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4931B1 -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931B1
KR100324931B1 KR1019990001909A KR19990001909A KR100324931B1 KR 100324931 B1 KR100324931 B1 KR 100324931B1 KR 1019990001909 A KR1019990001909 A KR 1019990001909A KR 19990001909 A KR19990001909 A KR 19990001909A KR 100324931 B1 KR100324931 B1 KR 10032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region
well
forming
ion implan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431A (ko
Inventor
이주형
손정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0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93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431A/ko
Priority to US09/811,590 priority patent/US6455402B2/en
Priority to US09/983,066 priority patent/US200200241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9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5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 H10D84/0191Manufacturing their doped w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2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 H10D84/03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 H10D84/038Manufacture or treatment characterised by using material-based technologies using Group IV technology, e.g. silicon technology or silicon-carbide [SiC] technology using silicon technology, e.g. Si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14Doping
    • Y10S438/919Compensation do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선택적으로 절연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에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2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1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내에 인(P)의 전면이온주입으로 웰(Well)의 측방향확산을 낮춰 추가공정없이 웰내의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과 외부웰(Outside Well)간의 펀치스루(Punchthru)를 방지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내에 이중웰(Twin Well)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가속에너지를 MeV 이하로 하여 반도체기판내에 점결함의 생성을 억제하여 접합누설전류를 감소시켜 소자특성을 양호하게 한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a Twin Well CMOS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리쏘그래피(Lithography)시 미스 얼라인먼트(Mis-Alignment)로 인한 웰의 측방향확산(Lateral DIffusion)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 예로서 CMOS 인버터는, P형 반도체기판(11)에 P형 및 N형의 불순물을 마스킹 및 확산공정으로 반도체기판(11)내에 P웰(22b) 및 N웰(21)이 형성된다. 소자의 활성영역과 격리영역을 한정하는 절연산화막(13)이 형성된다. N웰(21)내에 게이트절연막(23)을 개재시킨 제 1 게이트(37)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P+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27)(28)이 형성된다. 그리고, N웰(21)내의 소정 부분에 N+형의 N웰콘택 영역(3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P+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28),(27)은 각각 P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된다. P웰(22b) 내에 게이트절연막(23)을 개재시킨 제 2 게이트(38)를 마스크로 하여 형성된 N+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25)(26)이 형성된다. 그리고, P웰(22b)내의 소정 부분에 P+형의 P웰콘택 영역(29)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N+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25),(26)은 각각 N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된다. 고농도의 P형 매립층(22a)은 N웰(21)을 완전하게 둘러싸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CMOS 인버터(39)에서 P웰 콘택 영역(29)와 N채널 FET의 소오스영역(25)은 접지단(VSS)에 연결되며, P채널 FET의 소오스 영역(28)와 N웰콘택 영역(30)은 전원단(VDD)에 연결된다. 제 1 게이트(37)와 제 2 게이트(38)는 입력단(VIN)에 연결되며, N채널 FET의 드레인(26)과 P채널 FET의 드레인(27)은 출력단(VOUT)에 연결된다.
입력단(VIN)에 로직 H(High level)의 신호가 가해지면 N채널 FET는 턴온(turn on)되며, 동시에 P채널 FET는 턴 오프(turn off)되여 P채널 FET의 드레인영역(27)과 소오스영역(28)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드레인영역(26), (27)에 연결된 출력단(VOUT)는 N채널 FET를 통해 저전압전원인 VSS 로 풀다운(pull down)된다. 이와 같이 CMOS 인버터(39)는 입력신호 로직 H(High level)를 출력신호 로직 L(Low level)로 반전(inverted)된다.
도 2a 내지 도 2b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P형의 반도체 기판(11)상에 소자의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절연산화막(13)을 실리콘국부산화(Local Oxidation of Silicon : 이하, LOCOS라 칭함) 방법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1)표면에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N웰을 형성하는 영역이외 부분에 포토레지스트막(Photo-Resist, 111)을 형성한다. 즉, N웰을 형성하는 영역에 반도체기판(11)표면이 노출된다. 이어서 두께 2.0 ㎛ 인 포토레지스트막(111)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기판내로 연속 6회의 이온주입(Serial Implants)을 한다.
상기에서 두께 2.0㎛ 인 포토레지스트막(111)을 이온주입의 마스크로 사용할 때, 에너지 1.0 MeV 인 인(P) 이온 주입 시에는 블로킹(Blocking)하여 반도체기판(11)내로 인(P)이온의 주입을 막을 수 있으나, 에너지 750 KeV 인 보론(B) 이온 주입 시에는 포토레지스트막(111)을 관통하여 반도체기판(11)내로 보론(B)이온이 주입된다.
연속 6회의 이온주입의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2.0 MeV인 보론(B)을 이온 주입하여,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두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1.25 MeV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상단층(Upper 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첫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1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Parameters)를 조절하여 두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세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750 KeV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두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1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세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네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1.0 MeV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세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1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네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다섯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450 KeV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의 상단층(Upper 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네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1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다섯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여섯 번째로, 반도체기판(11)내로 에너지 60 KeV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다섯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1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여섯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그러나, 연속 이온주입방식(Clustered Implants)으로 가속에너지가 MeV 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고에너지 이온주입으로 인하여 반도체기판내에 고밀도의 점결함(Point Defects)이 생성되며, 이 점결함으로 접합누설전류(Junction Leakage Current)가 증대된다. 리쏘그래피(Lithography)의 미스 얼라인먼트(Mis-Alignment)발생시 웰에지(Well Edge)부위에 위치한 n+/ N-well 과 p+/ P-well 의 펀치스루(Punch-Thru)전압이 낮아진다.
고에너지(MeV) 이온주입시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막의 식각(Erode)으로 포토레지스트막의 두께가 변화되며, 포토레지스트막의 불균일성으로 이온주입프로파일
(Profile)조절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웰에지(Well Edge)부위에서 웰(Well)의 측면확산(Lateral Diffusion)을 감소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래치업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제 1영역에 깊이 방향으로 불순물 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반도체기판과 접합을 이루도록 불순물이 다른 에너지와 다른 도우즈로 이온 주입되어 형성된 제 2도전형의 제 1웰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제 2영역에 깊이 방향으로 불순물 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반도체기판과 접합을 이루도록 불순물이 다른 에너지와 다른 도우즈로 이온 주입되어 형성된 제 1도전형의 제 2웰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1영역에 연속이온주입방식으로 형성된 제 2도전형의 제 1웰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의 제 2영역에 연속이온주입방식으로 형성된 제 1도전형의 제 2웰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선택적으로 절연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에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2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1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 예로서 CMOS 인버터는, P형 반도체기판(61)에 P형 및 N형의 불순물을 마스킹 및 확산공정으로 반도체기판(61)내에 P웰(72) 및 N웰(71)이 형성된다. 소자의 활성영역과 격리영역을 한정하는 절연산화막(63)이 형성된다. N웰(71)내에 게이트절연막(73)을 개재시킨 제 1 게이트(87)를 마스크로하여 형성된 P+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77)(78)이 형성된다. 그리고, N웰(71)내의 소정 부분에 N+형의 N웰콘택 영역(8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P+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78),(77)은 각각 P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된다. P웰(72) 내에 게이트절연막(73)을 개재시킨 제 2 게이트(88)를 마스크로 하여 형성된 N+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75)(76)이 형성된다. 그리고, P웰(72)내의 소정 부분에 P+형의 P웰콘택영역(79)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N+형의 불순물도우핑 영역(75),(76)은 각각 N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이 된다.
상술한 구조의 CMOS 인버터(89)에서 P웰 콘택 영역(79)와 N채널 FET의 소오스 영역(75)은 접지단(VSS)에 연결되며,P채널 FET의 소오스 영역(78)와 N웰콘택 영역(80)은 전원단(VDD)에 연결된다. 제 1 게이트(87)와 제 2 게이트(88)는 입력단(VIN)에 연결되며, N채널 FET의 드레인(76)과 P채널 FET의 드레인(77)은 출력단(VOUT)에 연결된다.
입력단(VIN)에 로직 H(High level)의 신호가 가해지면 N채널 FET는 턴온(turn on)되며, 동시에 P채널 FET는 턴 오프(turn off)되여 P채널 FET의 드레인 영역(77)과 소오스 영역(78)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드레인 영역(76), (77)에 연결된 출력단(VOUT)는 N채널 FET를 통해 저전압전원인 VSS 로 풀다운(pull down)된다. 이와 같이 CMOS 인버터(89)는 입력신호 로직 H(High level)를 출력신호 로직 L(Low level)로 반전(inverted)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P형의 반도체 기판(61)상에 소자의 활성영역을 한정하는 절연산화막(63)을 실리콘국부산화(Local Oxidation of Silicon : 이하, LOCOS라 칭함)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반도체기판내로 인(P)이온을 에너지 250 KeV, 도우즈 양 4.0 E 12 / ㎠ 로 기판전체에 전면주입(Blanket Implant)한다.
상기에서 절연산화막(63)을 통상의 LOCOS방법, 또는 개량 LOCOS 방법이나, 실리콘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절연층을 매몰하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절연산화막(63)의 두께는 3,500 Å 정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61)표면에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N웰을 형성하는 영역이외 부분에 포토레지스트막(Photo-Resist, 211)을 형성한다. 즉, N웰을 형성하는 영역에 반도체기판표면이 노출된다. 이어서 두께 2.7 ㎛ 인 포토레지스트막(211)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기판내로 연속 2회의 이온주입(Serial Implants)을 한다.
연속 2회의 이온주입의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반도체기판(61)내로 에너지 700 KeV, 도우즈 양 2.0 E 13 / ㎠ 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두 번째로, 반도체기판(61)내로 에너지 120 KeV, 도우즈 양 2.0 E 12 / ㎠ 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첫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6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두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61)표면에 리쏘그래피(Lithography)방법으로 P웰을 형성하는 영역이외 부분에 포토레지스트막(Photo-Resist, 213)을 형성한다. 즉, P웰을 형성하는 영역에 반도체기판표면이 노출된다. 이어서 두께 2.7 ㎛ 인 포토레지스트막(213)을 마스크로 하여 반도체기판내로 연속 3회의 이온주입(Serial Implants)을 한다.
연속 3회의 이온주입의 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반도체기판(61)내로 에너지 350 KeV, 도우즈 양 1.5 E 13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두 번째로, 반도체기판(61)내로 에너지 150 KeV, 도우즈 양 6.0 E 12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중간층(Middle 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첫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6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두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세 번째로, 반도체기판(61)내로 에너지 80 KeV, 도우즈 양 1.0 E 12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두 번째 이온 주입후 이온주입장치내의 진공 챔버내에 있는 반도체기판(61)을 다른 장비로 이동하지 않고, 이온주입장치의 이온가속기의 파라메터를 조절하여 세 번째 이온주입을 한다.
상기에서, 기판전체에 전면주입(Blanket Implant)된 인(P)이온은 P 웰 영역 내로의 반대 전도성의 보론(B)이온주입으로 반전 도핑(Counter Doping) 되어 P웰 영역이 보론(B)이온으로만 도우핑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61)내로 이온주입된 불순물을 RTA(Rapid Thermal Anneal)장치에서 공정온도 1000℃, 공정시간 10 sec.동안 어닐링하여 역경사(Retrograde )프로파일(Profile)로 접합깊이가 각각 약 1.5 ㎛인 N웰영역(71)과 P웰영역(72)을 갖는 이중웰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에너지 700 KeV, 도우즈 양 2.0 E 13 / ㎠ 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에너지 120 KeV, 도우즈 양 2.0 E 12 / ㎠ 인 인(P)을 이온주입하여 , 인(P)이온주입으로 레트로 N웰(Retrograde N-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에너지 350 KeV, 도우즈 양 1.5 E 13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하단층(Lower Layer)을 형성한다. 에너지 150 KeV, 도우즈 양 6.0 E 12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기판전체에 전면주입(Blanket Implant)된 에너지 250 KeV, 도우즈 양 4.0 E 12 / ㎠ 인 인(P)이온을 반전 도핑(Counter Doping)방법으로 제거(Annihilation)하여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의 중간층(Middle Layer)을 형성한다. 에너지 80 KeV, 도우즈 양 1.0 E 12 / ㎠ 인 보론(B)을 이온주입하여, 보론(B)이온주입으로 레트로 P웰(Retrograde P-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 층(Layer)을 형성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N웰 및 P웰 영역(71)(72)상에 열산화방법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게이트절연막(73)을 형성하고, 이 게이트절연막(73)상에 다결정실리콘을 증착한 후 사진-식각(photo-etch)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제 1 및 제 2 게이트(87)(88)를 형성한다. N웰 및 P웰 영역(71)(72)의 제 1 및 제 2 게이트(87)(88) 양측에 P형 및 N형 불순물을 높은 도우즈로 각각 이온 주입하여 P 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78)(77)과 N 채널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75)(76)을 형성한다. 이때, P웰 및 N웰 영역(72)(71)내의 소정부분에 P형 및 N형 불순물이 높은 도우즈로 주입되어 P웰 및 N웰 콘택 영역(79)(80)도 각각 형성한다.
즉, N웰 영역(71) 내의 제 1 게이트(87) 양측에 P 채널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78)(77)을 형성할 때 P웰 영역(72)내의 소정부분에 P웰콘택 영역(79)을 동시에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P웰 영역(72)에 N 채널 FET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75)(76)을 형성하면서 N웰 영역(71)내에 N웰콘택 영역(80)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선택적으로 절연산화막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에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2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1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내에 인(P)의 전면이온주입으로 웰(Well)의 측방향확산을 낮춰 추가공정없이 웰내의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과 외부웰(Outside Well)간의 펀치스루(Punchthru)를 방지한다. 그리고 반도체기판내에 이중웰(Twin Well)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가속에너지를 MeV 이하로 하여 반도체기판내에 점결함의 생성을 억제하여 접합누설전류를 감소시켜 소자특성을 양호하게 한다.

Claims (9)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제 1영역에 깊이 방향으로 불순물 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반도체기판과 접합을 이루도록 불순물이 다른 에너지와 다른 도우즈로 이온 주입되어 형성된 제 2도전형의 제 1웰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제 2영역에 깊이 방향으로 불순물 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반도체기판과 접합을 이루도록 불순물이 다른 에너지와 다른 도우즈로 이온 주입되어 형성된 제 1도전형의 제 2웰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웰과 상기 제 2웰의 접합깊이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 웰내에 3회 연속 이온주입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 웰내에 3회 연속 이온주입으로 레트로 웰(Retrograde Well)의 하단층과 중간층과 상기 레트로 웰(Retrograde 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 웰내에 2회 연속 이온주입으로레트로 웰(Retrograde Well)의 하단층과 상기 레트로 웰(Retrograde Well)표면에 문턱전압조절용(Threshold Voltage)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갖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기판에 선택적으로 절연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내에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에 제 1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2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에 제 2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내에 연속 이온주입방식으로 가속에너지와 도즈양이 서로 다른 제 1도전형의 불순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의 접합깊이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1영역내에 2회 연속 이온주입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의 상기 제 2영역내에 3회 연속 이온주입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90001909A 1999-01-22 1999-01-22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909A KR100324931B1 (ko) 1999-01-22 1999-01-22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09/811,590 US6455402B2 (en) 1999-01-22 2001-03-20 Method of forming retrograde doping file in twin well CMOS device
US09/983,066 US20020024102A1 (en) 1999-01-22 2001-10-23 Retrograde doping profile in twin well CMO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909A KR100324931B1 (ko) 1999-01-22 1999-01-22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431A KR20000051431A (ko) 2000-08-16
KR100324931B1 true KR100324931B1 (ko) 2002-02-28

Family

ID=1957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9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931B1 (ko) 1999-01-22 1999-01-22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455402B2 (ko)
KR (1) KR100324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3331B2 (en) * 1999-11-18 2004-02-17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dual threshold voltage n-channel and p-channel MOSFETS with a single extra masked implant operation
CN1522489A (zh) * 2001-06-29 2004-08-18 ��к������ʽ���� 频率混合电路
JP2003258120A (ja) * 2002-03-07 2003-09-1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40121524A1 (en) * 2002-12-20 2004-06-2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ffusion
US7297617B2 (en) * 2003-04-22 2007-11-2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controlling diffusion in semiconductor regions
KR100580640B1 (ko) * 2004-12-17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결정 실리콘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적층형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8110469B2 (en) 2005-08-30 2012-02-07 Micron Technology, Inc. Graded dielectric layers
US8497167B1 (en) * 2007-01-17 2013-07-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EDS protection diode with pwell-nwell resurf
US8377772B2 (en) * 2010-08-17 2013-02-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MOS integration method for optimal IO transistor VT
DE102013104019B4 (de) * 2012-10-15 2015-02-12 Taiwan Semiconductor Mfg. Co., Ltd. Verfahren und Struktur zur Steigerung der Leistungsfähigkeit und der Minderung der NBTI (Nega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eines MOSFET
US8846510B2 (en) * 2012-10-15 2014-09-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structure to boost MOSFET performance and NBTI
US11411081B2 (en) 2020-04-22 2022-08-09 Globalfoundries U.S. Inc. Field effect transistor (FET) stack and methods to form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569A (ko) * 1995-07-27 1997-02-24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웰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202A (en) 1984-02-14 1987-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NL8802219A (nl) * 1988-09-09 1990-04-02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alfgeleiderinrichting met een siliciumlichaam waarin door ionenimplantaties halfgeleidergebieden worden gevormd.
JP2750924B2 (ja) * 1989-11-30 1998-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相補型電界効果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50009893B1 (ko) 1990-06-28 1995-09-01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기억장치
JP2697392B2 (ja) * 1991-07-30 1998-01-14 ソニー株式会社 相補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851753B2 (ja) 1991-10-22 1999-01-2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73172B2 (ja) 1992-08-26 2001-06-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装置とその方法、ディジタル再生装置とその方法
US5501993A (en) 1994-11-22 1996-03-26 Genus, Inc. Method of constructing CMOS vertically modulated wells (VMW) by clustered MeV BILLI (buried implanted layer for lateral isolation) implantation
US6017785A (en) 1996-08-15 2000-01-2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 for improving latch-up immunity and interwell isolation in a semiconductor device
JP3386101B2 (ja) * 1996-08-29 2003-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096611A (en) * 1998-03-13 2000-08-01 Texas Instruments - Acer Incorporated Method to fabricate dual threshold CMOS circui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569A (ko) * 1995-07-27 1997-02-24 문정환 반도체 소자의 웰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431A (ko) 2000-08-16
US20010014500A1 (en) 2001-08-16
US6455402B2 (en) 2002-09-24
US20020024102A1 (en)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5535A (en) Control of backgate bias for low power high speed CMOS/SOI devices
US5024965A (en) Manufacturing high speed low leakage radiation hardened CMOS/SOI devices
JP2965783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68394B2 (en) JFET structure for integrated circuit and fabrication method
KR20000000919A (ko) 씨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H08222645A (ja) 軽くドープしたドレイン領域を形成する方法
WO1994007261A1 (en) Reduction of bipolar gain and improvement in snap-back sustaining voltage in soi field effect transistor
KR100213201B1 (ko) 씨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324931B1 (ko)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634243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ual doped CMOS gate
US6396100B2 (en) Efficient fabrication process for dual well type structures
KR100607649B1 (ko) 삼중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JPH11330269A (ja) ツインウェル形成方法
US6156591A (en) Method of fabricating CMOS transistors with self-aligned planarization twin-well by using fewer mask counts
KR100445055B1 (ko) 삼중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US6291327B1 (en) Optimization of S/D annealing to minimize S/D shorts in memory array
KR100308653B1 (ko) 반도체소자의 billi 구조의 웰 형성방법
JP3216110B2 (ja) 相補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302562A (ja) 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21718B1 (ko) 씨모스트랜지스터의게이트전극형성방법
KR1005467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12174B1 (ko) 4중 웰 구조의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357173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327438B1 (ko)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252902B1 (ko) 씨모스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