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4403B1 - Dsrc 차량탑재기 - Google Patents

Dsrc 차량탑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03B1
KR100334403B1 KR1019990030841A KR19990030841A KR100334403B1 KR 100334403 B1 KR100334403 B1 KR 100334403B1 KR 1019990030841 A KR1019990030841 A KR 1019990030841A KR 19990030841 A KR19990030841 A KR 19990030841A KR 100334403 B1 KR100334403 B1 KR 10033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frequency
electric field
field str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447A (ko
Inventor
오오우치준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4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 B60P1/54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attach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주파수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 DSRC차량 탑재기를 얻는다.
수신안테나(3)로부터의 수신신호 A를 수신하는 수신회로(5)와, 수신믹서(4)에 입력되는 로컬 주파수를 전환하는 국부발신기(9)와 주파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수신데이터처리를 하는 콘트롤러(10A)와,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검파다이오드(11)와, 수신신호의 전계 강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를 생성하는 전계강도판정회로(12)와, 수신신회로의 출력신호 A5 와 전계강도 판정신호와의 논리적 신호 E 를 생성하는 논리적 회로(13)을 구비하고, 콘트롤러는 미리 제1주파수에 설정하고,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논리적신호를 모니터하며 논리적신호가 H 레벨인 경우에는 주파수를 제1주파수에 고정하고, 논리적 신호가 L레벨의 경우에는 주파수를 제2주파수로 전환한다.

Description

DSRC 차량탑재기{DSRC CAR-MOUNTED EQUIPMENT}
본 발명은 ETC(도로 자동요금 수납시스템)등의 고도도로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eport System)(이하 ITS 라고 약칭한다)에 사용되는 협역통신(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이하 「DSRC」라 약칭한다)용의 차량탑재기에 관해, 특히 노상기로부터 소정레벨이상의 송신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송신주파수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필요시에만 수신회로를 자동적으로 기동시켜서 소비전력을 억제한 DSRC 차량탑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S 에 사용되는 DSRC 차량탑재기에서는, 차량이 협역통신영역에 들어가서 노상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요구가 발생한 경우에 확실하게 협역통신이 가능해지도록 차량의 주행중에 항상 수신회를 기동시키고 있다.
또 예를들면 협역통신대상이 ETC 노상기의 경우에는 유료도로 출입구의 여러개의 게이트에 대응해서 다수(통산 2 종류)의 통신주파수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노상기로부터의 복수의 송신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신회로에 국부발신기를 삽입해서 일정주기로 수신주파수를 전환하고 있다.
도 6 은 종래의 DSRC 차량탑재기를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 에서 1 은 차량의 주행로에 설치된 노상기, 2 는 노상기(1)와의 사이에서 협역통신을 하는 DSRC 차량탑재기(이하, 단순하게 「차량탑재기」라함)이다.
차량탑재기(2)는 아래의 요소 3-10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은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을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5는 수신안테나(3)로부터의 수신신호 A 를 수신믹서(4)를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회로이다.
6 은 노상기(1)로의 송신신호로부터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로패스필터(이하 「LPF」라고 약칭한다), 8 은 송신신호 B 를 송신믹서(7)을 통해서 송신신호 W2 로서 노상기(1)에 송신하는 송신안테나이다.
9 는 수신믹서(4)및 송신믹서(7)에 입력되는 로컬 주파수를 제1,제2 의 주파수 f1, f2 로 전환하는 국부발신기이다.
10 은 차량탑재기(2)의 제어를 하는 콘트롤러이고, 제어신호 C 에 의해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를 제어해서 노상기(1)와의 사이에서 송수신을 하며, 수신회로(5)의 출력신호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하는 동시에, LPF(6)및 송신믹서(7)를 통해서 송신신호 B 의 송신제어를 한다.
도 6 에서 차량탑재기(2)내의 수신믹서(4), 수신회로(5), 국부발신기(9)및 콘트롤러(10)는 항상 급전되어 기동상태에 있고, 수신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을 수신하기 위한 차량탑재기(2)내의 수신회로(5)에서의 주파수 선택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탑재기(2)내의 콘트롤러(10)는 차량의 주행중에서, 국부발신기(9)에 대한 제어신호 C 를 항상 임의의 시간사이클 t 의 주기로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는, 일정한 시간싸이클 t 에서, 제1및 제2의 주파수 f1,f2 에 교대로 전환된다.
이때의 시간사이클 t 는 수신신호 A 에 포함되는 1 데이터군의 길이에 상당하는 시간의 2배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1 데이터군의 선두부에 기록된 주파수정보를 시간사이클 t 내에서 확실하게 판독할수가 있다.
따라서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은 송신주파수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시간사이클 t 내에서 수신믹서(4)를 통해서 확실하게 수신되고, 수신신호 A 로서 콘트롤러(10)에 입력된다.
콘트롤러(10)는, 수신신호 A 에 포함되는 1 데이터군내의 주파수정보를 인식한후, 수신신호 A 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국부발신기(9)에 대한 제어신호 C 를 록한다.
이때 수신신호 A 는 수신믹서(4)및 수신회로(5)를 통해서 복조되고, 콘트롤러(10)에 입력된다.
이렇게해서, 주파수 선택이 완료된후 콘트롤러(10)는 주파수 선택후의 수신데이터 처리 및 송신신호 B 의 일련의 데이터처리를 한다.
종래의 DSRC 차량탑재기는 이상과 같이 일정한 시간사이클 t 로 제어신호 C 를 전환해서 수신신호 A 를 취득하고, 1데이터군내의 주파수정보를 인식한후에 주파수 선택동작을 완료하고 있으므로, 주파수 정보를 인식할때까지의 시간(적어도 시간사이클 t 의 기간)은 수신주파수를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정한 시간사이클 t 사이는, 콘트롤러(10)가 주파수를 선택할수가 없으므로, 차량이 고속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신호 A 의 주파수정보를 인식하기 전에 차량이 협역통신영역을 일탈해버리고, 통신에러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량탑재기(2)의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신믹서(4), 수신회로(5), 국부발신기(9)및 콘트롤러(10)의 전원이 항상 기동되어 있으므로, 소비전류가 많아지고, 차량탑재 배터리의 부하가 커져서 배터리수명이 짧아지는데다, 수신회로(5)의 주변부가 발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탑재기 (2)는, 차량실내의 대시보드구조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일사(日射)에 의한 온도상승을 수반하므로, 일반적으로 100℃를 초과하는 엄격한 온도환경하에 있고, 수신회로(5)의 주변부의 자기발열은 큰 문제가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주파수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 DSRC 차량탑재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필요시에만 수신회로를 자동적으로 기동시켜서 소비전력을 억제한 DSRC 차량탑재기를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관한 DSRC 차량탑재기는 차량의 주행로에 설치된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믹서를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수신믹서에 입력되는 로칼주파수를 제1및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는 국부발신기와, 국부발신기의 선택주파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하는 콘트롤러를 갖고, 노상기와의 사이에서 협역통신을 하기 위한 DSRC 차량탑재기에서,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컴파다이오드와, 컴파다이오드를 통한 수신신호의 전개강도가 소정치이상인 경우에 전계강도 판정신호를 생성하는 전계강도 판정회로와,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와 전계강도판정신호와의 논리적을 취해 논리적신호를 생성하는 논리적회로를 구비하고, 콘트롤러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미리 제1의 주파수에 설정하고,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논리적신호를 일정시간에 걸쳐서 모니터하며, 논리적신호가 H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제1의 주파수에 고정하고, 논리적 신호가 L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관한 DSRC 차량탑재기는, 청구항 1 에서, 상시 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콘트롤러 및 전계강도 판정회로는 제1전원에 의해 급전되고 수신믹서 ,수신회로,국부발신기 및 논리적회로는,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며, 콘트롤러는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제2전원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회로에 출력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관한 DSRC 차량탑재기는 청구항 1 에서, 상시 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전계강도 판정회로는 제1전원에 의해 급전되고 콘트롤러, 수신믹서,수신회로 국부발신기 및 논리적 회로는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6 은 종래의 DSRC 차량탑재기를 표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노상기, 2A~2C. DSRC차량탑재기,
3. 수신안테나, 4. 수신믹서,
5. 수신회로, 9. 국부발신기,
10A~10C. 콘트롤러, 11. 검파다이오드,
12. 전계강도판정회로, 13. 논리적회로,
20,20C. 전원회로, 21. 제1전원,
22. 제2전원, A. 수신신호,
A5. 수신회로의 출력신호, C,F. 제어신호,
D. 전계강도판정신호, E. 논리적신호,
W1. 송신신호,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을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을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 는 도 1 내의 콘트롤러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 에서, 상술(도 6 참조)한것과 같은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상술하는 것을 생략한다.
또 2A 및 10A 는 상술한 차량탑재기(2)및 콘트롤러(1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차량탑재기(2A)는 상술한 구성에 더해 수신안테나(3)로부터의 수신신호 A 를 복조하는 검파 다이오드(11)와, 검파다이오드(11)를 통한 수신신호 A 의 전계강도를 판정해서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를 출력하는 전계강도 판정회로(12)와, 수신회로 (5)의 출력신호 A5 와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와의 논리적을 취해서 논리적 신호 E 를 출력하는 논리적 회로(13)을 구비하고 있다.
전계강도 판정회로(12)는 수신신호 A 의 전계강도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를 출력한다.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및 논리적신호 E 는 콘트롤러(10A)에 입력된다.
다음, 도 2 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도 1 에 표시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에 의한 주파수 선택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차량 주행중에 콘트롤러(10A)는, 제어신호 C 를 고정해서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를 미리 제1의 주파수 f1(2종류의 주파수 f1,f2 중의 어느한쪽)에 설정하고,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한다(스텝 S1). 이때,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은, 제1주파수 f1 또는 제 2 의 주파수 f2 의 어느것인가의 주파수로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콘트롤러(10)는, 제1의 주파수 f1 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C 를 출력하고 있다.
여기서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이 수신안테나(3)에 의해 수신되면, 수신신호 A 는 수신믹서(4)에 입력되는 동시에 검파다이오드(11)를 통해서 전계강도 판정회로(12)에 입력된다.
이때, 수신신호 A 는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주파수에 의하지 않고, 전계강도 판정회로(12)에는 입력되나, 수신회로(5)에 대해서는 송신주파수가 제1의 주파수의 경우에만 복조데이터가 얻어진다.
또 논리적회로(13)는, 전계강도 판정회로(12)로부터의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와, 수신회로(5)의 출력신호 A5 와의 논리적을 취해서 논리적신호 E 를 콘트롤러(10A)에 입력한다.
콘트롤러(10A)는, 수신대기상태에서, 전계강도 판정신호 D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으며(스텝 S2). 만일 전계강도 판정신호 D 가 오프상태(즉 NO)라고 판정되면, 수신대기상태(스텝 S1)을 계속한다.
한편 스텝 S2 에서, 전계강도판정 CD 가 온되었다고(주 YES) 판단되면, 소정치이상의 전계강도의 수신신호 A 가 취득되어 있으므로, 콘트롤러(10A)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에 응답해서, 논리적신호 E 를 일정시간에 걸쳐서 모니터하고 논리적 신호 E 가 온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3). 이때 콘트롤러(10A)는 논리적신호 E 의 판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를 트리거로 해서, 소정시간에 걸쳐서 논리적 신호 E 의 상승(또는 하강)에지를 검출하고, 논리적신호 E 가 일정시간 연속해서 온(H레벨)또는 오프(L레벨)을 표시하는 것을 모니터한다.
만일, 논리적신호 E 가 온(H레벨)을 표시한다(즉 YES)고 판정되면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제1의 주파수)가 노상기 (1)의 송신주파수에 맞는 주파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신호 C 를 그대로 유지(제1의 주파수에 고정)한다.
이로써, 콘트롤러(10A)는 주파수 선택후에 논리적회로(13)를 통과한 수신회로(5)의 출력신호 A5를 받아들여 수신신호 A 를 복조한 출력신호 A5 에 따라, 수신데이터의 처리뿐 아니라 송신신호 B 의 일련의 데이터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4). 스텝 S1 에 리턴한다.
한편, 스텝 S3 에서 논리적 신호 E 가 오프(L레벨)을 표시(즉, NO)한다고 판정되면,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제1의 주파수)가 노상기(1)의 송신주파수에 맞지 않고 있으므로 제어신호 C 를 변경해서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를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한다(스텝 S5). 계속해서, 스텝 S3 과 같이 논리적 신호 E 가 온(H레벨)을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6). 논리적신호 E 가 온(즉, YES)으로 판정되면 국부발신기(9)의 선택주파수를 제2의 주파수에 고정해서, 주파수 전환제어후의 일련의 데이터처리를 한다(스텝 S4). 한편, 스텝 S6 에서, 논리적신호 E 가 오프(즉, NO)라고 판정되면, 수신신호 A 의 주파수가 제1및 제2의 주파수의 어느것도 아니므로, 데이터 처리스텝 S4 를 실행하지 않고 리턴한다.
또, 논리적신호 E 는, 콘트롤러(10A)의 선택주파수에 의해 노상기(1)의 송신주파수가 소망하는 IF 주파수에 다운 컨버트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콘트롤러 (10A)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의 상승타이밍을 트리거로 해서, 논리적 신호 E 의 신호 레이트의 3 비트 이상의 시간에지를 모니터해서 주파수의 정부를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노상기(1)과 차량탑재기(2A)의 통신에 사용되는 DSRC 프로토콜에서는 송수신신호에 어떤 부호화(맨체스터방식의 위상부호화 등)가 실시된다.
예를들면, 송신신호 W1 에 맨체스터 부호화가 실시된 경우, 차량탑재기(2A)측에서 소망하는 IF주파수에 다운컨버터할 수 있다고 가정한 제1의 주파수 f1 와 노상기 (1)의 송신주파수가 일치되어 있으면, 3비트이상의 시간에 걸쳐서 논리적 신호 E 의 레벨이 고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소망하는 IF 주파수에 다운컨버트되는 경우에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의 입력시점에서 3비트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반드시 논리적 신호 E 이 예지가 얻어진다.
이경우, 콘트롤러(10A)는 3비트이상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논리적신호 E 의 레벨을 모니터하고, 논리적신호 E 의 에지입력(레벨번호)이 확인되면, 제어신호 C 를 변경하지 않고 수신데이터처리(스텝 S4)은 실행한다.
또, 3비트이상에 상당하는 시간에 걸쳐서 논리적신호 E 의 에지입력이 없고 레벨고정상태가 확인되면, 콘트롤러(10A)는, 국부발신기(9)에 대한 제어신호(C)를 변경함으로써, 선택주파수를 전환한후, 송수신의 일련의 데이터처리를 하게 된다.
여기서는,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주파수가 2종류로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3종류이상으로 변경되는 경우라도 스텝 S5 와 같은 주파수 변경처리스텝을 반복함으로써, 수신회로(12)에서의 선택주파수를 전환할수가 있고, 용이하게 대처할수가 있다.
이와같이 전계강도판정신호 D 를 트리거로 해서 논리적신호 E 의 에지를 모니터함으로써, 협역통신에서의 주파수선택을 고속으로 할수가 있다.
따라서, 차량이 고속주행중이라도 통신영역을 확대하지 않고 노상기(1)과 차량탑재기(2A)의 통신을 할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 에서는 소비전력의 낭비를 고려하지 않고 수신회로 (5)를 항상 기동시켰으나 필요시에만 수신회로(5)를 기동시켜도 된다.
이하, 필요시에만 수신회로(5)를 기동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를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콘트롤러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 에서, 2B 및 10B 는 상술(도1참조)의 차량탑재기(2A)및 콘트롤러(10A)에 각각 대응해 있고, 전술한것과 같은것에는 같은 부호를 부쳐 상술을 생략한다.
차량탑재기(2B)는 상술한 구성에 더해, 콘트롤러(10B)의 제어하에서 구동되는 전원회로(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회로(20)는 상시급전을 하는 제1전원(21)과,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22)을 갖는다.
콘트롤러(10B)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에 응답해서, 제2전원(22)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F 를 전원회로(20)에 출력한다.
이 경우 콘트롤러(10B)및 전계강도 판정회로(12)는, 제1전원(21)로부터 급전되어 있고 항상 기동되어 있다.
한편, 수신믹서(4), 수신회로(5), 국부발신기(9)및 논리적회로(13)는 제2전원(22)에 의해 급전되어 있고, 제어신호 F 가 생성되었을때에만 기동된다.
도 3 과 같이, 전계강도 판정회로(12)및 콘트롤러(10B)의 전원은, 제1전원 (21)에 의해 구성되고, 수신믹서(4),수신회로(5),국부발신기(9)및 논리적회로(13)의 전원은, 제2전원(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4 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도 3 에 표시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 에 의한 주파수선택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에서, S1~S6 은 상술한 것과 같은 스텝이므로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우선 초기상태에서는, 제어신호 F 가 출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전원(22)는 오프된 채로이고, 콘트롤러(10B)및 전계강도 판정회로(21)이외의 수신회로(5)등의 회로요소는 기동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의 수신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류는 억제된다.
다음 , 스텝 S2 에서, 전계강도 판정신호 D 가 온을 표시한다고(즉 YES) 판정된 경우, 콘트롤러(10B)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를 트리거로 해서 제어신호 F 를 출력하고 제2전원(22)을 기동시킨다(스텝 S11). 이때 콘트롤러(10B)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의 에지에 의해 소망레벨이상의 전계강도를 확인한후, 제어신호 F 를 전원회로(20)에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제2전원(22)을 온해서 수신믹서(4), 수신회로(5), 국부발신기 (9)및 논리적회로(13)을 기동시킨후, 스텝 S3 으로 진행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3~S6 에 의해 주파수선택 및 송수신처리를 실행한후, 제2전원(22)을 다시 오프하여(스텝 S12), 리턴한다.
이와같이 전원회로(20)의 제1전원(21)은 수신대기상태에서 콘트롤러(10B)및 전계강도 판정회로(12)만을 구동하고, 제2전원(22)는 제어신호 F 에 응답해서, 수신믹서(4),수신회로(5),국부발신기(9)및 논리적회로(13)를 필요시에만 구동한다.
또 노상기(1)로부터의 송신신호 W1 이 종료되어, 수신신호 A 의 전계강도가 일정치이하가되면, 콘트롤러(10B)는 전계강도 판정신호 D 의 오프상태를 확인하고, 전원회로(20)에 제2전원(22)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F 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수신대기기가중에, 수신믹서(4),수신회로(5),국부발신기(9)및 논리적회로(13)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차량탑재기(2B)의 소비전력이 저감되므로 발열등이 억제되는 동시에, 차량탑재 배터리의 부하를 경감해서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또 상기 실시의 형태 2 에서는, 콘트롤러(10B)를 제1전원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항상 기동시켰으나, 제2전원(22)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필요시에만 기동시켜도 된다.
이하, 필요시에만 콘트롤러를 기동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 을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상술한 것과 같은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상술을 생략한다.
또, 도 5 에서, 2C , 10C 및 20C 는 상술(도3참조)의 차량탑재기(2B), 콘트롤러(10B)및 전원회로(2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전원회로(20C)는 전계강도 판정신호(D)를 제어신호로 하고 있으며, 전계강도 판정신호(D)에 응답해서 제2전원(21)을 기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에서 전계강도판정회로(12)는 제1전원(21)으로부터 급전되어 있고, 수신대기기간에서도 기동되여 있다.
한편 수신믹서(4), 수신회로(5),국부발신기(9), 콘트롤러(10C) 및 논리적회로(13)는 제2전원(22)으로부터 급전되어 있고, 전계강도판정신호 D 가 온되었을때만 급전된다.
이와같이 통상은 전계강도 판정회로(12)만을 기동하고, 소정레벨이상의 수신신호(A)에 의해 전계강도 판정신호 D 가 온되었을때에만 제2전원(22)을 기동하며 다른 회로를 기동함으로써, 수신대기중의 콘트롤러(10C)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수가 있으므로, 소비전류를 더욱 억제할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로에 설치된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믹서를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수신믹서에 입력되는 로컬 주파수를 제1및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는 국부발신기와, 국부발신기의 선택주파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하는 콘트롤러를 갖고, 노상기와의 사이에서 협역통신을 하기 위한 DSRC 차량탑재기에서,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검파 다이오드와,검파 다이오드를 통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가 소정치이상인 경우에 전계강도 판정신호를 생성하는 전계강도 판정회로와,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와 전계강도판정신호의 논리적을 취해서 논리적신호를 생성하는 논리적회로를 구비하고, 콘트롤러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미리 제1의 주파수로 설정하고,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논리적신호를 일정시간에 걸쳐서 모니터하며, 논리적신호가 H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제1의 주파수에 고정하고, 논리적신호가 L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도록 하였으므로,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주파수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 DSRC 차량탑재기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의하면,청구항 1 에서, 상시 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콘트롤러 및 전계강도 판정회로는, 제1전원에 의해 급전되고, 수신믹서,수신회로,국부발신기 및 논리적회로는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며, 콘트롤러는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제2전원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원회로에 출력하도록 하였으므로 신속하게 수신신호의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필요시에만 수신회로를 자동적으로 기동시켜서 소비전력을 억제한 DRSC 차량탑재기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의하면, 청구항 1 에서, 상시 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전계강도판정회로는, 제1전원에 의해 급전되고, 콘트롤러,수신믹서,수신회로,국부발신기 및 논리적회로는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도록 하였으므로 더욱더 소비전력을 억제한 DSRC 차량탑재기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주행로에 설치된 노상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와,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믹서를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수신믹서에 입력되는 로컬주파수를 제1및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는 국부발신기와, 상기 국부발신기의 선택주파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데이터처리를 하는 콘트롤러를 갖고, 상기 노상기와의 사이에서 협역통신을 하기 위한 DSRC 차량탑재기에서, 상기 수신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하는 검파다이오드와, 상기 검파다이오드를 통한 수신신호의 전계강도가 소정치이상인 경우에 전계강도 판정신호를 생선하는 전계강도 판정회로와, 상기 수신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전계강도판정신호와의 논리적을 취해서 논리적신호를 생성하는 논리적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미리 제1의 주파수에 설정하고, 상기 전계강도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논리적신호를 일정시간에 걸쳐 모니터하며, 상기 논리적신호출력이 H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상기 제1의 주파수에 고정하고, 상기 논리적신호가 L레벨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국부발신기의 주파수를 제2의 주파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RC 차량탑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시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 및 상기 전계강도 판정회로는 상기 제1전원에 의해 급전되고, 상기 수신믹서,상기 수신회로, 상기 국부발신기 및 상기 논리적회로는, 상기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2전원을 기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회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RC 차량탑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시 급전을 하는 제1전원과, 상기 전계강도 판정신호에 응답해서 선택적으로 급전을 하는 제2전원을 갖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계강도 판정회로는 상기 제1전원에서 급전되고, 상기 콘트롤러, 상기 수신믹서, 상기 수신회로, 상기 국부발신기 및 상기 논리적회로는 상기 제2전원에 의해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RC 차량탑재기.
KR1019990030841A 1998-12-18 1999-07-28 Dsrc 차량탑재기 Expired - Lifetime KR100334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60783 1998-12-18
JP36078398A JP3046014B1 (ja) 1998-12-18 1998-12-18 Dsrc車載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447A KR20000047447A (ko) 2000-07-25
KR100334403B1 true KR100334403B1 (ko) 2002-05-03

Family

ID=1847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841A Expired - Lifetime KR100334403B1 (ko) 1998-12-18 1999-07-28 Dsrc 차량탑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46014B1 (ko)
KR (1) KR100334403B1 (ko)
CN (1) CN11618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821B2 (ja) 1999-03-08 2002-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KR100446238B1 (ko) * 2001-11-09 2004-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단일 pll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19260B1 (ko) * 2002-10-28 2006-09-01 어헤드컴(주) 듀얼 버퍼를 이용한 근거리 전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음성데이타 전송 장치
NL2007777C2 (nl) * 2011-11-11 2013-05-14 Assembleon Bv Component-plaatsingsinrichting voorzien van een machineframe en ten minste twee component-opneemeenheden, alsmede werkwijze voor het aandrijven van een dergelijke component-plaatsingsinrichting.
CN102542621B (zh) * 2012-01-04 2014-12-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基于智能天线技术的电子收费路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83788A (ja) 2000-06-30
KR20000047447A (ko) 2000-07-25
CN1261225A (zh) 2000-07-26
JP3046014B1 (ja) 2000-05-29
CN1161896C (zh)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7266B1 (en)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EP2784249B1 (en) Mobile device
KR960043950A (ko) 자동차용 전자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JP3353821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KR101563489B1 (ko) 제어 회로의 전류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334403B1 (ko) Dsrc 차량탑재기
JP2002057615A (ja) 狭域通信の通信接続方式
US20090027160A1 (en) Entry system for vehicle
KR100720299B1 (ko) 데이터 무선 전송 장치
CN109584406A (zh) 车辆与车钥匙的通信控制方法、装置及车辆
US7298290B2 (en) DSRC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for
JP2626504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およびその無線周波数チャネルサーチ方法
JP4375096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用の携帯機
JPH10297430A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KR19980018682A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JPH11336394A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GB2331389A (en) Low power receiver
JP2018086888A (ja) 無線システム及び受信回路
JPH1159332A (ja) 無線式機器制御装置
JP2006031255A (ja) Dsrc車載器
JP2003244061A (ja) 路車間通信方法、路側無線装置、車載無線装置及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H0744209A (ja) 車両用消費電力制御装置
JPH0951582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CN112312356A (zh) 车载通信装置
JPH10191432A (ja) 受信周波数チャネル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1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