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3214B1 -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214B1
KR100323214B1 KR1019997006249A KR19997006249A KR100323214B1 KR 100323214 B1 KR100323214 B1 KR 100323214B1 KR 1019997006249 A KR1019997006249 A KR 1019997006249A KR 19997006249 A KR19997006249 A KR 19997006249A KR 100323214 B1 KR100323214 B1 KR 100323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atomizing head
painting
cleaning
waste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030A (ko
Inventor
요시다오사무
마츠다히데츠구
Original Assignee
라붸 린도베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붸 린도베르,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붸 린도베르
Publication of KR2000007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2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6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axially su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through a hollow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by robots or articulated arms, e.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3D-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3/10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92Means for supplying shap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노즐(14)을 사용하여 회전무화헤드(28)의 앞면으로부터 세정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무화헤드(28)를 세정한다. 도장용 로봇(1)에는 도장기(20) 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장용 로봇(1)의 근처에 무화헤드용 세정기(10)를 설치한다. 세정시에는 도장용 로봇(1)을 작동하여 도장기(20)의 회전무화헤드(28)를 무화헤드용 세정기(10)의 폐액 회수용기(13)내로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세정노즐(14)로부터 신너를 토출하고, 이 신너를 회전무화헤드(28)를 구성하는 허브부재(30)의 앞면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허브부재(30)에 설치된 용제 유출구멍(30C)으로부터 회전무화헤드(28)내로 신너가 흘러 그 회전무화헤드 (28)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한다.

Description

자동 도장 방법 및 자동 도장 장치{AUTOMATIC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는, 도장부스와 같은 도장영역내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상기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霧化)하고, 이 무화도료를 분무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도장장치에 사용되는 도장기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에어모터와, 그 에어모터의 축방향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하게 되는 통형상의 회전축과, 그 회전축내를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회전무화헤드에 도료와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피드튜브와, 상기 회전축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선단측 바깥 둘레가 도료방출단 가장자리로 되는 회전무화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피드튜브로서는 일본국 실개 평2-37766호 공보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피드튜브는 2중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통 안을 도료용 통로로 하고, 내통과 외통의 사이를 선단 세정신너용 통로로 한 것이고, 도료용 통로는 도료용 배관에 의하여 색상교체 밸브장치에 접속되고, 세정 신너용 통로는 신너배관에 의하여 선단 세정용 신너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튜브의 선단 세정신너용 통로로부터 신너를 토출함으로써, 피드튜브 선단의 바깥 둘레에 부착한 도료를 세정하는 것이다. 또 피드튜브의 도료용 통로와 도료배관과의 접속부위에는 3 방향 밸브로 이루어지는 폐액밸브를 거쳐 배액통로가 접속되고, 그 배액통로는 배액밸브를 경유하여 폐액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이 도장기는 도장용 로봇, 리시프로케이터 등의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그 도장작업기의 동작에 의하여 도장기는 차체 등의 피도장물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간된 상태로 이동한다. 이 때 도장기로부터 도료를 분무함으로써 피도장물(차량등)을 향하여 도장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장기는 도장작업기에 의하여 피도장물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에어모터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를 고속회전시킨다. 이 상태로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유출된 도료는 피드튜브의 도료용 통로를 경유하여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공급된다. 회전무화헤드에 공급된 도료는 그 회전무화헤드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도료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무화된다. 또 회전무화헤드에는 고전압이 급전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방출단 가장자리로부터 무화되는 도료는 대전도료가 되고, 어스쪽에 접속된 피도장물과의 사이에 형성된 정전계을 따라 비행하여 그 피도장물에 칠해진다. 또 도장장치는 도장기와 도장작업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피도장물의 도장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료를 색상교체하는 경우에는 도료용 통로에 다음색상 도료를 공급하기 전에 그 도료배관내에 남아 있는 이전색상 도료를 세정한다. 이 세정공정에서는 먼저 배액밸브를 개방하여 도료배관, 배액통로, 폐액탱크까지의 통로를 확보한다. 이 상태에서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신너와 에어를 교대로 공급하여 도료배관을 세정한다.
다음에 피드튜브의 도료용 통로내와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도록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신너를 공급한다. 이 신너는 도료배관, 피드튜브를 경유하여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유통하고, 이 신너에 의하여 도료용 통로의 세정과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색상교체 밸브장치와 별개의 선단 세정용 신너원으로부터 신너배관, 선단 세정밸브, 피드튜브의 선단 세정신너용 통로를 경유하여 그 피드튜브의 선단의 바깥 둘레에 신너를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피드튜브의 선단 바깥 둘레쪽은 스폿적으로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후, 피드튜브의 도료용 통로내에는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다음색상 도료를 공급하고, 도장기는 다음색상의 도장작업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일본국 실개 평2-37766호 공보에 나타난 도장기는, 색상 교체작업시에, 색상교체 밸브장치와 회전무화헤드 사이의 도료배관, 회전무화헤드, 피드튜브의 선단 바깥 둘레를 세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신너 등의 세정유체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런닝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특개 평6-l34354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6-269702호 공보 등에 기재된 도장기도 알려져 있다. 이 도장기는 각각의 도료공급원으로부터 도료배관, 도료밸브, 도료용 피드튜브 등을 경유하여 각 색상별로 도료를 개별로 회전무화헤드에 공급하는 다발형상 피드튜브형의 도장기이다.
이 다발형상 피드튜브형 도장기는, 각 피드튜브를 각 색상별로 복수개의 도료용 피드튜브와 1개의 세정용 피드튜브에 의하여 구성하고, 그 세정용 피드튜브는 도중에 세정밸브가 접속된 신너배관을 경유하여 신너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도장기에서는 다발형상 피드튜브를 구성하는 각 색상별로의 도료용 피드튜브는 도중에 도료밸브가 접속된 도료배관을 경유하여 도색이 달라지는 도료공급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다발형상 피드튜브중, 1개의 도료용 피드튜브를 경유하여 회전무화헤드에 도료를 공급하면 이 도료는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무화도료로서 방출된다. 여기서 회전무화헤드로부터 방출되는 도료는, 고전압이 급전된 회전무화헤드에 의하여 대전되고, 대전도료는 어스쪽에 접속된 피도장물을 향하여 칠해진다.
한편 색상교체시에는, 세정용 피드튜브로부터 신너 등의 세정유체를 회전무화헤드에 공급함으로써 이 세정유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에 부착한 이전색상 도료를 세정한다.
그런데 상기한 일본국 실개 평2-37766호 공보에 나타내는 도장기에서는 피드튜브를 2중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피드튜브의 세정신너용 통로는, 색상교체 밸브장치와는 별개로 신너배관을 거쳐 선단 세정용 신너원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어 도장기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 평6-134354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6-269702호 공보 등에 나타내는 도장기에서도 다발형상 피드튜브를 구성하는 피드튜브중, 세정용 피드튜브는 각 색상마다의 도료용 피드튜브와는 별개로 신너배관을 경유하여 신너원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 도장기에 있어서도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어느 종래 기술이더라도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이 회전무화헤드로부터 도료, 신너가 도장영역내로 방출되기 때문에 상기 도장영역이 더러워진다는 제가 있다.
또한 어느 종래기술이더라도 도장기내에 세정신너용 통로(세정용 피드튜브) 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고전압이 세정신너용 통로(세정용 피드튜브)중의 신너를 경유하여 신너원쪽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세정에 사용되는 신너는, 일정이상의 전기저항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세정성만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없으므로 다량의 신너를 소비하거나 또는 저비용의 신너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와 같은 피도장물을 색상 교체하면서 도장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도장기를 가지는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와 컨베이어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장용 로봇에 설치되는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세정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유체가 회전무화헤드를 흐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무화헤드의 앞면쪽에서 무화헤드 세정을 행할 수 있는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용하는 자동도장방법은, 도장영역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상기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장작업기에 의하여 도장기를 피도장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도장기로부터 도료를 분무함으로써 도장작업을 행하게 하는 자동도장방법으로서, 상기 도장작업기와 도장기에 의한 도장작업을 정지한 후,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앞면과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노즐을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상기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무화헤드 세정공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도장작업을 정지한 후의 무화헤드 세정공정에서는, 세정노즐을 회전무화헤드의 앞면에 근접하여, 상기 세정노즐로부터 세정유체를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이 세정유체는 회전무화헤드내를 흘러 그 회전무화헤드에 부착한 이전색상 도료를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자동도장장치는 도장영역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그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로 구성하고, 상기 도장작업기의 근처에는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앞면에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노즐을 구비한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상기 회전무화헤드와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하여, 도장작업시에는 회전무화헤드에 대하여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상대적으로 이간시키고,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도장의 방해되지 않는 장소에 둔다. 한편 무화헤드 세정시에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회전무화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시키고, 세정노즐로부터 세정유체를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세정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유체는,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벨형 또는 통형을 한 무화헤드 본체와, 그 무화헤드 본체의 앞면쪽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용제유출구멍을 가짐과 함께 주변부에 도료를 유출하는 도료유출구멍을 가지는 허브부재로 구성하고, 세정노즐은 회전무화헤드의 허브부재의 용제유출구멍에 그 허브부재의 앞면으로부터 세정유체를 유입하고, 도료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무화헤드 세정공정에서는 세정노즐로부터 세정유체를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공급한다. 이 때 세정유체는, 회전무화헤드의 원심력을 받지 않는 허브부재 중앙부의 용제유출구멍으로부터 회전무화헤드내로 유입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허브부재주변부의 도료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내를 흐르는 세정유체는 상기 회전무화헤드내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도장작업기와는 별개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도장기가 도장작업을 행할 때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에 배치해 둔다.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소정위치로 이동한 후, 회전무화헤드와 세정노즐을 근접하여, 세정노즐로부터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공급되는 세정유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상기 도장영역내에 설치되어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 회수용기와, 그 폐액 회수용기내에 설치된 상기 세정노즐에 의하여 구성하고, 그 세정노즐을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유체원에 접속하고, 상기폐액 회수용기를 폐액탱크에 접속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무화헤드용 세정기의 폐액 회수용기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세정유체원으로부터 세정노즐를 향하여 세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회전무화헤드는 이 세정유체에 의하여 세정된다. 또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한 세정유체는 폐액 회수용기내로 회수되어 폐액탱크로 유출된다. 그리고 세정유체는 폐액 회수용기내로 회수되기 때문에 외부로 세정유체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장작업기가 설치되는 도장영역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도장작업기에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어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도장기의 대기위치에 배치하여 두면, 이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도장기가 도장작업을 행할 때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도장기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회전무화헤드와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근접하여, 세정노즐로부터 회전무화헤드를 향하여 세정유체를 공급하여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상기 도장작업기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장영역내에 설치되어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 회수용기와, 상기 폐액 회수용기내에 설치된 상기 세정노즐에 의하여 구성하고, 그 세정노즐을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유체원에 접속하고, 상기 폐액 회수용기를 폐액탱크에 접속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도장기를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무화헤드용 세정기의 폐액 회수용기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세정유체원으로부터 세정노즐를 향하여 세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회전무화헤드는 이 세정유체에 의하여 세정된다. 또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한 세정유체는 폐액 회수용기내로 회수되어 폐액 탱크로 유출하기 때문에 외부로 세정유체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장작업기가 배치되는 도장영역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폐액 회수용기를 도장작업기에 대하여 접근, 이간가능하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시에는 폐액 회수용기를 도장작업기에 접근시키고, 도장기가 도장작업을 행할 때에는 폐액 회수용기를 도장작업기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은 도장용 로봇으로, 상기 도장용 로봇(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에 적용되는 도장작업기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도장용 로봇(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장부스 등의 도장영역내에 위치한 컨베이어(A)의 옆쪽에 설치된 기초대(2)와, 상기 기초대(2)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대(3)와, 상기 선회대(3)상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지주(4)와, 그 지주(4)의 상단측에 위치한 이음매(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 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아암(6)과, 그 아암(6)선단에 위치하여 복수개의 자유도를 두고 설치된 손목부(7)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목부(7)에는 지지부(8)에 의하여 후기하는 도장기(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장용 로봇(1)은 피도장물이 되는 차체(B)에 대하여 도장기(20)를 좌, 우방향, 상, 하방향,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도장기 (20)는 차체(B)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간된 상태로 이동한다. 또 9는 도장기(20)의 각 통로와, 외부에 위치한 색상교체 밸브장치 등(도시생략)에 각각 접속하는 배관이다.
10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고정식의 무화헤드용 세정기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10)는 도장용 로봇(1)의 근방에 위치하여 도장영역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기초대(11)와, 그 기초대(11)상에 세워 설치된 지주(12)와, 그 지주(12)상에 위치하여 설치된 폐액 회수용기(13)와, 상기 폐액 회수용기(l3)에 설치되고 선단이 그 폐액 회수용기(13)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돌출한 세정노즐(14)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폐액 회수용기(13)는 상측이 개구한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은 단면이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무화헤드용 세정기(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장영역중 도장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 예를 들어 컨베이어(A)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세정노즐(14)은 후기하는 회전무화헤드 (28)의 중앙부측을 향하여 신너를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세정노즐(14)로부터 토출된 신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원심력을 받는 일 없이 회전무화헤드(28)내로유입한다.
15는 세정유체가 되는 신너를 세정노즐(14)에 공급하는 신너배관으로, 그 신너배관(15)의 기초단은 신너탱크(16)에 접속되고, 선단은 세정노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신너배관(15) 중 신너탱크(16)쪽에는 예를 들어 기어펌프, 플런저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너용 펌프(17)가 접속되고, 상기 신너용 펌프(17)를 구동함으로써 신너탱크(16)내에 저류(貯留)된 신너(세정유체)를 세정노즐(14)의 선단으로부터 토출한다.
18은 폐액배관으로, 그 폐액배관(18)은 그 일단이 폐액 회수용기(13) 바닥면의 최하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폐액탱크(1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폐액배관 (18)은 폐액 회수용기(13)내에 고이는 도료, 신너 등의 폐액을 폐액탱크(19)로 유출하는 것이다.
20은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도장기로, 상기 도장기(20)는 상기 도장용 로봇 (1)의 손목부(7)의 지지부(8)에 의하여 상, 하방향, 좌, 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장기(20)는 도 3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21은 도장기(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그 하우징(21)은 절연성 수지재료에 의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우징(21)내에는 후기하는 에어모터(24) 등이 설치되고, 선단측에는 셰이핑 에어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셰이핑 에어링(22)은 하우징(21)과 같은 절연성 수지재료에 의하여 바닥이 있는 단붙임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셰이핑 에어링(22)의 선단면에는 다수개의 셰이핑에어분출구(22A, 22A,…)가 고리형상으로 줄지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21)과 셰이핑 에어링(22)은 각 셰이핑 에어분출구(22A)에 셰이핑 에어를 공급하기위한 셰이핑 에어공급통로(23)가 설치되어 있다.
24는 하우징(21)내에 설치된 에어모터로, 그 에어모터(24)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후기하는 회전축(25)을 회전 구동하는 에어터빈, 에어베어링 등 (모두 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에어모터(24)에는 고전압 발생기(도시생략)에 의해서 고전압이 인가된다.
25는 회전축으로, 그 회전축(25)은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하여 중공구멍(25A)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5)은 에어모터(24)내에 축방향으로 끼워 넣어진 상태로 그 에어모터(24)내에서 고속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회전축(25)은 기초단측이 에어모터(24)의 에어터빈(도시생략)에 끼워고정되고, 선단측이 에어모터(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26은 피드튜브로, 그 피드튜브(26)는 회전축(25)의 중공구멍(25A) 내를 축방향으로 신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피드튜브(26)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하여 1개의 튜브에 의하여 형성되고, 안쪽이 도료용 통로(26A)가 되고, 상기 도료용 통로(26A)에는 도료배관을 경유하여 색상교체 밸브장치(모두 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또 피드튜브(26)의 도중에는 도료 또는 신너를 토출, 정지하는 도료밸브(도시생략)의 밸브체(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드튜브(26)의 기초단측에는 배액통로가 접속되고, 그 배액통로는 배액밸브를 경유하여 폐액탱크(모두 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피드튜브(26)의 선단은 회전축(25)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무화헤드(28)내로 연장되어 있다.
28은 벨형의 회전무화헤드로, 상기 회전무화헤드(28)는 셰이핑 에어링(22)의 앞쪽에 위치하여 회전축(2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무화헤드(28)는 무화헤드 본체(29)와 허브부재(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화헤드 본체(29)는 도전성 금속재료에 의하여 선단측을 향하여 넓게 개방하여 연장되는 벨형상으로 형성된 벨컵부(29A)와, 허브부재(30)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벨컵부(29A)의 안쪽를 향하여 돌출설치된 고리형상 격벽(29B)과, 상기 허브부재(30)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벨컵부(29A)의 앞면쪽에 형성되고,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29C)과 상기 벨컵부(29A)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료박막화면(29C)에 의하여 박막화된 도료를 액실(液絲)로서 방출하는 도료방출단 가장자리(29D)와, 상기 벨컵부(29A)의 축소 지름부의 안 둘레측에 위치하여 회전축(25)의 선단부가 끼워맞춰지는 부착구멍(29E)과, 상기 고리형상 격벽(29B)의 앞면쪽에 위치하고, 허브부재(30)의 배면측과의 사이에서 획성되는 도료고임부(29F)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허브부재(30)는 벨컵부(29A)의 안 둘레쪽 중앙부위에 끼워맞추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허브부재(30)는 무화헤드 본체(29)와 같은 도전성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허브부재(30)는 벨컵부(29A)의 앞면을 폐색하는 원판부(30A)와, 그 원판부(30A)의 바깥 둘레쪽에 세워 설치되고, 무화헤드 본체(29)의 앞면에 끼워맞추는 통부(30B)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부재(30)의 원판부 (30A)중앙쪽에는 세정시에 피드튜브(26)로부터 앞면을 향하여 신너를 공급하는 복수개(예를 들어 4개)의 용제 유출구멍(30C, 30C, …)(각각 2개씩 도시)이 뚫려 있다. 또 허브부재(30)의 원판부(30A)의 지름방향 바깥쪽 위치에는 피드튜브(26)로부터 토출된 도료 또는 신너를 무화헤드 본체(29)의 도료박막화면(29C)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도료유출구멍(30D, 30D, …)이 뚫려 있다.
또한 회전무화헤드(28)는 무화헤드 본체(29)의 부착구멍(29E)내에 회전축 (25)의 선단측을 끼워 맞추게 하고 나사고정함으로써, 그 회전축(25)에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무화헤드(28)를 회전축(25)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피드튜브(26)의 선단은 무화헤드 본체(29)의 고리형상 격벽(29B)으로부터 전방까지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동에 관하여 서술한다.
여기서 도장기(20)를 사용하여 차체 등의 피도장물에 대하여 도장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도장용 로봇(1)에 의하여 이 도장기(20)를 피도장물이 되는 차체 (B)에 대하여 소정의 이간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이 상태로 그 도장기(20)로부터 도료를 분무함으로써 차체(B)의 도장작업을 행한다.
즉 도장기(20)는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에어모터(24)에 에어를 공급하여 회전무화헤드(28)(회전축 25)를 고속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도료밸브의 밸브체 (27)를 개방하면,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공급된 도료는 도료배관을 경유하여 피드튜브(26)의 도료용 통로(26A)에 공급되고, 회전무화헤드(28)를 향하여 토출된다. 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28)에 공급된 도료는, 도료방출단 가장자리(29D)로부터 대전도료로서 방출된다. 그리고 이 대전도료는 각 셰이핑 에어분출구(22A)로부터 분출되는 셰이핑 에어에 의하여 분무패턴을 형성하면서 어스쪽에 접속된 차체(B)와의 사이에 형성된 정전계을 따라 비행하여 그 차체(B)에 칠해진다. 이와 같이 도장용 로봇(1)과 도장기(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도장기(20)는 차체(B)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차체(B)를 도장하고, 자동도장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료를 다음색상의 도료로 색상교체하는 경우에는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회전무화헤드(28)까지 도료라인의 세정, 피드튜브(26)의 도료용 통로(26A)의 세정,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을 각각 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장용 로봇(1)을 동작시킴으로써 도장기(20)를 도 1에 있어서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위치로 이동하여 회전무화헤드(28)를 고속회전시킨 상태로 그 회전무화헤드 (28)를 세정노즐(14)의 선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시킨다.
먼저,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회전무화헤드(28)까지의 도료라인을 세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피드튜브(26)의 상류쪽에 있는 배액밸브를 개방하면 도료배관, 배액밸브, 배액통로, 폐액탱크로 이루어지는 통로가 확보된다. 이 상태에서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신너와 에어를 교대로 공급하면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도료배관까지의 도료라인이 세정되고, 폐액은 상기 통로를 경유하여 폐액탱크로 유출한다.
다음에 피드튜브(26)의 도료용 통로(26A)에 남은 전색상 도료를 세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배액밸브를 폐쇄하면 폐액탱크쪽으로의 통로가 차단된다. 이에 의하여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유출한 신너는 피드튜브(26)에 공급된다. 이 신너는 도료배관, 피드튜브(26)의 도료용 통로(26A), 회전무화헤드(28), 허브부재(30)의 각 용제 유출구멍(30C)과 각 도료 유출구멍(30D)을 경유하여 폐액 회수용기(13)내로 유출하고, 폐액탱크(19)내에 회수된다. 이 때,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28)는 다음의 무화헤드 세정공정을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회전무화헤드(28)는 깨끗하게 세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때 사용되는 신너의 양은, 피드튜브(26)의 도료용 통로(26A) 내의 도료를 씻어 버리는 것만으로 좋고, 적은 양으로 끝난다.
다음에 회전무화헤드(28)를 세정하는 무화헤드 세정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무화헤드 세정공정에서는 신너용 펌프(17)를 작동시켜 신너를 무화헤드용 세정기(10)의 세정노즐(14)로부터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앞면을 향하여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세정노즐(14)로부터 공급된 신너는 도 4에 있어서의 화살표시와 같이, 회전무화헤드(28)의 원심력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는 허브부재 (30)의 중심를 향하여 토출된다. 이 신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원심력에 의하여 허브부재(30)의 표면으로의 흐름과, 각 용제 유출구멍(30C)으로부터 유입하여 각 도료유출구멍(30D)으로부터 유출하는 흐름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흐름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허브부재(30)의 표면을 흐르는 신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원심력에 의하여 허브부재(30)의 원판부(30A)의 지름방향 안쪽으로부터 바깥쪽를 향하여 흘러, 표면에 부착된 도료(P1)를 세정할 수 있다.
또 용제 유출구멍(30C)으로부터 허브부재(30) 내면측의 도료고임부(29F) 내로 유입한 신너는 무화헤드 본체(29)의 고리형상 격벽(29B)의 내벽면측의 흐름과, 허브부재(30)의 배면측의 흐름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고리형상 격벽(29B)의 내벽면측의 흐름은 피드튜브(26)의 선단 바깥 둘레쪽에 부착된 도료(P2)를 세정함과 동시에 회전무화헤드(28)의 원심력에 의하여 고리형상 격벽(29B)으로부터 도료 유출구멍(30D)에 걸쳐서 무화헤드 본체(29)에 부착한 도료(P3)를 세정한다. 한편, 허브부재(30)의 배면측의 흐름은 그 허브부재(30)의 배면에 부착한 도료를 세정할 수 있다.
또 허브부재(30)표면을 흐른 신너와, 각 용제 유출구멍(30C)으로부터 유입하여 각 도료 유출구멍(30D)으로부터 유출하는 신너와는, 각 도료 유출구멍(30D)에서 합류하여 폐액 회수용기(13)내로 회수된다. 그리고 회수된 신너는 폐액배관(18)을 통하여 폐액탱크(19)내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도장기(20)는 도료라인, 피드튜브(26), 회전무화헤드(28)를 세정한 후에, 피드튜브(26)에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다음색상의 도료를 공급하여, 다음 색상의 도장작업에 대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는, 도료를 색상교체하는 경우에 도장용 로봇(1)에 설치된 도장기(20)의 선단을 무화헤드용 세정기(10)의 폐액 회수용기(13)에 삽입하고, 신너를 세정노즐(14)로부터 회전무화헤드(28)의 앞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종래 기술에서는 색상교체시에 색상교체 밸브장치부터의 신너를 사용하여도료배관의 세정, 피드튜브의 세정 및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을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료라인과 피드튜브(26)의 세정공정과는 별개로 무화헤드용 세정기(10)의 세정노즐(14)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도료라인의 세정공정에 사용되는 신너의 양은, 도료라인과 피드튜브(26)만의 세정으로 끝나, 세정에 사용되는 신너양을 감소하여 런닝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도장기(20)는 도장용 로봇(1)의 근방에 회전무화헤드(28)만을 세정하는 무화헤드용 세정기(1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드튜브(26)는 1개의 튜브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국 실개 평2-37766호 공보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같이, 피드튜브를 도료용 통로와 선단세정 신너용 통로로 이루어지는 2중 통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피드튜브의 선단세정 신너용 통로와, 그 통로에 접속되는 선단 세정밸브, 신너배관, 신너원 등을 없앨 수 있어 도장기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있다.
또 실시형태에 의한 도장기(20)대신 일본국 특개 평6-134354호 공보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색상마다의 도료용 피드튜브를 묶은 다발형상 피드튜브형의 도장기를 사용하고, 해당 다발형상 피드튜브형 도장기를 도장용 로봇에 설치하였다고 하더라도 실시형태에 관한 도장기(20)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다발형상 피드튜브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피드튜브중, 세정용 피드튜브를 폐지함으로써 선단세정 밸브, 선단세정 신너용 배관, 선단세정용 신너원을 없애고 도장기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장기에 설치하고 있던 선단세정 신너용 통로(세정용피드튜브)를 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고전압이 선단세정 신너용 통로(세정용 피드튜브)내의 신너를 경유하여 선단세정용 신너원에 흐르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신너는 전기저항치의 대소를 문제로 하지 않고, 세정성능이 좋은 신너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료라인의 세정,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에 사용되는 신너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시에는 도장용 로봇(1)은 도장기(20)의 선단을, 무화헤드용 세정 기(10)의 폐액 회수용기(13)내에 자동적으로 삽입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시에 발생하는 신너 등의 폐액은 폐액 회수용기(13), 폐액배관(18)을 경유하여 폐액탱크(19)로 회수할 수가 있어 신너 등이 도장영역내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장영역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특징은 도장기를 도장작업기인 리시프로케이터에 설치하고, 세정노즐을 리시프로케이터와는 별개의 세정기에 설치한 것에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31은 사이드형의 리시프로케이터로서 그 리시프로케이터(31)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자동도장장치에 적용되는 도장작업기로서 적용된다. 여기서 리시프로케이터(31)는 도장영역내에 위치하여 피도장물이 이동하는 컨베이어(도시생략)의 옆쪽에 설치된 고정케이싱(32)과, 그 고정케이싱(32)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구멍(33)과, 그 슬라이드구멍(33)내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아암(34)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동아암(34)의 선단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도장기(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시프로케이터(31)는 피도장물에 대하여 이동아암(34)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체 등의 사이드쪽을 도장하는 것이다. 또한, 배관(35)은 도장기(20)와 외부에 위치한 색상교체 밸브장치 등(도시생략)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36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가동식 무화헤드용 세정기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36)는 리시프로케이터(31)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도장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36)는 도장영역내를 전, 후방향, 좌, 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대(37)와, 그 이동대(37)상에 세워 설치된 지주 (38)와, 그 지주(3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아암이동기구(39)와, 그 아암 이동기구(39)에 의하여 전, 후(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아암(40)과, 그 지지아암(40)의 선단측에 위치하여 설치된 폐액 회수용기 (41)와, 그 폐액 회수용기(41)에 설치되고 선단이 그 폐액 회수용기(41)의 속부 중앙으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한 세정노즐(4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폐액 회수용기(41)는 측면측으로 개구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래쪽에 위치한 바닥면에는 후기하는 폐액배관(47)이 접속되어 있다. 또 무화헤드용 세정기(36)는 도장작업시에는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에 올려놓여진다.
43은 세정유체가 되는 신너를 세정노즐(42)에 공급하는 신너배관으로, 그 신너배관(43)의 기초단은 신너탱크(44)에 접속되고, 선단은 세정노즐(4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신너배관(43)중 신너탱크(44)쪽에는 신너용 펌프(45)가 접속되고, 그 신너용 펌프(45)를 구동함으로써 신너탱크(44)내에 저류된 세정유체로서의 신너를 세정노즐(42)의 선단으로부터 토출한다. 또한 신너배관(43)의 도중에는 그 신너배관 (43)을 감아 들이는 배관 감아들임용 릴(46)이 설치되고, 그 릴(46)에 의하여 신너배관 (43)의 길이치수는 신축 자유롭게 되고, 무화헤드용 세정기(36)의 이동에 대하여 신너배관(43)의 풀어냄, 감아 들임을 행하고 있다.
47는 폐액배관으로, 그 폐액배관(47)은 그 한쪽 끝이 폐액 회수용기(41)의 최하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폐액탱크(4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폐액배관 (47)은 폐액 회수용기(41)내에 고이는 도료, 신너 등의 폐액을 폐액탱크(48)내로 유출하는 것이다. 또 폐액배관(47)의 도중에는 상기 폐액배관(47)을 감아들이는 배관 감아들임용 릴(49)이 설치되고, 그 릴(49)에 의하여 폐액배관(47)의 길이치수는 신축 자유롭게 되고, 무화헤드용 세정기(36)의 이동에 대하여 폐액배관(47)의 풀어냄, 감아 들임을 행하고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도장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다음에 그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장기(20)의 회전무화헤드(28)로부터 방출된 대전도료는 어스측에 접속된 피도장물이 되는 차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정전계을 따라 비행하여 그 피도장물에 칠해진다. 그리고 리시프로케이터(31)는 이 도장기(20)를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동하는 차체에 대하여 상, 하방향(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체의 사이드쪽을 도장할 수 있다.
다음에 도료를 다음색상의 도료로 색상교체하는 경우에는 리시프로케이터 (31)의 이동아암(34)을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고, 가동식의 무화헤드용 세정기(36)를 리시프로케이터(31)에 근접시킨다. 이 때, 신너배관(43)과 폐액배관(47)은 각각 그 도중이 릴(46)과 릴(49)에 감아 들여져 있기 때문에 무화헤드용 세정기(36)의 이동에 대하여 풀어냄, 감아 들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무화헤드용 세정기(36)의 아암 이동기구(39)를 작동시켜 지지아암(40)의 상, 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도장기(20)와 폐액 회수용기(41)의 높이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아암 이동기구(39)에 의하여 지지아암(40)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폐액 회수용기(41)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하고, 도장기(20)의 선단을 폐액 회수용기(41)내에 삽입한다. 이 때, 세정노즐(42)의 선단은 폐액 회수용기(41)와 함께 회전무화헤드(2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한다.
이 상태에서 제 l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색상교체 밸브장치로부터 신너를 공급하여 도료라인의 세정을 행한다. 다음에 무화헤드용 세정기 (36)의 세정노즐(42)을 사용하여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앞쪽으로부터 신너를 공급함으로써 회전무화헤드(28)에 부착된 도료를 세정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도장기의 피드튜브에 설치되어 있는 세정 신너용 통로를 폐지할 수 있어 도장기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도료라인의 세정과,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을 별개로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되는 신너 등의 세정유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런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정시에는 리시프로케이터(31)에 설치된 도장기(20)의 선단은 무화헤드용 세정기(36)의 폐액 회수용기(41)에 삽입하여 세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세정시에 발생하는 신너 등의 폐액은 폐액 회수용기(41), 폐액배관(47)을 경유하여 폐액탱크(48)에 회수할 수 있어 신너 등이 도장영역내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장영역내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특징은 도장기(20)를 리시프로케이터(31)에 설치하고, 세정노즐을 도장기(20)의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리시프로케이터(31)에 설치한 것에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51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무화헤드용 세정기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51)는 리시프로케이터(31)의 이동아암(34)이 대기위치가 되는 슬라이드구멍(33)의 최하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무화헤드용 세정기(51)는 고정케이싱 (32)의 최하측에 고정된 아암 이동기구(52)와, 그 아암 이동기구(52)에 의하여 이동되고, 선단측이 위쪽을 향하여 꺾어 구부러진 지지아암(53)과, 그 지지아암(53)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측면으로 개구한 폐액 회수용기(54)와, 상기 폐액 회수용기 (54)에 설치되고, 그 폐액 회수용기(54)의 안쪽 중앙으로부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한 세정노즐(55)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56은 세정유체가 되는 신너를 세정노즐(55)에 공급하는 신너배관으로, 그 신너배관(56)은 기초단은 신너탱크(57)에 접속되고, 선단은 세정노즐(5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신너배관(56)중 신너탱크(57)쪽에는 신너용 펌프(58)가 접속되고, 그 신너용 펌프(58)를 구동함으로써 신너탱크(57)내에 저류된 신너를 세정노즐(55)의 선단으로부터 토출한다.
59는 폐액배관으로, 상기 폐액배관(59)은 그 한쪽 끝이 폐액 회수용기(54)의 최하부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폐액탱크(6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폐액배관 (59)은 폐액 회수용기(54)내에 고이는 도료, 신너 등의 폐액을 폐액탱크(60)로 유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화헤드용 세정기(51)이더라도 무화헤드 세정공정을 행할 때에는 이동아암(34)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28)를 최하측의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고, 지지아암(53)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도장기(20)와세정노즐(55)은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여 세정노즐(55)의 선단을 회전무화헤드(28)에 근접시킨다. 그리고 세정노즐(55)을 사용하여 회전상태에 있는 회전무화헤드(28)의 앞면에 신너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회전무화헤드(28)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장기(20)에 대한 도료의 공급을 피드튜브(26)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카트리지식의 도료탱크를 장착하여 도장을 행하는 카트리지식 도장기에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색상이 다른 도료탱크를 장착할 때마다 회전무화헤드의 세정을 행하게 하면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장용 로봇(1)과 고정식 무화헤드 세정기(10)를 조합하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리시프로케이터(31)와 가동식 무화헤드 세정기(36)를 조합하고,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리시프로케이터(31)와 그 리시프로케이터(31)에 설치한 가동식 무화헤드 세정기(51)를 조합한 경우에 관하여 각각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조합에 한정하지 않고, 도장용 로봇(1)과 가동식 무화헤드 세정기(36)를 조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신너를 세정노즐(14)(42, 55)로부터 토출하는 신너용펌프(17)(45,58)를 기어펌프, 플런저펌프 등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기어펌프, 플런저펌프 대신에 탱크를 압축에어에 의한 가압탱크로 하고, 이 압축에어에 의하여 신너를 압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세정배관(15)(43, 56)을 신너용의 서큘레이션라인에 접속하고, 신너용 펌프(17)(45, 58)를 폐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무화헤드(28)로부터 방출되는 무화도료를 회전무화헤드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서 대전시키는 직접 대전방식의 도장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전극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의 전방에 코로나 방전영역을 형성하여 방출된 무화도료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간접 대전방식의 도장기에 적용하여도 되고, 또 비정전식의 회전무화헤드형 도장기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무화헤드로서 벨형의 회전무화헤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통형상, 컵형상의 회전무화헤드에 이용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도장방법은, 도장작업기와 도장기에 의한 도장작업을 정지한 후, 회전무화헤드의 앞면과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노즐을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무화헤드 세정공정을 행함으로써, 회전무화헤드의 앞면쪽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유체는 회전무화헤드내를 흘러, 소량의 세정유체로 상기 회전무화헤드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하게세정할 수 있어 런닝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도장장치는 도장작업기의 근처에 세정노즐을 구비한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회전무화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무화헤드용 세정기의 세정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유체에 의하여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앞면쪽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유체는 그 회전무화헤드내를 흘러 소량의 세정유체로 상기 회전무화헤드내에 부착된 도료를 확실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기구는 도장기쪽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장기쪽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도장영역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상기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를 구비하고,
    상기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벨형 또는 통형을 한 무화헤드 본체와, 그 무화헤드 본체의 앞면쪽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용제 유출구멍을 가짐과 함께 주변부에 도료를 유출하는 도료 유출구멍을 가지며 그 무화헤드 본체와의 사이에 도료고임부를 획성하는 허브부재에 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료작업기에 의하여 도장기를 피도장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도장기로부터 도료를 분무함으로써 도장작업을 행하게 하는 자동도장방법으로서,
    상기 도장작업기와 도장기에 의한 도장작업을 정지한 후에,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앞면과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노즐을 상대적으로 근접하여 그 세정유체를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허브부재의 앞면 중심부에 공급하고, 그 세정유체를 용제 유출구멍으로부터 도료고임부로 유입시킨 후 도료 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무화헤드를 세정하는 무화헤드 세정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방법.
  2. 삭제
  3. 도장영역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상기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로 이루어지는 자동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벨형 또는 통형을 한 무화헤드 본체와; 상기 무화헤드 본체의 앞면측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용제 유출구멍을 가짐과 함께 주변부에 도료를 유출하는 도료 유출구멍을 가지고, 상기 무화헤드 본체와의 사이에 도료 고임부를 구획형성하는 허브부재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도장기의 가까이에는 세정유체를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허브부재의 앞면 중심부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세정유체를 용제 유출구멍으로부터 도료 고임부로 유입하여 도료 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세정노즐을 구비한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상기 도장작업기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상기 도장영역내에 설치되고,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 회수용기와 그 폐액 회수용기내에 설치된 상기 세정노즐에 의하여 구성되고, 그 세정노즐은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유체원에 접속하며, 상기 폐액 회수용기는 폐액탱크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상기 도장작업기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헤드용 세정기는 상기 도장작업기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도장영역내에 설치되어 폐액을 회수하는 폐액 회수용기와 그 폐액 회수용기내에 설치된 상기 세정노즐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 세정노즐은 세정유체를 공급하는 세정유체원에 접속하고, 그 폐액 회수용기는 폐액탱크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회수용기는 도장작업기에 대하여 접근, 이간가능하게 설치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9. 도장영역에 설치된 도장작업기와, 상기 도장작업기에 설치되고 에어모터에 의하여 고속회전함으로써 도료를 무화하는 회전무화헤드를 가지는 도장기로 이루어지는 자동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기의 회전무화헤드를 벨형 또는 통형을 한 무화헤드 본체와, 그 무화헤드 본체의 앞면쪽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용제 유출구멍을 가짐과 함께 주변부에 도료를 유출하는 도료 유출구멍을 가지며, 그 무화헤드 본체와의 사이에 도료고임부를 획성하는 허브부재에 의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장기의 근처에는 세정유체를 상기 회전무화헤드의 허브부재의 앞면 중심부에 공급함으로써 그 세정유체를 용제 유출구멍으로부터 도료고임부로 유입하여 도료 유출구멍으로부터 유출시키는 세정노즐을 구비한 무화헤드용 세정기를 상기 회전무화헤드와 상대적으로 접근, 이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장장치.
KR1019997006249A 1997-11-12 1998-11-10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7112 1997-11-12
JP32711297 1997-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030A KR20000070030A (ko) 2000-11-25
KR100323214B1 true KR100323214B1 (ko) 2002-02-19

Family

ID=1819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3214B1 (ko) 1997-11-12 1998-11-10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17944B1 (ko)
EP (1) EP0951945B1 (ko)
KR (1) KR100323214B1 (ko)
CA (1) CA2276457C (ko)
DE (1) DE69838942T2 (ko)
ES (1) ES2301212T3 (ko)
WO (1) WO1999024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9804B1 (en) * 1998-03-27 2001-02-20 Behr Systems, Inc. Rotary atomizer for particulate paints
US8141797B2 (en) 2001-01-25 2012-03-27 Durr Systems Inc. Rotary atomizer for particulate paints
EP1266695B1 (en) * 2000-12-20 2010-03-03 Abb K.K.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er
US6877972B2 (en) * 2001-10-16 2005-04-12 Lear Corporation Spray urethane tool and system
DE10163744A1 (de) * 2001-12-21 2003-07-03 Topack Verpacktech Gmbh Reinigungseinrichtung und Reinigungsverfahren für Leimauftragdüsen
ITBO20020161A1 (it) * 2002-03-28 2003-09-29 Corob Spa Equipaggiamento di condizionamento per una testa di dispensazione di una macchina dispensatrice di coloranti
US20050158470A1 (en) 2003-11-11 2005-07-21 Nicholas Maiorino Spray head applicator,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960809B (zh) * 2004-06-03 2010-10-13 诺信公司 一种粉末涂料系统
US20060219807A1 (en) * 2004-06-03 2006-10-05 Fulkerson Terrence M Color changer for powder coating system with remote activation
NL1028681C2 (nl) * 2005-04-01 2006-10-03 Lenteq Schoonmaakinrichting.
KR100681406B1 (ko) 2005-10-25 2007-02-15 주식회사 화인코팅 도장로봇
EP1974824B1 (en) * 2006-01-19 2011-07-27 Abb K.K. Rotary spraying head type painting device
US20090261494A1 (en) * 2008-04-17 2009-10-22 Global Ip Holdings, Llc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Painted Vehicle Body Panel Skins And Vehicle Body Panels, Such As Instrument Panels, Utilizing Same
EP2135700B1 (en) 2008-06-18 2013-05-22 Henkel AG & Co. KGa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rvicing of a welding torch head
DE102011103117A1 (de) 2011-06-01 2012-12-06 Eisenmann Ag Anlage zum Beschichten, insbesondere Lackiere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Fahrzeugkarosserien
CN105127156A (zh) * 2014-05-30 2015-12-09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涂胶喷嘴自动清洗装置
KR101634298B1 (ko) * 2016-01-20 2016-06-30 박상은 더블 벨컵
CN112791917A (zh) * 2019-11-14 2021-05-14 广州市华维橡塑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涂胶机
EP4194692A1 (en) * 2019-12-18 2023-06-14 Vestas Wind Systems A/S Coating applicator tool head used with automated device for repairing leading edge damage on wind turbine blade
CN115301451B (zh) * 2022-08-10 2024-01-30 武汉市人防工程专用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人防门加工用清洗喷漆一体式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976A (ja) * 1984-11-01 1986-05-26 Toyota Motor Corp 回転霧化型塗装装置用噴霧ヘツドの洗浄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4325C3 (de) * 1978-12-15 1982-02-11 Ernst Mueller Gmbh & Co, 7057 Winnenden Spüleinrichtung für Sprühvorrichtung
US4447008A (en) * 1980-11-03 1984-05-08 Ransburg Corporation Atomizing device motor
US4359189A (en) 1981-03-23 1982-11-16 Gralo Inc. Automatic electrostatic centrifugal atomizer system
JPS61121967U (ko) 1985-01-14 1986-08-01
JP2635607B2 (ja) * 1987-08-28 1997-07-3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37766A (ja) 1988-07-27 1990-02-07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56266A (ja) 1988-08-19 1990-02-26 Asahi Okuma Ind Co Ltd 塗装用ロボットのスプレイガン洗浄装置
JP2615154B2 (ja) 1988-09-01 1997-05-28 トキコ株式会社 塗装ガン洗浄装置
JP2561529B2 (ja) * 1988-10-25 1996-12-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静電塗装ヘッド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US5183066A (en) * 1991-04-02 1993-02-02 General Dynamics Corp., Air Defense Systems Division Spray nozz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DE4201379A1 (de) * 1992-01-20 1993-07-22 Baral Karl Heinz Reinigungs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duesenbohrungen
JP2830683B2 (ja) * 1992-09-11 1998-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3361140B2 (ja) 1993-03-19 2003-01-07 マツダ株式会社 回転霧化塗装装置
JPH07284702A (ja) * 1994-04-20 1995-10-31 Tokico Ltd 塗装ガン洗浄装置
FI100024B2 (fi) * 1994-05-19 2003-02-04 Valmet Corp Menetelmä ja laite liiman tai vastaavan levittämiseksi liikkuvalle aineradal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976A (ja) * 1984-11-01 1986-05-26 Toyota Motor Corp 回転霧化型塗装装置用噴霧ヘツドの洗浄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24172A1 (fr) 1999-05-20
DE69838942D1 (de) 2008-02-14
CA2276457A1 (en) 1999-05-20
DE69838942T2 (de) 2009-01-02
CA2276457C (en) 2003-01-28
EP0951945A4 (en) 2004-09-01
US6217944B1 (en) 2001-04-17
EP0951945A1 (en) 1999-10-27
ES2301212T3 (es) 2008-06-16
EP0951945B1 (en) 2008-01-02
KR20000070030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214B1 (ko) 자동도장방법 및 자동도장장치
JP3940445B2 (ja) ロータリーアトマイザ
KR100321331B1 (ko) 회전무화헤드형 도장장치의 도장방법
JP2830683B2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3013734B2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および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装ガン本体へ塗料タンクユニットを装着する方法、並びに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塗料タンクユニット
KR20010041006A (ko) 카트리지용 도료 충전장치
JP3673098B2 (ja) 自動塗装方法および自動塗装装置
JP4347036B2 (ja) 回転霧化塗装装置
JP3442971B2 (ja) 塗料噴霧装置
JP3162855B2 (ja) ベル型回転霧化頭
JPH09192546A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の回転霧化頭裏面洗浄方法
JP3184405B2 (ja) 回転霧化型静電塗装装置
JP2776225B2 (ja) 回転霧化静電塗装方法
JPH0141496Y2 (ko)
JP7449438B1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JP3166113B2 (ja) 回転霧化型静電塗装機
JPH06134353A (ja) 静電塗装装置
JPH1071348A (ja) 塗料噴霧装置
JP2000079362A (ja) 塗装装置
JP2598769B2 (ja) 回転霧化型静電塗装装置
JPH0451886Y2 (ko)
JP6634532B2 (ja) 車両ボディの塗装方法および車両ボディの塗装システム
JPH11262726A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の塗装方法
JPH04256456A (ja) 水性塗料用静電塗装装置
JPH0539670U (ja) 回転霧化型静電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