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4701B1 - 1회용흡수품과함께사용하기위한의복 - Google Patents

1회용흡수품과함께사용하기위한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701B1
KR100334701B1 KR1019980709821A KR19980709821A KR100334701B1 KR 100334701 B1 KR100334701 B1 KR 100334701B1 KR 1019980709821 A KR1019980709821 A KR 1019980709821A KR 19980709821 A KR19980709821 A KR 19980709821A KR 100334701 B1 KR100334701 B1 KR 10033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elastic
elastic pressure
absorbent article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249A (ko
Inventor
에릭 조침 윌름스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960112413 external-priority patent/EP0811362B1/en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1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7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68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 A61F13/72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abdominal enclosing type with endless waist encircling band, e.g. panty ty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1회용 흡수품(21)을 갖춘 의복(10)은 전면부(11)와, 후면부(12)와, 상기 전면부(11)와 상기 후면부(12) 사이에 배치된 가랑이부(13)와, 상기 전면부(12)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16)을 형성하는 한쌍의 탄성 압력 영역(15)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16)은 탄성 다리 개구부(14)의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1회용 흡수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의복{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실금으로부터 보호하는 의복은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의복은 소변, 대변 및 기타 인체 배설물을 수용하고 저장하며 또 이러한 배설물을 인체로부터 그리고 착용자의 주변으로부터 고립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의복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1회용 흡수품을 고정시키거나 위치설정하도록 설계된 부분을 갖는다. 또한, 다수의 이러한 의복은 흡수품이 오염되고 폐기될 때까지 흡수품을 의복의 소정 부분내에 고정시키는 구조적 형상부를 갖는다.
영국 특허 제 2 282 053 호의 종래 기술의 개발에 따르면, 의료 상태의 결과로서 자신의 서혜부(groin)의 영역에 흡수 제품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 환자가 착용할 수도 있는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팬티는 사용시에 흡수 제품이 비투과성 재료의 부분적 라이닝을 통해 팬티 착용자의 신체를 견고하게 둘러싸고 또 흡수 제품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형성되고 구성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어느정도의 효과는 있지만, 착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도 있고 다리 영역이 말려 올라감으로써 유체의 누출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또 착용자의 움직임이 서혜부와 후면 영역에 틈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내밀성(tightness)과 관련된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된다.
영국 특허 공개 제 2 185 678 호에는 경량 실금 의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일체형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1회용 내복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 패드는 후면 및 전면 영역에 있는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보통 흡수 패드보다 높은 지점으로 상방으로 신장된다. 이 흡수 패드는 하룻밤동안 사용할 때 유체의 누출을 실질적으로 최소화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흡수 패드의 형태는 그것의 고유하고 높은 위치설정으로 인하여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 4,355,425 호는 부직 다공성 패브릭 패널 및 부직 탄성 부재를 구비한 개선된 팬티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팬티의 특징은 모든 방향으로 탄성적인 것이다. 그러나, 흡수품의 신체 접촉 및 위치설정과 관련하여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팬티는 여성 및 유아용으로만 설계되어 있다.
국제 출원 공개 제 WO 92/00051 호에는 영구 신장 영역을 포함하는 내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영구 신장 영역 내에 실금 보호대가 설치되며, 상기 영구 신장 영역의 재료는 내복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다. 그러한 내복의 형상은 실금 보호대의 정확하고도 용이한 위치설정과 개선된 착용 신뢰성을 가능하게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내복의 형상은 후면 영역이 뭉쳐질 수 있으며 높은 신체 접촉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한, 실금 보호대가 가득 찰 경우, 내복은실금 보호대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없으며 누출이 발생될 수도 있다.
국제 출원 공개 제 WO 95/09594 호는 팬티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된 탄성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실금 팬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장치는 팬티를 포함하는 2개의 층 또는 시트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탄성 스레드, 리본 또는 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일체식 니팅 기술(integral knitting technology)을 통해 탄성을 구체화하는 의복을 개시하지 않는다. 팬티 설계의 목표는 흡수품을 착용자의 신체와 긴밀하게 접촉하게 하고 또 착용자의 인체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팬티는 착용시 불편함, 허리밴드의 휘어짐 및 불량한 착용과 같은 결점을 가질 수도 있다.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의복은 많은 결점, 즉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량한 신체 접촉과, 채워지고 건조될 경우 불량한 착용과, 착용자의 편안함의 결여와, 볼품없고 미감적이지 않은 외형을 야기하는 증가된 부피와, 외측 의복 및 침구의 오염을 야기하는 유체의 누출을 나타내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 결점들은 본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의복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의복은 1회용 흡수품이 습윤되고 건조될 때 우수한 전체적인 신체 접촉과 우수한 착용이 성취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흡수품의 양호한 위치설정 및 저장과, 개선된 취득 특성과, 누출 감소와, 우수한 착용 신뢰성 및 편안함과 같은 여러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은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으로 된 1회용 흡수품을 사용하여 상기 이점들을 성취할 수 있게 한다.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정지하고 있거나 이동하는 것의 여부에 관계없이 흡수품이 습윤되고 건조될 때 우수한 전체적인 신체 접촉과 양호한 착용 결과를 가져오는 1회용 흡수품을 보유할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1회용 흡수품을 보유하는 의복이 제공된다. 상기 의복은 전면부와,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의 가랑이부와, 한쌍의 탄성 다리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의복은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켓을 형성하는 결과를 유발하는 탄성 압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형성된 포켓은 상기 다리 탄성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압력 영역은 상기 탄성 다리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이 상기 포켓에 대응하는 후면부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은 의복의 종축 둘레에 중심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압력 영역 및 포켓에 대응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은 전면부에 배치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 압력 영역은 후면부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압력 영역 및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은 전면부와 후면부 양자에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은 후면부에 존재한다. 이들 영역은 연속 또는 비연속 패턴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부, 후면부 및 가랑이부로 일체형으로 직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탄성 압력 영역중 어느것도 의복의 허리밴드와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의복의 전면부 및 후면부는 나일론 섬유, 면 및 상표명 Lycra(등록상표)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가랑이부와 탄성 압력 영역은 나일론 섬유, 면 및 고밀도의 Lycra(등록상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부, 후면부, 가랑이부 및 탄성 압력 영역은 액체 저항제(liquid resistance agent)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부를 후면부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솔기 (seams)를 포함할 수 있지만, 또한 상기 의복은 단일 편의 재료로, 즉 솔기가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솔기는, 존재하는 경우, 의복의 외측면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랑이부는 솔기 없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복은 착용자에 대해 종방향으로는 전체적으로 신장가능성이 적고 착용자에 대해 횡방향으로는 보다 신장가능성이 큰 것이 통상적이다. 가랑이부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탄성 신장가능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방향으로 낮은 탄성 신장성과 횡방향으로 높은 탄성 신장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특징을 갖는 의복에 의해서 성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도로서, 그의 전면부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그의 전면부 및 후면부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도면,
도 4는 의복의 바람직한 관상 니트 패브릭의 루프 구조를 복합 형태 및 확대 스케일로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의복(garment)"은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게 착용되는 의류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1회용(disposable)"은 한번 사용한 후에 세탁하거나 달리 복구하거나 또는 재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는(즉, 한번 사용한 후에 폐기하며 바람직하게는 재생되거나 합성되거나 또는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달리 폐기되도록 의도되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흡수품(absorbent article)"은 소변, 대변 및 기타 인체 배설물을 흡수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남녀 착용자가 자신의 생식기에 인접하게 착용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의복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품은 실금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삽입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유아 기저귀 삽입물, 음순간 장치(interlabial devices), 생리대, 팬티 라이너 등과 같은 다른 흡수품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탄성 압력 영역(elasticized pressure zones)"은 선택된 위치에서 의복에 존재하는 압력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의복의 전면부 및 후면부보다 탄성이 크며, 흡수품이 적소에 유지되어 착용자의 신체에 밀접하게 압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탄성력이 작용하는 영역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켓(pocket)"은 탄성 압력 영역과 내복의 다른 영역, 즉 전면부, 후면부, 가랑이부 및 탄성 다리 개구부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주머니(pouch)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내측(inbord)"은 탄성 다리 개구부의 내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복은 1회용 흡수품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는 하지만, 또한 상기 의복은 1회용 의복 없이 착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명세서의 의복은 바람직하게는 재사용하도록 설계되므로 세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복의 고유 재료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의복을 1회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압력 영역(15)과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은 전면부(11)에 배치되며, 도 2에서, 탄성 압력 영역(15),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 및 탄성 압력 영역(18)은 후면부(12)에 존재한다.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은 그 길이가 10mm 내지 450mm로 변화될 수 있고, 그 폭은 10mm 내지 500mm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의복(10)의 종축(L)을 중심으로 중심이 설정된다. 탄성 압력 영역(15)은 탄성 다리 개구부(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인접한 (adjacent)"은 가깝게 놓인 것을 의미하며, 0mm 내지 300mm로 변화되는 범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부 (11) 및 후면부(12)의 탄성 압력 영역(15)은 탄성 다리 개구부(14)상에 접촉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촉이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탄성 압력 영역(15)은 탄성 다리 개구부(14)로부터 소정 거리로, 즉 5mm 내지 50mm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부(12)의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은 가랑이부(13)의 외주부(22) 위에 놓인 탄성 압력 영역(18) 위에 배치된다. 가랑이부(13)의 외주부(22)는 의복(10)의 일체형 니팅 패턴에서 변화가 발생되는 지점이다. 가랑이부(13)의 외주부(22)와 탄성 압력 영역(17)의 외주부 사이에 요부가 형성되며, 탄성 압력 영역(17)의 외주부와 탄성 압력 영역(18) 사이에 추가의 요부가 형성된다. 탄성 압력 영역(18)의 치수는 5mm 내지 500mm로 변화될 수 있다. 탄성 압력 영역(15)의 형상은 어느 형상을 취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은 탄성 허리밴드(19)와 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부(11)와 후면부 (12)의 탄성 압력 영역(17)의 허리밴드(19)와 상측 외주부(23) 사이에서 5mm 내지 200mm의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압력 영역(15)에 가해지는 힘은 다리 절단부에 평행하게 작용하고 다리 탄성부를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전면부(11)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16)을 형성시키며, 탄성 압력 영역(18)은 후면부(12)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를 형성시키고, 그밖에 후면부(12)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16)과 추가의 요부를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중앙 압력점으로 작용하는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은 상기 탄성 압력 영역(17)의 각 측면상에 하나씩 두개의 포켓(16)을 형성한다. 포켓(16)의 존재는 심한 실금 케이스용으로 설계된 1회용 흡수품(21)을 갖는 의복(10)의 사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상기 포켓(16)은 과다하게 채워지는 경우에도 변위의 위험이 없이 1회용 흡수품(21)이 안전하게 착용될 수 있게 한다. 실금의 가벼운 상태 내지 중간 상태용으로 설계된 1회용 흡수품의 경우에는,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것은 1회용 흡수품(21)이 상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는, 즉 길이가 짧고 상이한 코어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후면부(12)의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 (17)은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과 탄성 압력 영역(18)의 외주부 사이에 놓이는 추가의 요부를 형성한다. 탄성 압력 영역(18)은 1회용 흡수품(21)의 뭉침을 방지한다. 탄성 압력 영역(15, 17, 18) 전체의 효과는 의복(10)을 조이고, 틈새 또는 저압 영역을 극적으로 감소시키며, 또 보다 편안한 착용 및 착용자의 신체와의 양호한 접촉 면적을 허용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탄성 압력 영역(15)은 탄성 다리 개구부(14)에 인접한 전면부(11)상의 영역으로부터 가랑이부 (13)의 영역으로 연장되고, 그다음 탄성 다리 개구부(14)에 인접한 후면부(12)의 영역상으로 연장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부(11) 및 후면부(12) 양자의 탄성 압력 영역(17)은 상기 탄성 압력 영역(17)의 상측 외주부(23)를 향해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협소부(narrower portion)의 길이 범위는 15mm 내지 50mm일 수 있으며, 협소부의 폭의 범위는 10mm 내지 50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협소부는 전면부(11)에서만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협소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외될 수도 있다. 탄성 압력 영역(15)은 가랑이부(13)내로 일체식으로 직조된다. 가랑이 영역(13)은 솔기의 존재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탄성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솔기가 없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랑이부(13)는 후면부(12)의 외주부(22)로부터 탄성 다리 개구부(14)의 일부분상에 접촉하는 영역과 전면부(11)의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17)으로 뻗은 영역을 덮는다. 탄성 영역 (18)을 포함한 이러한 모든 영역(15, 17)은 의복(10)의 전면부(11), 후면부(12) 및 가랑이부(13)로 일체식으로 직조되며, 습윤 및 건조시에 1회용 흡수품(21)을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접하고 우수한 착용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된다.
의복(10)은 적절한 감촉과 외관 및 표면 특성을 갖는 직조, 부직 또는 니트 패브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복(10)은 편안한 촉감을 제공하는 니트 패브릭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직조 수단은 솔기 없는 관상 블랭크를 의복(10)의 최종 폭의 약 절반 정도로 1차로 직조하는 것을 수반한다. 관상 블랭크는 의복(10)에 다리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모래 시계 형상을 취하도록 직조될 수도 있거나, 또는 변형예로 그러한 다리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된 튜브의 일부분을 절단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최종 의복을 솔기 없이 완성한다. 바람직한 직조 수단은 미국 특허 제 3,985,004 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의복(10)의 바람직한 관상 니트 패브릭의 루프 구조체를 복합 형태 및 확대 스케일로 도시한 것이다. 코스(course)(30)의 니트 패턴은 전면부(11) 및 후면부(12)에 대해 사용되는 니트 패턴과 대응한다. 이 코스(32)는 가랑이부(13)와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에 대해 사용되는 니트 패턴에 대응한다. 도면부호 (F, F1, F2)로 도시된 플로트(float)는 가랑이부(13)와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에 미관적인 리브 외형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이러한 리브는 가랑이부(13)와 탄성 압력 영역(15)상에 부착될 수도 있는 인체 배설물의 흐름을 의복 (10)의 종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은 연속 또는 비연속 패턴의 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 압력 영역 (15, 17, 18)이 비연속 패턴으로 되는 경우, 그 패턴은 1회용 흡수품(21)의 형상에 일치하는 압력점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의복(10)상의 사전 표시된 지점에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는 흡수품(21)의 배면 시트상에 접착점을 위치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의복(10)에 1회용 흡수품(21)의 우수한 위치설정을 보장할 것이다.
의복(10)용 블랭크는 관상으로 일차로 직조된다. 관상 블랭크가 골형상 (walewise)으로 벌어져 개방되어 의복(10)용의 평탄한 블랭크를 형성한다. 의복 블랭크는 단부 에지와 측부 에지를 가진다. 탄성 허리밴드(19)는 의복 블랭크의 각 말단부에 인접한 탄성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주위의 C자형으로 접힌 각 말단부는 단부 에지를 형성하며,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말단부를 접합(seaming)하여 탄성 허리밴드(19)를 형성한다. 그러나, 탄성 허리밴드(19)는 바람직하게는 턴형 웰트(turned welt)를 포함한다. 다리 탄성부는 다리 개구부를 둘러싸게 될 측면 에지의 부분에 결합된다. 그 다음, 의복(10)용 블랭크는 횡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접혀지며 다리 개구부와 단부 에지 사이에 놓이는 측부 에지의 대향 부분이 의복(10)의 조립을 완성하는 측면 솔기(20)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통풍 특성을 향상시켜 의복(10)을 착용하기에 더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나일론 섬유, 면 및 Lycra(등록상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랑이부(13)와 신장된 압력 영역(15, 17, 18)은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섬유, 면 및 고밀도의 Lycra(등록상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장된 다리 개구부(14)는 유사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복(10)은 페를론, 폴리프로필렌, 탄성 중합체 스테이플 일체형 합성물, 폴리스틸렌의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에틸렌의 공중합체, 천연 고무, 우레탄, 전술한 것들의 크래톤즈(Kratons) 및 동시 압출물/혼방물과 같은 다른 합성 섬유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물질의 조합은 의복(10)의 탄성 신장도가 가변하며, 즉 전면부(11)와 후면부(12)가 가랑이부(13), 탄성 압력 영역(15, 17, 18) 및 탄성 다리 개구부 (14)와 비교하여 최저 탄성 신장도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방향으로 탄성 신장도가 더 적고 횡방향으로 탄성 신장도가 더 크지만, 가랑이부(13)는 종방향과 횡방향 양방으로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하다. 이런 특성의 탄성 신장도는 의복(10)을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맞추며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서 더 우수한 접촉 영역을 제공한다. 전면부(11)와 후면부(12)는 51g/㎝ 내지 63g/㎝, 더 바람직하게는 55g/㎝ 내지 59g/㎝의 신장 모듈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랑이부(13)와 탄성 압력 영역(15, 16, 17)은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대한 신장 모듈보다 큰신장 모듈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범위는 약 118g/㎝ 이하이거나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71g/㎝ 이하이고; 탄성 다리 개구부(14)는 전면부(11), 후면부(12), 가랑이부(13) 및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에 대한 신장 모듈보다 더 큰 신장 모듈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범위는 213g/㎝ 내지 232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6g/㎝ 내지 228g/㎝이다. 신장 모듈을 측정하는 적절한 방법은 "테스트 방법" 부분에 후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의복(10)에 액체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면부(11), 후면부(12) 및 가랑이부(13) 및 탄성 압력 영역(15, 17, 18)은 액체 저항제로 처리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의복(10)은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콜 유도체, 실리콘, 폴리우레탄 및 플루오로카본을 함유한 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플루오로카본 물질은 풀루오로카본 표면의 저 표면 에너지 때문에 바람직하다. 의복(10)을 처리하는 적절한 공정은 이하와 같다: (1) 블랭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조된다; (2) 블랭크를 세척하여 직물 부스러기 등을 제거한다; (3) 물질 공급기의 지시에 따른 세탁 싸이클의 최종 단계에서 세척된 블랭크가 플루오로카본 물질로 처리된다; (4) 블랭크는 건조될 수 있다; (5) 블랭크가 슬릿되며; (6) 슬릿 블랭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의복(10)으로 전환된다. 이 방법은 전체 의복 블랭크는 플루오로카본 물질로 전체 의복 블랭크를 처리한다. 따라서, 플루오로카본 물질이 패딩(padding), 스프레잉(spraying)과 같은 수단 및 다른 용액 (또는 에멀션 또는 현탁액)을 제공하는 종래기술과 유사한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저항성이 유체 저항막 적층막 박층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흡수품(21)의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이 본 명세서의 장점을 유도하기 위해서 의복(10)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성인 실금 보호대에 사용되는 특히 바람직한 흡수품(21)은 400mm 내지 700mm의 길이와 110mm 내지 30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복(10)은 광범위한 소비자에 균형을 맞추어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보통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들 크기를 갖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청년으로부터 더 큰 성인에 걸쳐 착용자가 이들 3개의 의복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의복(10)은 일회용 흡수품(21)상에 놓일 수 있는 모든 해지 라이너를 제거한 후 흡수품(21)을 고정 방식으로 부착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사용하여 의복(10)내에 흡수품(21)을 배치함으로써 사용된다. 흡수품(21)이 플랩을 구비하고 있으면, 흡수품(21)은 플랩 부착 수단이 가랑이부(13)의 외부 표면과 접촉상태로 배치되게 탄성 다리 개구부(14)의 에지 위로 플랩이 주름잡히도록 위치된다. 그 다음에 착용자는 종래의 방식으로 의복(10)을 잡아 올릴 것이다. 착용자가 의복(10)을 더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 흡수품(21)은 제거되고 의복(10)이 세탁되어 재사용 준비된다.
테스트 방법
신장 모듈과 탄성 수축
이 방법은 의복의 착용 싸이클에서 보여주는 신장 범위에 필적할 만한 신장 범위에 걸쳐 의복에 사용될 수 있는 탄성 신장가능성 재료에 의해서 착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에 필적하는 힘을 측정하도록 의도된다.
설정 조건
INDA(Association of Nonwoven Fabric industry) 표준 테스트 110.1-92에 개시된 방법이 적절하며 다음의 설정 조건이 사용된다.
게이지 길이: 5.08㎝
크로스헤드 속도: 25.4㎝/분
인장 테스트 기계 : 기대되는 힘에 적절한 기계로서, 미국 매사세추
주 캔톤 소재의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
rp.)에서 시판되는 모델명 5564가 적절하다.
샘플 폭 2.54㎝. 폭이 2.54㎝ 이하인 샘플에 대해서,
샘플 폭을 측정하고 측정된 샘플 폭에 대해서
2.54㎝의 비로 측정되는 힘을 조정한다.
샘플 사이즈: 실험 재료당 적어도 3개의 샘플
계산
힘25: 25% 신장의 힘(g/㎝)
힘50: 50% 신장의 힘(g/㎝)
탄성 수축 = 힘25
신장 모듈 = (힘50 - 힘25)/0.25
신장 모듈 및 탄성 수축(다리 탄성부에만)에 대한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기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1회용 흡수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의복은 착용자의 신체와 양호한 접촉 면적을 갖도록 설계되며, 주로 실금 환자를 위한 것이다.

Claims (5)

  1. 전면부,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의 가랑이부, 한쌍의 탄성 다리 개구부, 및 탄성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1회용 흡수품 보유용 의복에 있어서,
    상기 탄성 다리 개구부에 인접한 전면부로부터 상기 가랑이부를 거쳐서 상기 탄성 다리 개구부에 인접한 후면부내까지 탄성 압력 영역이 연장되며, 상기 탄성 압력 영역은 상기 의복의 전면부 및 후면부보다 더 탄성적이고, 상기 탄성 압력 영역과 그 주위의 부분이 상호작용하여 포켓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또는 상기 후면부의 영역에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이 존재하는
    의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종축(L)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이 상기 종축(L)을 중심으로 중심설정되는
    의복.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의 탄성 압력 영역이 상기 후면부에 존재하는
    의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력 영역은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가랑이부내로 일체식으로 직조되는 의복.
KR1019980709821A 1996-06-03 1997-05-23 1회용흡수품과함께사용하기위한의복 Expired - Fee Related KR100334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108736A EP0811361A1 (en) 1996-06-03 1996-06-03 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P96108736.8 1996-06-03
EP96112413.8 1996-08-01
EP19960112413 EP0811362B1 (en) 1996-06-03 1996-08-01 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PCT/US1997/008967 WO1997046122A1 (en) 1996-06-03 1997-05-23 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49A KR20000016249A (ko) 2000-03-25
KR100334701B1 true KR100334701B1 (ko) 2002-10-31

Family

ID=822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8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4701B1 (ko) 1996-06-03 1997-05-23 1회용흡수품과함께사용하기위한의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11361A1 (ko)
KR (1) KR100334701B1 (ko)
AT (1) ATE214259T1 (ko)
DE (1) DE69619800T2 (ko)
PT (1) PT811362E (ko)
ZA (1) ZA974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9380B2 (en) * 2002-10-01 2005-1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piece disposable undergarmen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100A (en) * 1991-07-26 1992-07-21 Royal Textile Mills, Inc. Athletic compression shor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3563B (sv) * 1981-08-26 1984-06-04 Moelnlycke Ab Elastisk byxa eller trosa avsedd for fasthallning av en engangsbloja
DK157429C (da) * 1987-01-20 1990-06-05 Tytex As Trusse til fiksering af bleprodukter samt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heraf
SE466832B (sv) * 1990-06-26 1992-04-13 Moelnlycke Ab Elastiska underbyxor foer uppbaerande av inkontinensskydd eller liknande, samt anvaendning av ett foerfarande, foer att i underbyxor av elastiskt material bilda ett skaalformigt utrymme
US5098419A (en) * 1990-07-19 1992-03-24 Nantucket Industries, Incorporated Undergarment to be worn by incontinent persons
DK168508B1 (da) * 1993-05-03 1994-04-11 Tytex As Fikseringstrusse
GB2282053A (en) * 1993-09-10 1995-03-29 May Ifeyinwa Mbu Pant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1100A (en) * 1991-07-26 1992-07-21 Royal Textile Mills, Inc. Athletic compression sh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11362E (pt) 2002-07-31
DE69619800D1 (de) 2002-04-18
ZA974850B (en) 1998-02-03
KR20000016249A (ko) 2000-03-25
ATE214259T1 (de) 2002-03-15
DE69619800T2 (de) 2002-10-17
EP0811361A1 (en)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569B1 (en) Disposable menstrual Panty
JP4173540B2 (ja) 伸縮性を有する衣類
US6287169B1 (en) Garment for use with an absorbent article
EP0811362B1 (en) 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TW201713289A (zh) 短褲型穿著用物品
AU727239B2 (en) Breathable stain resistant undergarment for use with an absorbent article
JP4961259B2 (ja) パッドホルダー
KR20020050162A (ko) 생리대
KR100330971B1 (ko) 흡수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멘트
KR100334701B1 (ko) 1회용흡수품과함께사용하기위한의복
KR100360180B1 (ko) 비일체형 흡수 제품
KR100526101B1 (ko)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JP2019208698A (ja)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CA2105455C (en) Disposable menstrual panty
KR200189074Y1 (ko) 일회용 면팬티
JP4188390B2 (ja) ショーツ状生理用品
KR100437449B1 (ko)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HK1023483B (en) Garment for use with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