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6845B1 -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845B1
KR100356845B1 KR1020000032679A KR20000032679A KR100356845B1 KR 100356845 B1 KR100356845 B1 KR 100356845B1 KR 1020000032679 A KR1020000032679 A KR 1020000032679A KR 20000032679 A KR20000032679 A KR 20000032679A KR 100356845 B1 KR100356845 B1 KR 10035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sh
vehicle
chassis
chassi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902A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845B1/ko
Priority to US09/741,547 priority patent/US6361096B2/en
Publication of KR2001011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조립시 샤시 프레임과 상부 부시 사이와, 상부 부시와 하부 부시 사이를 각각 이중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상기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상기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조립도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플러그 사용의 배제에 따른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 프레임(10)과, 이 샤시 프레임(10)상에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를 각각 개재한 상태에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14)을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에는 상측에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4)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체결부재(40)가 이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이 이중체결부재(40)의 암나사부(42)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4)상에 고정되는 볼트(20)가 체결되며, 상기 이중체결부재(40)의 수나사부(44)는 상기 하부 부시(18)의 저면에서 너트(2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frame mounting structure for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프레임 바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에 대한 체결강도를 보강시켜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부품의 절감에 따른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크게 모노코크 바디와 프레임 바디로 구분되는 바, 상기 모노코크 바디는 차체 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형태를 띠는 것으로 주로 승용자동차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 바디는 샤시 프레임이 플로워 패널의 주골격을 이루면서 그 위에 차체가 구성되는 것으로 주로 상용차나 대형 차량에서 채택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 바디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차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좌/우측 선단부위로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샤시 프레임(10)과, 이 샤시 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차체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 멤버(12)와, 상기 샤시 프레임(10)의 상부에 다수 군데로 장착되는 차체 프레임(14) 및, 이 차체 프레임(1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플로워 패널(도 2에 도시됨)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상기 차체 프레임(14) 사이의 결합부위는 도 1의 "가"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이의 상부로 배치되는 차체 프레임(14)이 각각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바, 상기 샤시 프레임(10)에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0a)의 상하측부위에서 각각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14)에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4a)에는 볼트(20)가 삽입되며, 이 볼트(20)는 상기 상부 부시(16)와 샤시 프레임(10) 및 하부 부시(18)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 부시(18)의 저면에서 너트(22)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14)의 상부에는 플로워 패널(24)이 설치되고, 이 플로워 패널(24)상에는 관통구(24a)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20)의 체결시 수공구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워 패널(24)상에 형성된 관통구(24a)에는 상기 볼트(20)의 체결작업이 종료된 다음에, 외부로 상기 볼트(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플러그(26)가 끼워져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은 각각 단면의 형상으로 보아 "ㄷ"자형태로 형성되는 바, 특히 상기 차체 프레임(14)의 내주면에는 단면이 동일한 형태로 절곡된 보강부재(28)가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를 결합시켜 주는 볼트(20)와 너트(22)는 도 3에 도시된 체결 요소와 함께 조립되는 바, 상기 볼트(20)와 상부 부시(16) 사이에는 와셔(30)가 개재되고, 상기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 사이에는 파이프(32)가 개재되며, 상기 하부 부시(18)와 너트(22) 사이에는 스페이서(34)와 와셔(36)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행중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은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에 조립되는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에 의해 각각 감쇠되어 차실내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는, 상기 볼트(20)가 차체 프레임(14)과 상부 부시(16) 및 하부 부시(18)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한 다음 비로서 너트(22)에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의 결합강성은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주행중 급제동시나 선회시에 각각 상기 샤시 프레임(10)이 관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쏠리면서 주행의 안전성을 저해시켜 왔으며, 상기와 같은 프레임 바디 차량의 구조에서는 상기 플로워 패널(24)상으로 볼트(20)의 체결후 관통구(24a)를 은폐시키기 위해 조립되는 플러그(26)가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함과 더불어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의 결합부위마다 각각 플러그(26)가 적용되어야 하므로, 조립공정의 과다는 물론 차체의 중량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의 조립시 샤시 프레임과 상부 부시 사이와, 상부 부시와 하부 부시 사이를 각각 이중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상기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행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상기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조립도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플러그 사용의 배제에 따른 조립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 프레임과, 이 샤시 프레임상에 상부 부시와 하부 부시를 각각 개재한 상태에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시와 하부 부시에는 상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체결부재가 이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이 이중체결부재의 암나사부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상에 고정되는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이중체결부재의 수나사부는 상기 하부 부시의 저면에서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 샤시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샤시 프레임 14-차체 프레임
16-상부 부시 18-하부 부시
20-볼트 22-너트
24-플로워 패널 26-플러그
40-이중체결부재 42-암나사부
44-수나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바디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차체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좌/우측 선단부위로 상호 대향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샤시 프레임(10)과, 이 샤시 프레임(10)의 상부로 배치되는 차체 프레임(14) 사이는 상하의 이중으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샤시 프레임(10)의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0a)에는 상부 부시(16)가 끼워지고, 이 상부 부시(16)의 내주면에는 이중체결부재(40)가 끼워지며, 이 이중체결부재(40)의 하부에는 하부 부시(18)가 끼워지는 한편, 상기 차체프레임(14)의 중앙부위로 형성된 관통구(14a)에는 볼트(20)가 끼워져 용접으로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체결부재(40)는 상측부위의 내주면으로 암나사부(42)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측부위의 외주면으로 수나사부(44)를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암나사부(42)는 볼트(20)와 체결되고, 상기 수나사부(44)는 너트(22)와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을 각각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4)상에 접합된 볼트(20)에 상부 부시(16)를 관통하는 이중체결부재(40)의 상측부위의 암나사부(42)가 나사체결되고, 이 이중체결부재(40)의 하측부위의 수나사부(44)는 하부 부시(18)를 관통하여 너트(22)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차체 프레임(14)의 상부에는 플로워 패널(24)이 설치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14)의 내주면에는 단면이 동일한 형태로 절곡된 보강부재(28)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중의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를 결합시켜 주는 체결 요소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차체 프레임(14)상에 볼트(20)는 와셔(30)를 개재한 상태에서 접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 사이에는 상하측부위로 각각 암나사부(42)와 수나사부(44)를 일체로 형성한 이중체결부재(40)가 이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부 부시(18)와 너트(22) 사이에는 스페이서(34)와 와셔(36)가 각각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결합되는 프레임 바디 차량에서는,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의 결합부위가 볼트(20)와 너트(22) 및 이중체결부재(40)를 매개로 각각 상하의 이중으로 결합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 사이의 결합강성은 상하측부위로 각각 보강되는 구조이게 된다.
그 결과,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 바디 차량이 주행중 급제동시나 선회시에는, 각각 상기 샤시 프레임(10)이 관성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되더라도, 상기 샤시 프레임(10)에 대한 차체 프레임(14)의 결합강성이 보다 더 강화됨에 따라 주행의 안전성을 저해시키지 않게 되며, 종래 상기 플로워 패널(24)상으로 볼트(20)의 체결후 관통구(24a)를 은폐시키기 위해 조립되는 플러그의 사용이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샤시 프레임(10)과 차체 프레임(14)의 조립 공정이 단축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소요부품의 폐지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의하면, 상기 샤시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가 상하의 이중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서,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이 강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강성의 향상에 따라 주행중 선회시 관성에 의한 영향력을 덜 받게 되며, 종래 플로워 패널상의 관통구의 은폐를 위한 플러그의 사용도 불필요해지므로, 조립공정의 단축 및 소요부품의 축소에 따른 비용절감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샤시 프레임(10)과, 이 샤시 프레임(10)상에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를 각각 개재한 상태에서 나사체결되어 결합되는 차체 프레임(14)을 포함하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시(16)와 하부 부시(18)에는 상측에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하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4)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체결부재(40)가 이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이 이중체결부재(40)의 암나사부(42)에는 상기 차체 프레임(14)상에 고정되는 볼트(20)가 체결되며, 상기 이중체결부재(40)의 수나사부(44)는 상기 하부 부시(18)의 저면에서 너트(2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2. 삭제
KR1020000032679A 2000-06-14 2000-06-14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35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679A KR100356845B1 (ko) 2000-06-14 2000-06-14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US09/741,547 US6361096B2 (en) 2000-06-14 2000-12-19 Frame mounting structure for frame body automotiv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679A KR100356845B1 (ko) 2000-06-14 2000-06-14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902A KR20010111902A (ko) 2001-12-20
KR100356845B1 true KR100356845B1 (ko) 2002-10-18

Family

ID=1967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679A KR100356845B1 (ko) 2000-06-14 2000-06-14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61096B2 (ko)
KR (1) KR100356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2883B2 (en) * 2000-12-04 2003-01-07 Cooper Technology Services, Llc Two stage body mount rebound cushion
US6830117B2 (en) * 2001-08-23 2004-1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hassis having systems responsive to non-mechanical control signals
US6523876B1 (en) * 2001-09-30 2003-02-25 Dana Corporation Unitary cross member and body mount support bracket for a vehicle body and frame assembly
US20040163859A1 (en) * 2002-07-25 2004-08-26 Chernoff Adrian B. Vehicle having systems responsive to non-mechanical control signals
US7048265B2 (en) * 2003-07-21 2006-05-23 Basf Corporation Two stage isolation mount assembly
DE20314003U1 (de) * 2003-09-09 2003-11-13 Böllhoff GmbH, 33649 Bielefeld Toleranzausgleichsanordnung
US7086688B2 (en) * 2003-09-16 2006-08-08 Honda Motor Company, Ltd. Fastening system with bearing member
US6883859B2 (en) 2003-09-16 2005-04-26 Honda Motor Company, Ltd. Fastening system with extension element
US7178795B2 (en) 2003-12-23 2007-02-20 Basf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component
US7070157B2 (en) * 2004-06-17 2006-07-04 Basf Corporation Mount assembly
US7503552B2 (en) * 2004-06-18 2009-03-17 Basf Corporation Mount assembly
US7581913B2 (en) * 2005-01-25 2009-09-01 Honda Motor Company, Ltd. Seal nu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707611B1 (ko) * 2005-03-04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펌프고정구를 채용한 연료전지
US7261365B2 (en) * 2005-03-09 2007-08-28 Basf Corporation Vehicle body mount assembly
US7416174B2 (en) * 2005-05-12 2008-08-26 Cooper Standard Automotive Mount assembly
KR100832361B1 (ko) * 2006-11-22 2008-05-26 (주)디티알 이중 절연 유체봉입식 엔진 마운트
US7393015B1 (en) * 2007-06-18 2008-07-01 Honda Motor Co., Ltd. Vehicle sub-fram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09070664A1 (en) * 2007-11-27 2009-06-04 Lord Corporation Center-bonded isolation mounting assembly
MX2010009035A (es) * 2008-02-18 2011-03-04 Stemco Lp Dispositivo para aislar sensores de la vibracion.
DE102009036558B4 (de) * 2009-08-10 2014-12-1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ahrwerksbaugruppe
WO2012035907A1 (ja) * 2010-09-14 2012-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マウント構造
JP5472025B2 (ja) * 2010-10-14 2014-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締結構造
EP2690014B1 (en) * 2012-07-23 2016-09-14 Airbus Operations GmbH Sealing device for galley hard point
US9333825B2 (en) * 2013-03-15 2016-05-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ront suspension lower control arm attachment system
US9139237B1 (en) * 2014-06-30 2015-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oor load structure for vehicle body to frame mount
KR101765640B1 (ko) * 2016-07-18 2017-08-2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CN106741442A (zh) * 2016-12-08 2017-05-31 江门市大长江集团有限公司 一种摩托车的减震连接结构
KR102394573B1 (ko) * 2017-05-24 2022-05-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마운팅 구조
US10946905B2 (en) * 2019-04-08 2021-03-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ular body structural arrangements
KR20230028972A (ko) * 2021-08-23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38A (en) * 1892-03-08 Adam c
US4043239A (en) * 1976-01-16 1977-08-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im nut and screw bolt assembly
US4269443A (en) * 1979-01-02 1981-05-26 Farmer Gary W Motor vehicle with convertible bodies
US4921203A (en) * 1989-01-30 1990-05-01 Buell Industries, Inc. Spring element for a shock isolating mount
JPH0699849A (ja) * 1992-09-18 1994-04-1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ボデーマウント構造
US5385420A (en) * 1993-08-03 1995-01-31 Newman, Sr.; Robert D. Coupling assembly
USD375843S (en) * 1995-09-18 1996-11-26 The Decor Corporation Pty Ltd Broom handle connector
LU88853A1 (fr) * 1996-12-13 1997-03-18 Luxembourg Patent Company Robinet
US6145624A (en) * 1997-10-20 2000-11-14 Tharpe; Johnny Grease coupling for the steering cable of an outboard motor,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902A (ko) 2001-12-20
US6361096B2 (en) 2002-03-26
US20010052713A1 (en)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845B1 (ko)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US4973103A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US20100032229A1 (en) Rear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0405539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KR2000006093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JP2002337526A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
KR20090052051A (ko) 차량용 롤 로드 마운팅 장치
KR100552720B1 (ko) 프레임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162423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KR20020080077A (ko) 자동차의 변속기 마운팅부 구조
KR100412874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100339223B1 (ko)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398252B1 (ko) 자동차의 리어플로어조립체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CN218055365U (zh) 一种副车架总成
KR10041051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100424979B1 (ko)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 구조
CN208360303U (zh) 一种车架中通道加强梁及其装配结构
KR100422552B1 (ko) 상용차의 리어현가장치구조
KR1003058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JPH0219348Y2 (ko)
KR100428152B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리어부의 마운팅구조
KR19990019568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이 부착되는 롱지튜디널의 마운팅구조
KR0120812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타이로드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