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6728B1 -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28B1
KR100326728B1 KR1019990020426A KR19990020426A KR100326728B1 KR 100326728 B1 KR100326728 B1 KR 100326728B1 KR 1019990020426 A KR1019990020426 A KR 1019990020426A KR 19990020426 A KR19990020426 A KR 19990020426A KR 100326728 B1 KR100326728 B1 KR 10032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rtable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300A (ko
Inventor
황경운
염희철
Original Assignee
황경운
염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운, 염희철 filed Critical 황경운
Priority to KR10199900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7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28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외부장치와 유선으로 교환시키는 무선단말수단; 신호를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교환시키는 휴대단말수단; 및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무선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되며,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다른 외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되는 무선휴대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망과 공중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멀티미디어 등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고, 가까운 거리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단말장치를 통하여 통신되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시킬 수 있으며, 무선통신의 범위를 감지하여 휴대단말장치의 도난을 방지하고, 무선단말장치 또는 휴대단말장치에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구비되면, 무선휴대장치에서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hand phone for changing communication chan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한 각각의 통신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전화기인 PCS 또는 휴대폰은 개인이 가지고 다니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전용의 전화기이며, 유선전화기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접속되는 공중망을 통하여 유선 통신되는 유선통신 전용의 전화기이다. 또한,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는 무선중계장치를 구비하는 유선전화기에 코드(cord)없이 무선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무선중계장치와 비교적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는 전화기이다.
그러나, 휴대폰은 이동통신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먼 거리 즉 고출력으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통화되는 전화기에 비하여 통화 요금이 비싸고 음질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선전화기에서 가까운 거리의 무선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무선중계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무선중계기에 연결되는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코드리스 전화기와 이를 중계하는 상기 무선중계장치 사이의 거리가 무선통신범위로서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코드리스 전화기가 통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전화기인 휴대폰과 공중망을 이용하는 전화기가 각각 통신범위를 감지하여 동작되는저전력 무선중계기를 구비하며, 저전력 무선중계기를 포함하는 유선전화기의 무선단말장치가 무선휴대장치의 통신범위 내로 접근되면, 무선휴대장치는 유선전화기에 연결되는 공중망을 통하여 통신되고, 통신범위 내로부터 이격되면 휴대폰 통신전용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며, 또한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은 휴대단말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무선휴대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무선휴대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상기 무선단말장치에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비하여 플레이어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무선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동작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8.. 무선휴대장치 34, 44, 54.. 무선송수신부
16.. 공중망 19.. 이동통신망
35, 45, 55.. 제어부 27.. 휴대단말장치
22.. 이동통신부 63.. 단말기
21, 41, 51.. 안테나 38, 58.. 저전력 무선중계기
67.. 무선단말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휴대단말수단; 및 상기 휴대단말수단과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신호를 교환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휴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수단과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신호를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 또는 상기 이동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 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하는제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에 의하여 각각이 선택되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휴대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수단의 무선송수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신호의 교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이 상기 이동통신부와 이동 통신되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는, 신호를 외부장치와 유선으로 교환시키는 무선단말수단; 신호를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교환시키는 휴대단말수단; 및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무선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되며,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다른 외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되는 무선휴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장치와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된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와 교환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는 전화기 류,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수단과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신호를 상기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 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휴대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수단 또는 상기 무선단말수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으로 통신되는 통신범위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수단 또는 상기 무선단말수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제어방법은, 공중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장치와 무선으로 통신되는 무선휴대장치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와의 무선통신범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무선휴대장치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휴대장치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휴대장치는 상기 무선단말장치를 통하여 상기 공중망과 통신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휴대장치가 상기 무선단말장치와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선휴대장치는 휴대폰 또는 PCS 등의 이동통신전화기가 연결되어 통신되는 휴대단말장치를 통하여 이동통신망과 통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휴대장치는, 상기 공중망 또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채널에 미리 설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차례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는 무선휴대수단인 무선휴대장치(48)와 휴대단말수단인 휴대단말장치(2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휴대장치(48)는 무선송수신부(44)와 제어부(45)를 포함하는데, 상기 무선송수신부(44)는 휴대단말장치(27)의 무선송수신부(34)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제어부(45)는 무선송수신부(44)를 통한 신호의 교환을 제어하는데, 실시예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를 구비하며, 통신을 위한 송수화기 및 다이얼링을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장치(27)는 입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장치와 교환시키는데, 저전력 무선중계기(38)와 이동통신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전력 무선중계기(38)는 제어부(35)와 무선송수신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저전력 무선중계기(38)의 무선송수신부(34)는 무선휴대장치(48)와 신호를 무선으로 교환하며, 교환된 신호는 제어부(35)의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망(19)과 통신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제어부(35)는 무선송수신부(34) 또는 이동통신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 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에서 상기 무선휴대장치(48)는 휴대단말장치(27)와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으면, 휴대단말장치(27)를 통하여 이동통신망(19)과 통신된다.
또한, 무선휴대장치(48)는 휴대단말장치(27)와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무선휴대장치(48)에서 휴대단말장치(27)와 통신할 수 없음을 감지하며, 감지된 신호를 상기 무선휴대장치(48)에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화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상기 휴대단말장치(27)의 저전력 무선중계기(38)는 무선휴대장치(48)의 무선송수신부(44)와 각각의 안테나(21)(41)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이동통신부(22)는 저전력 무선중계기(38)의 무선송수신부(34)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된 신호는 안테나(21)를 통하여 이동통신망(19)과 이동 통신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무선휴대장치(48)의 제어부(45)는 안테나(41)와 무선송수신부(4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휴대단말장치(27)와 무선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서 휴대단말장치(27)와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저전력무선중계기(38)는 이동통신부(22)에 부착 또는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서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무선중계기(38)와 이동통신부(22)를 포함하는 휴대단말장치(2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휴대단말장치(27)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서 무선휴대장치(48)를 통하여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장치(27)는 전화기 류,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전화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출력되거나 또는 재생되는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는, 휴대단말수단인 휴대단말장치(27)와 무선휴대수단인 무선휴대장치(48) 및 무선단말수단인 무선단말장치(67)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단말장치(67)는, 저전력무선중계기(58)로서 무선송수신부(54)와 제어부(55) 그리고 단말기(63)를 포함하며, 안테나(51)를 통하여 무선휴대장치(48)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이때, 무선단말장치(6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휴대장치(48)에서 각각의 무선단말장치가 선택되어 통신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54)는 무선휴대장치(48)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단말기(63)는 무선송수신부(54)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된 신호를 외부장치인 공중망(16)과 무선으로 교환한다. 이때, 단말기(63)는 전화기 류,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송수신부(34), 제어부(35) 및 이동통신부(22)를 포함한다. 이때, 휴대단말장치(2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휴대장치(48)에서 각각의 휴대단말장치가 선택되어 통신된다.
상기 휴대단말장치(27)의 무선송수신부(34)는 무선휴대장치(48)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이동통신부(22) 무선송수신부(34)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신호를 다른 외부장치인 이동통신망(19)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상기 제어부(35)는 무선송수신부(34)와 이동통신부(22)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무선휴대장치(45)는 무선송수신부(44)와 제어부(45)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휴대장치(45)의 무선송수신부(44)는 휴대단말장치(27) 또는 무선단말장치(67)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제어부(45)는 무선송수신부(4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67)와 무선으로 통신되는 통신범위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서 휴대단말장치(27) 또는 무선단말장치(6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를 도 3의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공중망(16)과 유선 통신되는 무선단말장치(67)와 무선으로 통신되는 무선휴대장치(48)의 제어부(45)는 안테나(41)(51)와 각각의 무선송수신부(44)(54)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장치(67)와 무선통신이 가능한지를 감지한다.(71)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통신범위를 감지하는 무선휴대장치(48)의 제어부(45)는 무선단말장치(67)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72)
이때, 상기 무선휴대장치(48)의 제어부(45)에서 무선단말장치(67)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휴대장치(48)는 무선단말장치(67)를 통하여 공중망(16)과 통신된다.(73)
즉,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휴대장치(48)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무선송수신부(44)와 안테나(41)(51)를 경유하고, 무선단말장치(67)의 저전력무선중계기(58)와 단말기(63)를 통하여 공중망(16)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중망(16)에 접속되는 다른 사람과 통화된다.
그러나, 상기 무선휴대장치(48)의 제어부(45)에서 무선단말장치(67)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휴대장치(48)는 휴대단말장치(27)를 경유하여 휴대폰 또는 PCS 등의 이동통신 전화기 등이 연결되어 통화되는 이동통신망(19)으로 연결되어 통신된다.(74)
즉,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하여 무선휴대장치(48)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무선송수신부(44)와 안테나(41)를 경유하고, 휴대단말장치(27)의 안테나(21), 저전력무선중계기(38), 이동통신부(22) 및 안테나(21)를 통하여 이동통신망(19)으로 연결됨으로써 이동통신망(19)에 접속되는 다른 사람과 통화된다.
이때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송수신부(34)와 이동통신부(22)가 별개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각각에 구비되는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27)가 무선휴대장치(48)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휴대장치(48)와 이격되는 장소 예컨대 사용자의 주머니, 가방 또는 핸드백 등과 같은 장소에 구비된다. 이때,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휴대장치(48)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으로 통신됨으로써,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휴대장치(48)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즉, 이동통신망(19)을 사용함에 의하여 이동통신부(22)로 직접 가해지던 강한 전파가 별도 장치인 휴대단말장치(27)로 인가되며, 상기와 같이 무선휴대장치(48)와 이격되어서 구비되는 휴대단말장치(27)는 저전력무선중계기(38)를 통해 비교적 약한 전파에 의하여 무선휴대장치(48)와 통신된다.
결국, 휴대단말장치(27)는 무선휴대장치(48)와 저전력의 무선으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비교적 약한 전파에 의하여 통신되는 휴대단말장치(27)와 연결되는 무선휴대장치(48)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무선휴대장치(48)는 단말기(63)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67)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어부(45)에 구비되는 버튼을 조작하거나 또는 통신범위를 감지함에 의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중망(16)과 이동통신망(19)을 선택하여 통신될 수 있다.
한편, 무선단말장치(67)의 단말기(63)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단말기(63)는 상기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 무선송수신부(54), 안테나(51)(41)를 통하여 무선휴대장치(48)에서 상기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무선단말장치(67) 또는 휴대단말장치(27)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면,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67) 및 휴대단말장치(27)에 각각 고유의 번지를 부여하여 무선휴대장치(48)에 구비되는 버튼의 조작 또는 자동감지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67) 및 휴대단말장치(2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공중망(16) 또는 이동통신망(19)을 포함하는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채널에 미리 설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서 수신될 수 있다. 즉 공중망(16)과 이동통신망(19)에 연결되는 무선휴대장치(48)에서, 하나의 망을 통하여 통화가 미리 진행중이거나 또는 동시에 두 가지 망을 통하여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자동적으로 통화되지 않는 망으로 통신채널이 변경되거나 또는 전화 수신 우선 순위에 의하여 하나의 망을 결정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에 의하여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휴대단말장치가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단말장치를 통하여 이동통신망과 통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약한 전파에 의하여 통화되어서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선휴대장치가 무선단말장치와의 통화범위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포함되는 액정디스플레이인 출력장치에서 통화범위에 상당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의 분실 및 도난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 휴대단말장치 및 무선단말장치와의 통신범위를 감지하여 공중망과 이동통신망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무선휴대장치에서 이동통신망과 공중망을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복수개의 무선단말장치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류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휴대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플레이어에 부여된 번지를 무선휴대장치에서 선택함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되는 휴대단말수단; 및
    상기 휴대단말수단과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신호를 교환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휴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수단과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신호를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 또는 상기 이동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 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에 의하여 각각이 선택되어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수단의 무선송수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한 신호의 교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이 상기 이동통신부와 이동 통신되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수단은,
    전화기 류,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5. 신호를 외부장치와 유선으로 교환시키는 무선단말수단;
    신호를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교환시키는 휴대단말수단; 및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무선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되며,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통신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수단을 통하여 상기 다른 외부장치와 통신되도록 제어되는 무선휴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장치와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된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와 교환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전화기 류,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수단은,
    상기 무선휴대수단과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신호를 교환하며, 교환되는 신호를 상기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이동통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며, 통화 채널의 자동설정 및 통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휴대수단은,
    상기 휴대단말수단 또는 상기 무선단말수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단말수단과 무선으로 통신되는 통신범위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수단 또는 상기 무선단말수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9. 청구항9는 삭제 되었습니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전화기가 연결되어 통화되는 공중망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외부장치는,
    휴대폰 또는 PCS 등의 이동통신전화기가 연결되어 통화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11. 청구항11는 삭제 되었습니다.
  12. 청구항12는 삭제 되었습니다.
  13. 청구항13는 삭제 되었습니다.
KR1019990020426A 1999-06-03 1999-06-03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2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426A KR100326728B1 (ko) 1999-06-03 1999-06-03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426A KR100326728B1 (ko) 1999-06-03 1999-06-03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0A KR20010001300A (ko) 2001-01-05
KR100326728B1 true KR100326728B1 (ko) 2002-03-12

Family

ID=1958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426A KR100326728B1 (ko) 1999-06-03 1999-06-03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7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98A (ko) * 1997-03-06 1998-11-05 김광호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98A (ko) * 1997-03-06 1998-11-05 김광호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57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having speaker phone function
JPH0591017A (ja) 無線電話機
JPH0491523A (ja) 無線電話装置
JP274924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JPH06315005A (ja) 無線電話装置
KR100326728B1 (ko) 통신채널이 절체되는 무선휴대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19025A (ko)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장치 및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JP2710721B2 (ja) 子機間通話が可能なコードレス電話機
JP2001127874A5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20070080011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폰구현 방법 및 회로
JP2002076982A (ja) 携帯通信装置
KR100285729B1 (ko) 차세대디지탈무선전화시스템에서전원온/오프시자동위치등록및해제장치및방법.
KR1008192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20050040544A (ko)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62157B1 (ko) 기지국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JPH1084580A (ja) 無線電話の移動端末装置
KR20000015421U (ko) 단순구조의 키패드를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JPH0686350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