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8428B1 -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428B1
KR100358428B1 KR1019990005795A KR19990005795A KR100358428B1 KR 100358428 B1 KR100358428 B1 KR 100358428B1 KR 1019990005795 A KR1019990005795 A KR 1019990005795A KR 19990005795 A KR19990005795 A KR 19990005795A KR 100358428 B1 KR100358428 B1 KR 10035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buffer layer
compound semiconductor
gas
nitride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458A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웨이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웨이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웨이퍼테크
Priority to KR10199900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4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4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87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389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4Homoepita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기판 상에 제 1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제 1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가스와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반응시켜 상기 제 1 질화물질과 용융점이 높은 제 2 질화물질이 혼정을 이루되 상기 제 1 버퍼층과 접하는 하부에는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아 조성비가 경사형을 이루는 제 2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버퍼층 상에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화합물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합물반도체층이 남도록 상기 모기판과 제 1 및 제 2 버퍼층을 기계적 연마 방법으로 제거하여 상기 잔류하는 화합물반도체층을 경면 처리하여 반도체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크랙 등의 결정 결함을 감소시켜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동작 특성에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면에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소자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이저다이오드를 제작할 때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개면의 거칠기를 저하시켜 임계 전류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fabricating n 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
본 발명은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모기판과 격자부정합 및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질화갈륨(GaN), 질화알루미늄(AlN) 및 질화인듐(InN) 등의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는 열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대체로 에너지 밴드 갭이 큰 특성을 가지므로 새로운 화합물반도체 물질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에서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 재료는 열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성에 의해 고온 및 고전류 동작시 전기적으로 안정하므로 HBT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및 MESFET (Metal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전자 소자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 재료 중 GaN 및 AlN 등은 직접 천이형 반도체로 실온에서 에너지 밴드 갭이 각각 3.4eV와 6.2eV 정도로 크다. 따라서, GaN 및 AlN 등은 청색의 가시영역에서 자외 파장의 짧은 파장대의 빛을 발생하므로 고휘도의 레이저 다이오드(LD)와 청색 및 자외영역의 단파장 발광 다이오드(LED)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UV 검출기(Ultra Violet detector)를 제조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GaN 등의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물질은 융점이 2400℃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질소의 분해압이 융점에서 약 10만 기압 정도로 매우 높아 용융 성장 방법에 의해 단결정 상으로 성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물질, 예를 들면, GaN은 1000∼1150℃의 고온에서 액상의 갈륨(Ga)에 암모니아(NH3) 가스를 흘려 갈륨(Ga)과 암모니아 가스가 직접 반응되어 결정화되도록 하므로써 벌크 상태로 성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성장된 단결정 상의 GaN은 침상형(needle)을 가지므로 소자를 형성하기 어렵다.
단결정 상의 GaN을 성장하는 다른 방법으로, 1500∼1600℃의 고온에서 2만기압 정도의 질소 감압상태에서 갈륨(Ga) 용액에 질소(N2)를 용해시켜 표면에서 결정화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 의해 단결정 상의 GaN는 수 mm×수 mm 정도의 작은 면적과 100㎛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1회 공정에 의해 1장만 성장되므로 가공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사파이어기판 또는 실리콘기판으로 이루어진 모기판(mother substrate) 상에 넓은 면적과 두꺼운 두께를 가져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결정 상의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을 이종에피택셜(heteroepitaxial) 방법으로 성장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GaN, AlN 또는 InN 등의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방법에 의해 사파이어기판 상에 직접, 또는, 실리콘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한 후 이종에피택셜 방법으로 성장한다. 상기에서 모기판(mother substrate)으로 사용된 사파이어기판 상에 직접 성장된 것은 기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실리콘기판 상에 형성된 것은 모기판으로 사용된 실리콘기판을 불산 등의 용액으로 식각하고 남은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가 기판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파이어기판 및 실리콘기판을 모기판 상에 이종에피택셜 성장된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는 모기판과 격자부정합과 열팽창계수의 차이가 매우 크다. 그러므로, 결정 성장된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은 크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결정 결함이 많이 존재하게 되어 전자소자의 동작 특성에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파이어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고 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기계적인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다이오드 구조를 계단형으로 에칭 가공한 후 P형 전극과 N형 전극을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층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크기가 증가되고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파이어는 롬보헤드랄(Rhombohedral) 격자구조를 갖고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는 육방정계 격자구조를 가져 사파이어기판 상에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는 30°회전된 상태로 성장된다. 그러므로, 레이저다이오드 제작하고 사파이어기판의 결정면을 따라 분리할 때 공진기를 형성하는 벽개면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의 결정면을 따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리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벽개면이 거칠어 공진기의 효율이 저하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의 임계 전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랙 등의 결정 결함을 감소시켜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동작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소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다이오드를 제작할 때 분리가 용이하고 벽개면의 거칠기를 저하시켜 레이저 다이오드의 임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은 모기판 상에 제 1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제 1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가스와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반응시켜 상기 제 1 질화물질과 용융점이 높은 제 2 질화물질이 혼정을 이루되 상기 제 1 버퍼층과 접하는 하부에는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아 조성비가 경사형을 이루는 제 2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버퍼층 상에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화합물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합물반도체층이 남도록 상기 모기판과 제 1 및 제 2 버퍼층을 기계적 연마 방법으로 제거하여 상기 잔류하는 화합물반도체층을 경면 처리하여 반도체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모기판(11) 상에 결정 성장 속도가 빠른 HVPE 방법에 의해 제 1 버퍼층(13)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모기판(11)은 사파이어(Al2O3), 스피넬(MgAl2O4), 용융석영(SiO2) 또는 산화아연(ZnO) 등의 산화물이나, 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또는 탄화실리콘(SiC) 등의 반도체물질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1 버퍼층(13)을 질화인듐(InN)을 HVPE 방법으로 500∼700℃ 정도의 저온에서 0.5∼1.0㎛ 정도의 두께로 성장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질화인듐(InN)을 형성할 때 염산(HCl) 가스와 캐리어(carrier) 가스인 질소(N2), 헬륨(He) 또는 아르곤(Ar) 등의 불활성가스를 인듐(In)에 흘려 하기 (식 1)과 같이 염화인듐(InCl3) 가스를 생성한다.
2In+6HCl+N2→2InCl3+3H2↑+N2(식 1)
상기 (식 1)에서 생성된 염화인듐(InCl3) 가스를 암모니아(NH3) 가스와 반응시켜 하기 (식 2)과 같이 질화인듐(InN) 가스를 생성하고, 이 질화인듐(InN) 가스로 모기판(11) 상에 제 1 버퍼층(13)을 형성한다.
InCl3+NH3→InN+3HCl↑(식 2)
상기에서 질화인듐(InN)은 융점이 1100℃ 정도 내외로 낮으므로 성장 온도가 높게 되면 인듐(In) 성분이 승화되어 조성비가 변하므로 제 1 버퍼층(13)을 500∼700℃ 정도의 저온에서 성장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버퍼층(13) 상에 인 시튜(in situ)에서 HVPE 방법에 의해 제 2 버퍼층(15)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버퍼층(15)은 제 1 버퍼층(13)을 형성한 후 질화인듐(InN)과 질화같륨(GaN)의 혼정을 700∼1100℃ 정도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0.5∼1.0㎛ 정도의 두께로 성장하여 조성비가 경사형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염화인듐(InCl3)을 (식 1)에 의해 생성하면서 하기 (식 3)에 의해 염화같륨(GaCl3)을 생성한다.
2Ga+6HCl+N2→2GaCl3+3H2↑+N2(식 3)
그리고, (식 1)에 의해 생성된 염화인듐(InCl3) 가스와 (식 3)에 의해 생성된 질화인듐(GaCl3) 가스를 반응하여 하기 (식 4)에 의해 제 1 버퍼층(13) 상에 질화갈륨인듐(InxGa1-xN)으로 이루어진 제 2 버퍼층(15)을 형성한다.
(InCl3)X+(GaCl3)1-X+NH3→InXGa1-XN+3HCl↑ (식 4)
상기 (식 4)에서 0≤X≤1이다.
상기에서 질화인듐(InN)은 융점이 1100℃ 정도 내외로 낮으면서 격자 상수가 3.548Å이며, 질화인듐(GaN)은 융점이 2000℃ 정도로 높으면서 격자 상수가 3.189Å이다. 그러므로, 제 2 버퍼층(15)을 이루는 질화갈륨인듐(InXGa1-XN)은 제 1 버퍼층(13)과 접하는 부분에는 인듐(In)의 비율이 높다가 온도가 상승되면서 점차로 인듐(In)이 승화되어 갈륨(Ga)의 비율이 증가되어 경사형의 조성비를 갖는다.
상기에서 제 2 버퍼층(15)을 갈륨 대신에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질화알루미늄인듐(InXAl1-XN)의 혼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 2 버퍼층(15) 상에 인 시튜(in situ)에서 HVPE 방법에 의해 화합물반도체층(17)을 700∼1100oC 정도의 온도에서 600∼800㎛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화합물반도체층(17)은 제 2 버퍼층(15)을 형성한 후 인듐(In)에 가스의 흐름을 중지하고 같륨(Ga)에만 염산(HCl) 가스와 캐리어 가스인 질소(N2), 헬륨(He) 또는 아르곤(Ar) 등의 불활성가스를 흘려 (식 3)과 같이 염화갈륨(GaCl3) 가스를 생성한다. (식 3)과 같이 생성된 염화갈륨(GaCl3) 가스를 암모니아(NH3) 가스와 반응하여 하기 (식 4)과 같이 질화갈륨(GaN) 가스를 생성하고, 이 질화갈륨(GaN) 가스로 제 2 버퍼층(15) 상에 단결정 질화갈륨(GaN)의 화합물반도체층(17)을 형성한다
GaCl3+NH3→GaN+3HCl↑(식 4)
상기에서 화합물반도체층(17)이 높은 온도에서 형성되므로 열적으로 불안정한 제 1 및 제 2 버퍼층(13)(15)을 이루는 질화인듐(InN)이 분해되어 소멸되거나 일부만 잔류된다. 그러므로, 화합물반도체층(17)은 모기판(11)과 밀착성이 저하되므로 격자 상수가 4.758Å인 사파이어(Al2O3)로 이루어진 모기판(11)과 격자 상수가 3.189Å인 질화인듐(GaN)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반도체층(17) 사이의 격자부정합과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냉각되는 과정 중에 화합물반도체층(17)에 크랙 등의 결정 결함이 생성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화합물반도체층(17)을 질화갈륨(GaN)이외에 질화알루미늄(AlN)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화합물반도체층(17)을 형성한 후 갈륨 쪽에 흐르는 염산(HCl) 가스를 중지하고 불활성가스와 암모니아 가스를 550∼650℃의 온도까지 공급하면서 온도를 3∼10℃/분의 속도로 서서히 냉각시킨다.
도 1d를 참조하면, 화합물반도체층(17)만 남도록 모기판(11), 제 1 및 제 2 버퍼층(13)(15)을 기계적 연마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화합물반도체층(17)을 입경이 0.1∼10㎛ 정도인 보론카바이드, 탄화규소 또는 다이아몬드 분말을 슬러리 상태로 공급하면서 300∼400㎛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연마한 후, 다시, 입경이 0.05∼0.1㎛ 정도인 산화알루미늄 분말과 입경이 0.05㎛ 이하인 산화알루미늄 분말을 각각 슬러리 상태로 공급하면서 회전 연마하여 경면 처리하여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1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모기판(11)이 용융석영(SiO2), 산화아연(ZnO), 실리콘(Si) 또는 갈륨비소(GaAs)로 형성된 경우에는, 이 모기판(11)을 화학적 에칭 방법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화합물반도체기판은 제 1 및 제 2 버퍼층에 의해 모기판과의 격자부정합 및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한 크랙 등의 결정 결함을 감소시키며, 모기판을 제거하므로 하부면에 전극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다이오드를 제작한 후 벽개면을 따라 분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랙 등의 결정 결함을 감소시켜 형성되는 전자소자의 동작 특성에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면에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광소자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레이저다이오드를 제작할 때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벽개면의 거칠기를 저하시켜 임계 전류를 감소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모기판 상에 제 1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용융점이 낮은 제 1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버퍼층 상에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가스와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반응시켜 상기 제 1 질화물질과 용융점이 높은 제 2 질화물질이 혼정을 이루되 상기 제 1 버퍼층과 접하는 하부에는 상기 제 1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조성비가 높아 조성비가 경사형을 이루는 제 2 버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버퍼층 상에 상기 제 2 질화물질의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여 화합물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층과 상기 화합물반도체층을 인 시튜(in situ)에서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방법으로 연속해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합물반도체층이 남도록 상기 모기판과 제 1 및 제 2 버퍼층을 기계적 연마 방법으로 제거하여 상기 잔류하는 화합물반도체층을 경면 처리하여 반도체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기판으로 사파이어(Al2O3), 스피넬(MgAl2O4), 용융석영(SiO2) 또는 산화아연(ZnO)의 산화물이나, 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또는 탄화실리콘(SiC)의 반도체물질을 사용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퍼층을 질화인듐(InN)을 500∼700℃의 저온에서 0.5∼1.0㎛ 정도의 두께로 성장하여 형성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층을 질화인듐(InN)과 질화갈륨(GaN) 또는 질화알루미늄(AlN)의 혼정으로 형성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퍼층을 700∼1100℃로 온도를 상승시키면 형성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반도체층을 질화갈륨(GaN) 또는 질화알루미늄(AlN)을 700∼1100oC의 온도와 600∼800㎛ 정도의 두께로 성장하여 형성하는 질화물계 화합물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KR1019990005795A 1999-02-22 1999-02-22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5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95A KR100358428B1 (ko) 1999-02-22 1999-02-22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95A KR100358428B1 (ko) 1999-02-22 1999-02-22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458A KR20000056458A (ko) 2000-09-15
KR100358428B1 true KR100358428B1 (ko) 2002-10-25

Family

ID=1957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8428B1 (ko) 1999-02-22 1999-02-22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05B1 (ko) * 2002-03-04 2004-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화물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20B1 (ko) * 2001-03-05 2004-07-05 삼성코닝 주식회사 Ιιι-ⅴ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451245B1 (ko) * 2008-06-11 2014-10-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소자와 이의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1A (ko) * 1996-12-05 1998-10-07 이데이노부유끼 질화물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방법 및질화물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1A (ko) * 1996-12-05 1998-10-07 이데이노부유끼 질화물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층의 성장 방법 및질화물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05B1 (ko) * 2002-03-04 2004-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화물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458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610B2 (en) Process for producing gallium nitride crystal substrate, and gallium nitride crystal substrate
US6177292B1 (en) Method for forming GaN semiconductor single crystal substrate and GaN diode with the substrate
US8148801B2 (en) Nitride crystal with removable surface lay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5389571A (en) Method of fabricating a gallium nitride based semiconductor device with an aluminum and nitrogen containing intermediate layer
KR100401898B1 (ko) 결정 성장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방법
US20070176199A1 (en) Nitride-based group III-V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nitride-based group III-V light-emitting device
US201301606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II-Nitride Crystal
JP5244487B2 (ja) 窒化ガリウム成長用基板及び窒化ガリウム基板の製造方法
WO2010005914A1 (en) High quality large area bulk non-polar or semipolar gallium based substrates and methods
JP7478826B2 (ja) 高品質iii族金属窒化物種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227490A (zh) Iii族氮化物半导体及其制造方法
KR100239497B1 (ko) 질화갈륨 단결정 기판의 제조방법
KR100586940B1 (ko) 질화갈륨계 단결정 기판의 제조방법
KR100450781B1 (ko) Gan단결정제조방법
KR100438813B1 (ko) 질화갈륨(gan) 웨이퍼 제조방법
KR100358428B1 (ko)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KR100682272B1 (ko) 질화물계 기판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질화물계 기판
KR19980043941A (ko) 질화갈륨 반도체 단결정 기판의 제조방법
KR100320541B1 (ko)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기판의 제조방법
KR19990062035A (ko)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갈륨기판 제조방법
KR100576850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JP2000269143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結晶の製造方法
KR100949212B1 (ko) 질화물 기판 제조 방법
CN1123916C (zh) Yb2单晶的用途
JPH08264829A (ja) 化合物半導体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