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4399B1 - 차체의 후부구조 - Google Patents

차체의 후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399B1
KR100324399B1 KR1019990053026A KR19990053026A KR100324399B1 KR 100324399 B1 KR100324399 B1 KR 100324399B1 KR 1019990053026 A KR1019990053026 A KR 1019990053026A KR 19990053026 A KR19990053026 A KR 19990053026A KR 100324399 B1 KR100324399 B1 KR 10032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vehicle
indoor
fixing bracket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355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3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3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3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below the rear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후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언더보디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퓨얼탱크(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실내객석부(20)의 후측부에 퓨얼탱크(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객석부(20)의 후측에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에는 제 1 고정브라켓트(35)가 형성되어 실내객실과 트렁크룸(25)을 차단시키는 분할보드(30)와, 상기 분할보드(30)의 하측에서 접합멤버(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몸체 중앙부에는 안착부(45)가 구비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접합부(46)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구비되는 리어플로우(40)로 구성되므로, LPG차량의 가스탱크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LPG차량과 가솔린 차량의 퓨얼탱크 공용으로 차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 편의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체의 후부구조 {Rear vent of car body}
본 발명은 차체의 후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퓨얼탱크를 실내 트렁크 룸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우 하부가 다운되도록 형성하여 퓨얼탱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우팬(바닥판)은 자동차의 언더보디로서, 일반적으로 프론트 팬, 리어팬을 나누어진다.
그리고, 플로우팬의 앞과 뒤에는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판면에 가늘고 긴 오목이나 돌출부를 설치하거나, 뒷면에 보강재 등을 용접하여 사용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어 플로우는 계단식으로 절곡 성형하여 일측 하단부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고, 상단부 하측에는 연료탱크를 위치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또, 연료탱크의 고정방법은 차량의 센터 프레임부에 볼트식에 의한 고정과 스크랩식에 의한 고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차체의 리어 플로우의 구조는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수요되므로, 제작이나 생산성, 조립성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 있어, 제작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어 생산원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어 플로우를 계단식으로 절곡 성형하여 일측 하단부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고, 상단부 하측에는 연료탱크를 위치시키는 방식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므로, 차체의 제작성 및 트렁크 내의 공간도 많은 제약이 따르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리어 플로우 구조는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퓨얼탱크를 기본으로 제작되므로, 택시와 같이 LPG 가스탱크를 장착해야 하는 차량과는 차체의 공용이 불가능하여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퓨얼탱크를 실내 트렁크 룸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리어 플로우 하부가 다운되도록 형성하여 퓨얼탱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차체의 후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체의 후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퓨얼탱크가 설치되는 차체 후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퓨얼탱크가 설치되는 차체 후부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차체후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도 4는 본 발명인 차체후부구조의 퓨얼탱크 고정방법을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퓨얼탱크 11 - 접합부20 - 실내객석부 22 - 바닥면25 - 트렁크룸 30 - 분할보드35 - 제 1 고정브라켓트 40 - 리어플로우45 - 안착부 46 - 접합부47 - 제 2 고정브라켓트 50 - 접합멤버60 - 고정판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언더보디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퓨얼탱크(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실내객석부(20)의 후측부에 퓨얼탱크(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객석부(20)의 후측에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에는 제 1 고정브라켓트(35)가 형성되어 실내객석부(20)와 트렁크룸(25)을 차단시키는 분할보드(30)와;
상기 분할보드(30)의 하측에서 접합멤버(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몸체 중앙부에는 안착부(45)가 구비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접합부(46)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구비되는 리어플로우(4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객석부(20)의 저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리어플로우(40)의 안착부(45)가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45)에 퓨얼탱크(10)를 장착하므로, LPG차량의 가스탱크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LPG차량과 가솔린 차량의 퓨얼탱크 공용으로 차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퓨얼탱크(10)를 트렁크룸(25)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강성이나 플로우류의 성형성을 개선하여, 작업성 향상 및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차체후부구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차체후부구조의 퓨얼탱크 고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도3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체 후부구조의 리어플로우(40)는 실내객석부(20)의 후측에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에는 제 1 고정브라켓트(35)가 형성되어 실내객실과 트렁크룸(25)을 차단시키는 분할보드(30)와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플로우(40)와 고정되는 분할보드(30)의 몸체 상부면에는 제 1 고정브라켓트(35)가 설치되는데 이는 LPG차량의 가스탱크 와 가솔린 차량의 퓨얼탱크(10)를 겸용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보드(30)의 하측에는 접합멤버(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몸체 중앙부에는 안착부(45)가 구비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접합부(46)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구비되는 리어플로우(40)가 위치된다.
상기 리어플로우(40)는 종래에 비해 안착부(45)의 높이가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성되므로, 퓨얼탱크(10)를 트렁크룸(25)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즉, 종래 리어플로우(40)의 구성은 퓨얼탱크(10)를 트렁크룸(25)의 바닥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LPG차량과 같이 가스탱크를 설치하여 하는 차량과는 보디를 공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은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리어플로우(40)의 안착부(45) 높이를 다운시켜 제품을 형성하므로, LPG차량과 가솔린차량의 퓨얼탱크(10)를 동일위치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어플로우(40)의 안착부(45) 타측에는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설치되어, LPG차량의 가스탱크와 가솔린 차량의 퓨얼탱크(10)를 차종에 따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상기 퓨얼탱크(10) 고정방법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퓨얼탱크(10)를 조립시 측부에 돌출형성되는 접합부(11)를 고정판(60)이 상, 하부에 물려 제 1 고정브라켓트(35) 및 제 2 고정브라켓트(47)와 볼트고정되는 것이다.따라서, 상기 제 1 고정브라켓트(35)와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고정된 분할보드(30)와 리어플로우(40)로 퓨얼탱크(10)의 좌, 우 양측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분할보드(30)의 제 1 고정브라켓트(35)와 리어플로우(40)의 제 2 고정브라켓트(47)는 LPG를 연료로 하는 차량과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차종의 퓨얼탱크(10) 모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퓨얼탱크(10)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할보드(30)는 트렁크룸(25)과 실내객석부(20)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LPG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에 발생될 수 있는 가스누출시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어플로우(40)의 안착부(45)를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다운시켜 형성하므로, LPG 차량과 가솔린 차량에 만족하는 퓨얼탱크(10)를 모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트렁크룸(25)에 퓨얼탱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리어 세스펜숀의 설계가 유리하고, 이에 따른 성능향상을 추구할 수 있다.
둘째, 퓨얼탱크(10)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퓨얼탱크부의 플렛홈의 탈것없이 A/S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A/S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퓨얼탱크(10)를 체결하는 하부 멤버를 폐지할 수 있어 작업공수 및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LPG차량과 가솔린 차량의 퓨얼탱크(10)를 공용화할 수 있고, 차체의 강성이나 플로우류의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언더보디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퓨얼탱크(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실내객석부(20)의 후측부에 퓨얼탱크(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객석부(20)의 후측에 소정의 경사각을 두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면에는 제 1 고정브라켓트(35)가 형성되어 실내객석부(20)와 트렁크룸(25)을 차단시키는 분할보드(30)와;
    상기 분할보드(30)의 하측에서 접합멤버(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실내객석부(20)의 바닥면(22)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몸체 중앙부에는 안착부(45)가 구비되고, 몸체 양측으로는 접합부(46)가 형성되며, 타측부에는 제 2 고정브라켓트(47)가 구비되는 리어플로우(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차체의 후부구조.
KR1019990053026A 1999-11-26 1999-11-26 차체의 후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26A KR100324399B1 (ko) 1999-11-26 1999-11-26 차체의 후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026A KR100324399B1 (ko) 1999-11-26 1999-11-26 차체의 후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355A KR20010048355A (ko) 2001-06-15
KR100324399B1 true KR100324399B1 (ko) 2002-02-16

Family

ID=1962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399B1 (ko) 1999-11-26 1999-11-26 차체의 후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805B1 (ko) 2004-04-28 2010-09-13 한라공조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888U (ko) * 1973-08-08 1975-04-22
KR910011431U (ko) * 1989-12-25 1991-07-29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KR19980056749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승용차의 연료탱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888U (ko) * 1973-08-08 1975-04-22
KR910011431U (ko) * 1989-12-25 1991-07-29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차량의 후부몸체구조
KR19980056749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승용차의 연료탱크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805B1 (ko) 2004-04-28 2010-09-13 한라공조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의 차체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355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781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5102187A (en) Reinforced floor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011359B2 (en) Vehicle floor panel
US20010019216A1 (en) Automotive floor structure
JP4078656B1 (ja) 車体の補強構造
JP3765244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H1027307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KR100324399B1 (ko) 차체의 후부구조
JPH0611906Y2 (ja) 車両のフロア構造
JP4269937B2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配置構造
JPH10194053A (ja) 車両の工具設置構造
CN219446697U (zh) 一种车门加强件、车门总成和车辆
US20250236213A1 (en) Center seat mounting structure
US20250162656A1 (en) Crossbeam Stabilization in Vehicles
US20240336164A1 (en) Driver's seat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JPH11198862A (ja) フロントフェンダ取り付け構造
JP4238725B2 (ja) 車両構造
JPH0347978Y2 (ko)
JP2000006841A (ja) 前部車体構造
JPS6238420Y2 (ko)
JP3726335B2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JP2933869B2 (ja) 荷台用仕切体の取付ブラケット
JPS5936541Y2 (ja) 自動車のリヤフレ−ム構造
JP2019156374A (ja) ルーフパネル及びル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