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2973B1 -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973B1
KR100332973B1 KR1019990013948A KR19990013948A KR100332973B1 KR 100332973 B1 KR100332973 B1 KR 100332973B1 KR 1019990013948 A KR1019990013948 A KR 1019990013948A KR 19990013948 A KR19990013948 A KR 19990013948A KR 100332973 B1 KR100332973 B1 KR 10033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hickness
standard
cured state
lamina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672A (ko
Inventor
선 용 이
Original Assignee
전세호
주식회사 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세호, 주식회사 심텍 filed Critical 전세호
Priority to KR101999001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9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9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2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ligning the frontal surfaces of adjacent frame member 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for frame members having longitudinal screw receivin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범위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준화되어있는 다수의 수지 적층판 사이에 단일 수지 적층막을 삽입하여 좁은 범위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적어도 일측면에 동박(11, 3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이 형성된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과; 유전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수지층(14, 34)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화 상태의 단일 수지 적층막(2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PRINTED CIRCUIT BOARD FOR IMPEDANCE CONTROL}
본 발명은 좁은 범위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준화되어있는 다수의 수지 적층판 사이에 단일 수지 적층막을 삽입하여 좁은 범위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나 다층 PCB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에 동박(100, 120)을 형성하고 상기 동박(100, 120)의 사이에 절연체(110)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PCB의 임피던스는 동박 두께, 회로폭(Pattern Width), 및 절연체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최근에는 PCB의 제조시 임피던스의 조절폭이 미세해짐에 따라 절연체의 두께 관리가 어렵게 되어졌다.
이러한 절연체(110)는 서로 상이한 유전율을 갖는 수지(Resin)와 글래스(Glass)의 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지와 글래스의 배합은 표준화되어 있는 수지침투 가공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글래스 섬유에 액체 상태인 에폭시 및 수지를 입힌후 특정한 압력과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므로써 반경화 상태인 수지침투 가공재로 만든다.
이와 같이 제조된 반경화 상태의 수지침투 가공재에 압력과 열을 가하므로써 다층 PCB의 절연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표준화되어 있는 수지침투 가공재로는 두께를 조절하여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반경화 상태의 수지침투가공재가 표준화된 상태로 즉, 두께가 60㎛, 100㎛, 150㎛, 170㎛등으로 공급되므로, 이를 필요한대로 조합하여 적층하므로써 원하는 두께의 절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체(110)를 경화된 상태의 표준 수지 적층판(112)을 다수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표준 수지 적층판(112)과 동박(100, 120)이 서로 접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11, 113)을 이용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는 경우 수지층(111, 113)에 의해 절연체의 두께가 커질 수 있다.
두번째로, 점도 특성이 다른 점을 이용하여 압력과 열을 조절하여 미세하게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나 또는 다수개의 수지침투 가공재를 적층하여 원하는 두께의 절연체를 형성하기 위해 에폭시가 열과 압력에 따라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11, 113)의 수지의 유동성이 다른 점을 이용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온도에 따라 유동성이 다른 점을 이용하여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면 수지층(111, 113)의 유동성이 좋아져PCB가 얇아지고, 온도를 천천히 상승시키면 수지층(111, 113)의 유동성이 나빠져 PCB가 두꺼워진다.
또한, 수지층(111, 113)에 특정한 압력을 가해서 수지층(111, 113)의 두께를 조절하므로써 PCB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표준화된 수지침투 가공재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므로써 PCB의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임피던스 범위가 좁아지는 최근의 추세로 볼때 미세한 두께의 조절이 어려워 유전율 제어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준화되어 있는 다수의 수지 적층판 사이에 단일 수지 적층막을 삽입하여 좁은 범위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피씨비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112 : 표준 수지 적층판
11, 31, 100, 120 : 동박
12, 14, 32, 34, 111, 113 : 수지층
20 : 단일 수지 적층막
110 : 절연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동박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이 형성된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과; 유전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의 수지층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화 상태의 단일 수지 적층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적어도 일측면에 동박(11, 3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이 형성된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과; 유전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수지층(14, 34)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화 상태의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율을 조절하기 위해서 단일 수지 적층막(200)을 다수개 적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사이에 삽입 접착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단일 수지 적층막(20) 사이는 반경화 상태의수지층으로 접착하게 된다.
또한, 피씨비는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을 다수개를 적층하여 이루어기도 한다.
또한, 피씨비에서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양측면에 동박이 형성되고 상기 동박의 이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의 구조 및 작용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적어도 일측면에 동박(11, 3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이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양측면에 동박이 형성되고 상기 동박의 이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사이에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삽입하고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에 형성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을 이용하여 접착한다.
즉,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 사이에 경화 상태의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삽입한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14,34)이 경화하면서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수지 적층판(13, 33)과 단일 수지 적층막(20)의 양면을 접착시킨다.
이때 상기 단일 수지 적층막(20)은 PCB의 임피던스 제어를 위해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수지 필름에 액체 상태의 수지를 일정 두께로 코팅한후 경화하여 경화상태로 가공하고 수지 적층판(13, 33) 사이에 삽입 접착하여 사용된다.
즉, 단일 수지 적층막(20)의 두께를 조절하므로써 절연체의 두께가 조절되어 유전율 제어가 원활해지므로써 임피던스 제어가 용이해 진다.
한편,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과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다수개를 적층하여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수지 적층판(13, 33)과 단일 수지 적층막(20) 및 동박(11, 31)의 사이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2,14, 32, 34)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절연체 두께의 조절을 위해 상기 수지층(12, 14, 32, 34)의 두께도 포함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다층 피씨비에서 원하는 절연체의 두께가 170㎛이고 기제조된 표준품으로 동박이 접착된 표준 수지 적층판(10,30)이 수지층(12, 14, 32, 34)을 포함하여 60㎛인 경우 부족한 50㎛를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이용하면 된다. 즉, 단일수지 적층막(20)을 50㎛로 형성하여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수지층(14, 34) 사이에 삽입하여 경화하면서 접착시키면 된다.
즉, 수지 필름에 액체 상태의 수지를 코팅하여 50㎛의 두께로 만든후 경화하여 경화상태로 가공하면 된다.
가공된 경화상태의 수지막은 단일 수지 적층막(20)으로써 수지 적층판(13, 33) 사이에 삽입된후 수지층(14, 34)에 의해 접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는 미리 경화된 수지막을 삽입하여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므로써 간단하게 임피던스 제어가 가능해진다.

Claims (3)

  1.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적어도 일측면에 동박(11, 3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14, 34)이 형성된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과;
    유전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의 수지층(14, 34) 사이에 삽입 접착되어 절연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화 상태의 단일 수지 적층막(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은 다수개를 적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표준 수지 적층판(10, 3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경화 상태의 수지 적층판(13, 33)의 양측면에 동박이 형성되고 상기 동박의 이면에 접착을 위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KR1019990013948A 1999-04-20 1999-04-20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48A KR100332973B1 (ko) 1999-04-20 1999-04-20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948A KR100332973B1 (ko) 1999-04-20 1999-04-20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72A KR20000066672A (ko) 2000-11-15
KR100332973B1 true KR100332973B1 (ko) 2002-04-18

Family

ID=1958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9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973B1 (ko) 1999-04-20 1999-04-20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672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5570B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FI126775B (fi) Monikerroksinen levy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100469215C (zh) 多层电路基板及其制造方法
WO2004095900A1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用銅張り積層板、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3944921B2 (ja) 多層配線板の製造方法
KR100332973B1 (ko)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KR102436612B1 (ko) 다층인쇄회로기판의 최외층 형성 방법
JP3145079B2 (ja) 多層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KR200272231Y1 (ko)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피씨비 구조
JPH1168267A (ja) 樹脂シート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H0199288A (ja) 多層印刷配線板の製造法
JPH10178241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5879A (ko)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부품
KR100443375B1 (ko) 빌드업 다층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4759896B2 (ja) プリント配線板製造用材料の製造方法
JPS61142794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法
KR100299671B1 (ko) 다층 금속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JPH10303553A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S63285997A (ja) 多層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116156790A (zh) 多层线路板的制备方法以及多层线路板
JPH01226195A (ja) 多層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JPH11266080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606387B2 (ja) アディティブ法プリント配線板用積層板の製造方法
JPH05338034A (ja) 多層プリント板の接着方法
JPH06260767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