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6179B1 -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 Google Patents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179B1
KR100356179B1 KR1019970073588A KR19970073588A KR100356179B1 KR 100356179 B1 KR100356179 B1 KR 100356179B1 KR 1019970073588 A KR1019970073588 A KR 1019970073588A KR 19970073588 A KR19970073588 A KR 19970073588A KR 100356179 B1 KR100356179 B1 KR 10035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weight
resin
refractory
neu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885A (ko
Inventor
장준혁
김효준
박노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1997007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1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1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6Monolithic refractories or refractory mortars, including those whether or not containing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2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44Coating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하는 바는 부정형내화물에 첨가되는 흑연을 계면활성 처리된 미분의 흑연, 흑연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조립화한 중립흑연 및 분쇄된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형태로 적절히 제어하고 그 함량을 적정비율로 첨가시킴으로써, 강도저하를 막고 수분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폐내화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내열성, 내열충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흑연이 일부 함유되는 부정형 캐스타블 내화물에 있어서, 상기 흑연은 표면이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입경 0.1mm이하의 미립흑연,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입경 0.1-1mm로 조립화한 중립흑연 및 입경 1~5mm의 알루미나질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형태로 함유되며, 이때, 상기 미립흑연은 1-5중량%, 상기 중립흑연은 1-10중량%, 그리고 그 첨가되는 흑연의 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상기 흑연함유 폐내화물은 5-3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Graphite-containing castable refractory composition}
본 발명은 래들벽체, 래들바닥, 래들 웰블록(well block), 고로통, 혼선차 등과 같이 벽돌시공이 어려운 노설비에 이용할 수 있는 캐스타블 내화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 내열충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에 관한 것이다.
흑연을 함유한 흑연함유 내화물은 내열성, 내열충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며 용선, 용강 및 용융 슬래그에 젖기 어려워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선 및 제강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흑연함유 정형내화물의 경우 성능적으로는 우수하지만 제조와 시공에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여 전체적으로 많은 비용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인해, 근래에 들어 내화물 분야에서는 제조와 시공이 간단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이 낮고 시공부위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 부정형내화물이 차지하는 부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다.
부정형내화물은 제조시 혼합된 분말의 조성물을 현장에서 물을 가하여 시공하는 것인데, 흑연을 함유할 경우 물과 혼합할 때 흑연이 친수성이 낮아 수분 함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수분함량의 증가는 건조후 기공율을 높이고, 강도를 낮추는 것과 같은 물성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흑연함유 부정형 내화물의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에서, 흑연표면에 계면활성처리를 하거나 수지를 피복하여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상기 계면활성제로 흑연미분을 피복하여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흑연의 첨가량에 제한이 있어 다량 첨가시 부정형내화물을 제조할 때 기지상(matrix)에 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흑연에 유기수지를 피복하여 조립을 제조하여 부정형내화물에 사용하는 방법은 유기수지로 피복된 흑연이 조립부에 존재하고 미분부에 흑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슬래그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며, 다량 첨가시 고온에서 수지중 휘발 성분의 증발로 기공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식성 등의 물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환경문제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폐내화물의 재사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 재활용의 비율이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부정형내화물에 첨가되는 흑연을 계면활성 처리된 미분의 흑연, 흑연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조립화한 중립흑연 및 분쇄된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형태로 적절히 제어하고 그 함량을적정비율로 첨가시킴으로써, 강도저하를 막고 수분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폐내화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내열성, 내열충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흑연이 일부 함유되는 부정형 캐스타블 내화물에 있어서, 상기 흑연은 표면이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입경 0.1mm이하의 미립흑연,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입경 0.1-1mm로 조립화한 중립흑연 및 입경 1mm이상의 알루미나질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형태로 함유되며, 이때, 상기 미립흑연은 1-5중량%, 상기 중립흑연은 1-10중량%, 그리고 그 첨가되는 흑연의 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상기 흑연함유 폐내화물은 5-3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캐스타블 내화조성물은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골재 원료 75-95중량% 및 알루미나 시멘트 2-15중량%를 주원료로 하고, 기타 초미분 원료 0-15중량%로 이루어지는 캐스타블 내화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캐스타블 내화조성물은 통상 4-15중량%의 물을 첨가하고 혼련하여 원하는 형태의 형틀에 부어 넣고 양생, 건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캐스타블 내화조성물에, 표면이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입경 0.1mm이하의 미립흑연을 1-5중량%,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입경 0.1-1mm로 조립화한 중립흑연을 1-10중량%, 입경 1mm이상의 흑연함유 폐내화물을 5-30중량%의 함유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표면이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입경 0.1mm이하의 미립흑연은 1-5중량%로 함유되는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 함유되면 흑연 첨가로 인한 슬래그 침투방지 등의 흑연 첨가효과가 미약하며, 5중량%를 초과하면 첨가수 양이 증가하여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 처리된 흑연의 입경은 0.1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흑연의 표면을 피복하는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글리콜산 소다, 나프탈렌 술폰산 소다, 알킬벤젠 술폰산소다 등과 같이 저발포성이면서 친수성인 비이온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두 가능하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 가능하지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대부분이 독성이 있는 것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메틸 셀루로스 등의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흑연의 계면활성 처리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는데, 그 일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흑연과 함께 흑연에 대하여 1-5중량% 첨가하여 물을 가하면서 혼합하여 흑연 표면에 계면활성제를 피복한 후 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입경 0.1-1mm로 조립화한 중립흑연은 1-10중량%로 함유되는데, 그 첨가량이 1중량% 이하인 경우 흑연 첨가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캐스타블 내에서의 분산성이 나쁘고 실제 고온에서 사용할 때 수지가 열분해되며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기공율이 증가하여 치밀한 소결체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조립화된 흑연의 입경은 0.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연을 피복하는 수지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경화 후에 물에 잘 녹지 않으면서 친수성이 있는 페놀수지, 프란수지, 키시렌수지, 멜라민수지, 아크릴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잔류 탄소량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에 의한 조립화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는데, 그 일예를 들면 흑연 미분에 수지를 흑연에 대하여 10-40중량% 첨가하여 가압 혼합한 후 이를 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입경 1mm이상의 흑연함유 폐내화물은 5-30중량% 함유되는데,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흑연 첨가의 효과가 미약하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수분의 양이 증가하여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폐내화물의 크기는 입경이 1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화성골재의 최대입자크기 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요구되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입경을 1~5mm로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흑연함유 폐내화물은 크게 알루미나질과 마그네시아질을 들 수 있으며, 부정형 내화물의 재질에 따라 두 종류 모두 사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폐정형내화물은 흑연함량이 약 15%정도 이므로, 상기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첨가로 인한 흑연의 첨가량은 약 1-5%중량% 정도가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은 배합비를 갖는 캐스타블 내화조성물에 알킬 벤젠 술폰산 소다 1중량%로 계면활성 처리된 미분 흑연과 페놀수지 30중량%로 수지 코팅된 중립 흑연과 알루미나-카본질 폐내화벽돌의 분쇄물을 첨가하여 물과 주도(flow값) 150으로 혼련한 후 형틀에 부어 40x40x160mm(기공율, 꺽임강도 시험용), 110(길이)x40(높이)x87.8(윗변)x115.9(아랫변)mm 크기의 횡제리형(내침식 시험용) 및 60x60x60mm(내스폴링 시험용)의 크기로 성형하였다. 성형품을 상온에서 24시간 양생한 후, 100℃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또한 이 건조품을 1400℃에서 3시간 환원 소성하여 소성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품과 소성품의 겉보기 기공율과 꺽임 곡강도를 구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1400℃까지 승온↔수냉을 반복하여 시편중 일부가 탈락될 때가지의 반복 휫수를 내스폴링성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또한, 횡제리형 시편을 래들 슬래그(CaO/SiO2: 6.0, Al2O3: 21%)로 회전침식 시험을 행한 후 침식 깊이와 슬래그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회전침식 시험은 회전침식 시험기에서 1600℃ x 1시간 x 10회 반복후 슬래그 침투 깊이 및 침식깊이를 측정하고, 비교예(7)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식(1) 및 (2)에 의해 내침윤지수와 내침식지수를 구하여, 그 값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명예(1-3)은 계면활성 처리된 미분 흑연과 수지 피복된 중립흑연과 폐내화물의 함량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화시켰으며, 비교예(1-7)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제조된 캐스타블을 사용하였다.
발명예(1-3)은 비교예(1-7)에 비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슬래그의 침투 및 침식이 크게 억제됨을 알 수 있고, 또한, 내스폴링성과 슬래그 침윤지수 등의 특성이 우수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계면활성 처리된 미분흑연과 수지피복된 중립흑연과 흑연함유 폐내화물을 함께 캐스타블 내화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종래의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에 비해 강도, 내스폴링성 및 슬래그에 대한 내침투, 침식성을 향상시키므로, 얻어진 내화물을 래들벽체, 래들 바닥, 래들 웰블록, 고로통, 혼선차 등에 적용시 내화물 사용 수명을 증가시킨다는 효과가 제공될 뿐만아니라, 폐내화물을 재활용하는 효과도 제공된다.

Claims (3)

  1. 흑연이 일부 함유되는 부정형 캐스타블 내화물에 있어서,
    상기 흑연은 표면이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피복된 입경 0.1mm이하의 미립흑연,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입경 0.1-1mm로 조립화한 중립흑연 및 입경 1~5mm인 알루미나질 흑연함유 폐내화물의 형태로 함유되며, 이때, 상기 미립흑연은 1-5중량%, 상기 중립흑연은 1-10중량%, 그리고 그 첨가되는 흑연의 함량이 1~5중량%가 되도록 상기 흑연함유 폐내화물은 5-3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 처리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글리콜산 소다, 나프탈렌 술폰산소다, 알킬벤젠 술폰산소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페놀수지, 프란수지, 키시렌수지, 멜라민수지 및 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KR1019970073588A 1997-12-24 1997-12-24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588A KR100356179B1 (ko) 1997-12-24 1997-12-24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588A KR100356179B1 (ko) 1997-12-24 1997-12-24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885A KR19990053885A (ko) 1999-07-15
KR100356179B1 true KR100356179B1 (ko) 2002-12-16

Family

ID=3748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5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179B1 (ko) 1997-12-24 1997-12-24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2B1 (ko) * 1998-07-16 2004-03-30 주식회사 포스코 유동성을 향상시킨 폐내화 캐스타블의 제조방법
KR100461737B1 (ko) * 1999-08-12 2004-12-13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출선통 커버용 래밍 내화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88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12418A1 (en) Dry material mixture for a backfill, preferably a refractory concrete backfill, for producing a heavy-clay refractory non-basic product, refractory concrete backfill and such a product, method for producing same, lining, and industrial furnace, channel transport system or mobile transport vessel
SK283722B6 (sk) Ohňovzdorná bázická voľne tečúca odlievacia hmota a/alebo vysokokoncentrovaná vodná suspenzia na báze MgO a jej použitie
RU2140407C1 (ru) Огнеупорная бетонная смесь
CA1247151A (en) Abrasion resistant refractory composition
JP2015044734A (ja) セメントを含まない耐火物
US4680279A (en) Abrasion resistant refractory composition
US5968602A (en) Cement-free refractory castable system for wet process pumping/spraying
KR100356179B1 (ko)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JP2000203953A (ja) 高炉樋用キャスタブル耐火物
GB1565118A (en) Gunning process for basic refractory linings
KR100349166B1 (ko)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물
KR100332917B1 (ko) 흑연함유 캐스타블 내화조성물
KR100299459B1 (ko) 산화방지성이우수한마그네시아카본질내화물유입재
KR100387596B1 (ko) 정련로 보수용 스프레이재 조성물
KR100413281B1 (ko) 폐내화물을 이용한 턴디쉬 바닥보강용 염기성 케스타블 조성물
JPH0952169A (ja) 溶鋼容器羽口用耐火物
JP4034858B2 (ja) 流し込み施工用不定形耐火物
JP3604301B2 (ja) 不定形耐火物原料、原料混練物及び不定形耐火物
JP3197378B2 (ja) 黒鉛含有塩基性不定形耐火物用組成物
KR100317307B1 (ko) 고내용성 염기성 부정형 내화물
KR100590712B1 (ko) 흑연 함유 부정형 내화물
KR19980051172A (ko) 내침식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염기성 건-닝재 내화조성물
KR100373702B1 (ko) 알루미나-스피넬질 폐캐스타블을 이용한 블록 성형물
KR101011078B1 (ko) 내식성 및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캐스타블 블록의 제조방법
JPH09142946A (ja) 不定形流し込み耐火物及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830

Appeal identifier: 2002101001606

Request date: 2002041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72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