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3771B1 -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 Google Patents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771B1
KR100333771B1 KR1019980022436A KR19980022436A KR100333771B1 KR 100333771 B1 KR100333771 B1 KR 100333771B1 KR 1019980022436 A KR1019980022436 A KR 1019980022436A KR 19980022436 A KR19980022436 A KR 19980022436A KR 100333771 B1 KR100333771 B1 KR 10033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pacity
calibration
smart
smart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949A (ko
Inventor
유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2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771B1/ko
Priority to TW088107585A priority patent/TW432767B/zh
Priority to CNB991090098A priority patent/CN1138985C/zh
Priority to JP11167087A priority patent/JP2000060020A/ja
Priority to EP99304653A priority patent/EP0965906A3/en
Priority to US09/333,262 priority patent/US6100666A/en
Publication of KR2000000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7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에서 배터리 방전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전원 소비가 최대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에 소비되는 시간이 종래와 비교하여 상당히 단축되므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장시간 동안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이 완료되길 기다릴지 않아도 되어 단 시간 내에 다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용량 캘리브레이팅 방법{A METHOD OF CALIBRATING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본 발명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사용하는 시스템의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배터리(smart battery)(배터리에 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의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여러 휴대용 시스템, 예컨대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portable computer),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 또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telephone)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시스템들은 AC(alternating current) 전원과 겸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시스템은 적합한 AC 어댑터(AC adapter)로부터 정류된 DC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고 있다. 일명 '더미 배터리(dummy battery)'와 '스마트 배터리(smart battery)'가 그 것이다. 상기 더미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배터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더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더미 배터리는 해당되는 충전 회로에 의해 재충전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충전 회로는 배터리 전압 및 상기 더미스터로 검출되어지는 배터리 온도에 기초하여 충전을 제어한다.
상기 스마트 배터리는 상기 더미 배터리보다 진보된 형태의 배터리이다. 상기 스마트 배터리는 여러 가지 배터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들과 이들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를 구비한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는 배터리에 관한 정보들, 예컨대 배터리 상태, 배터리 용량, 제조 업체 정보 등의 여러 가지 정보들을 자신이 장착된 시스템으로 제공한다. 특히, 스마트 배터리는 용량 학습을 통해 기준 용량(배터리 전체 용량)을 재 설정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용량 학습이란,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에 따라 기준 용량(충전 가능한 배터리 용량)을 재 설정하는 것이다. 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충/방전의 반복에 따라 충전 가능한 배터리 전체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감소되는 충전 용량에 따라 새롭게 기준 용량을 재 설정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전체 용량이란, 배터리가 완전 충전된 상태에서 방전을 개시하여 배터리 전압이 특정 전압 레벨(용량 학습 레벨)까지 낮아질 때까지의 방전된 전류량과 시간의 곱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배터리가 장착되는 시스템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들을 상기 스마트 배터리로부터 제공받으며, 이 정보들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시스템은 배터리 잔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 예로 휴대용 컴퓨터를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10)는 스마트 배터리(20)로부터 소정의 DC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거나, AC 어댑터(3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로부터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10)는 상기 스마트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배터리(20)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배터리 정보를 제공받는다. 특히, 상기 휴대용 컴퓨터(10)는 제공된 배터리 잔류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현 시점에서의 배터리 잔류 용량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잔류 용량이 감소하여 일정 기준치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때 상기 스마트 배터리(20)로부터 제공되는 배터리 잔류 용량에 대한 정보는 실제 상기 스마트 배터리(20)에 남아 있는 배터리 용량과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차의 발생은 배터리 용량 학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배터리 잔류 용량이 실제 보다 적게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의 사용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잔류 용량이 실제보다 많게 표시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의 사용도중 전원 공급이 중단되므로 작업 중이던 데이터를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스마트 배터리(20)를 완전 충전후 사용하고, 일단 방전이 개시되면 완전 방전할 때까지 배터리를 사용하여 용량 학습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10)를 사용한다면 매우 불편할 것이다.
이러한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배터리 기준 용량을 재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스마트 배터리가 장착된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완전 방전 및 완전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여, 용량 학습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기능을 '캘리브레이션(battery calibration)'이라 한다. 첨부 도면 도 2에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배터리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은 사용자가 시스템 구동시에 시스템 셋업을 선택하여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메뉴를 선택함으로서 수행이 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AC 어댑터를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한다.
단계 S100에서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시작되면, 단계 S110으로 진행하여 전원 관리(power management) 기능을 디세이블시켜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는 전원 관리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 S120으로 진행하여 스마트 배터리의 방전을 개시한다. 이어 단계 S130으로 진행하여 상기 스마트 배터리가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이 이루어졌는 가를 판단한다.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이 이루어지면 제어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에서 상기 스마트 배터리는 용량 학습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이 이루어지며, 단계 S150에서는 디세이블된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시키고 단계 S160으로 종료된다.
이후, 사용자가 AC 어댑터를 시스템에 접속하면, 스마트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되고 완전 충전이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한다. 상기 완전 충전의 검출은 배터리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각기 해당되는 방법으로 완전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Ni-MH, Ni-CD인 경우에는 완전 충전 검출을또는검출 방식에 의하고, Li-Ion의 경우에는 Ico 검출 방식에 의해 완전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상과 같은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됨으로 일일이 사용자가 스마트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지 않아도 됨으로 편리하기는 하다. 그러나,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완료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경우,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완료되는데 약 2~3 시간 가량이 소비된다. 이 시간 동안 사용자는 해당되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 배터리의 기준 용량을 재 설정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마트 배터리를 구비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LCD 후광 전원 공급부의 상세 회로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컴퓨터 20 : 스마트 배터리
30 : AC 어댑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의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전원 소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배터리를 방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용량 학습레벨까지 방전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학습하는 단계와; 전원 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전원 관리 기능을 구비한 경우, 상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디세이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소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배터리를 방전하는 단계는, LCD 후광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고, 냉각 팬을 동작시키고, 드라이브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고, 반복적인 메모리 엑세스 동작을 수행하여 전원 소비를 최대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캘리브레이션 동작에서 배터리 방전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전원 소비가 최대로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동시킨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은 AC 어댑터(100), 스마트 배터리(11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시스템으로 각종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120)와, 상기 스마트 배터리(110)의 캘리브레이션 동작에서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LCD 패널(160), 비디오 컨트롤러(170), LCD 후광 전원 공급 회로(130), 냉각 팬(150), CPU(180), BIOS(190), 메모리 제어부(200), 메모리(210), HDD 제어부(220), HDD(230), FDD 제어부(240), FDD(250), 시스템 버스(260), SM 버스(system management bus)(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BIOS(190)에는 스마트 배터리(110)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제어 루틴을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루틴의 수행은 사용자가 시스템 셋업(system setup)에서 선택 할 수 있다. 상기 BIOS(190)에 의한 시스템 셋업에서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선택하면 후술하게 되는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40)는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 상기 스마트 배터리의 충전/방전을 제어하고, 특히 시스템의 전원 소비가 최대로 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 팬(150)을 구동시키고, 상기 LCD 후광 전원 공급 회로(130)를 제어하여 LCD 패널(160)에 구비된 후광 램프(back light lamp)(미도시됨)의 밝기가 최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HDD(230), FDD(250)의 모터를 온시킨 후 오프 되지 않도록 하며, 메모리(210) 엑세스 동작이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의 전원 소비가 최대로 되게 하여 상기 스마트 배터리(110)의 방전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D 후광 전원 공급 회로(130)는 밝기 조절 회로(131), DC/AC 인버터(132), 트랜스포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밝기 조절 회로(131)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120)로부터 DC 8~15V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DC/AC 인버터(132)로 제공하며, 상기 DC/AC 인버터(132)는 입력된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트랜스포머(133)로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포머(133)는 입력된 AC 전원을 AC 450~550 Vrms로 변환하여 상기 LCD 패널(160)의 후광 램프(미도시됨)로 입력한다.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40)는 상기 밝기 조절 회로(131)를 제어하여 상기 후광 램프의 밝기가 최대가 되도록 제어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BIOS(190)에 의한 시스템 셋업에서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선택하는가를 판단한다.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이 선택되면 단계 S210에서는 AC 어댑터를 제거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한다. 단계 S220에서는 AC 어댑터가 제거되었는가를 판단한다. AC 어댑터가 제거되면 단계 S230에서는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로 진입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설명된다. 단계 S300에서 스마트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이 개시되면, 단계 S310에서는 전원 관리 기능을 디세이블시켜 캘리브레이션 동작 중에 전원 관리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 S320에서는 시스템의 전원 소비가 최대로 되도록 시스템을 구동시키고, 단계 S330에서 스마트 배터리 방전을 개시한다. 단계 S340에서는 상기 스마트 배터리가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이 이루어 졌는가를 판단한다.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이 이루어지면 제어는 단계 S350으로 진행하고, 단계 S360에서 상기 스마트 배터리(110)는 용량 학습을 실시한다.
용량 학습이 이루어지면 제어는 S360으로 진행하여 다시 시스템의 전원 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동하고, 단계 S370으로 진행하여 디세이블된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다시 인에이블 시키고, 단계 S480으로 진행하여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가 AC 어댑터를 시스템에 접속하면, 스마트 배터리의 충전이 개시되고 완전 충전이 검출되면 충전을 종료한다. 상기 완전 충전의 검출은 배터리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각기 해당되는 방법으로 완전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Ni-MH, Ni-CD인 경우에는 완전 충전 검출을또는검출 방식에 의하고, Li-Ion의 경우에는 Ico 검출 방식에 의해 완전 충전 상태를 검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최대한 빠르게 진행하여 완료하게 된다. 그러므로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동작에 따라 소비되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 상당히 단축되므로 단시간 내에 다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의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캘리브래이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전원 소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배터리를 방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용량 학습 레벨까지 방전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학습 하는 단계; 그리고
    전원 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전원 관리 기능을 구비한 경우,
    상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디세이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전원 관리 기능을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소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을 구동하여 배터리를 방전하는 단계는, LCD 후광 밝기를 최대로 설정하고, 냉각 팬을 동작시키고, 드라이브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고, 반복적인 메모리 엑세스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방법.
KR1019980022436A 1998-06-15 1998-06-15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436A KR100333771B1 (ko) 1998-06-15 1998-06-15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TW088107585A TW432767B (en) 1998-06-15 1999-05-11 A calibrating method of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CNB991090098A CN1138985C (zh) 1998-06-15 1999-06-11 可再充电电池容量的标定方法
JP11167087A JP2000060020A (ja) 1998-06-15 1999-06-14 バッテリ容量のキャリブレ―ション方法
EP99304653A EP0965906A3 (en) 1998-06-15 1999-06-15 Calibrating rechargeable battery
US09/333,262 US6100666A (en) 1998-06-15 1999-06-15 Method for calibrating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436A KR100333771B1 (ko) 1998-06-15 1998-06-15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949A KR20000001949A (ko) 2000-01-15
KR100333771B1 true KR100333771B1 (ko) 2002-08-27

Family

ID=1953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4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3771B1 (ko) 1998-06-15 1998-06-15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00666A (ko)
EP (1) EP0965906A3 (ko)
JP (1) JP2000060020A (ko)
KR (1) KR100333771B1 (ko)
CN (1) CN1138985C (ko)
TW (1) TW432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1242A (ja) *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消費電力制御方法
JP4777507B2 (ja) * 2000-09-18 2011-09-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処理能力変更指示装置
US6630814B2 (en) 2000-12-19 2003-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JP3692089B2 (ja) * 2002-04-02 2005-09-07 株式会社東芝 消費電力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40013608A (ko) * 2002-08-07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TW556421B (en) 2002-08-15 2003-10-01 Htc Corp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for integrated interface of PDA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92148B2 (en) * 2002-12-29 2005-05-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battery capacity fade
US20060075509A1 (en) * 2003-05-22 2006-04-06 Jakob Kishon Data storage protection device
JP5394376B2 (ja) * 2007-07-09 2014-01-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バッテリの充電状態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JP5570782B2 (ja) * 2009-10-16 2014-08-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電源装置の充放電制御方法
US8443212B2 (en) * 2009-12-18 2013-05-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battery calibration
WO2012007024A1 (en) * 2010-07-13 2012-01-19 Tomtom International B.V. A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physical life of batteries in mobile devices
JP5598914B2 (ja) 2010-08-05 2014-10-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US9306243B2 (en) 2011-01-24 2016-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ing battery usage
JPWO2012133274A1 (ja) 2011-03-30 2014-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及び移動体
WO2012165629A1 (ja) * 2011-06-03 2012-12-06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の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電力供給システム
CN103499792B (zh) * 2013-07-18 2016-02-24 浙江工业大学 电动汽车动力电池集群可用容量的预测方法
CN104597404B (zh) * 2014-12-19 2018-03-20 深圳市科陆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实际容量、soc以及soh的自动标定方法
CN107132865B (zh) * 2017-04-07 2020-03-27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试验车辆的储能单元的主动冷却功率标定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667A (en) * 1972-08-23 1976-07-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vic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charge in batteries
JPS5337832A (en) * 1976-09-20 1978-04-07 Aichi Electric Mfg Detecting device for residual capacity of storage battery
US4207611A (en) * 1978-12-18 1980-06-10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ed testing of a vehicle electrical system
US4290002A (en) * 1979-06-04 1981-09-15 Goul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recharging
GB8625035D0 (en) * 1986-10-18 1986-11-19 Husky Computers Ltd Battery charge state monitor
US5140269A (en) * 1990-09-10 1992-08-18 Champlin Keith S Electronic tester for assessing battery/cell capacity
US5563496A (en) * 1990-12-11 1996-10-08 Span, Inc. Battery monitoring and charging control unit
US5268845A (en) * 1991-02-14 1993-12-07 Dell Corporate Services Corp. Method for detecting low battery state without precise calibration
US5315228A (en) * 1992-01-24 1994-05-24 Compaq Computer Corp. Battery charge monitor and fuel gauge
US5363689A (en) * 1992-09-11 1994-11-15 Intertech Development Company Calibration device for leak detecting instruments
US5472056A (en) * 1993-09-08 1995-12-05 Case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calibration method for such control systems
US5596260A (en) * 1994-05-13 1997-01-21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ge of a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60020A (ja) 2000-02-25
CN1239226A (zh) 1999-12-22
CN1138985C (zh) 2004-02-18
KR20000001949A (ko) 2000-01-15
EP0965906A2 (en) 1999-12-22
US6100666A (en) 2000-08-08
EP0965906A3 (en) 2000-11-02
TW432767B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771B1 (ko) 충전가능한배터리의용량캘리브레이팅방법
US66647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battery use state and mitigating battery deterioration
US73044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charge-start criteria level based on power supply drive history
JP3730414B2 (ja) 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電源制御方法
TW502153B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cerning power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EP1598917B1 (en) Electronic device, battery pack, power-suppl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US6588907B1 (en) Self-contained cool-down system for a video projector
JPH10136574A (ja) バッテリ制御装置
CN106959844A (zh) 一种低电开机处理的方法及装置
JPH11191437A (ja) 電池識別装置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2004159382A (ja) 電子機器
JP2003240830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40164714A1 (en) AC adaptor
JP4178141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H10210675A (ja) 充電制御方法および充電制御装置
JP4827457B2 (ja) 電子機器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3693000B2 (ja) 2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H07147166A (ja) 2次電池のメモリ効果防止方法
JP2008271759A (ja) 2次電池のリ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H10215525A (ja) 充電装置
KR100512164B1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용량 자동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10061336A (ko) 배터리 캘리브레이션 기능의 동작 시기를 사용자에게통보하거나 자동으로 실행하는 휴대용 컴퓨터 및 그 방법
JP201102266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445111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H10304592A (ja) 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