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1418B1 -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418B1
KR100321418B1 KR1020000000758A KR20000000758A KR100321418B1 KR 100321418 B1 KR100321418 B1 KR 100321418B1 KR 1020000000758 A KR1020000000758 A KR 1020000000758A KR 20000000758 A KR20000000758 A KR 20000000758A KR 100321418 B1 KR100321418 B1 KR 10032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or
bridge circuit
headlight
steering
stee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713A (ko
Inventor
정현종
한화택
Original Assignee
정현종
한화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종, 한화택 filed Critical 정현종
Priority to KR102000000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4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4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8Automatic calibration of motor-driven means for adjusting headlamps, i.e. when switching on the headlamps, not during mounting at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 제1 가변 저항부와 제2 가변저항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조향장치의 조향에 따라 상기 제1 가변저항부의 저항값이 변하는 브릿지 회로부;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전압변화에 따라 회전하여 전조등을 조향하고, 동시에 상기 제2 가변 저항부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변화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전조등의 방향을 변화시켜 시야를 밝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Vehicle head light driving device}
이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변화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전조등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자동차는 생활의 필수품이라고 할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전조등은 야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 전조등은 고정식으로서. 정면으로 빛을 비춘다.
따라서, 급속한 회전시에 가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히 비출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야간에 가로등이 없는 곳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전조등의 방향을 일치시켜 야간에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서 조향장치와 브리지 회로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서 모터와 브리지 회로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기본적인 브릿지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
제1 가변 저항부와 제2 가변저항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조향장치의 조향에 따라 상기 제1 가변저항부의 저항값이 변하는 브릿지 회로부;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전압변화에 따라 회전하여 전조등을 조향하고, 동시에 상기 제2 가변 저항부를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출력전압이 영이 될 때까지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70);
가변 저항부(52)와 가변저항부(51)가 병렬로 연결되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조향장치(70)의 조향에 따라 상기 가변저항부(52)의 저항값이 변하는 브릿지 회로부(50);
상기 브릿지 회로부(50)의 전압변화에 따라 회전하여 전조등(10)을 조향하고, 동시에 상기 가변 저항부(51)를 구동하는 모터(30)를 포함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서 조향장치와 브리지 회로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서와 같이, 조향장치가 운전자의 조작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회전축(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브리지 회로부(50)의 가변저항(52)이 조정된다. 즉, 조향장치의 회전에 비례하여 가변저항(52)이 조정된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서 모터와 브리지 회로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서와 같이, 모터(3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가변저항(51)이 조정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도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기본적인 브릿지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4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R1 + R2 = 일정, R3 + R4 = 일정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Va - Vb = Vs(R1/(R1+R2) - R3/(R3+R4))
이 식에 알 수 있듯이, Va - Vb의 전위차는 R1저항 또는 R3저항의 변화에 따라 전위차 및 극성이 변화된다.
만약, R1=20Ω, R2=20Ω, R3=20Ω, R4=20Ω이고, R3+R4가 일정한 상태로, R3와 R4의 저항이 20Ω에서 변화하면 즉, R3는 감소되고, R4가 증가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 변화량에 비례하는 전위차 및 극성을 갖게 된다. 실제로 R3가 증가하고 R4가 감소하면, Va - Vb는 양의 극성을 가지고, R3가 감소하고 R4가 증가하면, Va - Vb는 음의 극성을 가지며, R3=R4인 상태에서는 Va - Vb는 영이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조건은 브릿지 회로를 구성할 때 적용하는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R1=10Ω, R2=30Ω, R3=10Ω, R4=30Ω일 경우에는 R3=10Ω, R4=30Ω일때 Va - Vb는 영이된다.
따라서, R1과 R2를 하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하고 R3와 R4를 하나의 가변저항으로 구성하여 브릿지 회로를 구성한후, 조향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R3 및 R4의 저항이 변화하도록 하면 변화량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하고 그 전압으로 전조등을 구동한다.
또한, 전조등의 이동과 동시에 전압이 R1과 R2로 구성된 가변저항을 제어하여 Va - Vb가 영이 되면, 전조등의 이동도 멈추게 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기본 원리를 적용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어, 운전자는 전조등을 켜고 운전을 시작한다.
그러면, 조향장치(70)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축(6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축(60)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에 따라 가변저항(52)이 변하게 되어 저항(R3, R4)의 값이 변화된다.
즉, 좌측으로 조향장치(70)를 회전시킬 경우, 4번 단자가 3번 단자 쪽으로 이동하여 저항(R3)은 커지고 저항(R4)은 작아진다.
따라서 2번 단자가 양의 극을 갖게 되고, 증폭기(40)를 통해 증폭이 된다.
다음, 증폭된 신호는 모터(30)를 구동하게 되고,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전조등(1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조등은 하나를 도시하였지만 병렬로 같은 구조를 복수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30)와 전조등(10) 사이에 기어박스(20)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이 정밀하게 전조등(10)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터(30)가 구동함에 따라 가변저항(51)의 2번 단자가 3번 단자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브릿지 회로부(50)에서 2번단자와 4번 단자의 전압차이가 영이 되면, 모터(30)는 구동을 멈추게 되고, 전조등의 이동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운전자가 핸들 즉, 조향장치(70)를 조작함에 따라 전조등은 정확하게 해당 방향을 비추게 된다.
여기서 전조등(10)의 조향각은 모터(30)의 회전에 따라 정밀하게 조정하면 되고, 증폭기(40)는 전압(Vs)이 모터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정도가 되도록 전압을 증폭한다.
특히, 본 발명은 가변저항과 모터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전조등을 조향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동차 분야 뿐만 아니라 조명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변화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전조등의 방향을 변화시켜 시야를 밝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
    제1 가변 저항부와 제2 가변저항부가 병렬로 연결되어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조향장치의 조향에 따라 상기 제1 가변저항부의 저항값이 변하는 브릿지 회로부;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전압변화에 따라 회전하여 전조등을 조향하고, 동시에 상기 제2 가변 저항부를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출력전압이 영이 될 때까지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회로부의 전압 변화를 증폭하여 상기 모터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전조등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KR1020000000758A 2000-01-08 2000-01-08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758A KR100321418B1 (ko) 2000-01-08 2000-01-08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758A KR100321418B1 (ko) 2000-01-08 2000-01-08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713A KR20010068713A (ko) 2001-07-23
KR100321418B1 true KR100321418B1 (ko) 2002-01-24

Family

ID=1963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7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418B1 (ko) 2000-01-08 2000-01-08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4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713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32573B2 (ja)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KR100321418B1 (ko)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JP3208697B2 (ja)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US10059253B1 (en) ATV daytime running light control
JP2002234383A (ja) 可変配光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
JPH07186821A (ja) 車輌用コーナリングランプシステム
FR2811627B1 (fr) Ensemble de direction assistee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RU23331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цирующее угол поворота управляемых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при переключении передач в коробке передач
KR980001301A (ko) 자동차용 자동전조등장치
JPS61211146A (ja) ヘツドライトの光軸制御装置
KR100204784B1 (ko)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JP2004034740A (ja) 車両用操舵装置
JPH0281743A (ja) 車両の前照灯制御装置
KR016753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자동광량조절장치
KR19990031416A (ko) 차량용 헤드램프 각도 조절 장치
KR19980060240A (ko) 백업 램프 작동장치
RU23323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цирующее угол поворота управляемых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и качество контакта водителя с рулевым колесом
KR970074254A (ko) 자동차의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69529B1 (ko) 전동식파워스티어링장치
JPS63162372A (ja) 自動車の後輪操舵装置
KR200273370Y1 (ko) 자동차용 코너링 램프 장치
KR101373477B1 (ko) 자동차용 전조등의 조사각 자동조절장치
CN118372735A (zh) 一种汽车大灯随动控制系统、方法及汽车大灯
KR19990005788U (ko) 자동차의 코너링 램프 제어장치
KR19980055330U (ko) 자동차의 사이드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