기본 패턴이 상기 기본 패턴에 대응되는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대응무늬를 롤러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무늬가 형성된 상기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 표면에 상기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무늬 각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무늬 및 상기 선택된 유형을 나타내도록 상기 대응 기본 패턴 각각을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디자인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을 롤러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 상면 일부에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필름 상면의 다른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감광막과 상기 감광막에 의해 노출된 상기 롤러의 표면을 식각 하여 상기 대응 기본 패턴의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을 제거하여 상기 대응 무늬를 완성하는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무늬 각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무늬 및 상기 선택된 유형을 나타내도록 상기 롤러의 일부분을 디지털 신호 "0"으로 인식하고 상기 롤러의 다른 부분을 디지털 신호 "1"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상기 롤러의 표면의 식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롤러 표면의 일부를 식각 하여 상기 대응 기본 패턴의 상기 리세스와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대응 무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무늬 각인 방법.
KR1020000026647A 2000-05-18 2000-05-18 동적 무늬 표현 기술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47A KR100360282B1 (ko) 2000-05-18 2000-05-18 동적 무늬 표현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47A KR100360282B1 (ko) 2000-05-18 2000-05-18 동적 무늬 표현 기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25A KR20000054025A (ko) 2000-09-05
KR100360282B1 true KR100360282B1 (ko) 2002-11-13

Family

ID=1966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6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0282B1 (ko) 2000-05-18 2000-05-18 동적 무늬 표현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2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111A (ja) * 1994-10-31 1996-05-2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9980022408U (ko) * 1996-10-28 1998-07-25 김충세 3차원 동(動)영상 입체무늬를 갖는 바닥장식재
KR0138688Y1 (ko) * 1996-12-31 1999-04-01 이종학 렌즈면형 엠보스 인쇄층을 갖는 바닥장식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111A (ja) * 1994-10-31 1996-05-2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KR19980022408U (ko) * 1996-10-28 1998-07-25 김충세 3차원 동(動)영상 입체무늬를 갖는 바닥장식재
KR0138688Y1 (ko) * 1996-12-31 1999-04-01 이종학 렌즈면형 엠보스 인쇄층을 갖는 바닥장식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025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4632C2 (ru)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запечатанный методом металлографской печати
JP4676124B2 (ja) 表層パターン
CA2553072C (en) Security device
AU778688B2 (en) Profile printing with additive technology
JP2006507527A5 (ko)
US20050168723A1 (en) Optically variable element
JP2006507527A (ja) 光学可変素子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7599660B (zh) 一种在纸张上印刷出触觉肌理效果的方法
JP4844894B2 (ja) 立体モアレ形成体
KR20040032973A (ko) 다이얼의 제작방법 및 상기 제작방법에 따라 생산된 다이얼
KR100360282B1 (ko) 동적 무늬 표현 기술
JP2001301306A (ja) スクリーン印刷による立体モアレ
JP3140937U (ja) 押圧転写加工用版および画像形成体
KR200217035Y1 (ko)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는 인쇄물
JPH0459347A (ja) 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707810B1 (ko) 입체감을 표현한 인쇄방법
TWM546919U (zh) 多層次壓紋燙印防偽裝置
JP5845567B2 (ja) マイクロレンズ装飾体
JP3789874B2 (ja) 潜像パターンを有する印刷物
JP5629024B1 (ja) 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用プログラム、彫刻物製造方法、彫刻物及び印刷物
CN205167940U (zh) 一种无版缝砂银雪花全息版
WO2001085473A1 (en) Reflective surface embossing
KR102316772B1 (ko) 입체화상 형성용 몰드 및 입체화상 성형물
KR0138688Y1 (ko) 렌즈면형 엠보스 인쇄층을 갖는 바닥장식재
CN118596739B (zh) 纹理结构及其制备方法、装饰件、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6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