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3346B1 - 화상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346B1
KR100323346B1 KR1019980019611A KR19980019611A KR100323346B1 KR 100323346 B1 KR100323346 B1 KR 100323346B1 KR 1019980019611 A KR1019980019611 A KR 1019980019611A KR 19980019611 A KR19980019611 A KR 19980019611A KR 100323346 B1 KR100323346 B1 KR 10032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ar plate
glass
face plate
exterior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469A (ko
Inventor
다카시 에노모토
다카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8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3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2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 H01J31/201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 H01J31/203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with more than one electron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1/00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31/12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 H01J2231/12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 H01J2231/1255CRTs having luminescent screens with a plurality of electron guns within the tube envelope two or more neck portions containing one or more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 외관용기(7)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8)이 형성된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1), 측벽을 통해서 페이스 플레이트와 대향 배치된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3)를 갖고, 리어 플레이트에서는 복수의 퍼넬(4)이 연장하여, 각 퍼넬의 넥 속에 전자총(12)이 밀봉되어 있고, 페이스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는 이들에 작용하는 대기압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16)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지지부는 유리로 이루어져 리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지지부 본체를 갖고 있고, 리어 플레이트, 복수의 퍼넬 및 플레이트 지지부의 지지부 본체는 판유리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IMAG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한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대기압 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 및 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된 전자 방출부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품위 방송 또는 이와 함께 대형화면을 갖는 고해상도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화상표시장치로서 예를 들면 음극선관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해상도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형광체 스크린 위에 전자빔의 스폿 직경을 작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부터 전자총의 전극 구조의 개량 또는 전자총 자체의 대구경화, 신장화 등이 도모되어 왔지만, 아직 충분한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것은 음극선관이 대형화됨에 따라서 전자총에서 형광체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전자 렌즈의 배율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이 최대 원인이다. 따라서 고해상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자총에서 형광체 스크린까지의 거리(안쪽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전자빔의 편향각을 넓은 각으로 하면, 화면 중앙과 주변과의 배율차의 증대를 초래한다. 그 때문에 넓은 각 편향으로 하는 것은 고해상도화에 있어서 유리한 계책은 아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종래 음극선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3636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일체화 구조의 형광체 스크린을 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에의해 복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음극선관이 개발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종류의 음극선관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한 평탄한 유리제의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예를 들면 프릿 유리(frit glass) 등의 접합재를 이용하여, 유리제의 측벽을 접합시켜 수직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리어 플레이트는 측벽을 사이에 두고 페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다. 리어 플레이트에는 형광체 스크린의 분할 주사되는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직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리어 플레이트에는 각각 개구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퍼넬이 접합재에 의해 고정되고, 각 퍼넬의 넥 속에 전자총이 밀봉되어 있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대기압 하중에 대하여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있다. 각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금속에 의해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기단(基端)은 프릿 유리 등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에 접합되고, 선단은 페이스 플레이트의 내면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자총에서 출사된 전자빔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의 내면에 형성된 일체구조의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한다. 분할 주사에 의해 각 영역에 그려진 화상은 전자총이나 각 전자총에 대응하여 장착된 편향장치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이어지고, 형광체 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끊어진 곳이나 중복이 없는 화상을 재생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재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기위해서는 이들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소정 위치에서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선단부의 높이가 균일하게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 지지부재는 접합재를 이용하여 리어 플레이트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모든 높이를 균일하게 맞추는 것이 곤란해지고, 동시에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고정밀도로 접합하는 것은 극히 곤란해진다.
또, 상기와 같이 복수의 전자총에서 출사되는 전자빔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주사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각 영역의 래스터를 소정 크기로 하여 인접 영역 사이에 끊어진 곳이나 중복이 없는 화상을 얻는 데에는, 각 전자총의 축이 대응하는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전자총을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종래 음극선관에 있어서 리어 플레이트에 복수개의 퍼넬을 접합할 때, 상기와 같이 각 퍼넬의 넥 속에 밀봉된 전자총의 축이 각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고정밀도로 접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극히 곤란하다. 또한, 유리제 리어 플레이트에 복수개의 퍼넬 및 측벽을 접합재로 고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접합부분이 각 부재의 위치 정밀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 특성 등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고정밀도로 배치 및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고정밀도로 배치 및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상기 음극선관에서 후방부 외관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음극선관을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6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서 후방부 외관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을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10은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후방부 외관용기의 제조에 이용되는 판유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후방부 외관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후방부 외관용기의 제조에 이용되는 판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페이스 플레이트 2: 측벽
2a: 플랜지(측벽) 3: 리어 플레이트
4: 퍼넬 5: 넥
6: 개구(퍼넬) 7: 진공 외관용기
8: 형광체 스크린 10: 후방부 외관용기
12: 전자총 14: 편향장치
16: 플레이트 지지부재 17a: 지지부 본체
17b: 지지부 선단부 17c: 제 1 부분(지지부 선단부)
17d: 제 2 부분(지지부 선단부) 19, 22, 24, 26, 40: 판유리
20: 성형틀 21: 유리기둥
27: 단부(판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연장한 복수의 퍼넬, 상기 퍼넬에서 각각 연장한 복수의 넥, 각각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는 외관용기 및
각각 상기 넥 속에 설치되어 전자빔에 의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용착 일체화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된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각각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는 외관용기 및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용착 일체화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된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연장한 복수의 퍼넬, 상기 퍼넬에서 각각 연장한 복수의 넥, 각각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 및 각각 상기 넥 속에 설치되어 전자빔에 의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를 유리의 연화 온도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지지부 본체의 일단을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에 용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레이트 지지부의 지지부 본체는 접합재를 이용하여 접합하지 않고, 유리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 지지부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레이트 지지부를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진공 외관용기에 작용하는 대기압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가볍고 튼튼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 지지부로서 특수 금속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 공정수을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와 퍼넬을 접합재로 접합하지 않고, 판유리로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퍼넬은 리어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배치된다. 그 결과 퍼넬의 각 넥 속에 밀봉된 전자총의 축을 전자빔에 의해 분할하여 주사되는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일체로 성형하는 것으로 각 부재의 접합면이 적어져,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성 등의 신뢰성이 대폭으로 향상함과 동시에 접합에 따른 재료, 공정수 등의 비용도 줄어든다.
또,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후방부 외관용기는 리어 플레이트, 복수의 퍼넬 및 측벽을 유리에 의해 일체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부재의 접합면이 한층 적어져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성 등의신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를 음극선관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은 진공 외관용기(7)를 구비하고, 이 진공 외관용기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유리제의 페이스 플레이트(1), 이 페이스 플레이트(1)의 둘레가장자리부에 프릿 유리 등의 접합제에 의해 접합되어, 페이스 플레이트(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틀형상의 측벽(2), 이 측벽(2)을 사이에 두고 페이스 플레이트(1)와 대향하고 동시에 평행하게 프릿 유리 등의 접합재에 의해 접합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유리제의 리어 플레이트(3) 및 리어 플레이트(3)에서 뒷쪽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퍼넬(4)을 갖고 있다. 퍼넬(4)은 매트릭스형상으로 늘어서 예를 들면 수평방향(X방향)에 5개, 수직방향(Y방향)에 4개, 합 20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퍼넬(4)의 개구(6)는 리어 플레이트(3)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과 대향하고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는 각각 수직방향(Y)으로 연장되어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스트라이프형상의 3색 형광체층과, 이 3색 형광색층 사이에 설치된 블랙 스트라이프를 갖는 일체구조의 형광체 스크린(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퍼넬(4)의 넥(5) 내에는 형광체 스크린(8)을 향하여 전자빔을 출사하는 전자총(12)이 밀봉되어 있다. 이 전자총(12)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 방출부로서 기능한다. 또, 각 퍼넬의 외부둘레에는 편향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1)와 리어 플레이트(3)의 사이에는 진공 외관용기(7)의 페이스 플레이트(1)와 리어 플레이트(3)에 가해지는 대기압 하중을 지탱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 지지부재(16)가 배치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 지지부(16)는 각진 기둥형상의 지지부 본체(17a)와 지지부 본체의 선단(先端)에 설치된 쐐기형상의 선단부(17b)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 본체(17a)는 리어 플레이트(3)와 동일 유리로 이루어지고, 리어 플레이트(3)의 내면에서 페이스 플레이트(1)의 근방까지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선단부(17b)는 유리와 열팽창 계수가 근사한 니켈 합금으로 형성되고 지지부 본체(17a)의 연장단에 접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형광체 스크린(8)의 블랙 스트라이프에 맞닿아 있다. 특히, 각 플레이트 지지부재(16)는 그 선단부(17b)가 후술하는 형광체 스크린(8)의 인접하는 주사영역의 경계의 교점 위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페이스 플레이트(1), 측벽(2), 리어 플레이트(3) 등을 각각 판두께 4∼15㎜의 유리로 구성하여도 충분한 대기압 강도가 얻어지고, 진공 외관용기(7)의 중량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및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지지부 본체(17a)는 유리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물이고, 후방부 외관용기(1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측벽(2)을 사이에 두고 후방부 외관용기(10)와 페이스 플레이트를 접합함으로써 진공 외관용기(7)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총(12)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각 퍼넬(4)의 바깥쪽에 장착된 편향장치(14)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편향하여, 형광체 스크린(8)을 복수개의 영역, 도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5개, 수직방향으로는 4개, 합 20개의 영역(R1∼R20)으로 분할하여 주사한다. 그리고, 이 분할 주사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8) 위에 그려지는 화상은 전자총(12)이나 편향장치(14)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이어져 형광체 스크린(8)의 전체면에 끊어진 곳이나 중복이 없이 하나의 큰 화상을 재생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리어 플레이트(3) 및 복수의 퍼넬(4)의 소재가 되는 직사각형의 1장의 판유리(19)와 각각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지지부 본체(17a)의 소재가 되는 12개의 유리기둥(21)을 준비한다. 판유리(19)는 페이스 플레이트(1)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이들 판유리(19) 및 유리기둥(21)을 유리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본 등의 내열재료로 이루어지는 소정 형상의 성형틀(20)에 따라서 배치한다. 이에 의해 판유리(19)는 성형틀(20)에 따르도록 성형되어 깔대기형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퍼넬(4)을 일체로 갖는 리어 플레이트(3)를 성형한다. 이들 퍼넬(4)은 넥측의 유리가 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유리기둥(21)의 일단(一端)은 리어 플레이트(3) 내면의 소정 위치에 용착되어 리어 플레이트와 일체화되는 지지부 본체(17a)를 성형한다. 이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및 지지부 본체(17a)를 구비한 일체 구조의 후방부 외관용기(10)가 성형된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각 지지부 본체(17a)의 연장단에 대하여 선단부(17b)를 위치 결정하고, 프릿 유리의 도포, 소성에 의해 선단부(17b)를 지지부 본체(17a)에 접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2개의 플레이트 지지부재(16)가 형성된다. 이어서 각 퍼넬(4)의 선단부에 미리 플레어(flare)형상으로 가공된 넥(5)을 연결한다. 이 경우, 퍼넬(4)과 넥(5)은 버너 가열에 의한 용착으로 연결된다. 그 후, 복수의 넥(5) 속에 전자총(12)을 밀봉한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1)의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8)을 형성한 후, 도시하지 않은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 및 측벽(2)과 후방부 외관용기(10)를 위치 결정하고, 프릿 유리의 도포, 소성에 의해 일체 접합하여 진공 외관용기(7)를 형성한다. 그 후, 진공 외관용기(7)를 진공 배기하고, 또 편향장치(14)를 설치함으로써 음극선관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3) 및 복수의 퍼넬(4)을 단일 판유리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복수의 퍼넬(4)을 소정 위치에서 높은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퍼넬의 각각의 넥(5) 속에 밀봉된 전자총(12)의 위치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각 화면의 이음매를 알 수 없도록 하는 데에는, 하나의 조건으로서 실제로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의 궤도를 대응하는 영역의 중심으로 통과하는축(법선축)과 일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전자빔의 궤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데에는 전자총(12)과 넥(5)의 위치 관계, 후방부 외관용기(10)와 페이스 플레이트(1)(형광체 스크린)의 위치 관계 및 복수의 퍼넬(4)의 상호 위치관계를 모두 고정밀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전자총(12)과 넥(5)과의 위치 관계는 전자총을 넥에 밀봉할 때, 상온하에서 그 위치를 보정하면서 실시하기 때문에 정밀도는 높게 유지하기 쉽다. 또, 후방부 외관용기(10)와 페이스 플레이트(1)의 위치 관계는 통상의 화상표시장치의 패널과 퍼넬을 봉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방법과 동일하게 후방부 외관용기(10)와 페이스 플레이트(1)의 외형 기준위치(각각 3점)를 소성 지그의 기준 패드로 눌러 덮어 프릿 유리로 접합함으로써 간단하게 높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퍼넬(4)의 상호 위치관계는 후방부 외관용기(10)를 구성하는 리어 플레이트(3) 및 퍼넬(4)의 위치관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로부터 리어 플레이트 및 퍼넬을 일체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퍼넬끼리의 상대 위치는 후방부 외관용기의 성형에 이용하는 성형틀의 가공 정밀도로 정해진다. 그리고, 이 가공 정밀도는 통상의 기계 가공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후방부 외관용기(10)의 성형은 유리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실시되기 때문에 유리 및 성형틀의 열팽창에 기인하는 위치 어긋남이 문제가 되지만, 이 원인에 의한 위치 어긋남은 성형 온도에 따라서 일정하여 관리도 쉽고, 미리 어긋남량을 고려하여 성형틀을 설계함으로써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후방부 외관용기(10)의 리어 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기준면(18)과 각 퍼넬의 위치 관계는후방부 외관용기(10)의 성형 후에 기준면(18)을 가공할 때, 연마 등의 방법으로 보정이 가능하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전자빔의 궤도는 전자빔의 출사위치와 그 출사각도로 정하고, 출사위치는 전자총의 배치 위치이며, 출사각도는 전자총의 전극 배열 정밀도, 외부 자계 등의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전자총(12)의 축을 소정 위치에 배치하여도 전자빔의 궤도가 소정의 궤도와 맞는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종래부터 링형상의 자석을 이용하여 전자빔의 궤도를 보정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자석에 의한 보정을 다양하게 조합시키는 것으로 전자빔의 궤도를 어느 정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 보정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전자빔 형상의 왜곡을 발생시켜 예를 들면 고해상도 화상을 재생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전자빔의 빔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비교적 간단하고 동시에 정밀도 좋은 보정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전자총의 배치 정밀도는 대략 0.5㎜ 이하로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전자총(12)의 배치 정밀도 즉, 퍼넬(4)의 위치 정밀도가 상기 수치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후방부 외관용기(10)의 성형틀과 유리소재의 열팽창 차이에 기인하는 위치 어긋남 양이 상기 수치 이하가 아니라면 안되지만, 실제 위치 어긋남양은 0.1㎜ 이하이고, 높은 정밀도의 진공 외관용기를 갖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3), 퍼넬(4), 및 지지부 본체(17a)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으로 진공 외관용기의 접합부분이 적어지고, 내전압 특성,진공기밀도 등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함과 동시에 접합에 따른 재료, 조립공정수가 감소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퍼넬(4)을 리어 패널(3)과 일체로 형성한 경우, 각 퍼넬(4) 내면과 리어 패널 내면과의 경계 부분은 종래에 비교하여 연속되는 원활한 원호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전자총(12)에서 사출된 전자빔이 개구(6)의 둘레가장자리부로 충돌하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공 외관용기(7)에 가해지는 대기압 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지지부 본체(17a)는 유리로 이루어지고 용착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3)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재(16)를 리어 플레이트(3)의 소정 위치에 정밀도 좋게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외관용기에 작용하는 대기압 하중을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가볍고 튼튼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진공 외관용기(7)에 가해지는 대기압 하중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재(16)는 형광체 스크린(8)의 인접 영역의 경계의 교점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형광체 스크린에 대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또, 대기압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높이를 맞출 필요가 있다. 또, 플레이트 지지부재(16)는 제조공정 중에서 다양한 열처리를 받기 때문에 열처리 중에 열변형, 열팽창의 차이를 생기게 하는 것으로는 안된다. 특히, 플레이트 지지부재(16)가 긴 경우, 플레이트 지지부재와 측벽과의 열팽창차가 생기기 쉽다. 열팽창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지지부재 전체를 유리의 열팽창에 근사한 니켈 합금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합금재는 극히 고가이며 가공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대부분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17a)에 의해 구성되고 선단부(17b)만이 니켈 합금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열팽창에 의한 문제 및 가격, 가공성에 관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단부(17b)의 길이가 짧을수록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열팽창에 주는 영향이 적어진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넥(5)과 퍼넬(4)을 연결할 때, 넥에 미리 플레어 가공을 하고 나서 버너로 퍼넬에 용착하고 있다. 이 방법은 두께가 두꺼운 판유리로 퍼넬을 성형하는 경우나 두께가 얇은 넥을 퍼넬에 용착하는 경우에 효과가 있지만, 반드시 플레어를 부착할 필요는 없고 퍼넬, 넥의 가공성에 감안하여 다양한 방법을 선택 가능하다.
또,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지지부 본체(17a)와 선단부(17b)는 프릿 유리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으로 했지만, 끼워맞춤 등의 방법도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 선단부(17b)를 니켈 합금 이외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방부 외관용기(10)는 일체 성형된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및 플레이트 지지부재(16)의 지지부 본체(17a)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후방부 외관용기(10)가 측벽(2)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즉, 리어 플레이트(3), 퍼넬(4), 지지부 본체(17a) 및 측벽(2)을 접합재를 이용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 음극선관에 의하면, 후방부 외관용기(10)는 측벽(2), 리어 플레이트(3), 퍼넬(4), 지지부 본체(17a)가 일체로 된 구조물이며, 접합재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1)와 접합되어 진공 외관용기(7)를 구성하고 있다. 측벽(2)의 페이스 플레이트측 단부는 거의 직각으로 바깥쪽으로 접어 구부러져, 플랜지(flange)(2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프릿 유리를 이용하여 플랜지(2a)와 페이스 플레이트(1)를 접합함으로써 진공 외관용기(7)를 형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동일 부분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후방부 외관용기(10)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후방부 외관용기(10)의 소재가 되는 1장의 판유리(40)와 지지부 본체(17a)의 소재가 되는 유리기둥(21)을 유리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이 연화된 판유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카본제의 성형틀(20)에 따라 배치한다. 이에 의해 판유리(40)는 형성틀(20)에 따르도록 성형되어 측벽(2) 및 깔대기형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퍼넬(4)을 일체로 갖는 리어 플레이트(3)가 성형된다. 이들 퍼넬(4)은 넥측의 유리가 보다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유리기둥(21)의 일단은 리어 플레이트(3) 내면의 소정 위치에 용착되어 리어 플레이트와 일체화한 지지부 본체(17a)가 성형된다. 이에 의해 측벽(2),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및 지지부 본체(17a)를 구비한 일체 구조의 후방부 외관용기(10)가 성형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각 지지부 본체(17a)의 연장단에 대하여 선단부(17b)를 위치 결정하고, 프릿 유리의 도포, 소성에 의해 선단부(17b)를 지지부 본체(17a)에 접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12개의 플레이트 지지부재(16)가 형성된다. 이어서, 각 퍼넬(4)의 선단부에 미리 플레어형상으로 가공된 넥(5)을 연결한다. 이 경우, 퍼넬(4)과 넥(5)은 버너 가열에 의한 용착으로 연결된다. 그 후, 복수의 넥(5) 속에 전자총(12)을 밀봉한다.
또한, 페이스 플레이트(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8)을 형성하고 조립 지그를 이용하여 페이스 플레이트(1) 내면 둘레가장자리부와 측벽(2)의 플랜지(2a)를 프릿 유리의 도포, 소성에 의해 일체로 접합하고, 진공 외관용기(7)를 형성한다. 그 후, 진공 외관용기(7)를 진공 배기함과 동시에 편향장치(14)를 설치함으로써 음극선관이 완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 퍼넬 및 지지부 본체에 더하여 측벽도 일체 구조로 함으로써 접합재에 의한 접합 부분이 한층 감소하고,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성이 한층 향상한 화상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접합에 따른 재료, 공정수가 감소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벽(2)의 단부는 바깥쪽으로 접어 구부러져 플랜지(2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측벽(2)과 페이스 플레이트(1)의 접촉 면적이 늘어, 충분한 접합폭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접촉부의 평탄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측벽(2)의 단부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 2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어 플레이트(3), 퍼넬(4) 및 측벽(2)을 1장의 판유리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1장의 판유리에 의해 일체 성형된 리어 플레이트 및 퍼넬과, 다른 판유리에 의해 형성된 측벽과, 플레이트 지지부재의 지지부 본체(17a)를 용착함으로써 일체 구조의 후방부 외관용기를 구성하여도 좋다.
도 9에 나타나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표시장치에 의하면 후방부 외관용기(10)는 리어 플레이트(3), 퍼넬(4), 측벽(2), 지지부 본체(17a)를 갖는 일체 구조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측벽(2) 및 지지부 본체(17a)는 용착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3)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후방부 외관용기(10)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는 아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방부 외관용기(10)는 리어 플레이트(3) 및 복수의 퍼넬(4)의 소재가 되는 직사각형의 1장의 판유리(22)와, 측벽(2)의 소재가 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4장의 판유리(24)와, 지지부 본체(17a)의 소재가 되는 12개의 유리기둥(21)으로 가공된다. 판 유리(22)는 페이스 플레이트(1)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또 측벽용의 판유리(24)는 조붓하고 가느다랗게 짧은 변측의 2장, 긴 변측의 2장을 준비한다.
이어서, 이들 5장의 판유리(22, 24) 및 12개의 유리기둥(21)을 유리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본 등의 내열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틀(20)에 따라서 배치한다. 이에 의해 판유리(22)에서 깔대기형상의 퍼넬(4) 및 리어 플레이트(3)을 성형하고, 또 4장의 판유리(24)의 단부끼리를 서로 용착하여 동시에 4장의 판유리(24)를 판유리(22)의 내면 둘레가장자리부에 용착한다. 또한, 각각의 유리기둥의 일단을 리어 플레이트(3)의 내면에 용착한다. 이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측벽(2) 및 지지부 본체(17a) 를 구비한 일체 구조의 후방부 외관용기(10)가 형성된다.
이후,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방법에 의해 선단부(17b)의 접합, 넥의 연결, 형광체 스크린의 형성, 페이스 플레이트의 접합, 진공 외관용기의 배기, 편향장치의 설치가 실시되고, 음극선관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2)을 리어 플레이트(3)의 일부로서 고온 성형하지 않고, 미리 조붓하고 가느다랗게 절단한 4장의 판유리(24)를 용착함으로써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후방부 외관용기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장의 판유리를 성형하여 리어 플레이트, 퍼넬 및 측벽을 성형하는 경우, 측벽은 판유리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가공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후방부 외관용기를 성형할 수 있지만, 접어 구부린 부분 결국, 코너부에서는 유리가 남기 때문에 접어 구부림 가공시에 남은 유리를 주변에 놓아주고, 남은 유리를 뒤에서 잘라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리의 나머지는 측벽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대한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난 제조방법은 측벽이 낮은 경우에 유효한 제조방법이지만, 측벽이 높은 경우에는 남은 유리에 의한 유리의 두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열용량도 불균일하게 되어 긴 어닐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측벽은 필요한 만큼을 잘라낸 측판 전용의 판유리를 이용하여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유리가 남지않고, 높은 측벽을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에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유리를 크게 변형시키는 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유리는 접촉에 의해 자기 용착하는 정도의 점도가 되어 있다면 좋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장의 판유리를 이용하여 측벽을 성형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12에 나타나는 제 4 실시형태와 같이 1장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유리(26)을 접어 구부려 성형할 수도 있다.
즉, 이 판유리(26)는 측벽(2)의 전체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판유리(26)를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접어 구부려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가공하고, 또 판유리(26)의 단부(27)끼리를 맞댄다. 이 경우, 판유리(26)의 접어 구부린 부분 근방을 중심으로 버너로 가열하고 지그를 이용하여 소정 형상으로 접어 구부린다.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리어 플레이트(3) 및 복수의 퍼넬(4)의 소재가 되는 직사각형의 1장의 판유리와 지지부 본체의 소재가 되는 유리기둥과 상기와 같이 하여 접어 구부려 가공된 판유리(26)를 유리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내열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틀의 표면에 따라서 배치한다. 이에 의해 1장의 판유리에서 깔대기형상의 퍼넬(4)을 구비한 리어 플레이트(3)가 성형되고, 또 판유리(26)의 단부(27)끼리가 서로 용착하고, 동시에 이 판유리(26)가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 둘레가장자리부에 용착한다. 또한, 각각의 유리기둥의 일단을 리어 플레이트(3)의 내면에 용착한다. 이에 의해 리어 플레이트(3), 복수의 퍼넬(4), 지지부 본체(17a) 및 측벽(2)을 구비한 일체 구조의 후방부 외관용기(10)가 성형된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레이트 지지부재(16)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17a)와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부(17b)로 구성되어 있지만, 선단부(17b)는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도 13에 나타나는 구성에 의하면, 선단부(17b)는 지지부 본체(17a)의 연장단에 접합된 제 1 부분(17c)과 제 1 부분에 접합된 쐐기형상의 제 2 부분(17d)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부분(17c)은 예를 들면 유리와 열팽창 계수가 근사한 금속으로 형성되고, 형광체 스크린의 블랙 스트라이프에 맞닿는 제 2 부분(17d)은 보다 경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플레이트 지지부재(16)를 이용한 경우, 대기압 하중에 대한 진공 외관용기의 강도를 한층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형광체 스크린에 맞닿는 부분을 보다 정밀도 좋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새도우 마스크를 갖지 않는 구조의 음극선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새도우 마스크를 구비한 음극선관 또는 빔 인덱스 타입 등의 다른 방식의 음극선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음극선관에 한하지 않고 전자 방출부로서 냉 음극 전자 방출소자 등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퍼넬, 넥 등을 갖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 지지부의 지지부 본체를 접합재를 이용하여 접합하지 않고, 리어 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플레이트 지지부의 높이 어긋남을 방지함과 동시에 플레이트 지지부를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진공 외관용기에 사용하는 대기압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가볍고 튼튼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와 퍼넬을 접합재로 접합하지 않고, 유리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리어 플레이트에 대하여 복수의 퍼넬을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퍼넬의 각 넥 속에 밀봉된 전자총의 축을 전자빔에 의해 분할하고 주사되는 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끊어진 곳이나 중복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일체 성형함으로써 각 부재의 접합면이 적어지고, 내전압 특성, 진공기밀성 등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접합에 따른 재료, 공정수 등을 감소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과 함께 측벽을 유리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 및 제조 비용이 줄어든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복수의 퍼넬, 상기 퍼넬에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넥, 각각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는 외관용기; 및
    각각 상기 넥 속에 설치되어 전자빔에 의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고, 접합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리어플레이트와 용착일체화된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본체의 연장단에 접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맞닿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은 단일 판유리로 일체 성형되어 상기 지지부 본체와 함께 후방부 외관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는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일체로 성형되어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의 측벽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복수의 퍼넬 및 측벽은 단일 판유리로 일체 성형되어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바깥쪽으로 접어 구부려 있음과 동시에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접합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용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서로 용착된 4장의 직사각형의 판유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틀형상으로 접어 구부려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용착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지지부 본체의 연장단에 접합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접합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맞닿은 제 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면한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과 상기 각 퍼넬의 내면과의 경계부분은 연속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각각 상기 리어 플레이트와 페이스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페이스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를 갖는 외관용기; 및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되고, 접합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리어플레이트와 용착일체화된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서 연장된 복수의 퍼넬, 상기 퍼넬에서 각각 연장한 복수의 넥, 각각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 각각 상기 넥 속에 설치되어 전자빔에 의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복수 영역으로 나누어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지지부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를 유리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상기 지지부 본체의 일단을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에 접합재를 이용하지 않고 용착일체화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된 지지부 본체의 타단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맞닿는 선단부를접합하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단일 판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을 일체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 본체를 리어 플레이트에 용착하여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접합재에 의해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판유리와 상기 지지부 본체를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연화된 판유리 및 지지부 본체를 소정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을 일체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 본체를 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복수의 퍼넬, 상기 지지부 본체 및 측벽을 일체 성형하여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의 측벽을 접합재에 의해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은 단일 판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복수의 퍼넬, 및 측벽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은 단일 판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 직사각형의 4장의 판유리를 서로 용착하여 틀형상의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틀형상의 측벽을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용착하여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외관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은 단일 판유리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복수의 퍼넬을 일체 성형하는 공정,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유리를 틀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틀형상의 측벽을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용착하여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페이스 플레이트, 틀형상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에 대향 배치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탄한 리어 플레이트, 각각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와 리어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페이스 플레이트 및 리어 플레이트를 대기압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플레이트 지지부, 및 상기 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전자 방출부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지지부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본체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를 유리의 연화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지지부 본체의 일단을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내면에 접합재를 이용하지 않고 용착일체화하는 공정을 구비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80019611A 1997-05-30 1998-05-29 화상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2555 1997-05-30
JP14255597 199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469A KR19980087469A (ko) 1998-12-05
KR100323346B1 true KR100323346B1 (ko) 2002-03-08

Family

ID=1531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6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346B1 (ko) 1997-05-30 1998-05-29 화상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77757B1 (ko)
EP (1) EP0881661B1 (ko)
KR (1) KR100323346B1 (ko)
CN (1) CN1165944C (ko)
DE (1) DE69817448T2 (ko)
MY (1) MY129516A (ko)
TW (1) TW398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6431B (zh) * 2007-11-30 2010-09-29 彩虹集团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彩色显像管封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64A (ja) * 1991-06-27 1993-08-13 Sanyo Electric Co Ltd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
JPH0778570A (ja) * 1993-07-13 1995-03-20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32555A (ko) * 1995-02-03 1996-09-17 사토 후미오 칼라음극선관
KR970017869A (ko) * 1995-09-08 1997-04-30 니시무로 다이조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731A (en) * 1981-02-16 1982-08-23 Nec Kagoshima Ltd Manufacture of cover glass for display tube
JP3108468B2 (ja) * 1990-08-16 2000-11-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5287034A (en) 1990-08-16 1994-02-15 Kabushiki Kaisha Toshiba Fla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utilizing an electron beam, which is provided with a support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ingle faceplate
JPH04322044A (ja) * 1991-04-23 1992-11-12 Nec Kagoshima Ltd 蛍光表示管
US5424605A (en) * 1992-04-10 1995-06-13 Silicon Video Corporation Self supporting flat video display
WO1994015244A1 (fr) * 1992-12-29 1994-07-07 Pixel International S.A. Espaceurs pour ecrans plats de visualisation et procedes de mise en ×uvre de ces espaceurs
JPH08339771A (ja) * 1995-06-09 1996-12-24 Sony Corp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314637B (ko) * 1995-07-27 1997-09-01 Toshiba Co Ltd
JPH09134684A (ja) 1995-09-08 1997-05-20 Toshiba Corp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98706A (ja) * 1996-04-30 1997-11-18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H09306391A (ja) * 1996-05-21 1997-11-28 Toshiba Corp インデックス方式カラー受像管
US5888112A (en) * 1996-12-31 1999-03-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spacers on a display subs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64A (ja) * 1991-06-27 1993-08-13 Sanyo Electric Co Ltd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
JPH0778570A (ja) * 1993-07-13 1995-03-20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60032555A (ko) * 1995-02-03 1996-09-17 사토 후미오 칼라음극선관
KR970017869A (ko) * 1995-09-08 1997-04-30 니시무로 다이조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7448D1 (de) 2003-10-02
MY129516A (en) 2007-04-30
TW398010B (en) 2000-07-11
CN1205540A (zh) 1999-01-20
DE69817448T2 (de) 2004-07-01
EP0881661B1 (en) 2003-08-27
CN1165944C (zh) 2004-09-08
EP0881661A1 (en) 1998-12-02
KR19980087469A (ko) 1998-12-05
US6177757B1 (en) 200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6467A (en)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725422B1 (en) Cathode-ray tube wherein plural regions of phosphor screen are scann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KR100323346B1 (ko) 화상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291968B1 (ko) 음극선관및그제조방법
EP0882306B1 (en) Color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4567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10004187A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electrode
KR100311863B1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JP3253710B2 (ja) 陰極線管
JPH11283535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11260290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57664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16044B2 (ja) カラー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10228866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752998B2 (ja) 陰極線管外囲器及び陰極線管
US6707241B2 (en) Color cathode-ray tube
JPH0729493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0011925A (ja) 画像表示装置
JPH0757629A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008242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65040A (ja) 陰極線管外囲器及びカラー受像管
JPH0765750A (ja) カラー受像管
JP2000315470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